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9/14 11:35:45
Name phenomena
File #1 Screenshot_20230914_112926.jpg (1.68 MB), Download : 14
File #2 Screenshot_20230914_112942.jpg (1.21 MB), Download : 5
출처 판갤
Subject [유머] 나라별 아이폰 환율 반응...




1.물론 미국도 세금포함하면 860달러까지 가긴하지만 주마다 다르고 오리건 같이 면세인 주도 있는..

2. 사실 한국일본정도면 다른나라 비하면 싸게(?)해주는편..

3. 러시아는 카자흐스탄서 밀수한 아이폰과 패드를 두배가격에 산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오스
23/09/14 11:41
수정 아이콘
한국이 선녀였다니 (...)
23/09/14 11:45
수정 아이콘
9월 말에 일본갈 일이 있어서 직구를 해볼까 생각했는데 가격적으로는 별 메리트가 없어보이긴 하더라구요.
HA클러스터
23/09/14 11:54
수정 아이콘
가격적 메리트 따지기 전에 9월달에는 원하는 모델 원하는 색상 직구는 거의 불가능하실껄요.
통신사 계약 물량이나 예약구매 물량도 빠듯한 상황이라 외국인이 그때 양판점에서 심프리 직구하는건 하늘에 별따기...
23/09/14 11:51
수정 아이콘
미국시장을 중시해서 다른 곳보다 미국을 싸게 책정하다보니 나머지 거의 대부분이 뿔나는 상황이라고 봐야할 듯
척척석사
23/09/14 11:55
수정 아이콘
쟤네가 특별히 미국을 중시한다기보다는 전자제품 자체가 어느 회사의 뭔 제품이든 보통 미국이 더 싸고 유럽이 비싸기도 한 것 같아요
차량도 뭐 크게 다르지는 않은 것 같구요.

기업이야 비싸게 팔아먹으면 팔아먹을수록 좋고 얘네들이야말로 꼬우면.. 아시죠? 갤럭시 쓰시든가 해도 되는 애들이라 크크
23/09/14 11:58
수정 아이콘
사실 갤럭시도 미국에선 엄청 혜택주니까 아이폰이 미국에서 싼걸로 시비거는 게 웃기긴 하죠.
얼마전 플립5 때만 생각해도..
23/09/14 12:21
수정 아이콘
그냥 이건 쥰내 잘 팔리는 제품에 한해서 이거저거 붙는게 많습니다.

애플도 맥북에 저런 환율 안먹여요. 맥북은 한국에서 잘 안팔리니까...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도 지금 4000번대 카드 한국이 북미보다 저렴한데 3000번대 생각하면 뭐 환율에 부가세에 699달러짜리 110만원 부르고 시작했으니까요.

어느 제품이나 마찬가지로 메이저한 잘 팔리는 제품이면 말도 안되는 환율에 부가세에 이거저거 붙이고 시작하는거지 그냥 조금만 마이너한 시장이라도 양심적으로 책정하면 경쟁력 없다는거 아니까 적당히 팔죠. 뭐 당장 오늘 출시한 지슈라2 같은 경우도 북미 170달러 유럽 170유로 한국 19.9입니다. 무조건 북미가 제일 싼거도 아니고, 무조건 북미 환율에 부가세 10%를 더해야하는거도 아니고

그냥 잘팔리는 제품이면 가격이 싯가가 되는게 현실 그중에서 제일 양아치는 당연히 일관성도 없는 애플이구요.
김은동
23/09/14 12:24
수정 아이콘
제일 양아치가 애플이 맞나요?.. 저는 이건 진짜 모르겠는데..
원화가격이야 시장상황에 따라서 회사가 정하는거다. 여기까지는 동감하는데
왜 애플이 제일 양아치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프락사스
23/09/14 12:38
수정 아이콘
애플보다 양아치라 생각하는 회사가 뭔지 궁금하군요
소독용 에탄올
23/09/14 13:37
수정 아이콘
자연산이라 시가로 파는 황회장님.....
김은동
23/09/14 13:38
수정 아이콘
사실 이분야의 최고분야는 테슬라가 있습니다..
러브포보아
23/09/14 13:13
수정 아이콘
애플이 같은 자사제품 699달러라도 잘팔리는 아이폰과 안팔리는 맥북 등의 원화 가격이 다르거든요. 일관성이 없는거죠.
김은동
23/09/14 13:30
수정 아이콘
대부분의 회사들이 가격정할때 딱히 일관성같은건 없이 시장상황따라서 정하지 않나요?
당장 한국기업인 삼성이 미국에 판매할때 가격도 시장상황 따라서 다르던데요

딱히 기업이 양아치냐 아니냐가 문제가 아니라 원래 시장상황에 따라서
이래도 팔릴거같은 물건과 이렇지 않으면 안팔릴꺼같은 물건의 가격측정은 달라지지 않나 싶습니다.
러브포보아
23/09/14 14:34
수정 아이콘
달러가 폭등해서 원화가격을 조정할때 같은날 같은 가격의 달러를 조정하는데, 아이폰과 그외 제품의 가격이 다른게 문제죠.

그것도 애플 마음 아니냐면 애플 마음이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양아치로 볼 수도 있죠.
가격인상의 명분이 달러가치 인상인데 인상폭이 다르니깐요.
23/09/14 14:04
수정 아이콘
맥북이 한국에서 잘 안팔린다는것도 약간 오해가 있는게 2023년은 PC시장이 글로벌하게 폭싹 망하고 있는지라 맥북도 같이 감소했습니다만 그 전년도 보면 국내 노트북 판매하는 주요 6개사 중 출하량으로 볼 때 에이수스와 함께 유이하게 증가한 2개사 중 하나고 삼엘에 이은 3위였습니다.

[삼성 노트북, 3년 만에 역성장...수요 한파에 시장 '꽁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078961?sid=105
덴드로븀
23/09/14 12: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2022년 9월 원/달러 환율 = 2023년 9월 원/달러 환율 = 1300원대 (애플식 환율은 마진 포함시킨 1400원대로 동일)

2022년 아이폰14 시리즈 달러 가격 = 2022년 아이폰15 시리즈 달러 가격
2022년 아이폰14 시리즈 원화 가격 = 2023년 아이폰15 시리즈 원화 가격
소독용 에탄올
23/09/14 13:38
수정 아이콘
오타가..,
덴드로븀
23/09/14 14:17
수정 아이콘
크크크 아무튼 다 똑같다!
김은동
23/09/14 12:20
수정 아이콘
사실 갤럭시를 미국에서 더 싸게 파는거같은데 딱히 그거에 대한 분노는 별로 없는거같더라구요..
저 폴드5 개발용 + 장난감으로 살떄 집에서 굴러다니던 S21 하나 던져주고 $977 에 샀었는데..
인증됨
23/09/14 12:55
수정 아이콘
미국은 쓰던 플립4 가져다주면 파손폰 아닌이상 50달러에 자급제 플립5를 주는 행사를 해도 한국에서 조용하죠
이런 자료마다 세금미포함 가격으로 비교하는것도 이젠 무지의 영역이 아니라 선동의 영역 같습니다 자료 만들정도로 관심있는데 세금 미포함인걸 모를리가
23/09/14 13:05
수정 아이콘
삼성공화국이라 기사에서도 우리나라가 제일 비싸다며 억까로 쓰고 있네요. 비교군은 미국, 홍콩, 일본 정도고
애초에 미중일이라는 거대 시장이랑 비교하면 당연히 우리 시장에 디메리트 둘 거고 오히려 전세계적으로 따지면 우리나라가 홀대받는 급이 아닌데도
23/09/14 12:56
수정 아이콘
미국은 전자기기 제일싼나라니까요
콘솔도 500불일때 유럽은 550유로에요 영국은 480파운드이고
김은동
23/09/14 13:33
수정 아이콘
그러면 아이폰 가격이 미국에 비해서 비싸다고 화낼필요도 없는거 아닐까요?
제 이야기가 그 이야기입니다.
레드불
23/09/14 15:52
수정 아이콘
단순한 애플까도 있겠지만 아이폰 사용하시는 분들은 화날만 하지 않을까요
23/09/14 12:31
수정 아이콘
일본에서 면세하고 혜택 받아서 사면 100만원 대 구입 가능하네요
조메론
23/09/14 12:47
수정 아이콘
일본 애플스토어 면세 안됩니다
23/09/14 14:31
수정 아이콘
당장 산다는 얘기는 아니었긴 합니다. 지인이 뭐 사달래서 자주 사가긴 했는데...
23/09/14 13:47
수정 아이콘
저도 일본 갈 일 있어서 직구 고려해봤는데 애플스토어가 면세사업 접어서 면세 받기도 쉽지 않아보이고 쿠팡 같은데서 사전예약하면 제법 할인받는거 생각하면 가격적인 메리트는 별로 없겠더라구요. 어차피 입국하면 부가세 몇만원 더 내야하기도 하구요. 요도바시나 빅카메라에서 면세 아이폰을 구할 수만 있으면 몇주 빨리 쓸 수는 있긴한데 보증이 국내 구입 2년, 해외 구입 1년이라 장단점이 있는거 같습니다.
iPhoneXX
23/09/14 13:03
수정 아이콘
오히려 미국에서만 비싸게 파는거 찾기가 힘들지 않을지..
23/09/14 13:05
수정 아이콘
???: 아이러브코리아 오케이?
23/09/14 13:15
수정 아이콘
제발 미국 가격에는 세금좀 더해주세요 제발
타카이
23/09/14 14:07
수정 아이콘
주마다 규정이 제각각이라...
phenomena
23/09/14 16:37
수정 아이콘
주마다 다르고 오리건주같은곳은 소비세가 없는데요..
F1rstchoice
23/09/14 14:27
수정 아이콘
‘마진의 신’
23/09/14 14:30
수정 아이콘
"그래도 되니까" 가 답이죠.
애플은 아마 외환거래 전문가 팀을 따로 두고 있을겁니다. 높은 확률로 월스트리트 출신 포렉스 트레이더나 프린스턴 금융수학쪽 사람 고용했을거고 그 사람들이 예측한 환율 + 시장수요-공급에 대한 모델링 결과로 저 가격이 나온거겠죠. 애초에 가격 1달러에 몇천만불이 오가는 문제에 굴지의 세계 1위 테크 기업이 신경을 안썼을리가 없죠. 뭐가 됐든 애플쪽 똑똑하신 분들이 저 가격을 책정했다는건 우리가 달러를 사놓는게 좋다는 뜻 아닐까요? 다들 달러 추가 매수 갑시다
23/09/14 14:40
수정 아이콘
페소가 2억8천만쯤 되던거 같은데
계산 잘못했을수도...
23/09/14 15:09
수정 아이콘
$799(세금 없는 가격)가 현재 환율로 106만원이고 106만원에 (우리나라의) 부가가치세 10% 더하면 116.6만원이니까 125만원이면 미국보다 약 7% 정도 비싼 셈이네요. (iphone 15 plus는 3% 정도)
23/09/14 17:0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아이폰은 사치품 성격이 강하기도 하니 저런식으로 배짱 부리는거죠.
김재규열사
23/09/14 22:58
수정 아이콘
슬슬 당근에서 아이폰13 찾아보면 되는 건가요
23/09/15 00:50
수정 아이콘
이래서 빅마켓 안에 있어야 소비자가 유리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7512 [기타] 들개 문제가 심각한 인천 서구.jpg [39] Myoi Mina 12750 23/09/27 12750
487475 [유머] 캐나다가 젤런스키 초청하면서 의회에 전쟁영웅을 초대했는데.. [21] 졸업11660 23/09/27 11660
487237 [유머] 러시아 근황.jpg [40] Myoi Mina 12309 23/09/22 12309
486994 [유머] 일본 극우, 러시아군에 자원 입대.jpg [33] Myoi Mina 11029 23/09/18 11029
486944 [유머] 애플이 점유율 1위지만 정발조차 안해주는 나라 [33] phenomena13161 23/09/17 13161
486888 [기타] 태극기 패치달고 참전한 러시아 병사 [10] phenomena9384 23/09/16 9384
486795 [스포츠] FM) 이정도면 해외파 점검하느라 해외돌아도 인정하시나요 [15] 비타에듀9695 23/09/14 9695
486766 [유머] 나라별 아이폰 환율 반응... [40] phenomena10187 23/09/14 10187
486601 [기타] 당분간 러시아 여행은 어려울 것 같은 소설가 [45] 우주전쟁13123 23/09/11 13123
486037 [기타] '푸틴의 트롤' 러시아 허위정보 생산공장 밝혀낸 기자 [14] 내설수9301 23/09/01 9301
485983 [기타] 종이 비행기의 위력 [31] 퀀텀리프13069 23/08/31 13069
485229 [기타] 바로 옆동네인데 시차 21시간... [13] 우주전쟁12202 23/08/19 12202
484811 [기타] 화성에서 바라본 지구... [5] 우주전쟁6576 23/08/12 6576
484166 [유머] 빤스런 중이라는 우크라이나군 근황 [13] Myoi Mina 10844 23/08/03 10844
483678 [기타] 김정은 근황 (feat. 국군 비상) + 주한 러시아대사관 페이스북의 도발 [45] 아롱이다롱이11789 23/07/27 11789
483455 [유머] 러시아(인간)의 역대급 패악질.JPG [24] 핑크솔져12087 23/07/23 12087
483373 [유머] 가성비 프랑스 여행 [45] 된장까스11624 23/07/22 11624
483157 [기타] 러 "흑해곡물협정 오늘부터 무효…사실상 종료" [5] 카루오스8069 23/07/18 8069
482802 [방송] 프리고진은 왜 그랬을까? [18] Avicii9764 23/07/12 9764
482585 [기타] (영상) 국가별 자주포 보유현황 [22] Croove8072 23/07/09 8072
482563 [방송] 이동진이 꼽은 가장 중요한 서양사 연도 20개 [61] Avicii13400 23/07/09 13400
482480 [기타] 역사) 비잔틴제국의 제1 ~ 2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결과 [11] 비타에듀5854 23/07/07 5854
481737 [기타] 러시아 프리고진 근황... [42] 우주전쟁16170 23/06/26 161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