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9/04 19:38:38
Name Croove
출처 호구커플
Subject [유머] 창1 vs 검3 대련
몸풀기 라운드 끝나고 생명 감안한(몸통,머리 공격 받으면 사망) 대련을 합니다.
리치 긴게 짱이군요 크크
이거 잡으려면 누군가 희생시켜서 동시공격 해야 할듯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날아라 코딱지
23/09/04 19:42
수정 아이콘
냉병기 시대의 역사는 창-활 그리고 방패 지배했다고 하고
비중에서 방패 다음 활=창 이라더니 이걸보면
칼 도끼 철퇴등은 사실 보조수단이나 겨우 될듯 하네요
23/09/04 19:53
수정 아이콘
활, 창 푸대접은 물론이고, 검사라도 전장에서 압도적으로 중요한 방패를 곧죽어도 들지 않고 한손칼로 진기명기 곡예부리며 쳐내면서 공방일체를 다 해내어야 주인공 간지라는 이상한 동양쪽 검 페티시는 몰입감을 확 깨요. 내구도도 뭐 성검 클래스거나 차라리 검강쓰는 무협계라면 그렇다고 이해라도 하는데 무슨 대장간에서 뚝딱 만든 칼가지고도 저짓거리 하면서 몇날며칠을 싸워대니.
데몬헌터
23/09/05 07:12
수정 아이콘
창이 주력인 아프리카의 현 문화 영향력이 매우 낮고, 서양과 중동 조차 칼을 더 대접하니까요(...) 동방만의 문제는 아닌거같습니다
23/09/05 09:48
수정 아이콘
서양 쪽 칼 테크트리는 그래도 그쪽 고대-중세 전쟁을 반영해서 검방 들고 싸우다가 판금갑옷에 양손검으로 간다든지 하는 식이고 대거를 든 도적이 정면승부에서는 기사에게 발리지만 암습, 암살 전문으로 만회한다든지 하는 식의 그럴싸한 현실성이 있는게 보통인데, 동양 쪽은 중국이건 일본이건 한국이건 무거운 방어구는 몸을 느리게할 뿐 이라는 철학으로 홑옷 차림에 칼 하나 들고 빌런 역할의 방패 든 중갑기사들을 정면에서 도륙하는 게 일상이니까 하는 말이죠 하하. 오죽 방패들면 잡몹 취급이라는 클리셰가 보편적이면, 방패 또는 중갑 착용의 주인공이 쓰레기 직업이라는 주변의 인식을 극복하고 영웅이 된다는 클리셰 파괴물들이 있을 정도.
23/09/04 19:44
수정 아이콘
실제로 일본에서도 나기나타와 일본도가 붙으면 나기나타가 떡바릅니다 크크크(…)
골드쉽
23/09/04 19:48
수정 아이콘
언제나 검은 실용적으로도 재료의 효율적으로도 창에게 밀리는 무기다보니까 상징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23/09/04 19:49
수정 아이콘
와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네요.
구상만
23/09/04 19:52
수정 아이콘
꿀잼이네요 크크
Lord Be Goja
23/09/04 19:53
수정 아이콘
짧은검을 쓰던 군단병들로 장창/단창을 쓰는 나라들을 제압하던 고대로마나 독일의 용병단에서 대검병을 써서 파이크/할버드 방진을 쳐내던 사례,대열이 무너진 전열보병들에게 사신과도 같았던 기병도를 든 경기병들이라던지.. 찾아보면 검으로 재미본 사례들도 있긴하지만 창은 비용과 시간면에서 훨씬 저렴하게 군대를 만들수있죠
고오스
23/09/04 20:04
수정 아이콘
고대 로마의 주요 무기는 글라디우스가 아니라 방패 진영이고

독일 용병단 대검은 말이 검이지 최소 단창 이상의 리치를 가졌고

기병도를 든 경기병이 재미본 사례는 은근 드문걸 보면

검 단독으로는 뭘 하긴 힘든거 같습니다
Lord Be Goja
23/09/04 20:29
수정 아이콘
그 정도로 밀집한 방패진영은 마케도니아식 긴창으로는 만들기가 힘듭니다.(양손이 아니면 들기도 힘들고 너무 밀집하면 방향전환이 안되요)짧은창으로는 가능하지만요.하지만 단창에 방패를 든 그리스/고대페르시아식 호플리테스는 장창에게 너무 취약해서 마케도니아에게 패권을 내줬어요.그러니 짧은검으로 가능했던 전술이고 검을 포기하고 나서는 로마군의 전술도 바뀝니다

창만큼 길면 그게 검이 아닌가요?? 그럼 검만큼 짧은 투척용창은 창이 아닐까요?

활도 권총도 아닌 기병도를 든 검기병이 활동하던 시절에는 기병뿐 아니라 어떤 병종도 단독병종으로 전쟁을 이긴 사례가 드뭅니다.저글링 100대 질럿20 이런전쟁이 어딨어요.
피죤투
23/09/04 19:56
수정 아이콘
항우가 활 없으면 단신으로 초토화 시키는 것도 가능하겠네요
똥진국
23/09/04 19:58
수정 아이콘
창이라는 무기가 리치가 깡패인 무기라서 검에 비해서 훈련시간이 짧아도 효과적이라고 하더군요
아이스베어
23/09/04 19:58
수정 아이콘
해동검도 고수분은 체형이 왠지 친근하시네요
23/09/04 19:59
수정 아이콘
활이 없는 상황이면 장판파가 거짓이 아닐수도 있겠다 싶어요.
23/09/04 20:13
수정 아이콘
슈퍼 떡대가 말 타고 [꾸짖을 갈!!!!] 이러고 있는데 무서워서 못 가죠
라바니보
23/09/04 20:03
수정 아이콘
검이 약간 보조무기 같은 역할일까요... 권총처럼?
퍼블레인
23/09/04 20:09
수정 아이콘
딱 그 역할입니다
kartagra
23/09/04 20:33
수정 아이콘
권총은 단검 쪽에 더 가깝고, 굳이 따지면 검은 상황에 따라 주력무기 수준은 됐습니다. 특히 검의 장점은 방패와 조합할 수 있다는 것이죠. 로마의 군단병은 말할 것도 없고, 우리나라 역시 팽배수(검방)를 적극적으로 운용했습니다. 팽배수, 총통수, 창수, 도수(검수), 궁수 이 다섯을 통틀어 오위라 했는데, 조선군의 가장 기본적인 보병 병종이었다 보면 됩니다. 당연히 검은 명백한 주력무기의 일종으로 취급되었습니다.
팽배수(방패수)
총통
특히 이게 가장 기본적인 조선군 진법이었습니다. 여기에 사정에 따라 창수 사수 도수가 붙는 식이었죠.
임진왜란 당시만 봐도 일본은 야리(창) 아시가루가 활약했지만, 기록에 보면 일본도 역시 명백히 위협적으로 판단했습니다.
다만 일본이든 조선이든 공통적인 문제를 공유했었는데, 팽배수와 같이 검을 다루는 병력들은 '숙련도'가 매우 중요했습니다. 찌르만 해도 절반은 가는 창과 달리 검방 숙련도 올리기는 어마어마하게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고, 조선은 특히 더 빠르게 팽배수들 숙련도 저하를 겪게 되죠. 그래서 검은 난세에는 나름 유용한 무기였지만, 평화시기로 갈수록 효율이 떨어지는 느낌이라 보면 됩니다.

하루종일 전쟁 벌이는 서양 쪽으로 가면 검은 확실하게 주력무기의 일종이라 봐도 됩니다. 당장 기사들이 뭘 들고다녔는지 생각해보면 말이죠. 물론 그렇다고 창보다 비중이 높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만. 사실 어느 시대든 한 가지 무기만 주력으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었습니다. 조합이 중요했죠. 그런 면에서 보자면, 역사적으로 검의 비중은 '보조무기라고 하기엔 너무 중요했고' 가장 중요하다 보기엔 또 애매한, 그런 위치에 가깝지 않나 싶습니다.
23/09/04 20:13
수정 아이콘
일단 전사의 심장<-- 필수
23/09/04 20:13
수정 아이콘
무협지나 만화 같은데서 맨날 주인공이 검들고 설치는데 실제 동실력 기준 검으론 창 못 이깁니다.

전쟁이든, 1대1이든 창이 짱이에요 (활이나 총같은 장거리 무기는 제외하고)

이렇게 말하면 또 검으로 창을 이긴 사례를 가져와서 이야기 하는데, 그런건 소수 얼마 안되는 경우고 대다수는 창이 짱 먹었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3/09/04 20:27
수정 아이콘
숙달되면 될수록 고점은 검이 높다구요!
사나없이사나마나
23/09/04 20:35
수정 아이콘
무협의 무공은 실제가 아니잖아요...
23/09/04 21:03
수정 아이콘
당연히 실제가 아니죠... 그건 알고요.

제 말은 무협지나 만화 같은데서 영향을 받아서 항상 검이 가장 강하다고 착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뜻이었습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3/09/04 21:1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사실 용비는 창빨이 좀 있는 게 아닌가 하는...
구휘는 그걸 권법으로 맞상대를 드드...
23/09/04 21:31
수정 아이콘
크크크
인센스
23/09/04 21:51
수정 아이콘
맨손으로 검을 이기지 어렵고 검으로 창을 이기기 어려운데...
용비는 무공보다 양심을 먼저 챙겨야 크크크
골드쉽
23/09/04 21:21
수정 아이콘
만창회주가 흠검단주한테 맨날 진다구욧!! 빼애애액
23/09/04 20:19
수정 아이콘
검의 최대 장점은 휴대성 아닐까요?
그냥 대충 봐도 다른 병기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가지고 다니기 편해 보이니까 말이지요.
스덕선생
23/09/04 20:20
수정 아이콘
검방이 창병에 상성상 유리하다고 마키아벨리가 여러 사례를 들어 주장하긴 하는데, 정작 검병은 키우기 엄청 힘든 병종인게 함정이죠 크크

징집병들한테 창 쥐어주지, 칼 쥐어주지 않는건 가성비 문제도 있지만 그 이전에 쓸모가 없어서라 봐야...
실제상황입니다
23/09/04 20:32
수정 아이콘
그럼 리얼 고수끼리 1vs1 맞다이 뜨면
검방이 창이나 창방이랑 싸워서 할 만한가요?
퍼블레인
23/09/04 20:38
수정 아이콘
놀랍게도 한손에 방패를 든다면 창보다 검이 좀 더 다루기 쉽습니다
대련 영상들 보면 검방이 창 상대로 우위를 점하거나 대등한 경우가 많습니다
kartagra
23/09/04 20:56
수정 아이콘
https://sillok.history.go.kr/id/kca_11003011_001

우리나라 병사들 숙련도가 최정점에 이르렀던 시기 중 하나가 태종대가 아닐까 싶은데... 이때 이미 태종이 실험한(...) 내용이 조선왕조실록에 있더군요.
기록에 미친 나라답습니다 크크.

결과는 목검 든 방패병에게 목창든 갑사가 두 명이나 맞아죽었다는 거 보면 검방이 확실히 유리한 면이 있지 않나 싶습니다.
근데 무과 시험보는데 대련시켜서 사망자 두 명 발생은 참;;; 역시 이방원답다 해야할지 크크.
차라리꽉눌러붙을
23/09/04 21:16
수정 아이콘
북 여진 남 왜구와 싸워서 다 바를 때인가요 드드...
23/09/04 20:25
수정 아이콘
검이 문화적으로 중요한건 철을 많이 사용함 = 단가로 인한 엘리트 계층의 장비라는 측면이 크죠.

막상 기록이 많이 남은 서양쪽 무기 발전사만 봐도, 무기의 완성은 검조차도 기나긴 양손검, 그리고 양손검이 장갑의 쇠퇴로 무거워지자 기나긴 레이피어의 등장이지 절대 짧은 검도 아니었고, 방패가 마지막 순간까지 사라지지도 않았죠 크크크크
닉네임바꿔야지
23/09/04 20:30
수정 아이콘
검은 가지고 다니기 편하고 다용도로 쓸 수 있는 게 크겠죠. 창은 진짜 전쟁할 때나 강력한 거지 1년 365일 들고 다닌 다고 생각하면 검 들겠습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3/09/04 21:16
수정 아이콘
!!!
DSLR이 망한 것과 같은!!!
wersdfhr
23/09/04 20:32
수정 아이콘
백일창 천일도 만일검이니까 같은 백일끼리는 무조건 창이 이기는걸로;;;;
닉네임을바꾸다
23/09/04 20:39
수정 아이콘
뭐 대오갖춰진채로 힘대결할때나 저런 소규모 싸움에선 몰라도...전쟁같은데서 대오도 무너지고 거리도 좁혀진 완전 난전이면 그때쯤에는 검같은걸 뽑긴 해야할...
차라리꽉눌러붙을
23/09/04 21:18
수정 아이콘
!!!
저건 달아날 공간도 많고 한 건데...
그러네요...백병전 들어가면 차라리 글라디우스가....
앗 쓰고 보니 바로 아래 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3/09/04 21: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그래서 백병전 담당 최정예는 검방이죠...정예여야하는건 숙련도가 높아야하니까...
후대에 총의 발전으로 장창과 총으로 완전히 공방일체가 이뤄지는 테르시오쯤 가야...초기에는 둬야했던 검방을 줄이거나 할겁니다...
류지나
23/09/04 20:44
수정 아이콘
음... 사실 이거도 역사가 깊은 오해인데...

창이 검보다 위력이 뛰어나고 중요한 무기였던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검 또한 개발 이후 주력 무기의 위치를 놓친 않았습니다. 창은 사거리가 길고 밀집하면 기병의 공격도 패퇴시킬 정도로 수비력이 대단했지만, 그 길이로 인하여 집단의 움직임이 둔했고 창의 사거리 안 쪽으로 치고들어오면 대개 검에게 졌습니다. 영상처럼 넓직한 공간에서 소수가 싸웠다면 창이 유리하겠지만, 전쟁은 다르니까요.

로마군의 제식 병기인 짧은 칼(글라디우스)는 유명하고, 랜스 차지의 기사의 시대에도 칼은 항상 2번 무기로 활약했습니다. 돌격력에서는 창이 확실히 위력적이지만, 돌격이 끝나고 근접전에 육박할 때에는 검이 유리했으니까요. 그래서 무기사를 보면 창과 검은 누가 더 유리하냐가 아니라 서로가 서로의 장단점을 보완하는 무기에 가깝습니다. 제가 당시 군인이었으면 확실하게 창과 검 둘 다 챙겼을 겁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9/04 20:47
수정 아이콘
뭐 일단 검은 창이나 다른 무기처럼 특별한 점은 없지만 뭐 특별히 약점도 그다지 없는 병기다보니...일단 가지고 있으면 든든하긴 할려나...
23/09/04 20:55
수정 아이콘
엄밀하게 말하면 말씀이 옳습니다. 본문은 뭐 전쟁상황이 아니라 대련인데 대련의 경우는 사정거리가 긴 무기가 압도적으로 유리한 거고… 규칙 정해두고 붙는 대련과 상대를 효과적으로 죽여야 하는 and 반드시 일대일이지도 않은 전쟁상황은 또 얘기가 다르긴 하죠.
샤보덴
23/09/04 20:52
수정 아이콘
여윽시 용비 짱짱맨
차라리꽉눌러붙을
23/09/04 21:20
수정 아이콘
저는 구휘가 더...
투전승불
23/09/04 20:52
수정 아이콘
검은 EDC고. 창은 전쟁 상황에서 불출 되는 본격적인 전쟁 병기죠.

중세의 살인 병기 기사들도 검은 부무장이고 폴액스, 대검, 등등의 장병기를 주무장으로 삼았겠죠.
23/09/04 20:56
수정 아이콘
검강. 아니 검기라도 써야죠.
그렇구만
23/09/04 20:59
수정 아이콘
치타처럼 넷상에서 하도 창이랑 비교 당하면서 검이 약하다 약하다 하지만(치타는 정말 약할수도..) 그렇다고 하기엔 검이 역사속에서 사라진것도 아니고 다 상황에 따라 필요 했겠죠. 전쟁이 그렇게 단순하지도 않을거고요.
23/09/04 21:00
수정 아이콘
검방 VS 창 싸움이면
딜탱인 검과방패 가 유리하군요 크크
카즈하
23/09/04 21:07
수정 아이콘
[조자룡 헌창쓰듯]은 들어봤어도 [조자룡 헌칼쓰듯]은 들어보신분 있으십니꽈?!!
Lord Be Goja
23/09/04 21:18
수정 아이콘
그 전투에서 조운은 창을 여러번 바꾸면서도 한번도 감탄하지 않았지만 보검을 줍고는 득템을 자랑했슴니다
23/09/04 21:19
수정 아이콘
사실 둘다씀...
랜슬롯
23/09/04 21:09
수정 아이콘
검과 창의 관계가 읽다보니 참 재미있네요. 보조무기인 느낌인가 싶었는데 그것도 아니고 검방 조합되면 창 이기는거도 신기하고..
Lord Be Goja
23/09/04 21:20
수정 아이콘
(투석을 제외하면)창이 가장 먼저 등장한 무기기때문에, 창보다 장점이 하나도 없는 무기는 도태되었..
이웃집개발자
23/09/04 21:09
수정 아이콘
이광 당신이 옳았군..
미나리돌돌
23/09/04 21:32
수정 아이콘
이광은 잘 살고 있나요?? 하차한지 오래됐네요
이웃집개발자
23/09/05 01:57
수정 아이콘
사실저도 오래되서...헤헤
겟타 엠페러
23/09/04 21:20
수정 아이콘
검쪽이 쇠가 더 많이 들어가는 비싼 물건이기 때문에 주로 높으신분들이 패용하고 다녔었죠
그런 의미에서 창이 단가가 작게 들어서 보병들에게 쥐어주기 더 적합한 물건이기도 한겁니다
훈련도 편하고 싸고 이보다 좋은 보병용 무기가 어디에 있겠습니까
다용도테이프
23/09/04 21:48
수정 아이콘
그래도 검방 바바 보다는 랜스바바가 낭만있죠!
이탐화
23/09/04 21:49
수정 아이콘
무협지 등장인물은 심하면 분신술도 쓰다보니(ex 한비광) 공기저항때문에(??) 칼을 쓰는 거고 실제로는 창을 당해낼 순 없죠
오직니콜
23/09/04 22:31
수정 아이콘
백일도 천일창 만일검이거늘..
23/09/04 22:38
수정 아이콘
유튜브의 검 vs 창 영상들처럼 몸 아무데나 먼저 닿으면 이기는 룰이면 실제보다 창이 훨씬 유리하죠.

중세시대의 철제 갑옷은 말할 것도 없고, 두꺼운 천으로 만든 군복만 입고 싸우던 나폴레옹 전쟁 시절에도 창기병이 창으로 찔러서 보병이나 검기병을 제압하는 것은 전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극단적인 경우는 랜스에 수십 번 찔리고도 멀쩡하게 싸우더란 증언도 있어요.
고기반찬
23/09/04 22:57
수정 아이콘
평복 싸움할거면 창의 휴대성, 은밀성이 안 좋고, 창 들고 다닐거면 갑옷 방패 다 갖춰서 나올텐데 그땐 창의 효율이 안 좋아서...그럴거면 폴암류가 낫죠.
티아라멘츠
23/09/05 08:25
수정 아이콘
창>검이라고 단순히 말하기엔 역사에서 검 비중도 만만치않아서.. 윗댓에서도 보병이 방패 쓰려면 검 써야 한다고 나와있구요. 그리고 민간 영역에서의 중요성은 압도적으로 검>>>창이라.. 쿼터스태프같은 둔기나 검 한자루와 작은 방패 같은 게 민간 호신용으로 적합하지 호신용으로 창을 쓸 수는 없습니다.
고물장수
23/09/06 07:32
수정 아이콘
그물이라는 치트키를 제외하면 창-방이 최고쥬.

스파아아아아르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7223 [기타] 침수차를 유통시키는 업자와 성능장의 태도 [7] Croove10272 23/09/22 10272
487126 [방송] 작년에 방송 했던 초호화 캐스팅 예능 [9] Croove11029 23/09/20 11029
487066 [방송] [교사 사망사건 관련] ??? " 욕 아니고 북대전IC 얘기한건데요" [24] Croove10207 23/09/19 10207
487004 [연예인] 김채원 도도독이 일어난지 3주 [10] Croove11645 23/09/18 11645
487003 [연예인] 신동엽 유튜브 근황 (게스트 섭외력) [22] Croove13123 23/09/18 13123
486998 [유머] 원카드 판에 타짜가 낀다면? [3] Croove9036 23/09/18 9036
486931 [기타] 가족간에 시간차로 탈북할 경우 자주 겪는다는 에피소드 [6] Croove11223 23/09/17 11223
486892 [유머] 쵸단 인생 최대의 위기 [3] Croove10504 23/09/16 10504
486889 [음식] [이연복] 중식 우동 만드는 법 [26] Croove11374 23/09/16 11374
486882 [게임] 드럼매니아 곡 드럼커버 영상 [17] Croove6123 23/09/16 6123
486877 [연예인] 우정잉 채널에 출연한 김세정 요약영상 [6] Croove9769 23/09/16 9769
486871 [음식] [고전] 올리고 구독자 천명을 잃었다는 제이플라 라면 쿡방 [10] Croove9479 23/09/16 9479
486853 [기타] 전신 마사지(근막이완) 영상 [11] Croove12712 23/09/15 12712
486802 [스포츠] [야구] 니퍼트의 캐치볼 강습 [5] Croove7676 23/09/14 7676
486723 [방송] [스포주의] 무빙 원작기준 북한 요원들 초등력 특성 [3] Croove7720 23/09/13 7720
486647 [음식] 백악관 셰프의 요리실력 [7] Croove10314 23/09/12 10314
486595 [동물&귀욤] 요구사항이 분명한 리트리버 [2] Croove7923 23/09/11 7923
486541 [스포츠] [축구] 대한민국 축구 영혼의 라이벌 [10] Croove9407 23/09/10 9407
486526 [동물&귀욤] 백종원 반려견 [2] Croove8324 23/09/10 8324
486506 [연예인] 김채원 "너 내 동료가 돼라" 일본어 버전 [4] Croove10086 23/09/10 10086
486429 [방송] 급식 난이도 지옥불 버전(독일) [14] Croove11190 23/09/08 11190
486424 [방송] [뉴스] 백종원 예산 맥주축제 직접다녀옴 [7] Croove10415 23/09/08 10415
486420 [방송] 역전다방 새로운 주제 : 6.25 전쟁 [10] Croove8092 23/09/08 809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