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8/15 19:32:25
Name 만찐두빵
출처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013/read/3282513?
Subject [유머] 백설공주 원작을 비판한 백설공주 실사화 배우
https://www.independent.co.uk/arts-entertainment/films/news/rachel-zegler-snow-white-disney-feminism-b2393056.html



레이첼 지글러:

"원작 만화는 1937년에 나왔어잖아요. 분명히 그러하죠. 말 그대로 백설공주를 스토킹하는 남자와의 사랑 이야기에 큰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이상해요! 이상하다구요. 그래서 이번에는 그렇게 하지 않았어요. 우리는 아주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습니다. 분명 많은 사람들이 사랑 이야기를 예상할 거라고 생각해요. 남자 배우도 캐스팅 되었으니까요. 앤드류 버냅이요. 훌륭한 친구죠. [새 영화]는 사랑 이야기에 관한 것이 전혀 아닙니다. 그 과정에서 사랑을 찾게 될지 여부는 2024년 개봉까지 아무도 추측할 수 없습니다. 어쩌면 [앤드류의] 모든 장면이 잘릴 수도 있죠, 누가 알겠어요? 여긴 할리우드라고요."


"더 이상 1937 년이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그녀는 왕자를 통해 구원을 받지 않을 것이며 진정한 사랑을 꿈꾸지 않습니다. 그녀는 자신이 될 수 있다고 믿는 리더, 돌아가신 아버지가 두려움을 없애고 공정하며 용감하고 진실하면 될 수 있다고 말했던 리더가 되는 꿈을 꾸고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원작 만화는 85년 전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여성이 권력을 갖는 것과 여성이 세상에서 어떤 역할에 적합한지에 대한 관념 측면에서 극도로 시대에 뒤떨어져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8/15 19:33
수정 아이콘
인어공주급의 흥행 기대됩니다
23/08/15 19:34
수정 아이콘
아니 만드는건 상관없는데 그냥 백설공주 이름 쓰지말고 새로쓰라고 이게 그렇게 어렵나 크크크
23/08/15 20:00
수정 아이콘
전작의 꿀은 빨고 싶고.....

만화영화 최고 작품 중 하나인 백설공주를 디스하겠다라....
새벽별
23/08/15 19:34
수정 아이콘
'white'를 다루는 사람이라서 백설공주라면 재밌을 거 같긴 한데
고오스
23/08/15 19:34
수정 아이콘
망할꺼 같으니 미리 선빵치는 건가요?
실제상황입니다
23/08/15 19:35
수정 아이콘
뭐 취지 자체는 괜찮죠. 그런 이야기 충분히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근데 너무 여성 여성 거리는 거 보니 또 가르치려 드는구나 싶어지긴 합니다. 또 그런 캠페인성 영화겠구나. 그래도 디즈니빨로 적당히 성공할듯?
카루오스
23/08/15 19:35
수정 아이콘
백설공주를 스토킹하는 남자가 누구죠? 왕자가 백설공주를 스토킹했었나;
츠라빈스카야
23/08/15 22:06
수정 아이콘
구두주인 찾아서 영내 여자들 하나하나 검사했던 신데렐라쪽이면 몰라도...백설공주쪽 왕자는 억울할듯..
Lord Be Goja
23/08/15 19:35
수정 아이콘
현대적 사고로 일을 해쳐나가야하는 주인공이 왜 공주라는 봉건계급을 달고 있죠
아즈가브
23/08/15 19:36
수정 아이콘
아무리 생각해도 마약상인 백설공주 설정 멋졌는데 그건 무리일려나...
이민들레
23/08/15 19:37
수정 아이콘
스토리 비틀기는 겨울왕국이나 인어공주나 디즈니가 항상 잘하던 거니 재밌게만 나오길 기대핮니다
23/08/15 19:37
수정 아이콘
그럼 따로 작품을 만들어야지 원작을 실사화하는 이유가 있나요?
이오르다체
23/08/15 19:39
수정 아이콘
원작을 '실사화'하는 작품인데 원작을 까면 본인은 그럼 왜 출연한거죠?
공방24
23/08/15 19:39
수정 아이콘
아니 그럼 백설공주 간판을 떼라고 크크크크
맹렬성
23/08/15 19:40
수정 아이콘
.....? 마녀의 개수작에 최소한의 경계의식도 없이 매번 다 낚이는 백설공주를 지키기위한 난쟁이들의 대활약상에 초점이 맞춰져있는 작품이라 생각합니다만 크크크
더치커피
23/08/15 19:43
수정 아이콘
그럼 백설공주는 왜 출연하시는 겁니까??
붕어싸만코
23/08/15 19:43
수정 아이콘
아니 그럼 그냥 다른 제목의 영화를 만들라고요
거기다 '백성공주'란 이름을 왜 붙이냐고요.
EurobeatMIX
23/08/15 19:46
수정 아이콘
인어공주 북미에선 매출 그럭저럭 나쁘지 않았던걸로 기억하는데 최종적으로 어떻게됐나요?
Bronx Bombers
23/08/15 19:48
수정 아이콘
그냥 똔똔 정도입니다.
북미에서 3억달러, 월드와이드 5억 6천만 달러로 극장 상영은 종결

북미에서는 그래도 잘 나간 편이고, 일본과 영국에서 그나마 매출을 올려서 어떻게 손익분기점까지는 맞추는 분위기입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3/08/15 19:49
수정 아이콘
ott랑 dvd 수익까지 미리 다 계산해서 손익분기점 간신히 넘겼다고 하니 적당히 망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그 많은 자원을 투자해서 시간만 날려버리고 ip 가치를 떨어뜨린 셈이 됐으니 그냥 적당히 망했다고 하기에도 뭣하긴 합니다만...
만찐두빵
23/08/15 19:53
수정 아이콘
음 그거 다 계산해서 손익분기 6억4천만불 아니였나요? 다 계산해도 손해본거로 아는뎅
지구 최후의 밤
23/08/15 20:12
수정 아이콘
사실 올해는 망해버린 영화가 너무 많아서 ㅠ
실제상황입니다
23/08/15 20:13
수정 아이콘
애처로운 변명이죠
Answerer
23/08/15 20:13
수정 아이콘
망한영화도 많지만 기록을 써내려간 한해이기도 하죠
핫포비진
23/08/15 19:48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그런 스토리의 오리지널 영화를 만들면 되는거잖아..왜 있는 원작을 바꾸는건데..
메가톤맨
23/08/15 19:48
수정 아이콘
이 여자가 거의 키보드 워리어 급이라...이 사람 저 사람이랑 싸워대고 있어서...흥행 망할듯...
23/08/15 19:48
수정 아이콘
새로 좀 만들어..
동굴곰
23/08/15 19:49
수정 아이콘
망할거같으니 망하면 교육 못받은 늬들 탓임 하려고 선빵 치는건가.
LuckyPop
23/08/15 19:50
수정 아이콘
그럼 IP에 기대지 말고 새로 만들어 미친 크크
포도씨
23/08/15 19:50
수정 아이콘
디즈니 주식을 좀 담아볼 때가 되었다 생각했는데 아직 아니었네요.
23/08/15 19:52
수정 아이콘
아니 백설공주 얘기가 안pc하면 새로 만들란말야!!
적당히 해야지 원...
태엽감는새
23/08/15 19:55
수정 아이콘
백설공주 유명세는 이용해야죳
허저비
23/08/15 19: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 글 보고 곰곰이 백설공주 스토리 떠올려도 보고 검색도 해보고 하니까 확실히 예쁜거 말고는 뭐 하는것도 없는데다가 방문판매 상인(?) 말만 믿고 덜컥 독사과 먹고 죽는 등 완전 발암캐긴 하네요 크크크크크
개인정보수정
23/08/15 20:00
수정 아이콘
근데 오히려 요샌 걸스캔두잇형 주인공이 재해석이라기 보단 더 뻔한 느낌 아닌가 싶은
맹렬성
23/08/15 20:05
수정 아이콘
일본에선 90년대에 여자로 구성된 팀이 거대로봇 조종해서 지구를 지키는 내용도 장사가 된다는것까지 다 확인해봤는데 미국쪽에서 뒤늦게 호들갑 떠는 느낌은 있긴하죠. 늦어도 너무 늦어요 크크크
R.Oswalt
23/08/15 20:01
수정 아이콘
꿈과 영화를 팔던 디즈니는 죽고, 이젠 내가 올바름과 캠페인을 파는 곳만 남았네요.
23/08/15 20:13
수정 아이콘
백번양보해서 인어공주는 뭐 흑인일수도 있다고 쳐도
백설공주는 이름부터 스노우화이트인데 백인이 아닌게 이해가 안갑니다.
지구 최후의 밤
23/08/15 20:13
수정 아이콘
본문대로의 해석이면 흥미롭긴 할텐데 일단 재미가 있어야 할텐데요.
마스터충달
23/08/15 20:16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 원작 만화는 85년 전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여성이 권력을 갖는 것과 여성이 세상에서 어떤 역할에 적합한지에 대한 관념 측면에서 극도로 시대에 뒤떨어져 있습니다."

[지극히 맞말]인데, 그럴 거면 그냥 오리지널 스토리를 만들어야.... 얼마나 게으르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낡아빠진 이야기에 기대서 만들려고 그럽니까.

아니면 제목이라도 바꿔서 '이 영화는 오리지널 작품이 가진 메시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새롭게 창작한 작품입니다.'라고 해야죠. 이랬으면 마상하는 사람 없이 즐길 수 있을 것 같은데 말이죠.

아서 왕 이야기로 <몬티 파이튼의 성배>를 만들었던 게 벌써 반백년 전인데, 무슨 이제 와서 계몽적인 것처럼 구는지... 이런 도전을 하지 않는 이유는 명확하죠. 돈이 안 될 확률이 높거든요.
꿀꽈배기
23/08/15 20:16
수정 아이콘
제일제당공주로 바꾸든가
인센스
23/08/15 20:16
수정 아이콘
기존 역사를 부정하는 것은 권력자의 세레모니죠.
옥동이
23/08/15 20:16
수정 아이콘
맞는말이긴 한데 그거 하고 싶으면 그것만해줘.. 백설공주 간판 에 숨지 말고 ...그것 부터 이미 쿨하지 않고 의존적이라고'..태생부터 모순덩어리라구
23/08/15 20:20
수정 아이콘
ip가 살아숨쉬기 위해선 계속해서 이야깃거리가 되야하고 잊혀지지 않아야하는데 최소한 미국에서 디즈니 ip는 예전만큼 못합니다.
본문의 이유때문이죠.그래서 미국시장을 먹기 위해선 이렇게 저렇게 변화를 시도하는게 맞는데 문제는 비틀수록 맛이 없어요.
겨울왕국이나 주토피아 보면 분명 역량이 있는 회사인데 그게 어째 구 ip로만 가면 선을 모르고 폭주하는 것 같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3/08/15 20:25
수정 아이콘
인어공주도 뭐 북미에서는 로컬하게 적당히 팔아먹긴 했죠. 전세계적으로 팔아먹기에는 힘에 부쳤을 뿐이고. 그래도 이번에 하나 배웠을 겁니다. pc 그거 할 때 하더라도 못생기게 하면 수요가 떨어지겠구나. pc 할 때 하더라도 많이 팔아먹으려면 예쁘게 해야겠구나. 최소한 캐릭뽕빨물은 그렇게 팔아먹어야겠구나. 그거 하나는 배웠을 겁니다. 전혀 pc하지 않은 결론입니다만 뭐 어쨌든. 이번에 캐스팅 된 백설공주는 화이트고 나발이고 어쨌든 못생기진 않았으니까요. 저는 디즈니빨로 적당히 흥행하리라 봅니다. 뭐 언제는 실사화 잘만들어서 흥행시켰나..
티오 플라토
23/08/15 20:21
수정 아이콘
snow bright 라는 식으로 현대식 재해석 버전을 따로 내면 오히려 더 좋을 것 같은데... 크크
23/08/15 20:26
수정 아이콘
그렇게치면 공주도 없애야..
23/08/15 20:32
수정 아이콘
고전을 시대적 조류에 맞게 새롭게 해석해서 창의적으로 만들어내는건 오히려 권장받아야할 일이죠. 그 결과물을 얼마나 작품성있게 만들어내느냐가 문제지.
톰슨가젤연탄구이
23/08/15 20:47
수정 아이콘
제 기억으로 원작을 파괴수준으로 비틀어서 잘 만든 작품이 스타쉽 트루퍼스정도인데
이것도 흥행은 망하지 않았나요.
만찐두빵
23/08/15 20:51
수정 아이콘
시빌워도 생각나네요
약설가
23/08/15 20:48
수정 아이콘
시대에 뒤떨어진 지극히 낡은 사상에 사로잡혀 있으면서 최신 사상이라고 착각
겟타 엠페러
23/08/15 21:14
수정 아이콘
플로리다 주지사를 응원해주고 싶어졌습니다
ArchiSHIN35
23/08/15 21: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돈 쉽게 벌고 쉽다는 개소리를 길게도 포장하네요.
23/08/15 22:09
수정 아이콘
'그녀는 자신이 될 수 있다고 믿는 리더, 돌아가신 아버지가 두려움을 없애고 공정하며 용감하고 진실하면 될 수 있다고 말했던 리더가 되는 꿈을 꾸고 있습니다'
진부하네요.
VictoryFood
23/08/15 22:31
수정 아이콘
차라리 말레피센트(잠자는숲속의미녀) 처럼 그림하일드로 했으면 혈통과 전통적인 외모지상주의에 대항하는 주도적인 여왕으로 그릴 수 있었을 듯요.
23/08/15 22:43
수정 아이콘
머리가 빈거같다
자동인형
23/08/15 22:47
수정 아이콘
스노우화이트 아니죠. 초콜릿브라운 이죠.
트리플에스
23/08/15 23:12
수정 아이콘
더 망해봐야 정신차릴듯
23/08/16 02:50
수정 아이콘
백설공주 내용이 저랬던가요? 디즈니판이 아니고 아예 원작쪽은 스토킹같은 나용이 나오는걸건가…?
캡틴리드
23/08/16 06:15
수정 아이콘
백설공주는 여성의 권력을 논의하는 주제가 아니었습니다. 왜 이런 현대적인 해석을 끼워맞추려 하나요? 그렇게 하려면 새로운 캐릭터와 스토리로 만들면 되지 않나요?
유념유상
23/08/16 08:17
수정 아이콘
백설공주에서 스토킹.. 왕비 이야긴가?
23/08/16 08: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백설공주 원작은 pc 계층에서 싫어하는 고전적 고정관념의 집대성이기는 하죠.

여성의 성취란 단지 지위 있는 남성으로부터 선택받는 것이고, 이 때문에 다른 여자의 젊음과 외모를 질투하는 것이 여성의 정체성으로 그려지며, 아름다움의 핵심 요소로 백인의 인종적 특징을 당연한 듯 전제하고 있죠. 또한 계모는 나쁜 x이고 진정한 모성은 친모에게만 기대할 수 있으며, 구원은 결국 백마 탄 왕자님에게 있고, 난쟁이들은 공주에게 왕자 이상의 희생과 친밀도를 쌓아도 주인공 여성의 상대역으로 상정조차 될 수 없는 설정 등등요.

창작자의 주제의식이 pc에 있다면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보다 구시대적 이념의 클래식인 백설공주를 비트는 것이 훨씬 효과적인 전달방식이 될 수 있을 겁니다.

다만 고전에 pc를 일차원적으로 끼얹는 서사는 그 자체로 이미 식상한 감이 있는지라, 창작의도를 제대로 달성하려면 훨씬 세련된 배리에이션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싸우지마세요
23/08/16 15:19
수정 아이콘
아니 백설공주 왕자님은 그냥 지나가던 선비 정도 비중 아닌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7314 [유머] 요즘 k게임 스킬설명 근황 .jpg [14] Myoi Mina 8758 23/09/24 8758
487285 [유머] 한탕하자는 부모님.x [30] 졸업12147 23/09/23 12147
487235 [유머] 한국인도 호불호 갈린다는 김치 호불호.jpg [99] 오렌지 태양 아래11483 23/09/22 11483
486698 [유머] "모든 생명엔 태어난 이유가 있다" [16] 길갈9416 23/09/13 9416
486419 [유머] 백설공주 실사화 바뀌는 설정 [28] 만찐두빵9483 23/09/08 9483
486331 [유머] 약후) 마술에 미녀가 등장하는 이유 [37] 메롱약오르징까꿍14337 23/09/07 14337
486213 [유머] "원숭이 손아 제발 이 일을 끝내게 해줘!!" [15] 길갈11452 23/09/05 11452
486201 [유머] 취지는 잘 알겠는데 그래도 이건 좀... [24] 우주전쟁11721 23/09/05 11721
486179 [유머] 미나토, 쿠시나... 나루토는 걱정하지 말게.... [22] 카즈하9065 23/09/04 9065
486142 [유머] 그림자놀이 [10] 메롱약오르징까꿍8378 23/09/04 8378
485949 [유머] 특이점이 온 한국전통문화체험 [50] OneCircleEast12780 23/08/31 12780
485742 [유머] 나라별로 주식투자자를 부르는 명칭 [15] 짱구11233 23/08/27 11233
485581 [유머] 스마트폰 카메라 습기 빼려다 생긴 참사 [20] Myoi Mina 10877 23/08/24 10877
485556 [유머] 딸한테 절대 소 못 준다는 아버지.JPG [117] 핑크솔져16062 23/08/24 16062
485484 [유머] 고래 상어의 비밀 [20] 메롱약오르징까꿍8818 23/08/23 8818
485429 [유머] 현재 의견이 갈린다는 장사 철학 [45] Avicii13573 23/08/22 13573
485357 [유머] 충분히 발달한 과학은 마법과 구별할 수 없다. [39] 인민 프로듀서11323 23/08/21 11323
485207 [유머] 아내가 옆에 있다는 걸 까먹은 남편 [31] 길갈13616 23/08/18 13616
485205 [유머] 초밥집사장님의 단골을 위한 이색서비스.jpg [15] 영원히하얀계곡11357 23/08/18 11357
485016 [유머] 백설공주 원작을 비판한 백설공주 실사화 배우 [62] 만찐두빵12998 23/08/15 12998
484830 [유머] 원피스 루피의 각성능력 모티브는 톰과제리? (애니영상) [12] Valorant8165 23/08/12 8165
484828 [유머] 원피스 오로성이 루피 빨리 대처 못한 이유 [26] Myoi Mina 9765 23/08/12 9765
484733 [유머] 온갖 클리셰로 범벅된 일본의 광고.jpg [16] Myoi Mina 8429 23/08/11 84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