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7/25 05:13:57
Name 묻고 더블로 가!
출처 유튜브
Subject [게임] 분위기가 안 좋게 흘러가고 있는 듯한 김실장 영상




qHg2i4j.png






3YWxqr2.png


bJBzkwl.png


fQ1Xs2F.png


XnKJRec.png


OOSNttO.png


cg3tudw.png


9v4Js4e.png


XD8bGMZ.png


4glBMJd.png




유튜브 김실장 채널에서 최근 한 번역업체를 섭외해 게임 한글화에 대해 알아보는 영상을 올렸는데요

이 영상에서 해당 업체는 번역 퀄리티가 떨어지는 게임들이 존재하는 대표적인 이유들에 대해
게임 개발사 측에서 출시일이 얼마 남지 않은 게임의 번역을 무리하게 요구하거나
번역해야하는 텍스트 파일을 메타정보 없이 보내는 경우가 있다고 언급하였는데

(김실장 채널측에서 사전에 고정댓글로 무례한 발언은 삼가해주길 바라며 댓글을 엄격히 관리하겠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이 업체가 번역한 것으로 추정되는 게임들의 유저들이 엄청나게 몰려와 크게 비판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김실장 채널에서 차후 대응을 어떻게 할지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승률대폭상승!
23/07/25 05:18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 시리즈도 참여했다고하는데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도 발번역 꽤 많죠
페스티
23/07/25 05:22
수정 아이콘
번역은 그냥 실력과 애정이죠. 그 기본에 현지 문화와 밈까지 이해하면 플러스알파인거고.
영상 보면서 기본도 못하는 것에 대한 핑계 수준 크크... 하고 생각했는데 역시 민심 터졌네요
차라리 단가가 낮다는 하소연이라면 또 모르겠습니다
23/07/25 05:44
수정 아이콘
제작측: 이런 사정이 있다
유저측: 알 게 뭐야 결과물이 쓰레기인데

둘 다 틀린 말은 아닌데 아무튼 쓰레기를 받은 쪽에서 화내는 건 당연하고 그렇죠….
개인정보수정
23/07/25 06:03
수정 아이콘
근들갑 아닌가 싶었는데 아르케랜드 번역회사..? 흠 ;;
샤르미에티미
23/07/25 06:22
수정 아이콘
돈도 안 받고 하는 팬 번역이나 팀 번역이 나은 경우가 많으니 비난 안 받기는 어렵죠. 돈 안 받는 번역이 오히려 더 퀄리티를 높이려고 하는 경향이 있긴 하지만요.
23/07/25 08:22
수정 아이콘
사실 팬 번역이나 팀 번역과 같은 퀄리티를 사람 고용해서 내려면 말도 안 되는 금액 나오는 게 당연한 경우도 많아서….
애정 + (상대적으로) 여유 있는 기간 + 게임에 대한 확실한 이해….
23/07/25 08:50
수정 아이콘
저 영상 보면 팬번역이 더 나을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잘 나와 있습니다.
23/07/25 08:53
수정 아이콘
오히려 취미로 할 때는 애정 때문에 하는 거고
돈 받는 번역은 딱 받은 돈만큼의 퀄로 번역하려고 할 거라서
팬 번역보다 못하다는 게 납득이 안될 건 없을 듯요
영상 업체 관련해서 얘기하는 건 아니고 그냥 팬 번역보다 못한 업체 번역은 충분히 나올 수 있단 생각에서 쓰는 댓글입니다
지르콘
23/07/25 09:32
수정 아이콘
영상에도 나오지만 팬번역 쪽이 게임 경험이나 번역에 들이는 시간이 더많아서 퀄리티를 높일수 있다고 하죠
샤르미에티미
23/07/25 09:38
수정 아이콘
네, 답댓글들 써주신 내용들을 모르는 건 아니고 알고 있는데, 그럼에도 돈 받고 하는 번역이니 비난 안 받기는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23/07/25 06:2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무리 내용이 금이라도 포장지가 엿같으면 좀 그런데 인터뷰 대상 선정에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게 맞는듯
솔까 업체들 어떻게 번역 하는 지 덕후들이 모르는 것도 아닌데 저러면 불난 집에 부채질 하기 밖에 안되죠
박지훈 번역가가 왜 마블 덕후들에게 욕 먹을까요 번역 대상에 최소한의 지식 등도 없이 그저 기계적으로 번역해서 아닙니까
김실장도 무조건 초대한 손님이라고 옹호하면 팔 안으로 굽기 밖에 더 되나요
만찐두빵
23/07/25 07:13
수정 아이콘
이동진 평론가가 박지훈 번역가 데리고 파이아키아 찍으면서 왜 번역이 어려울까에 대해서 논하는 영상 만드는거 생각해보니 아찔해지네요 와우...
강동원
23/07/25 06:31
수정 아이콘
대충 나오는 얘기가 퍼니싱, 아르케랜드, 타워오브판타지...
난 왜 다했지?
육수킹
23/07/25 06:51
수정 아이콘
붕스는 너무 이상하고 이해가 안되는부분이 많음
23/07/25 06:55
수정 아이콘
마블 스냅도 여기라던데
LuckyPop
23/07/25 10:18
수정 아이콘
오우 리얼 개쓰레기 퀄리티입니다
문없는집
23/07/25 15:21
수정 아이콘
와 이해가 확 되네요
영양만점치킨
23/07/25 07:05
수정 아이콘
예전 유저 한글화팀에서 나왔던 얘기랑 똑같네요. 그래도 돈 받으니 그러면 되나 싶다가도 기간도 짧고 번역가 구하기 힘들다는건 여기저기서 들리니 그러려니하게 되네요.
23/07/25 07:05
수정 아이콘
우리 회사에 의뢰했으면 잘해줬을 텐데 쯧쯔...
톰슨가젤연탄구이
23/07/25 07:12
수정 아이콘
https://www.dogdrip.net/497784613

이정도면 반응이 거칠법도 하네요.. 특히 딱지겜에서의 오역은 진짜 심각한건데...
23/07/25 09:18
수정 아이콘
게임, 한국어, 외국어 3개다 못하는 사람을 모아서 번역한 수준이네요.. 교수가 무급으로 애들한테 숙제로 내주고 취합한건가...
23/07/25 09:44
수정 아이콘
김실장님 무한신뢰인데 이 링크 보면 빡칠만 하네요...
진짜 번역이 중요한건데... 아르케랜드의 그 충격과 공포는 잊을 수가 없습니다
23/07/25 11:23
수정 아이콘
치명률을 치명타 피해로 번역하는거는 번역기도 안할 실수같은데 아에 게임을 전혀 모르는 사람이 했거나 업무가 개판이라는것 외에 다른게 있나…
23/07/25 11:52
수정 아이콘
저는 스타레일보고 얘기하는건데, 번역 잘해놔도 아 다르고 어 달라서 메커니즘 달라지시 쉬운 카드겜에 저따구로 번역을 해놨나요 크크;
만찐두빵
23/07/25 07:14
수정 아이콘
굳이 비교하자면 이동진 평론가가 파이아키아에 박지훈 번역가 초대해서 왜 번역은 어려운가에 대해 논하는 영상을 찍었다라고 볼 수 있는 상황인데 아마 이거에 수백배는 불타겠죠?
Pinocchio
23/07/25 07:21
수정 아이콘
딱히 문제될게 있나 싶던 내용이던데 장작이었니 보네요 크크
지르콘
23/07/25 07:21
수정 아이콘
영상에서 나온 해명과 설명들은 꽤 합리적인 수준이던데
꽤 불타 오르는 모양이군요
23/07/25 07:39
수정 아이콘
밑 댓글에도 나오지만 저 회사는 그냥 문장하나 딸랑 던져주고 번역하라고 해도 그렇게 번역하면 안되는 수준의 미스들을 많이 내니까 유저들에게 좋은 소리를 못듣는거죠. 위쪽 댓글에도 나왔는데 박지훈 번역가가 이동진 평론가가 하는 파이아키아 나와서 번역 관련해서 저런 해명을 하면 엔드게임 을 봤던 마블 팬들이 합리적인 수준의 해명과 설명이라고 납득할수 있을까요?
달은다시차오른다
23/07/25 07:23
수정 아이콘
그래서 게임 어디 맡았냐고 하니까 이야기를 못하던 건가... 중국 회사들이 무섭다는 핑계대고...
23/07/25 07:32
수정 아이콘
유저들이 번역계 사정 관심없고 알게뭐야 우린 결과물만 본다 이런거도 있지만
저기서 설명하는 사정은 일반적인 수준의 오역이나 맘에 안드는 의역등에 대해 커버치는 수준이고
저 회사는 그냥 문장하나 딸랑 던져주고 번역하라고 해도 그렇게 번역하면 안되는 수준의 미스들을 많이 내는거죠.
23/07/25 07:37
수정 아이콘
번역좀 하다보면 틀릴수도 있.. 붕스 번역자라고? 죽어
23/07/25 07:37
수정 아이콘
이젠 가망이 없어..
23/07/25 07:39
수정 아이콘
저는 평소 모르던 분야에 대해 알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딱히 저 회사를 세탁하려 한다던지 자신들의 변명만 늘어놓는 영상이 아니었다고 봅니다.
최소한 저 회사분들이 업계를 대표하는 수준의 회사니까 초대석을 마련했을 것이고
만약 자기 변명을 한다고 거짓을 말했으면 관련 종사자 분들이 일찌감치 반박 리플이 달았겠죠.
딱히 그런 리플은 못본것 같습니다.
아마 어디서 편집된 게시물을 보고 흥분한 분들이 뒤늦게 몰려간것이 아닌지 싶네요.
23/07/25 08:00
수정 아이콘
오히려 방송만 보시고 해당 업체가 번역한 게임을 안해보신셔서 그런거 아닐까요
정상적으로 게임 자체가 안됩니다 피해 면역을 피해 전용이라고 번역하는 수준인데요
카드 게임에서 제일 중요한게 텍스트인데 텍스트 자체를 오역해서 게임 플레이가 엉망이 되는 수준인데
이 회사가 업계 대표 회사라면 정말 이젠 가망이 없습니다
jjohny=쿠마
23/07/25 09:47
수정 아이콘
[20년 경력 한글화 장인]이라는 썸네일이 좀 민망해보이긴 합니다.
'퀄리티를 포기하면서 일감을 신속히 쳐내는 사람'을 일반적으로 '장인'이라고 부르지는 않으니까요.
LuckyPop
23/07/25 10:20
수정 아이콘
그냥 저 사람들이 번역한 겜 중에 하나만 해본 사람이라도 저게 헛소리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세탁 목적이 아니라고 해도 기본도 안 된 인간들이 논할 주제는 아니죠
타시터스킬고어
23/07/25 07:44
수정 아이콘
낮은 번역 퀄리티를 경험했던 게이머 분들의 분노를 이해 못하는건 아니지만, 오역 문제는 다른 업체라고 크게 다를 건 없지 않을까 싶기도 해서 잘 모르겠네요. 원본 영상 내용 자체는 큰 문제 없기도 했고요.
류지나
23/07/25 07:57
수정 아이콘
저는 붕괴 스타레일만 압니다만, 다른 언어(영어, 일본어)는 번역이 멀쩡한데 한국어만 개판인 경우가 있어서...
대장햄토리
23/07/25 07: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타레일 해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스타레일 커뮤니티에서 (게임판 힐링캠프 아니냐고..)
저 영상으로 불탄게 단순 오탈자나 실수 이런게 아니고
번역 자체가 이상합니다
한가지 예를 들면 불로불사의 뜻을
(뜨거운) 불노인 이런식으로 해버려서..
이런게 한두개면 웃고 넘어가는데..
수십개를 넘어가니..(백개가 넘어갈수도??!)
이런걸 유저들이 찾아내는데..
원문인 중어 -> 번역된 일어,영어 비교해서 찾아내는거라
우리만 뭐 자료가 없어서 그랬다? 란 변명이
그럼 다른 나라는 왜 멀쩡하죠? 소리가 나오면서 반박되니..
영상 안보고 편집된것만 보고
게이머들이 화낸다 하실수있지만
거꾸로 게임 해보시면 번역 논란이 왜 나오는지 이해가..크크
윗분 댓글처럼 "문장하나 딸랑 던져주고 번역하라고 해도 그렇게 번역하면 안되는 수준의 미스들을 많이 내는거죠"
이런게 너무 많아요..
태엽감는새
23/07/25 08:00
수정 아이콘
랑그릿사 아르케랜드 스타레일 다 한 사람인데요..얘네 번역 심각한거 맞습니다.
기억나는게 케른바이터가 서암자였나..아무 맥락도없는..
사람되고싶다
23/07/25 08:01
수정 아이콘
영상에서 그냥 번역 자체가 개판인 경우도 물론 있다고 했는데 그게 본인들 얘기일 줄이야...
레이븐
23/07/25 08:08
수정 아이콘
저 업체가 한국어화 업체 중 대표급일텐데도 저런 말들이 많다는 건 다른 국가보다 업계 전반적으로 퀄리티가 그리 좋지 않다는 말일수도 있겠네요.
크레토스
23/07/25 08:12
수정 아이콘
책 번역도 퀄보단 속도 우선이라고 들었던 거 같네요.
담배상품권
23/07/25 09:45
수정 아이콘
유명 소설가(예 : 무라카미 하루키)나 업계 탑 번역가에게 큰돈주고 맡기는 경우 아니면 무조건 속도전입니다.
100p넘어가는 만화책 한권 번역하는데 기한이 하루~급하면 그 미만인 수준이라.
23/07/25 09:53
수정 아이콘
근데 한국이 번역에 투자 안하는건 게임 아니더라도 예전부터 유명했었죠.
몇몇 원서나 기술서의 경우에는 북한이 한국보다 더 번역 잘한다는 말이 나올정도라 ;;;; (물론 북한은 국가단위 사업이니 퀄리티가 좋겠지만..)
이건 한국이 번역을 대하는 태도의 문제기도 합니다.
23/07/25 08:14
수정 아이콘
김실장 채널도 계속 업체만 쉴드 치다간 나락가겠군요.
23/07/25 08:14
수정 아이콘
보면서 궁금하긴 하더라고요
작업물 속시원하게 못깔거면 그냥 가면쓰고 나와도되지않나...??
Paranormal
23/07/25 08:16
수정 아이콘
저 번역회사가 너무 나이브하게 생각한거죠...
솔직히 업계 탑으로 번역을 잘해도 꼬투리 잡힐텐데 개판으로 했으니까요
김유라
23/07/25 08:18
수정 아이콘
오역때문에 게임하다가 빅엿 먹어봤다면 좋은 말이 안나오긴 하죠...
23/07/25 08:26
수정 아이콘
영상 내용 아주 좋던데... 담부터 섭외에 어려움을 겪을까 걱정되네요
23/07/25 08:31
수정 아이콘
저 회사보다 번역 잘하는 회사 많습니다.. 업계 대표는 무슨...
퀄리티 생각 안하고 빠르게 하는 대표겠죠..
김꼬마곰돌고양
23/07/25 10:21
수정 아이콘
업체 좀 알려주세호
쪽지로 주셔도 좋습니다
호랑이기운
23/07/25 08:37
수정 아이콘
아 마블스냅 번역사였어요?
prohibit
23/07/25 08:41
수정 아이콘
망가진 결과물들로 화가 난 유저들이 한가득인데 이러이러한 사정이 있다... 라고 이야기해봐야 안먹히긴 하죠
우자매순대국
23/07/25 08:46
수정 아이콘
클라이언트 입장에선 (본인들이 체감할일 없는) 정확한 번역보단
저렴한 가격 + 빠른 납기일이 훨씬 중요한 요소긴 하겠죠 크크
번역 개판으로 하는데 계속 일감을 받는 번역회사라면, 그런요소에 강점이 있을 확률이 높겠고요
반대로 유저 입장에선, 저런회사가 일감을 다 가져가버리니까 번역을 더 잘하는 회사에게 차례가 안가는거라고 생각해서 욕할수도 있는거겠고요.
시린비
23/07/25 08:57
수정 아이콘
유튜브 영상 테러해봤자 김실장만 힘든거고 통역회사엔 영향 적지 않나요
머나먼조상
23/07/25 09:04
수정 아이콘
저는 상식 이하의 결과물이 나온 원인은 상식 이하의 시간이 주어져서 그랬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계약이 법도 아니고 상호 계약 하에 내놓은 결과물은 양쪽 모두의 책임인데 영상에서는 너무 클라이언트 탓만 하더라고요. 이럴때 누칼협이죠. 거지같은 결과로 욕먹기 싫으면 계약 안받으면 되잖아요?
23/07/25 10:07
수정 아이콘
번역 쪽은 목구멍이 포도청이라서..
실제로 목 앞에 칼이 있긴 할겁니다 크크크
23/07/25 09:06
수정 아이콘
저는 번역문제는 잘 모르지만 많은 양을 한 명이 검수하는게 번역의 흐름과 퀄리티를 위해 젤 좋다하는 시스템에 물음표가 생기긴 했었어요. 저거보다 더 생산성을 늘릴 수 있어야 할 거 같은데...
23/07/25 09:13
수정 아이콘
사람이 늘어날수록 같은 단어를 같은 말로 인식을 안할 수 있기 때문에 통일성이 깨지는 이슈가 있어서..

퀄리티는 한명이 보는게 가장 좋은게 현 시점에선 맞습니다..


그걸 많은 사람으로 통일성을 맞추는게 능력있는 관리자의 몫이고요 (다 같은 생각으로 번역할 수 있게 맞추는)
23/07/25 09:25
수정 아이콘
10여년전 아마추어 한글화팀도 일부 번역해보고 단어집과 일부 예시정도는 가지고 번역을 시작했던 것 같은데..
EurobeatMIX
23/07/25 09:14
수정 아이콘
낮은 단가로 빠르게 납기하는 회사일 것 같네요. 회사가 일부러 면피하려고 출연한 게 아니면 영상선에서 다 설명된 것 같은데
23/07/25 09:15
수정 아이콘
아 명방 번역 저 사람들인가?
아방가르드함을 잘 살려주신 분들이군...
23/07/25 09:17
수정 아이콘
농담 빼고 말하자면 그냥 번역회사만의 잘못이 아니라 납기일 조져놓고 정보공유 안하는 개발사의 잘못도 있겠죠.
근데 솔직히 그런 말을 번역회사가 유튜브 나와서 말하고 싶을까 싶기는 하네요. 결국 '우리는 못해요' 라는 말인데.
EurobeatMIX
23/07/25 09:22
수정 아이콘
명방 번역 아쉬울때가 많았죠. 근데 위 댓글 링크 중간에 있는 과다노출은 원래 사진찍을때도 렌즈 노출이라는 말 쓰니까 맞는말인데 흑흑
닉네임바꿔야지
23/07/25 09:21
수정 아이콘
그래도 고객들에게는 평이 괜찮은 거 같은데 그럼 날짜를 항상 제대로 맞춰 준 다는 거 아닐까요? 게임 회사인 개발사들의 만족도와 유저들의 만족도는 좀 다를 수 있는 거라....
23/07/25 09:23
수정 아이콘
번역 업체 입장이나 댓글 반응은 이해가 가는데
오히려 김실장 채널에서 왜 저러는지 모르겠네요.
차라리 댓글을 막든지. 댓글 반응 보면 유저들이 오죽해서 여기까지 찾아와서 댓글 달겠냐 싶은데
무례하다. 엄격히 관리하겠다. 워딩은 좀 아닌 것 같네요.
23/07/25 09:57
수정 아이콘
돈을 많이 주고 섭외해서 하는거도 아니고, 나와서 그 발언에 대한 책임을 맞아야 할 수 있으니
출연자 보호의 영역에선 충분히 필요할 수 있는 부분이긴 합니다.

근데 이제 그 선을 어떻게 제어할것이냐에 대해선 민심이 판단해주겠죠..
23/07/25 09:23
수정 아이콘
얼마나 번역을 못 했으면.. 하고 위에 링크 눌러보니 가관이네요.
정식 번역 전에 국내에 통용되던 용어나 뭐 이런 걸로 억까인 줄 알았는데, 진짜 번역 때문에 게임을 말아먹는 수준이군요.
이런 결과물을 낸 사람들이 번역을 나쁘게 한 당사자구나 라고 얘기하는 게 매우 무례한 발언이 될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오히려 저런 결과물 가진 사람 불러놓고 이들 잘못이 아니다 라고 하는 건 유튜버가 게이머들한테 대단한 무례를 저지른 것 같은데..
R.Oswalt
23/07/25 09:30
수정 아이콘
스타레일 번역한 꼬라지 보면 저런 변명이 안 통하죠.
성우가 더빙한 파트는 그래도 더빙 쪽 프로덕션이 태클을 걸었는지 그나마 나은데, 더빙 없는 부분은 개판입니다. 단순히 오역 같은 문제를 떠나 한 시퀀스 내에서 캐릭터가 정신분열증이라도 걸렸는지 존대가 오락가락하고, 어투가 근엄하다 초딩이 되고 난리도 아니죠.
그런 주제에 중국 클라이언트가 무섭고 어쩌구 하니까 장난하나 싶은 거죠. 무슨 낯짝으로 나오지?
핫포비진
23/07/25 09:31
수정 아이콘
저 회사가 업계 대표라고요? 진짜 번역 오질나게 못하는데..
23/07/25 09:33
수정 아이콘
돈주고 퀄리티 개판인데 우린 이런 사정이 있다
이건좀 아닌거 같은데..
작은대바구니만두
23/07/25 09:34
수정 아이콘
유저퀄이 더 좋다는건 그만큼 돈이 안되는 산업이란 뜻이겠지요
그러니 기본도 안되는 실력의 사람들이 일을 하고 있는 것일거고요
응 아니야
23/07/25 09:35
수정 아이콘
근데 저걸 왜 김실장이 대처해야 하는거죠
23/07/25 09:36
수정 아이콘
안그래도 번역으로 불만있는 사람들에게 욕할 수 있는 공식적인 창구가 생긴 꼴인거죠...
Meridian
23/07/25 09:36
수정 아이콘
단어자체를 다른말로 번역하던데 크크크크 메타고 뭐고 핑계댈게 아니죠 이건
파고들어라
23/07/25 09:39
수정 아이콘
근데 위에 림버스 컴퍼니 논란을 보고 오니 차라리 오역으로 논란되는게 낫다 싶기도...
예전 모바일 게임에 5챕터 18번 전투 소제목을 폭동이라 붙여서 난리난 것처럼 작정하고 숨기면 검수가 안 되니까요.
게임 업체들은 오역으로 욕먹어도 사상검증(?)된 업체를 선호할것 같긴 합니다.
우자매순대국
23/07/25 09:51
수정 아이콘
하긴 그냥 오역이면 욕좀먹고 끝이지
일베드립 메갈드립을 섞어넣는다거나
(중국게임의 경우) 시진핑비하 공산당비하 중국비하를 섞어넣는다거나
이러면 게임사는 뒷목잡고 쓰러질듯하네요
23/07/25 10:06
수정 아이콘
그건 국내 개발사였고.. 번역도 아니었죠.
회사가 강남역에 있었습니다
그 사람도 기획자였구요.
23/07/25 09:40
수정 아이콘
능력이 안되면 일감을 가려서 받아야죠
비뢰신
23/07/25 09:44
수정 아이콘
그레게 평소에 좀 잘 좀하지
평타만 쳤어도 댓글창이 이렇게 곱창나지 않았을 텐데요 쩝
jjohny=쿠마
23/07/25 09:46
수정 아이콘
댓글을 보니 [20년 경력 한글화 장인]이라는 썸네일이 좀 민망해보이긴 하네요.
23/07/25 09:48
수정 아이콘
번역일을 했던 입장에서 보면 이해가는 부분도 있긴 합니다. 일단 공식 번역의 경우가 퀄이 더 떨어지는 경우가 은근 많은게 공식 번역이 오히려 게임화면 한번 못보고 하는 경우가 더 많아요. 대외비라던지 아직 완성이 안되었다던지 등으로 정보 공개에 상당히 보수적.
다음으로 초벌 번역가의 실력문제. 감수일 할때 느낀건데 차라리 번역기를 돌리는게 양호한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게 한두번이 아닙니다. (그리고 전 번역기 막 처음 나왔을 시절 번역일을 했었고 말이에요.) 그렇게 실력도 없는데 설정도 모르는 사람들이 번역하려고 하면 엉망이 되는 결과는 거의 당연하다고 할까요. 제대로 된 사람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고... 감수하다가 감수하는게 시간 더 걸리겠다고 생각되서 그냥 재번역 한 경우도 있으니까요. 과거와 비슷한 구조로 아직도 번역업체들이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면 1차번역이 프리랜서라고 불리는 알바 수준일 경우도 많을거라서...
MissNothing
23/07/25 09:52
수정 아이콘
오역이야 뭐 수백개 잘해도 한두개 이상하면 눈에띄는거긴 한데, 그 몇개 케이스가 좀 심하긴 하더라구요
칼라미티
23/07/25 09:55
수정 아이콘
한가지 그나마 조금 옹호해보자면 중국업체는 메타데이터를 진짜 잘 안주긴 합니다. 미호요 급은 모르겠네요...
23/07/25 09:57
수정 아이콘
랑그릿사 모바일 초기 번역하시던 분이 뭔가의 이유로 때려치고 나온 이후로 상태가 좀 멀리가시는 느낌이었던거로 기억하는데, 저거도 저 회사가 같이 묶여있는듯 하군요..
23/07/25 10:04
수정 아이콘
여기 계신 분들도 번역 전 파일 받아보시면 상태 심각한거 느끼실겁니다 크크

i have a breakfast 같은 식으로 안오고
i have / a / breakfast 식으로 뜯어져서 옵니다.

게다가 다른 곳에 i have a idea 라는 문장이 있다면
i have / i have / a / a / breakfast / idea 같은 식으로
같은 단어가 수십개씩 몰려 있기도 합니다

저러면 이제 "나는 아침식사를 가졌다" 같은 번역이 튀어나오죠.

물론 저거 넣은 후에 실제 플레이 하면서 검수 해야하는 게 맞는데,
이 have가 어디에 들어있는 have인지 찾는 것도 일이거니와..
업체 쪽에는 돈, 시간, 권한 중 어느것도 허락되는게 없습니다 크크

소비자 입장에서야 알빠노지만
사실 번역업체가 아니고 게임사가 욕을 먹어야 하는 이슈죠.
jjohny=쿠마
23/07/25 10:18
수정 아이콘
히익...
윤지호
23/07/25 10:27
수정 아이콘
게임 번역도 그렇게 오나요?
소프트웨어 UI 번역같은 경우에는 말씀하신 것처럼 번역비용 아끼려고 지들 맘대로 문장 조각내서 오는 경우가 부지기수이긴 한데.. 하긴 게임이 더하면 더했지 덜하진 않겠죠.
23/07/25 10:31
수정 아이콘
중국어 쪽은 제가 본 적은 없고 영어 쪽은 본적 있는데
화면에 a만 30줄 적혀 있었습니다
선플러
23/07/25 11:59
수정 아이콘
뜯어져 온다는 게 무슨 말씀이신 건가요? 왜 그렇게 뜯어져서 오는 건가요?

그리고 이것은 좀 다른 질문입니다.
번역일 해보신 것 같은데, 식사는 관사가 안 붙고 idea는 a가 아니라 an을 써야 하는데
오류인 줄 알고 일부러 예시를 드신 것인지 궁금하기도 하네요.
jjohny=쿠마
23/07/25 12:02
수정 아이콘
저도 이상하게 느꼈는데,
그 아래 댓글을 보니까 아마도 'a' 예시를 강조하고 싶으셨던 것 같고, 그래서 그 뒤에 따르는 명사는 호응관계까지는 생각 못하고 아무거나 붙이신 것 아닌가 싶었습니다.
23/07/25 12:08
수정 아이콘
문장이 분해되는 건 여러가지 이슈가 있는데..
요약하면 만들때 번역을 생각 안하고 만들어서 그렇습니다.
a는 b에게 32피해를 입혔다 라는 문장을
(변수)는 (변수)에게 (변수)피해를 입혔다. 로 저장해 놓는게 번역 생각하고 만든거고
따로 따로 여기저기 저장하고 불러와서 쓰기도 합니다.
그래서 본인들이 텍스트 100% 추출도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시는 대충 든 겁니다
멍멍이개
23/07/25 13: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발 중인 게임의 번역은 게임화면을 보면서 하는 게 아닌 그냥 텍스트 덩어리들을 받습니다. 왜냐면 게임은 개발중이니까..
그게 문장들이 이어지는 거면 다행인데, 예를 들어 이런식으로 오면 아주 난감합니다.
who
are
you
don't
you
know
me
i'll
give
you
my
flower
제가 영어 번역자는 아니지만 그냥 대충 예를 들면 이렇다는 건데, 왜 이렇게 뜯혀져 오냐면 개발사측에서도 언어를 직접 타이핑해서 보내는게 아니고 텍스트를 추출을 해서 보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영어로는 모두 같은 you인데 한국어로 보면 화자랑 청자랑 관계까지 모두 고려해서 번역을 해야 하다보니 누가 누구한테 대사를 치고 관계가 어떻게 어떤 상황이고 까지를 모두 알아야 하거든요. 근데 그렇게까지 안알려줍니다. 정확히는 걔들도 바빠서 이 flower의 생김새를 보고 싶다거나 하는 거에 하나하나 다 대응을 못함... 꽃 아이템이겠거니 했더니 캐릭터였다던가
그리고 이제 중간에 텍스트가 수정이 되는 건 일상다반사고요.. 그러니 완성된 게임을 해보고 처음부터 끝까지 의도를 이해한 후 번역을 하는 거랑은 아예 환경 자체가 다릅니다
23/07/25 15:19
수정 아이콘
와 댓글 흐름 읽어보니
리눅스커맨드 strings를 게임 바이너리에 돌린 결과를 번역하라고 시키나보네요 크크크 생각도못한..
왈도체가 이런연유군요..
요즘은 번역 생각하고 만들면 이렇게 안 만들텐데 아직도 이런식으로 만드나요 덜덜
멍멍이개
23/07/25 19: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번역 생각하고 만든다'가 쉽지 않습니다. 한국사람들은 영어를 자연스럽게 공부를 하고 어순이 다른 언어라는 게 존재하며 인식을 하고 여기여기를 어떻게 비워두고 하는 식으로 뭐 대책을 세우든지 할텐데 중국 게임 개발자들이 한국어 번역의 여지를 남겨두고 만들기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럼 이제 한국어랑 어순이 같은 일본어판 번역은 괜찮지 않냐라고 많이들 하는데, 제 경험으로는 타언어->일본어번역도 개판이 굉장히 많습니다. 넷플릭스만 가도 한드의 일본어자막에는 오역이 적지 않고... 하는 일 때문에 영어->일본어->한국어의 중역 의뢰도 꽤 오는데 영어 일본어에서 아예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 그냥 영어 텍스트를 같이 첨부해달라고 부탁한 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
그리고 문법자체가 한국어는 철저한 존댓말 사용, 받침에 따른 조사의 변화라던가 어미의 변화 등에서 일본어보다 고려해야할 게 많아서 소위 '뜻이 틀리진 않은 선에서 어색하지만 않게 하는' 안전빵 번역이 쉽지 않습니다... 머 하여튼 번역을 해 본 사람은 번역자에게 돌을 던지기 쉽지 않습니다;
23/07/25 20: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 말은 스크립트를 작성할때 번역을 생각하라는게 아니고
게임 제작시 프로그램적으로(기능적으로) 타 언어로 쉽게 교체할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가야한다는겁니다.. 윗댓글들보면 그게 아닌것 같아서 댓글쓴거구요
애초에 게임 스크립트 원문을 넘겨줄때 단어가 쪼개지지않은 온전한 문장이 번역가에게 가야한다는 이야기죠..
수정과봉봉
23/07/25 17:23
수정 아이콘
와! 이건 생각도 못했던 상황이네요...
23/07/25 10:15
수정 아이콘
뭐 음.. 저회사가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서 어떤 상황인지는 알게할만한 영상인 것 같긴 합니다.
그건 그렇고 업보에 대한 감당은 하셔야할 것 같긴 합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3/07/25 10:24
수정 아이콘
어딩가 했더니 프리랜서 계약서만 받아가고 몇 달째 일거리는 하나도 안 주고 있는 회사군요 크윽...
terralunar
23/07/25 10: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 업체는 모르겠고 중국겜은 웬만하면 그낭 일본어로 합니다.
한자어 그대로 독음 박아버리기, 인명도 아무 고민없이 갖다붙이기, 문장단위로는 비문이 아닌데 합쳐서 보면 뭔소린지 암호문이 되는 대화문 번역 등등, 모바일로 텍스트 읽는것부터가 피곤한 일인데 중국게임 한국어번역 보고있으면 SAN치 깍이는 기분입니다. 게다가 대부분의 중국게임들이 우리가 만든 개쩌는 세계관을 풀어내면 개쩌는 스토리가 되겠지? 하는 착각이 기본이라 떡밥풀기에만 바쁜게 시너지까지 내고요
애초에 윗 댓글이나 링크에도 있듯이 일본어 영어번역은 준수하거나 최소한의 퀄리티라도 나오는데 한국어만 유독 개판인 경우가 있고, 그게 주목작들에서 자주 일어나다보니 단순히 경험의 편향에서 오는 착각이라고 하기엔 민심이 납득하질 못하죠
23/07/25 11:29
수정 아이콘
일본어 영어번역은 준수한데, 한글이 개판인 번역을 너무 많이봐서 공감되네요.
23/07/25 11:40
수정 아이콘
결국 최종판을 내놓는 곳에서 최종 감수가 되느냐 아니냐가 중요한데 일본어/영어는 보통 그게 되죠.
Silver Scrapes
23/07/25 10:26
수정 아이콘
초대석이 아니라 고로시석이었고 크크
자코토
23/07/25 10:31
수정 아이콘
영상 굉장히 재밌게 봤는데 출연하신 부문장님이 본인들이 번역하신 게임 이름들을 애써 숨기려 하는 게 좀 의아하긴 했습니다 크크크
외주업체가 아니라 본사에서 책임져야 하는 문제는 맞다고 봅니다.
23/07/25 11:34
수정 아이콘
본사가 책임지는게 맞지만, 추가로 검수팀을 외주 하는것도 이상하다보니 결국 고객 문의로 발견하고 후처리되거나 밀리는게 대다수같네요.
자코토
23/07/25 11:42
수정 아이콘
번역 납기일은 급하게 떨어지고 게임 출시일 때문에 번역 질을 담보하기 어렵다면 번역사가 게임을 실제로 해보고 번역을 고칠 수 있도록 AS 기간을 두는 걸로 계약해야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네요. 그리고 일본어 영어 번역은 준수한데 한국어 번역만 이상하다면 거참 괴이한 일인데 그건 진짜 납득할 만한 해명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23/07/25 11:59
수정 아이콘
위에도 썼지만 아래쪽은 별로 이상할 거 없습니다.
저 있던 회사에서 개발한 게임이 일본 서비스하게 되어서 번역 맡긴 거 돌아왔는데 엉망이라 저랑 다른 직원들이 잘못된 부분 재번역 요청하고, 급한 부분은 즉각 고쳐서 서비스했거든요. 일본어랑 영어는 그게 되죠.
자코토
23/07/25 12:17
수정 아이콘
영상에서 게임 문맥을 짐작할 참고자료 없이 대화나 문장이 조각조각난 엑셀 파일만 딸랑 오는 경우가 많다고 하길래 진짜 고충이 많겠구나 생각했거든요. 말씀대로라면 결국 본사에서 내용을 어디까지 책임질 것인가가 관건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어 영어는 기본적으로 내부에서 검증을 하는 거고 한국어는 안 하는 회사가 많은 거고.
23/07/25 12:21
수정 아이콘
네. 사실 엄격히 말해서, '무슨 외주를 어디에 줬건 결과물 퀄리티는 본사 책임'인 거죠. 번역 업체 깐다고 뭐 크게 달라지지 않을 이유이기도 하고요.
23/07/25 10:36
수정 아이콘
외주일을 받는 입장에서 능력이 안되거나 내 회사에 악영향을 미칠것 같은 일을 받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돈도 적게주고 일정도 타이트하고 그래서 결과가 그렇게 나올수 있습니다. 라고 해명이 아니라 그냥 안받는게 맞습니다.
저런 업체가 많아지면 외주를 주는 갑 혹은 을(받는업체가 병)이 저래도 되는줄 알고 계속 똑같이 일을 벌이죠.
결국 업계시장에 안좋은상황만 발생합니다 (눈물)
아케이드
23/07/25 11:02
수정 아이콘
현실적으로 그러면 일감 없어서 회사 망해요
23/07/25 11:58
수정 아이콘
돈 많이 주고 일정 여유 있게 외주 주는 게임 회사는
단언컨데 없습니다.
클란심
23/07/25 10: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김실장님 공카 가보니까 2시에 관련해서 라이브 방송 하시겠다네요
케이사
23/07/25 14:59
수정 아이콘
그.. 진정시키는데는 실패한 거 같습니다. 관련 게임 커뮤니티들이 더 불타오르네요..
클란심
23/07/25 15:02
수정 아이콘
저는 납득이 됐는데 안되는 분들이 많으신가보네요
RapidSilver
23/07/25 11:43
수정 아이콘
와 여기가 마블스냅 번역한곳이면...
진짜 좀 심각하긴 해요....크크
23/07/25 11:55
수정 아이콘
일본어 영어랑 퀄 차이가 나는 이유 = 애초에 시장 체급 부터가 다르니 들어가는 돈도 다름. 애초에 회사 자체에서 운영하는 경우도 있으니 더 차이 남

존대 반존대 반말 짬뽕 = 영상에서도 언급됨

솔직히 해명해야 할 부분은 영상에서 본인들도 언급한 아 그래도 이건 검수했어야지 하는 영역 말곤 없죠

근데 지금 지적되는 문제 절반 정도가 저 문제라 말 안나오긴 힘든 상황이긴 했어요
선플러
23/07/25 11:57
수정 아이콘
뜯어져 온다는 게 무슨 말씀이신 건가요? 왜 그렇게 뜯어져서 오는 건가요?

그리고 이것은 좀 다른 질문입니다.
번역일 해보신 것 같은데, 식사는 관사가 안 붙고 idea는 a가 아니라 an을 써야 하는데
오류인 줄 알고 일부러 예시를 드신 것인지 궁금하기도 하네요.
23/07/25 12:39
수정 아이콘
일부러 안붙여서 주는건 아니고 같은 단어가 여기저기 쓰이다보니 전부다 분해되어 있는걸 굳이 합쳐서 보내주지 않는다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 결과물에는 붙어서 나오지만, 데이터로는 조각나 있는 상황인거 같아요.
탑클라우드
23/07/25 11:58
수정 아이콘
AI의 발전이 언어를 기반으로 한다고 들었는데,
어서 빨리 AI 번역 퀄리티가 더욱 향상되기를...

물론 지금도 번역기 수준이 많이 올라왔지만,
어서 빨리 특이점 도달...고프네요
이츠씽
23/07/25 11:59
수정 아이콘
마블스냅이면 진짜 최악입니다
CastorPollux
23/07/25 12:44
수정 아이콘
김성회 님 이랑 한잔하실 거 같은데.. 두 분 다 만취각.......
Dreamscape
23/07/25 13:40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외주업체라서 생기는 한계들이 아닐까 싶어요
원청의 후려치기, 일정 빡빡하게 주기, 로컬라이제이션 이해도 낮음, 자료 공유 잘 안해줌 등등..

저는 외국 게임사의 한국 로컬팀에 계약직으로 있었던적이 있는데..
굉장히 번역하기 편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상황 묘사도 텍스트 옆에 많이 해주고, 설정집 용어집 공유 해주고,
일정 상당히 널널한 편이고 (중요), 애초에 IP에 충성도 높은 분들이 입사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게임에 대한 이해도 높고.. (매우중요)
LQA 팀이 바로 옆에 붙어 있어서 피드백도 바로바로 되구요.

저로서는.. 괜찮은 영상 같은데 과거 번역 결과물 때문에 열받은 게이머분들이 화를 참지 못하시고 딜을 박으시는거 같네요.. 사실 이해는 되긴 합니다... 허허..
23/07/25 13:53
수정 아이콘
저도 가끔 게임들에서 전혀 한국어스럽지 않은 번역을 볼 때 불만이 많긴 했는데, 데이터가 무슨 엑셀파일로 오고 메타데이터도 없이 초벌번역을 해야 한다면 이해가 되더라구요.
개인적으로는 재미있게 보긴 했는데, 이 영상 자체가 이런 후폭풍을 의도한 바도 있다고 봅니다. 일단 인트로부분을 저렇게 땃다는게...
청운지몽
23/07/25 14:19
수정 아이콘
마블스냅 번역은 하..
문없는집
23/07/25 15:26
수정 아이콘
영상볼땐 고충을 이해했는데
마블스냅 번역했다는 댓글을 여기서 보곤..
좋게 못보겠네요
이웃집개발자
23/07/25 15:52
수정 아이콘
이게 구체적으로 어디가 잘못된건지 지적하는 짤들 모아놓은거 보니까 좀 신기할정도로 휴먼에러스러운 오류가 많아보이더라구요
바람의바람
23/07/25 18:13
수정 아이콘
흐름 보니까 어쩔수 없었다 에서 너무 심했다 인가 보군요
F1rstchoice
23/07/25 22:52
수정 아이콘
영상 재밌게 봤었는데 댓글창은 난리가 났네요;;

내용은 외주협력업체의 입장에서 본청의 중요성을 말하는 어찌보면 상식적인 이야기들이었는데 댓글들 보면 ‘너 잘걸렸다’ 라는 느낌인 것 같아요.

계속 퀄리티가 개판이니 번역업체의 문제다 라고 하기엔 글쎄요... 어쩔 수 없이 타협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애초에 한국에서만 쓰는 한국어 특성상 본청에서 as지침을 주기에도 수지타산이 안맞을 것 같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423 [게임] 2024년 e스포츠 게임 최고 상금 규모 [10] STEAM3850 24/05/24 3850
497182 [게임] 벽람항로 개발사의 차기작 한국 출시 확정! [12] 묻고 더블로 가!5821 24/03/20 5821
495330 [게임] 게임 번역이 개판이다 [7] 주말6726 24/02/17 6726
495084 [게임] 요즘 마인 크레프트 근황 [3] 물맛이좋아요8301 24/02/12 8301
494868 [게임] 충격적인 러브라이브 모바일 번역 근황 [21] 묻고 더블로 가!8946 24/02/07 8946
491468 [게임] 의외로 계속 진행되는 유저 한글화팀 [14] Lord Be Goja10725 23/12/04 10725
491408 [게임] 사투리도 번역하는 AI 음성 번역 근황 [4] 물맛이좋아요9097 23/12/02 9097
491344 [게임] (욕?설주의) 발더스3 공식한글화 번역퀄리티 [22] 김티모9649 23/12/01 9649
491324 [게임] 번역 70%선에서 네토라레 당한 그 게임 갤러리 근황 [22] Lord Be Goja10645 23/12/01 10645
489436 [게임] 말딸) 곧 한섭에 발매되는 서폿카드 픽업에 대한 일섭 유저들의 메시지 [11] 김티모7139 23/11/03 7139
488292 [게임] 올해 손꼽게 망했던 게임 근황 [5] Lord Be Goja11405 23/10/13 11405
485764 [게임] 스티필드 한글화팀 근황 [20] 카루오스7124 23/08/28 7124
485755 [게임] 7월 서브컬처 게임 국내 매출 순위 [29] Heretic8938 23/08/27 8938
485277 [게임] 스타필드 번역팀 근황 [36] 퍼블레인8984 23/08/19 8984
484189 [게임] 번역이 엉망인 건 게임사 탓인가? [64] 문문문무9725 23/08/03 9725
483567 [게임] 번역가가 책임감을 드랍했을때 일어나는 일 [50] Cand10711 23/07/25 10711
483520 [게임] 분위기가 안 좋게 흘러가고 있는 듯한 김실장 영상 [130] 묻고 더블로 가!18943 23/07/25 18943
483394 [게임] 게임 한글화에 대한 오해와 진실(feat. 김실장) [19] 쿨럭8135 23/07/22 8135
482779 [게임] 한국 위치도 모르는 MS, 비한글화 너무 당연해 보여··· [28] Leeka9570 23/07/12 9570
482710 [게임] [하스스톤]관찰자 알갈론 판드랄의 번역 [9] 달은다시차오른다4987 23/07/11 4987
482250 [게임] 페르소나 3 리로드 게임플레이 트레일러 [18] 김티모6238 23/07/04 6238
481800 [게임] 블루아카이브 근황 [15] 묻고 더블로 가!8843 23/06/27 8843
481234 [게임] 스타필드 번역 언어수보다 많은것 [10] 유니언스8492 23/06/17 849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