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7/23 21:09:57
Name 핑크솔져
File #1 아랄해_변화_정리.jpg (125.9 KB), Download : 48
File #2 63aea1f0_cd40_4b8c_8b79_821c060fd9ab.jpg (165.8 KB), Download : 37
출처 구글
Subject [유머] 러시아(인간)의 역대급 패악질.JPG




aoPgKkR.gif
TqWZ862.jpg


대한민국 면적의 2/3 크기의 대호수를 날려버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Rusty Hand
23/07/23 21:14
수정 아이콘
사실 근현대사의 쓰레기짓은 영국, 병신같은 행동은 러시아라고 보면 어느정도 맞죠
방과후티타임
23/07/23 21:30
수정 아이콘
몇년전에 나무위키 봤을때 좀 살아난다는거 까지 봤었는데
오랜만에 다시 나무위키 보니까 아예 말랐네요
abc초콜릿
23/07/23 21:30
수정 아이콘
하지만 저렇게 물이 빠지고 나서 원래 저 자리에 있다가 물이 불어나서 잠겨버린 중세시대 도시들이 재발굴 되어서 저렇게 물이 줄었다 불었다 하는 것도 그냥 옛날부터 있었던 일이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단비아빠
23/07/23 21: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글쎄요... 전 이게 잘 이해가 안가는게 아랄해가 저 강의 유입수량 만으로 유지되었고 댐을 쌓아서 저렇게 된거라면
원래 아랄해로 흘러들었어야 할 물이 어딘가에는 고여서 아랄해만큼은 아니어도 충분히 유의미한 수준의 거대한 호수를
만들었어야 하지 않나싶은데 말이죠. 저 호수가 말라붙는게 단지 유입수량이 줄었기 때문이라고 하면
그 유입수량이라는게 어마어마했을테니 말입니다.
23/07/23 21:43
수정 아이콘
저기로 흘러들어야 할 물을 농작물에 쓸려고 옮긴거 아니었나유?
최종병기캐리어
23/07/23 22:04
수정 아이콘
물을 어마어마하게 잡아먹는 목화산업을 소련시절에 아랄해 근처에서 집단 농장화했습니다. 저 물을 목화재배한다고 다 퍼간거죠.
그레이퍼플
23/07/24 00:58
수정 아이콘
그 물이 소모된 거죠. 현재 베트남의 메콩강도 중국이 상류에서 댐과 농사로 물을 소모하니까 마르기 시작하는 걸 보면 인간이 사용하기 시작하면 또 금새 없어지는 게 물이죠.
23/07/24 08:01
수정 아이콘
수원지에 물을 퍼다쓰니 물을 잡아두는 요인들이 다 날아가고 그때되서야 원상복구해도 물이 그냥 사라지는것과 같습니다. 사막화가 그렇게 진행되죠.
23/07/23 21:41
수정 아이콘
저 땅은 누구껀가요?
검은잠
23/07/24 01: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재 남아랄해는 우즈벡, 북아랄해는 카자흐스탄이 영유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랄해 복원 사업에 있어 그나마 가능성이 있던 북아랄해는 카자흐를 중심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넓은 남아랄해가 있던 곳을 가지고 있는 우즈벡은 남아랄해 복원 사업에 사실상 gg를 쳐 버린 상황으로 알고 있습니다.
마음속의빛
23/07/23 21:58
수정 아이콘
만화 '신부 이야기'에서 물고기 잡던 그 아랄해가....
23/07/23 22:02
수정 아이콘
지하에 있어서 안보여서 그렇지, 저거랑 같은일을 전세계에서 진행중입니다.
23/07/23 23:02
수정 아이콘
일겅
cruithne
23/07/23 23:15
수정 아이콘
솔직히 러시아 하나만 머저리인건 아니죠. 사람 사는덴 다 똑같죠
23/07/24 08:02
수정 아이콘
그나마 대한민국은 산지가 많고 대부분의 산지를 묶어놔서.... 대신 골프장개발 같은걸로 수원지 오염같은게 떡.
12년째도피중
23/07/23 22:17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꼭 러시아만의 일인가 싶습니다. 물론 티가 엄청 나는 일이긴한데... 솔직히 말하면 이 내용만으로는 역대급 패악질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역으로 여러 마을들을 물속에 묻어버린 댐건설과 그로 인한 수몰들도 다 큰 일들인데 그거라면 각 나라들마다 엄청나거든요. 중국, 미국만 해도...
-안군-
23/07/23 22:28
수정 아이콘
바다 였던 것...
23/07/23 23:44
수정 아이콘
근데 찾아보니 바이칼호에 비해 수량이 원래 5% 남짓에 불과했더군요. 면적은 바이칼호보다 2배 가까이 넓었지만 수심은 얕아서 빠르게 소멸됐었나 봅니다.
그레이퍼플
23/07/24 01:00
수정 아이콘
원래 수심이 얕고 수량 또한 적었지만, 그래도 수량이 세계 최대인 바이칼호와 비교는...
키르히아이스
23/07/24 04:06
수정 아이콘
지도 찾아보니 러시아 접경지역도 아닌데 왜 러시아가 나오죠? 소련시절에 댐을 지어서 저렇게 됐다고 하긴 하던데
데몬헌터
23/07/24 08: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러시아가 주변국들을 집어삼킨게 소련이라는 인식이 강한거라 봐야죠
사실 미합중국 처럼 자치주 느낌도 있었던거같지만. 구 대영제국의 문제 어쩌고나 일제 잔재 비슷한 느낌으로 이해하시면 나을 수 있습니다
키르히아이스
23/07/24 09:00
수정 아이콘
자세한 설명감사합니다
그냥 소련이라고 말하는게 더 이해가 쉬울것같은데...
타카이
23/07/24 11:22
수정 아이콘
인류는 지하수를 열심히 뽑아서 자전축을 변화시키는데 일조하고 있습니다
23/07/24 12:26
수정 아이콘
뭐 자카르타 같은경우는 지하수뽑아서 수도가 실시간으로 땅이 꺼져가고있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7512 [기타] 들개 문제가 심각한 인천 서구.jpg [39] Myoi Mina 12749 23/09/27 12749
487475 [유머] 캐나다가 젤런스키 초청하면서 의회에 전쟁영웅을 초대했는데.. [21] 졸업11656 23/09/27 11656
487237 [유머] 러시아 근황.jpg [40] Myoi Mina 12307 23/09/22 12307
486994 [유머] 일본 극우, 러시아군에 자원 입대.jpg [33] Myoi Mina 11022 23/09/18 11022
486944 [유머] 애플이 점유율 1위지만 정발조차 안해주는 나라 [33] phenomena13160 23/09/17 13160
486888 [기타] 태극기 패치달고 참전한 러시아 병사 [10] phenomena9383 23/09/16 9383
486795 [스포츠] FM) 이정도면 해외파 점검하느라 해외돌아도 인정하시나요 [15] 비타에듀9691 23/09/14 9691
486766 [유머] 나라별 아이폰 환율 반응... [40] phenomena10183 23/09/14 10183
486601 [기타] 당분간 러시아 여행은 어려울 것 같은 소설가 [45] 우주전쟁13122 23/09/11 13122
486037 [기타] '푸틴의 트롤' 러시아 허위정보 생산공장 밝혀낸 기자 [14] 내설수9298 23/09/01 9298
485983 [기타] 종이 비행기의 위력 [31] 퀀텀리프13068 23/08/31 13068
485229 [기타] 바로 옆동네인데 시차 21시간... [13] 우주전쟁12201 23/08/19 12201
484811 [기타] 화성에서 바라본 지구... [5] 우주전쟁6573 23/08/12 6573
484166 [유머] 빤스런 중이라는 우크라이나군 근황 [13] Myoi Mina 10843 23/08/03 10843
483678 [기타] 김정은 근황 (feat. 국군 비상) + 주한 러시아대사관 페이스북의 도발 [45] 아롱이다롱이11787 23/07/27 11787
483455 [유머] 러시아(인간)의 역대급 패악질.JPG [24] 핑크솔져12086 23/07/23 12086
483373 [유머] 가성비 프랑스 여행 [45] 된장까스11618 23/07/22 11618
483157 [기타] 러 "흑해곡물협정 오늘부터 무효…사실상 종료" [5] 카루오스8068 23/07/18 8068
482802 [방송] 프리고진은 왜 그랬을까? [18] Avicii9764 23/07/12 9764
482585 [기타] (영상) 국가별 자주포 보유현황 [22] Croove8071 23/07/09 8071
482563 [방송] 이동진이 꼽은 가장 중요한 서양사 연도 20개 [61] Avicii13397 23/07/09 13397
482480 [기타] 역사) 비잔틴제국의 제1 ~ 20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결과 [11] 비타에듀5854 23/07/07 5854
481737 [기타] 러시아 프리고진 근황... [42] 우주전쟁16169 23/06/26 161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