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7/14 16:33:09
Name Leeka
File #1 스크린샷_2023_07_14_오후_4.31.58.png (1.30 MB), Download : 114
출처 딤토
Subject [기타] 3년간 상위 시공사 1조원당 하자건수



현산 = 아이파크 (광주에서 버스정류장을 덮친 철거 사건,  건설 도중 건물 붕괴 사건)

GS = 자이 (지하주차장 붕괴 / 콘크리트 비올때 타설로 공사 중지 사건 등)




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7/14 16:35
수정 아이콘
자강두천
23/07/14 16:36
수정 아이콘
천상계에서 신들의 전쟁중인 자이와 현산 그리고 인간계 1위 푸르지오
건설사들이 삼성물산 시스템을 좀 참고해야겠네요
마이더스
23/07/14 16:43
수정 아이콘
물론 1조원당 하자건수로 비율반영되긴 했지만.. 최근까지 래미안이 입찰 미참여로 인한 공사건수가 적은 것도 어느정도 영향이 있을 듯 합니다
23/07/14 16:49
수정 아이콘
래미안이 꽤 가려서 시공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래도 저정도면 품질관리가 타사대비 나은부분이 조금이라도 있다고 봐야 할테니까요.
23/07/14 17:41
수정 아이콘
일단 삼물은 시공능력평가 금액 중 주택의 비중이 엄청 낮습니다. 근래 주택을 원체 안했어서요.
도들도들
23/07/14 16:36
수정 아이콘
포스코가 4위 많이 올라왔네요.
jjohny=쿠마
23/07/14 16:37
수정 아이콘
시공건수 대비 하자건수는 HDC가 상당히 높네요...

가 아니고 하자건수 자체가 [평가액 1조원당 하자건수]니까 이미 비율계산이 반영된 결과군요 히익
부산헹
23/07/14 17:12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TWICE NC
23/07/14 16:41
수정 아이콘
그 이전 데이터는 없을까요?
어머니 아파트가 현산이라...
23/07/14 16:47
수정 아이콘
근데 예전엔 건설 전문 회사가 더 잘 나갔던 걸로 기억하는데 IMF때 다 나가 떨어졌는지 이제는 다 대기업 밖에 안 남았나 보네요.
건설안전기사
23/07/14 18:37
수정 아이콘
대우도 기업 분해되면서 대우건설은 현재 중흥그룹(건설업 재벌) 계열이고, DL이랑 현산도 건설 전문 대기업집단이죠.. 두 그룹 모두 일부 회사를 제외하고 모든 계열사가 건설 관련 회사이죠.
23/07/14 18:50
수정 아이콘
아. 예전에 건영, 영남, 삼보, 삼환 이런 곳 생각했는데 말씀하신 곳들도 건설 전문이네요.
건설안전기사
23/07/14 18:51
수정 아이콘
앗,, 너무 옛날 아닙니까..크크
23/07/14 16:49
수정 아이콘
아파트부문과 다른 건축물은 하자율이 다르게봐야하지 않을까 싶은데...위 표는 아파트만 한게 아니고 전부를 포함한거겠죠?
김첼시
23/07/14 16:54
수정 아이콘
21년 입주물량에 뭔일이 있었길래 덜덜
카즈하
23/07/14 16:55
수정 아이콘
크크크 아이파크, 자이는 레전드
다람쥐룰루
23/07/14 16:58
수정 아이콘
롯데건설도 진짜 문제가 심각했는데 4등이네요 크크크크 위에 3개는 진짜 대단한 기업입니다
Lena Park
23/07/14 16:59
수정 아이콘
자이랑 현산에 홍보팀원들은 어떤느낌일까...
기자들 저런 기사내는데 아무리 막으려해도 막아질리가 없을텐데...
그만두고 싶을듯,,크크크크
디쿠아스점안액
23/07/14 17:03
수정 아이콘
저건 걍 오너 책임이라고 봐야…
몽키매직
23/07/14 17: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건 신축 비율도 같이 봐야 됩니다. 신축 1-2년 사이에 하자의 대부분이 나오기 때문에 전체 규모 대비 1-2년 이내 신축이 많을수록 지표가 안 좋아지고 적을수록 지표가 좋게 보일 수 밖에 없어요. 대표적으로 래미안은 1-2년 이내의 신축 아파트가 별로 없습니다. 위에 자료만 봐도 년도별로 하자건수/순위 출렁이는 거 보이죠?

그리고 '평가액' 은 뭔가요?, 시총? 그러면 래미안은 유일하게 시공/시행사 한데 묶여 있어서 덩치가 더 크니까 지표가 더 유리할 수 밖에 없기도 하죠. 하자건수는 건설 규모 대비로 봐야지, 기업 규모나 가격을 기준으로 보면 왜곡된 자료죠.

래미안이라고 하자가 저렇게 적을 수 없습니다. 2000년대 후반 한창 래미안 한창 사업할 때 신축 하자로 욕 얼마나 먹었는데요. 지금 래미안 대장주(?) 인 반포 래미안 퍼스티지도 신축 입주때 왠 종일 하자 보수한다고 조합원들 욕하고 난리였는데 크크. 한동안 사업 안하고 잠잠하니까 요즘엔 또 이미지 올려치기 하고 있어요.
23/07/14 17:26
수정 아이콘
댓글 달고 5초만에 삭제했는데 댓댓글이 달렸었네요. 시공능력평가액을 감정평가액으로 잘못 적어서
글로벌비즈니스센
23/07/14 19:40
수정 아이콘
어느 산업이든 업계의 평균적인 인력 수준이나 관행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 삼성이라면 뭔가 다를꺼라는 믿음이 있어서일까요. 그런 믿음을 갖는건 자유지만 요즘 삼성 꼴을 보면 초격차 시절의 삼성이 아니죠... 크크
23/07/14 17:05
수정 아이콘
그냥 시공이 많아서 사고가 많이 보이는건가 했는데
전혀 아니었네요
jjohny=쿠마
23/07/14 17:07
수정 아이콘
좀 더 구체적인 기사가 있네요.
http://www.safe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385

다른 내용은 읽어보시고...
인상적인 게, 전체 신고된 하자건수 중에서 [결로]가 절반 가까이(평균 795건 중 331.6건)를 차지한다는 것 같고요,
특히 GS 건설의 경우 하자 건수 중에서 [결로]가 2818건 중 1930건을 차지한다는 것 같습니다.
이른취침
23/07/14 17:13
수정 아이콘
결로는 보통 단열의 문제인 것 같던데...
구조체도 문제고 마감도 문제인건가?
메가트롤
23/07/14 17:08
수정 아이콘
같이 묶이는 현대건설 불쌍 크크
산밑의왕
23/07/14 17:17
수정 아이콘
정의선은 5촌삼촌이 싫을듯요 크크
nm막장
23/07/14 18:21
수정 아이콘
5촌 삼촌이 먹을 뻔한 현대차를 MK가 먹어버려서 서로 악연이긴 하네요 실제로는 어떨지..
No.99 AaronJudge
23/07/14 19:35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크크..
아스날
23/07/14 17:16
수정 아이콘
16년 준공 아이파크 사는데 무너지진 않겠죠...
shooooting
23/07/14 17:25
수정 아이콘
아이파크, 자이는... 사는 사람들도 불안..
23/07/14 17:38
수정 아이콘
매출에서 비주택 비율이 어느정도인지도 봐야죠.
예를들면 현대 삼성 포스코 Sk 등 하자율이 낮은 회사는 그룹사 물량이나 플랜트나 공장 등 비주택 비율이 꽤 높은 편이고요.

대우나 현산 GS등은 주택사업에 꽤 집중하는 회사들이고요.
주택사업 vs 다른 사업 보면 하자개수가 1000배쯤 차이납니다.
물론 상품 특성이 다른거라서 뭐가 옳다 그르다는 아닙니다.
뭐 다 잘하면야 좋지만, 공장 화장실에 타일 라인이 좀 비틀어져도 별 이야기 없지만 주택은 그러면 무조건 하자죠.
대신 FM2 공장 평활도 틀리면 난리나지만 주택은 좀 널널하거나 등등.
건설안전기사
23/07/14 18:30
수정 아이콘
맞는말씀입니다. 현산은 현대건설 주택사업부가 모체인 회사라 포트폴리오의 대부분이 주택이라 민원은 항상 넘쳐나고 GS도 최근 주택사업을 워낙 많이해서 민원이 없을수없죠
구름달
23/07/14 18: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당연히 모두 주택사업부 기준 같습니다. 플랜트나 계열사 물량을 저런 식으로 하자접수하고 집계하진 않을꺼구요.

당장 삼성물산의 매출 30-40%가 삼성전자 평택에서 발생하고 래미안은 시공 중인 사업장이 한자리 수 수준이라 주택사업 매출비중이 10%가 될까 싶은데... 만약 그냥 건설사 총 매출기준으로 집계된거면 그다지 의미없는 통계라고 봐야죠.
건설안전기사
23/07/14 18:45
수정 아이콘
자료에 써있듯이 시공능력평가액 기준이면 플랜트, 토목 포함입니다.
글로벌비즈니스센
23/07/14 19:42
수정 아이콘
그러면 별 의미가 없군요. 삼성, 포스코, DL, 현건은 일찌감치 포트폴리오가 다양해진지 오래라...
23/07/14 18:56
수정 아이콘
네 그렇죠.
시공능력 평가 1조원 당 자료면 전 사업 다 포함이고 디테일한 사업비율을 어디까지 공개하는지는 저도 모르겠네요.
(저도 저희 회사 자료야 당연히 있지만 타사는 몰루?)

그래도 기자가 그렇게 전사를 다 조사해 분류는 안했을거라 봅니다.
아마 그 고생을 했으면 분명 적었겠죠.^^

어느정도 데이터를 조금은 걸러보실 필요는 있다고 생각해서 적었습니드.
23/07/14 17:56
수정 아이콘
저기 있는 건설회사의 공동주택 건설현장에 근무중입니다만..
상당히 흥미로운 자료네요.
건수 조사 기준이 어떤건지 좀 궁금해집니다.
뒤집어지는서수길
23/07/14 18:12
수정 아이콘
이게 기사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액을 분모로 계산한 수치인데, 삼성물산의 경우 시공능력평가액은 20조~25조 정도 됩니다
근데 삼성물산이 실제로 지난 3년간 그 시공 능력만큼 래미안을 지었냐 하면 그건 또 아니라서 뻥튀기가 좀 있습니다

GS는 3년간 아파트 65~70단지 이상을 준공했고, 2818건 하자가 있었고
삼성물산은 3년간 아파트 10단지 정도를 준공했고, 115건 하자가 있었는데

두 회사간 하자 건수를 본문처럼(1.8대 94.6) 같은 1조원으로 52배 차이난다고 보기엔 조금 실제와 체감상 다른 면이 없지 않아 있죠,
적당히 5~6배 정도 차이라고 본다면, GS가 94.6 일경우, 삼성도 얼추 15~20 정도는 된다고 봐야하지 않을까 싶네요
뒤집어지는서수길
23/07/14 18:25
수정 아이콘
그래도 어쨌든 상위권인건 맞는듯 해서

삼성물산(래미안), DL이앤씨(이편한세상) 은 상위권
포스코(더샵), 현대(힐스테이트),SK(sk뷰) 는 비주택부분이 좀 많아 계산이 안되서 논외
대우(푸르지오), 롯데(롯데캐슬) 은 무난무난한듯 하고
GS(자이), HDC(아이파크)는 분발필요 정도로 구분할 수 있을거 같네요

근데 저 자료만큼의 극단적인 차이는 아닐거 같아요, 시공능력평가액을 기준으로 잡은게 좀 거시기해서
건설안전기사
23/07/14 18:24
수정 아이콘
현산과 GS는 주택사업 위주 회사라서 민원이 많을 수 밖에 없어요.
하아아아암
23/07/14 18:30
수정 아이콘
햐지만 대우와 비교해도...
건설안전기사
23/07/14 18:32
수정 아이콘
대우건설은 주택:플랜트:토목 비율이 거의 비슷하고 현산은 주택사업이 70프로 넘는걸로 압니다. 민원이 2배 이상으로 나오는게 당연하죠.
23/07/15 07:30
수정 아이콘
GS도 플랜트 좀 많이하지 않나요
건설안전기사
23/07/15 08:55
수정 아이콘
예전엔 꽤 했는데, 근래 많이 줄여서 플랜트 매출이 전체 매출의 10%도 안됩니다
23/07/14 18:28
수정 아이콘
저정도의 차이는 없을거라봐요. 윗분들 말처럼 아파트인지 공장인지도 구분지어 봐야하고..
삼성이 좀 깐깐하게 관리하는편이라 듣기는 했습니다. 근데 다른회사도 케바케라서.. 저기 목록에있는 다른건설사 현장일 하신분께도 들은건있고
VictoryFood
23/07/14 18:28
수정 아이콘
래미안은 잘 안 짓는다니 더샵을 노려봐야 겠군요. (못 노림)
코인언제올라요?
23/07/14 18:30
수정 아이콘
레미안 원탑...
탑클라우드
23/07/14 18:39
수정 아이콘
삼성이 관리를 까다롭게 한다는 얘기가 사실이긴 한가보네요
의문의남자
23/07/14 18:4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아파트 살려면 뭘사야되는겁니까
23/07/14 18:51
수정 아이콘
걍 능력 닿는 선에서 가장 좋은 입지 나오는거 사시면 됩니다.
Gorgeous
23/07/14 19:33
수정 아이콘
최대한 입지 좋은거요.

요새 비웃음거리가 된 자이 시공 서그자, 방그자, 신반자, 개자프랑 이런글마다 꾸준히 칭송받는 래미안 시공 이문1구역 가격 보면 답 나오죠. 이문1구역이 하자 적은 삼성물산이 시공한 더 새 아파트인데 시장에서의 평가는 하자로 이슈가 된 위에 자이 아파트들이 비교불가할 정도로 좋습니다. 이건 이문1구역이 별로라서가 아니라 입지 차이가 너무 심하게 나서 어쩔수 없는겁니다.

같은 동네, 비슷한 연식에서 고를때나 시공사 따지는거지 부동산은 어차피 입지라 입지 보고 사야죠. 결국 그게 가격에 다 녹아있는거구요.
의문의남자
23/07/15 12: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렇군요. 최근 덕은동에 아파트들보는데 대부분 자이라서 아버지가 못사준다고합니다 ㅠ. 삼송동쪽 보라는데 힘드네요. 상암동은 10년된것들이 가격은 5억이상씩 더 비싸고
지니팅커벨여행
23/07/14 19:29
수정 아이콘
더 정확한 지표를 뽑으려면 아파트 건설 기준으로 세대수 당 하자 건수를 집계해야겠네요.
삼성은 표본이 작으니 저 데이터만 믿기는 힘들고, 현산이랑 GS는 이 기업들 자체를 믿기 힘들고...
No.99 AaronJudge
23/07/14 19:38
수정 아이콘
재건축할때 GS나 현산은 좀 기피되려나요? 슬슬 업체 정해야할텐데…
23/07/14 21:14
수정 아이콘
플랜트건설쪽인데 GS면 공사할때 무진장 까다롭게 보는데
일반건설현장은 다른가봐요
TWICE NC
23/07/14 21:21
수정 아이콘
아파트 아닌 공장 등을 건설하는 업체들에 대한 과소 집계 되는 어쩌면 하자 수 적은 업체의 자사 홍보용 자료일 수도 있겠습니다
jjohny=쿠마
23/07/14 22:08
수정 아이콘
위에 추가 링크 인용했는데요,
특정 국회의원실에서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요청해서 받은 자료로 보입니다. (유게니까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겠습니다)
똥진국
23/07/14 21:43
수정 아이콘
경기도 지역 이를테면 가평, 양평 같은 지역에서 짓고 있는 아파트는 서울에서 문제된 자이 아파트 보다 건설과정이나 지금 건설상태가 안좋은 의미로 심각할까요?
23/07/14 23: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런 거 그냥 싹 다 일단 회사가 대출을 받던 뭘 하던 간에 회사 돈으로 짓고 나서 구매자가 직접 눈으로 보고 검사한 후에 판매하는 방식으로 하면 지금의 절반 이하로 하자를 줄일 수 있을 겁니다. 검사했는데 하자가 발견되면 집이 판매가 잘 안 될테니까요. 만원짜리 티셔츠를 사도 직접 입어보지 않고 인터넷에서 주문하면 사이즈가 잘 안 맞을 것 같아서 배달 와서 입어볼 때 까지 불안한데, 몇 억에서 몇 십억씩 하는 물건을 보지도 않고서 돈을 내고 사야하는 제도는 도대체 누구 좋으라고 만든 제도인지..
앙몬드
23/07/15 06:51
수정 아이콘
이러면 아파트 가격이 엄청 오르는데 그건 생각하셨나요?
23/07/14 23:10
수정 아이콘
역시 래미안이 답인가요
MissNothing
23/07/15 00:29
수정 아이콘
뭐 댓글로 말씀하시는것들 보면 역시 통계는 그냥 통계를 만드는 사람이 보여주고 싶은 수치가 나오는 것 같네요.
그런데 그걸 감안해도 삼성물산은 좀 유의미하게 낮은거 아닌가 싶기도하고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8833 [유머] AI가 구현한 국내 주요 대기업 본사 사옥 [26] 코우사카 호노카12456 23/10/24 12456
488647 [유머] 이마트가 왜 망해가는지 깨달아버린.jpg [76] Myoi Mina 15209 23/10/20 15209
488552 [기타] 혜자 도시락 잡으러 나온 백종원 도시락 후기 [36] 아롱이다롱이12591 23/10/18 12591
488521 [유머] 신축아파트의 기술력 [40] Leeka16650 23/10/18 16650
487739 [게임] 오늘 오버워치 결승후 중계진들 단체 사진 [26] 달은다시차오른다9153 23/10/02 9153
487661 [음식] 중화요리의 면 음식들(식전주의) [19] 삭제됨10493 23/09/30 10493
487526 [기타] 순살아파트 근황 [40] 김티모14933 23/09/27 14933
487426 [유머] 창세기전 회색의 잔영 12월 출시! [66] 월드플리퍼11119 23/09/26 11119
487219 [유머] 신세계 그룹 상반기 영업이익 비교 [54] Leeka11806 23/09/22 11806
487200 [기타] 맛탱이가 가버린 이마트24 어플 [68] 톰슨가젤연탄구이13264 23/09/22 13264
486944 [유머] 애플이 점유율 1위지만 정발조차 안해주는 나라 [33] phenomena13147 23/09/17 13147
486612 [스타1] 준우승도 중요한 커리어인 이유 [44] Leeka9536 23/09/12 9536
486608 [LOL] 페이커가 은퇴하기 전까진 안깨질 앰비션의 기록 [25] Leeka10792 23/09/11 10792
485738 [기타] 국토부, '철근누락' GS건설 10개월 영업정지 처분 [43] Myoi Mina 10827 23/08/27 10827
485146 [유머] 근본 있었던 나겜 시절 [42] Life's Too Short10911 23/08/17 10911
484775 [유머] 요즘 커뮤니티 근황 [88] 퍼블레인13500 23/08/11 13500
484223 [방송] 편의점 하루에 100만원 팔면 얼마 남을까? [63] Avicii12154 23/08/04 12154
484160 [유머] 경제는 차갑다(feat 잼버리) [27] 맥스훼인10559 23/08/03 10559
484144 [게임] 사우디 스타크래프트 2 대회 Gamers 8 대진표 [3] Pika486121 23/08/03 6121
483954 [기타] 철근 빼먹기 폭로한 블라인드글 [35] 꿀깅이12146 23/07/31 12146
483939 [기타] 진짜진짜 순살 아파트 [71] 밥과글13881 23/07/31 13881
483832 [스타1] 스2 8강러 전태양 근황.jpg [7]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6676 23/07/29 6676
483232 [유머] 잘못된 행동으로 대기업 취업길이 막혔습니다 [55]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556 23/07/20 1355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