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7/04 16:53:01
Name 피죤투
File #2 111.png (1018.0 KB), Download : 98
출처 구글
Subject [서브컬쳐] 소.솔직히 일본애니 전성기는 지금이라 생각해요...


마..맞잖아요! 때리지 마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7/04 16:55
수정 아이콘
영감님의 영광의 시대는 언제였죠?
방과후티타임
23/07/04 16:56
수정 아이콘
팩트 말고 느낌으로 승부하시죠. 케이온때가 전성기 아닙니까?
리얼포스
23/07/04 16:58
수정 아이콘
맞죠
티타임
23/07/04 17:21
수정 아이콘
티타임 원툴 애니 자제요
23/07/04 18:10
수정 아이콘
갈!!!!!!!
No.99 AaronJudge
23/07/04 18:00
수정 아이콘
Lord Be Goja
23/07/04 18:08
수정 아이콘
아 그쯤에 본글이 애니들이 본전뽑기 힘들어서 티비는 시청률 기대도 안하고 그거보는 소수의 오덕들이 파는 피규어나 cd에 수익을 기대하는 구조라고 본듯한..
Dark Swarm
23/07/04 23:31
수정 아이콘
그렇게 말하던 시기에도 매출은 계속 증가하고 있었죠,
물론 시청률로만 따지자면 별 거 없는 건 맞고 쪽박차는 작품도 상당수 있던 건 사실입니다만 전체로 보면 계속 잘 나가던 게 현실이죠.
실제상황입니다
23/07/04 19:23
수정 아이콘
하루히, 코드기어스 때가 전성기죠
다레니안
23/07/04 16:56
수정 아이콘
예전에 페이트 제로보고 "와 씨 미쳤다 작화 도르싄???" 했는데 요즘엔 어지간한 애니작화도 다 끝장나게 나오죠. 크크크
그만큼 많은 자본이 투자된다는 뜻이니 지금이 최전성기가 맞지요.
아이폰14프로
23/07/04 16:56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及時雨
23/07/04 16:57
수정 아이콘
맞는 말이구나 봇치야
아따따뚜르겐
23/07/04 16:58
수정 아이콘
그래서 그런지 요즘 리메이크작들 발표가 많더라고요
티타임
23/07/04 16:59
수정 아이콘
넷플릭스의 위엄이죠. 전세계 사람들이 방구석에 앉아서 터치 몇번으로 영상매체를 보는 시대가 도래했고 퀄리티를 갖춘 일본애니는 앞으로 더욱 흥할일만 남은것 같습니다. 다만 인건비가 가장 큰 걸림돌인데 요즘 AI발전속도를 보니 해결될 날도 머지않은것 같습니다.
왕립해군
23/07/04 16:59
수정 아이콘
작화야 시대에 따라 성장하고 시장도 큰거 맞죠. 거기에 에이원이 클로버워크스로 분사하고 좋은 작품 많이 냈죠. 다만 작년에 봇치더락 스파이패밀리 비스크돌 내고도 적자라는게 좀..

물론 업계인 트윗에서 보면 적자만큼 스태프에게 돌아갔기 때문에 큰 문제 아니라지만 어쨋든 결산에 찍힌건 적자..
반찬도둑
23/07/04 19:41
수정 아이콘
그건 2분기만 따졌을 때 적자지 다른 분기 다 따지면 흑자였습니다
왕립해군
23/07/04 19:46
수정 아이콘
기사를 보시면 알겠지만 분기 아니라 년단위입니다. https://gamebiz.jp/news/371214
반찬도둑
23/07/04 20:01
수정 아이콘
아 22년 꺼를 착각했네요
RapidSilver
23/07/04 17:00
수정 아이콘
크크 본문과 반대되는 의견이긴 한데
올해 초에 티빙에서 베르사유의 장미를 정주행했었는데, 제가 이전에 봤던 2010년대 이후 일본애니메이션하고 비교했을때
확실히 몬가몬가 격이 있고 작품성 있다는 생각이 들긴 했었어요.
캐릭터들 하나하나가 입체적이고 그림체도 특색이 강하고요.
순정만화이긴 하지만 사극을 보는 느낌으로 각잡고 봤던 기억이 납니다.
Blooming
23/07/04 17:02
수정 아이콘
제작도구의 발달로 결과물의 전반적인 품질은 계속 발전하고 있을텐데, 글쓰기 부분은 오히려 유사 분야 여러 곳에서 인재를 나눠 가질거라 나아진 것 같지는 않아요.
코우사카 호노카
23/07/04 17:01
수정 아이콘
시대는 환일의 요하네다..!!
23/07/04 17:03
수정 아이콘
최고점은 모르겠습니다만 OTT 때문에 평균 질 엄청 올라간건 맞죠.
개인정보수정
23/07/04 17:03
수정 아이콘
작화만 보면 저말 맞다고 봄. 00년대 TVA작화들은 지금보면 눈물겹죠. 정신나간 오리지날 전개로 원작 능욕하는 경우도 많고
작은대바구니만두
23/07/04 17:03
수정 아이콘
어허 퍼건 상영회에 얼마나 많은 할배들이 모여서 담소를 나눴는지 아십니까
덴드로븀
23/07/04 17:07
수정 아이콘
일본애니의 시대가 아니다! 방구석매니아의 시대다!
단비아빠
23/07/04 17:04
수정 아이콘
글쎄요.. 산업적으로 보면 맞는 얘기겠지만..
헐리우드도 매년 성장하고 있으니 지금 이 순간이 최고 규모겠지만
요즘 헐리우드가 과연 그렇게 평가받을만한 작품들이 나오고 있는지는 의문이군요.
23/07/04 17:04
수정 아이콘
그래서 2기는 언제나오니 봇치야
카즈하
23/07/04 17:05
수정 아이콘
귀멸의 칼날 도공마을편까지 보고, 일본 애니는 지금이 전성기라고 생각했습니다.
OcularImplants
23/07/04 17:08
수정 아이콘
헐리우드랑 마찬가지죠 프로덕션 밸류는 올랐는데 쓸만한 이야기가 없음
노래하는몽상가
23/07/04 17:09
수정 아이콘
드래곤볼 나루토가 전성기일때는 애니 전성기가 아니라 만화책 전성기 아닌가요
이정재
23/07/04 23:16
수정 아이콘
만화책도 최근이 전성기입니다
김첼시
23/07/04 17:10
수정 아이콘
예전이 일본만화의 전성기이고 지금이 일본애니의 전성기라고 할수도 있겠죠
키모이맨
23/07/04 17:10
수정 아이콘
너무 인기있어지지 마...나 약간 기분이 이상해
무도사
23/07/04 17:11
수정 아이콘
글쎄요
양적으로 팽창한건 맞는데 솔직히 그만큼 양산형 쓰레기들도 많아졌다고 생각합니다
분기별로 주목받는 몇몇 작품들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퀄이 점점 떨어지는게 눈에 보여서..
업계 종사자들을 위해서 일 규모는 어느정도 유지해야겟는데 자본은 한정적이니 저퀄리티 작품도 늘어나는것 같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3/07/04 17: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역사이래 양적으로는 오래남을 명작 하나 있으면 그 외에 당시에는 좋았다 몇개 그 외 수백개의 쓰래기로 이뤄진건 바뀐적 없을걸요...
그 후 오래 살아남는 것들 중에선 자연선택당해서 많이 배제되니까 좋아보이는 밀도가 좋아보일 수는 있죠
고세구
23/07/04 17:39
수정 아이콘
2008년만 해도 카노콘 같은 걸 두고(지금은 당시 애니 본 옛날 사람 아니면 이름도 모를 작품) 요즘 애니 수준 많이 죽었다, 돈 벌려고 벗겨대는 것만 좋아하고 8090 당시 작품이 그립다 하는 옛날 사람이 많았는데 지금은 그 당시를 토라도라, 마크로스F 등이 나온 옛날의 좋은 시절의 일부로 기억하죠 크크
된장까스
23/07/04 17:48
수정 아이콘
카노콘 크크크 진짜 그 당시 애니 본 사람 아니면 모를 양산형 뽕빨 애니긴 했죠.
고세구
23/07/04 17:50
수정 아이콘
8090의 명작 비율은 제가 그 시절을 잘 모르니 확언 못하겠는데 2000년대부터의 명작 비율은 진짜 지금이랑 다를 거 없다고 확신합니다 흐흐
스덕선생
23/07/04 17:57
수정 아이콘
8090은 정말로 저희 시대보단 더 명작 비율이 높을 수 밖엔 없죠.

그 땐 애니메이션 하나 망하면 제작진 + 회사가 거지꼴로 길바닥에 나앉는 낭만의 시대(?)기 때문이죠

마찬가지로 당시가 왕도물 위주였던 것 역시 목에 폭탄목걸이 채워진 상태에서 누렁이픽 따위를 할 결정권자는 없어서고요 크크
카마인
23/07/04 17:13
수정 아이콘
실사화의 전성기도 지금이어야 더 안 만드는데 . . .
우엉징아리
23/07/04 17:13
수정 아이콘
라프텔 고마워!!
아브렐슈드
23/07/04 17:13
수정 아이콘
그게 맞는소리네 봇치야
고세구
23/07/04 17: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옛날의 훌륭하고 멋진 작품'들은 10년 단위로 길게 세어서 하나하나 나열하고, '요즘의 쓰레기만 넘쳐나는 작품'들은 1, 2년 단위로 짧게 세어서 아~ 볼 거 없네~ 하는 경향이 있기는 한 것 같습니다. 2000년대 중반에도 양배추 공을 썰고 하는 작품이 범람하던 시절 분명 같은 얘길 봤었는데(옛날에는 이러이러한 명작들이 나왔는데 요새는~) 어느 샌가 좋은 작품 몇 개만 골라 기억하고는 그때도 황금기였다고 기억하더라구요. 그때가 모자란 시절이었다는 게 아니라, 현재를 과거에 비해 모자라게 느끼는 경향은 시대를 가리지 않고 있는 듯...
키모이맨
23/07/04 17:18
수정 아이콘
어느 분야나 그렇지만 지금도 회자되는 과거의 작품들은 가장 뛰어난 엑기스들만 모으고 모아서 회자되는거라서
예나 지금이나 분기별로 싹 다 보면 제체감상 그냥 비율은 대충 비슷합니다 크크크
고세구
23/07/04 17:21
수정 아이콘
과거에 열정 있게 덕질을 하던 사람들이 지금은 열정이 식어서 대충 휘휘 둘러보고는 '과거의 그 시절'보다는 못하네~ 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2000년대 중반도 8, 90년대에 비해 저열해졌다고 욕 먹었었는데 203, 40년대쯤 되면 그때도 지금의 젊은 덕후들이 '2020년대에는 이러이러한 작품이 있었는데~ 라고 할 것 같네요 크크
티아라멘츠
23/07/04 17:41
수정 아이콘
아 근데 버블시대쯤으로 올라가면 짧게 세어도 좀 쩔긴 했 읍읍
고세구
23/07/04 17:45
수정 아이콘
버블 시대는 그 이전에도 없었고 이후에도 없을 이레귤러 시기 아임니카 크크...

위가 누구한테나 이야기할 수 있는 이야기고, 아래로는 제가 찾아보지는 않았으니 뇌피셜일 뿐인데, 버블시대 명작이라고 해도 비율로 보면 그렇게 대단하게 훌륭한 작품만 나오고 못난 작품은 나오지 않았던 시기였을까 싶기는 해요. 보따리상이 비디오에 싸갖고 온 진짜 훌륭한 작품들만 기억하는 건 아닐까... 물론 첫 줄처럼 버블 시대는 이레귤러로 보는 게 맞을 수도 있고 흐흐
된장까스
23/07/04 17:49
수정 아이콘
사실 지금 버블애니라고 작화 언급하는거 상당수는 버블 끝난 90년대 중후반 애니라는게 함정이죠.
고세구
23/07/04 17:52
수정 아이콘
만약 그렇다면 제 첫플이 힘을 더 받는 셈이네요. 좋았던 옛 시절은 20년 단위로 기이일게 세면 좋은 작품이 너무나도 많을 수밖에...
티아라멘츠
23/07/04 17:56
수정 아이콘
사실 소위 운운하는 버블시대는 길게 잡아도 80후부터 90후까지 세는거라 20년 단위는 아니긴합니다 크크크크
고세구
23/07/04 17:58
수정 아이콘
인터넷 자료를 보면 마크로스 미사일 움짤을 거기에 끼는 경우가 잦은데 마크로스는 또 82년이라... 일단 말하는 사람들부터 중구난방이고 어떤 경우는 틀리기도 하고 해서 더 어지러운 거 같네요 흐흐
티아라멘츠
23/07/04 18:02
수정 아이콘
사실 좀 짧게 80후부터 세도 아키라부터 세야되고 90중후부터 개빡빡하게 세어도 비밥 공각 나디아 에바 세일러문 같은 것들 끼어서 개쩌는 시대는 맞다고 생각합니다. 잘만들었다 레벨이 아니라 영화사에 기록될 놈들까지 나온거라;;;
고세구
23/07/04 18:08
수정 아이콘
사실 더 진지하게 말하자면 버블애니라 하면 1991년 이후를 세서는 안 되지 않나 싶습니다. 그 기록적인 대폭락으로 버블은 이미 끝났는데 90년대 후반까지 버블애니라 하면 토라도라를 밀레니엄 작품이라 하는 거랑 비슷한 느낌... 다른 분류나 네이밍이 필요한 것 같아요
티아라멘츠
23/07/04 18:11
수정 아이콘
고세구 님// 그건 맞긴 합니다 하지만 어쨌든 지금 당장은 세간의 용어를 제가 쓸 수밖에 없기에 크크..
그리고 보통 개쩌는 과거 운운은 저때를 주로 이야기하죠
티아라멘츠
23/07/04 17:54
수정 아이콘
그건 그렇긴합니다 그러나 그시대가 쩔긴 했어요 흑흑..
그리고 쩐다 어쩐다 이전에 지금은 그런 식으로는 이야기를 뽑아주지 않을 거란걸 알기때문에 더욱 아쉽습니다. 그림이 요즘도 잘 나오지만 난초그림 말고 벽화 천장화도 보고 싶은 거에요..
플리트비체
23/07/04 17:18
수정 아이콘
지금은 모든 영상 컨텐츠가 초호황을 맞아서 저렇게 보이는 것 뿐이죠 유튜브,OTT 때문에 지금컨텐츠 투자,발굴이 역대급 경쟁을 하고 있고 낙수같은걸 받았다고 봅니다
애니메이션의 작품성, 완성도는 옛날만 못하죠
드라고나
23/07/04 17:22
수정 아이콘
1원화 2원화로 원화 작업을 분업화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해 후반 작업을 중국의 많은 인원을 이용해 빠르게 끝낼 수 있게 된 게, 지금 일본 애니메이션의 작화 평균 수준을 높인 요소죠.


그럼에도 애니메이터들이 열정으로 자기 몸 갈아넣는 게 현실이고요.
묵리이장
23/07/04 17:22
수정 아이콘
작년 4분기 생각하면 전성기 찍었다고 봅니다.
겨울삼각형
23/07/04 17:23
수정 아이콘
싸펑 에지러너도 일본 애니죠!
크레토스
23/07/04 17: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작화는 해상도만 봐도 맞는 얘기인데
산업규모와 질은 비례 관계 아니라 봐서요.
다 떠나서 1쿨 나오고 끝나는게 대부분이고
뒷 이야기 궁금하면 원작 보게 하는게 많아서 맘에 안듭니다.
옛날 같았으면 더 길게 나왔을텐데...
4쿨씩 나왔던 옛날 애니가 일본 내에서 인기 그저 그랬다는 말 보면 신기하더라고요.
요즘 기준으로 4쿨이면 초대박 애니나 나오는 건데..
23/07/04 17:23
수정 아이콘
전체적으로 오타쿠 성향의 인구가 많이 늘어난것 같습니다
23/07/04 17: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넷플릭스의 투자 이후 평균적인 질적 상승이 있었던건 맞다고 생각해요. 작년만 해도 엣지러너, 모브사이코, 봇치 더 록 같은 수작들이 있었구요. 상업적, 글로벌적 주목도의 측면에선 지금이 최전성기인건 분명할거에요. 솔직히 아키라, 공각, 레인 같은 작품 끌고오면 할말 없긴 한데 사실 암흑기라던 10년대에도 관심을 못받았을뿐 좋은 작품은 꾸준히 있어왔죠. 유아사 마사아키 감독의 다다미 넉장반 세계일주, 밤짧걸아, 핑퐁 같은 작품은 개인적으로는 손에 뽑는 작품이고 어느시대에 나왔어도 명작으로 인정받았을겁니다.
스덕선생
23/07/04 17: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확하겐 시스템은 발전했는데 인력은 그걸 못 따라잡은 상황이라고 봅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해당 시기를 지배한 A급 아니메에도 한 화마다 작붕이 나왔으며, S급 아니메라고 해도 잘 찾아보면 이상한 실수들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어느 정도 투자를 받은 작품들은 그런 면에서 자유로운 편입니다.

반면 그 시스템이 담은 작품들의 이야기 완성도는 아쉽죠. 제가 귀멸을 깐 적 있지만 사실 10년 후반 ~ 현재까지 그 정도의 짜임새있는 스토리를 갖춘 작품은 아주 드뭅니다.

과거 작품의 리메이크나 후속작 역시 같은 이유라고 보는데 이야기가 이미 완성된 점이 크다고 봅니다. 과거 성공 못한 PSG조차 리메이크되는걸 보면요.
23/07/04 17:36
수정 아이콘
분기마다 20개씩 보는데 옛날보다 지금 퀄이 평균적으로 더 좋은 거 같습니다
옛날에도 좋다고 한 분들은 옛날에 저처럼 하렘 뽕빨물 같은 거 잘 안 보셨을 듯 크크
피죤투
23/07/04 17: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시대별로 흥행작,양산작 추려내서 비교하면 재밌을듯
스덕선생
23/07/04 17:38
수정 아이콘
온갖 망작도 본 Dog10덕으로서 인정 못합니다. 그 카x콘도 재밌게 본 누렁이인데 과거가 좋습니다 쿰척쿰척!
23/07/04 17:40
수정 아이콘
옛날에 하렘뽕빨물 많았는데
지금은 이세계만 많아서 아쉽습니다
물론 저는 이세계도 지금 다 보고 있다능..
No.99 AaronJudge
23/07/04 17:58
수정 아이콘
이세계가 많긴해요…


..신기하게 저는 웹소는 아카데미건 이세계건 다 먹는 누렁이인데
애니만 보면 뽀삐가 되어서 초흥행작(카구야라던가..귀칼이라던가..)만 집어먹는 저를 발견하게 되더라구요
23/07/04 18:02
수정 아이콘
레디바토 재밌게 봤죠
고세구
23/07/04 17:41
수정 아이콘
옛날에도 카노콘처럼 더 옛날 사람들한테 라떼 소환하는 작품은 많았었죠... 심지어 그보다 못해서 언급조차 안 된 작품도 부지기수였다는 거...
아케이드
23/07/04 17:38
수정 아이콘
귀멸의 칼날을 분기점으로 수작들이 쏟아지고 있죠
OTT로 인한 자본유입이 큰 요인인 듯 하구요
jjohny=쿠마
23/07/04 17:41
수정 아이콘
생각해본 적은 없는 것 같은데,
본문 읽고 보니 지금이 전성기 맞는 것 같습니다.
음정희
23/07/04 17:42
수정 아이콘
단기 포스는 를르슈가 진짜 엄청났던 기억... 엄청 짧았지만
오우거
23/07/04 17:42
수정 아이콘
저도 과거의 추억을 먹고 사는 틀딱 아재지만
지금이 전성기 맞습니다.
티아라멘츠
23/07/04 17:44
수정 아이콘
작화는 좋아진거 맞는데 이야기는 아쉽습니다.
특히 저는 왕도파인데 왕도물 많이 죽었.. 소설가가 되자 까지 찾아보는 특급 누렁이인데 아쉽다고 느끼긴해요.

전체적인 수준은 올라오거나 괜찮긴 한데 예전에는 거대 벽화/천장화도 자주 그렸다면 요즘은 난초그림 같은 소품만 미술관에 있는 느낌이에요 그림 자체는 잘 그렸어도 말이에요
아케이드
23/07/04 17:59
수정 아이콘
그 왕도물이라는게 요즘 기준에서는 진부하게 보여서...
티아라멘츠
23/07/04 18:03
수정 아이콘
헤으응 하지만 그리드맨은 아직도 개쩔었어요오..
고세구
23/07/04 18:10
수정 아이콘
저는 다이나제논! 극장판 한국 개봉 안 한 게 아쉽네요 ㅠ
티아라멘츠
23/07/04 18:12
수정 아이콘
그거 언제하냐구요 제발 돈 두배로 내라고 해도 낼테니까 보게 해줘요 흑흑
진짜 잘뽑혔다고 칭찬이 자자하던데..
고세구
23/07/04 18:16
수정 아이콘
솔직히 다이나제논의 요모기 유메 감정선은 웬만한 연애물들 싸대기를 왕복으로 친다고 생각해요 훌륭한 전작의 아쉬운 점 중 하나를 완벽히 극복한 예시 같은 작품인데 그 후속작을 아직도 못 보고 있다니...
티아라멘츠
23/07/04 18:25
수정 아이콘
안 나온게 아니고! 나왔는데! 잘뽑혔는데!!
못보고있는거니까!!! 아주 빡칩니다!!!!
등짝에칼빵
23/07/04 18:10
수정 아이콘
그래도 지금 최고의 인기 애니가 왕도물인 귀멸의 칼날이긴 하죠.
살짝 다른 얘기 하자면 지금 나루토 4기 중반 정도 보고 있는데, 귀멸 작가가 나루토를 정말 좋아해서 많이 참고했다고 하던데 보니까 정말 그렇다군요.
우린 둘이서 하나니까 나올 때는 깜놀
환상회랑
23/07/04 17:45
수정 아이콘
자기 시대를 고평가하여 은근슬쩍 요새 패권작인 자신을 올려치는 봇치쨩 크크
이정재
23/07/04 17:46
수정 아이콘
움짤 몇개 들고와서 버블이 어쩌고 하는거보면 한숨...
탑클라우드
23/07/04 17:47
수정 아이콘
최근 넷플릭스 애니 보다 보면, 진짜 작화 미친(?) 작품들이 종종 있더라구요.
스덕선생
23/07/04 17: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여담이지만 현재는 좋은 시스템을 아무 작품이나 이용하면 과거엔 좋은 작품을 말아먹는 애니도 많았죠

대표적으로 봉신연의, 월희 등 지금 기준으론 유포터블이나 넷플릭스 오리지날같은 특급 제작진이 모셔갈 작품들이 시원하게 망... 크크

봉신연의는 최근에 하나 다시 나왔다곤 하던데 인기가 식은지 십수년 뒤 뒷북이라 별 관심을 못 받았던걸로 기억합니다
카페알파
23/07/04 17:52
수정 아이콘
근데, 저렇게 보기만은 어폐가 있는게, 앞으로 작화 기술은 발전했지 퇴보하진 않을 건데, 작화 기준으로 본다면 계속 전성기(?)가 될 거라...... 그리고, 세계 시장 규모에 관한 것도 지금은 예전에 비해 서양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을 즐기기 쉬운 시스템이라서....... 하지만, (작화로 전성기 따지기는 좀 그렇더라도) 원인이야 어쨌든 시장 규모도 전성기 여부를 평가하는데 들어갈 수 있으니 어느 정도는 맞는 이야기 같기도 하고요.......? 물질적(?)인 면을 제외하고 캐릭터성이나 작품성으로 들어간다면 다소 달라질 수도 있을 가능성도 없진 않겠지만요.
Dark Swarm
23/07/04 23:44
수정 아이콘
그런 물질적인 면을 빼고 얘기하자면 결국 취향의 차이 같은 주관적인 거라서... 그렇다고 이런 걸 무슨 대통령 선거하듯이 비교적 공정한 시스템으로 순위를 매길 수 있는 것도 아니고요.
No.99 AaronJudge
23/07/04 17:56
수정 아이콘
근데 좋긴 해요 요새퀄들

제가 뭐 마크로스나 공각기동대 이 세대는 아니라 그때랑 비교는 못하겠는데
terralunar
23/07/04 17:58
수정 아이콘
비밥이네 뭐네도 다 그때 그시절에 봤는데 특별히 작품성에 우위가 있는 시대는 없다 생각합니다
접근성이나 양이나 눈요기(?)는 확실히 지금이 훨씬 좋은게 맞고요
kartagra
23/07/04 18:00
수정 아이콘
작화는 지금이 그냥 넘사벽이죠.
유포만 해도 공의 경계 이전 작품이 뭔지 아는 분들 거의 없죠.

물론 그때 유포도 엄청나긴 했어요. 제가 유포터블이라는 회사를 처음 알았던 게, 제대로된 필모도 없는 회사에서 만든 후타코이 얼터너티브라는 애니 작화가 기괴할 정도로 좋아서였거든요. 걍 스토리고 뭐고 작화가 신기해서 계속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때랑 비교하면 크크.

다만 작화 발전 수준에 비해 다양성이나 스토리가 발전했냐 하면, 딱히 그런 건 또 아니죠. 퇴보했다고 보기도 애매합니다만. 그래서 예토전생이 유행하는 느낌도 듭니다. 아무래도 고자본이 투입되는 건 확실해 보이고, 안전빵을 택하려면 결국 실험적인 시도하긴 더 어려우니까요.
terralunar
23/07/04 19:42
수정 아이콘
후타코이 얼터너티브 크크크크 끝까지 뭔소린지 이해도 못했어던
그래도 엔딩은 아직도 한번씩 듣습니다
Aquatope
23/07/04 18: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문제는 작년 회계결산 기간에 스파이 패밀리, 봇치더 락이라는 홈런을 2개나 때린 클로버웍스가 적자라는 것..
평균 질은 기술의 발전도 있고하니 올라간게 맞는데 미디어믹스 작품 제외하고 오리지널 작품은 확실히 갈수록 약해지는 것 같긴 합니다.
원래도 배가 산으로가기 쉬운 게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인데 그나마 이쪽에 힘주던 쿄애니(KA에스마 문고는 애니화를 전제로한 공모니까 오리지널로 보는게 맞다고 보는 입장)는 아직 정상화되지 않았고 PA는 잘하던 청춘물에서 비틀어본다고 이거저거 해보다가 기대 이하 실적만 내던 와중 아키바 메이드 전쟁이 체면치레한 정도. 다른 제작사를 둘러보면 리코리스 리코일 정도면 흥행은 크게 했는데 캐릭터가 매력있는거지 스토리는 좀..

좀 더 생각해보니 오드택시가 인상적이었는데 빼먹었군요.
강동원
23/07/04 18:13
수정 아이콘
아조시들... 신나셨네...
나도... 씐남...
왕립해군
23/07/04 18:13
수정 아이콘
양산형 작품 혹은 이세계물 좋아하는 건 애니만 그런게아니죠..

웹소설,만화 시장에서 대박을 치니 미디어믹스로 만들어지는 것뿐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몇몇 이세계 작품은 흥행 보장되니까 꾸준히 나오는거구요.

그리고 생각보다 도전적인 작품 많습니다.. 원작 있는 작품이지만 오리지날도 그렇고 애니화하기 힘든 작품 애니화 하기도 하구요. 쇼와겐로쿠라쿠고 심중이나 비비 플로라이트 아이즈 송도 있습니다.

오리지날이나 도전적 작품은 진짜 과거보다 훨씬 많아요. 요즘 애니는 많이 나와서 그렇지 쉽게 폄하 될게 아닙니다.
티아라멘츠
23/07/04 19:14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특히 라쿠고심중은 잘 봤습니다. 성우들 열연이 중요한 작품이기도 했지만 크크크
왕립해군
23/07/04 19:49
수정 아이콘
네 언급해주신 성우들의 캐리로 작품에 빠져들게 한다면 그걸 도와주는 연출이 정말 좋죠
무냐고
23/07/04 18:14
수정 아이콘
그게 뭔데!
류수정
23/07/04 18:15
수정 아이콘
예나 지금이나 화려하고 빠른템포로 진행되는 메이저쪽 돈 많이 버는 작품들은 재밌게 볼수는 있었어도 최애급으로 보진 않았는데(80년대 작품들 제외) 요즘 그쪽의 퀄리티가 올라가니까 제 취향 작품들도 덩달아 퀄리티가 상승해서 그건 좋습니다. 예스터데이를 노래하며같은거라던가...
23/07/04 18: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귀멸이나 주술회전 TV판 보면 지금이 전성기가 맞습니다. 10년 조금 더 전만 해도 안정적인 시리즈를 만들 수 있는 곳이 한 손으로 꼽을 정도였어요.

최상위권은 최근 몇년 사이 자본과 기획의 투입이 비약적으로 상승했고, 상위레벨의 작품을 만들 수 있는 곳도 증가했습니다. 애니메이션 또는 오리지널 아니메의 전성기는 아닐지언정, IP베이스로 제작되는 TV판(시리즈) 아니메의 전성기는 지금이에요.
Silver Scrapes
23/07/04 18:33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애니메이션/방영일%20기준%20목록
양산 애니가 많아졌다 하는데 00년 이후로는 비율 거기서 거깁니다. 분기 단위로 끊어보면 오히려 22년 4분기만한 분기가 거의 없음
포프의대모험
23/07/04 18:37
수정 아이콘
버블시대의 마지막 불꽃(ex. 아키라)이 꺼지고...
한국도 인건비가 비싸서 동남아 외주준다는 얘기를 들었을때는 아 이제 2d의 시대는 끝났고 3d가 대체하겠거니 했는데
걍 더 많은 돈이 이걸 극복하네요.
치킨두마리
23/07/04 18:41
수정 아이콘
2010년대 후반에부터 이세계물 유행할 때는 일본애니도 여기까진가 싶었는데
최근 다시 괜찮은 작품들의 비율이 늘어나는거보면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 같습니다.

이러다 갑자기 또 침체했다가 귀신같이 부활하고 반복할겁니다 아마
IVE이서
23/07/04 18:41
수정 아이콘
그래서 요즘엔 도대체 어떤 걸 봐야 합니까! 추천 좀 해주씹씨요? 현재 넷플로 카우보이 비밥 보고 있는 중입니다. 애니가 하도 많아서 뭘 봐야될지 모르겠습니다?
피죤투
23/07/04 18:42
수정 아이콘
요즘 가장 화제성 높은건 최애의아이
아이폰14프로
23/07/04 18:45
수정 아이콘
귀멸의 칼날 추천이요.
Silver Scrapes
23/07/04 18:48
수정 아이콘
1년 내 재밌게 본건 불멸의그대에게, 서머타임렌더, 봇치더락이네요
카페알파
23/07/04 19:39
수정 아이콘
4월은 너의 거짓말(4월 구라), 우마무스메, 암살교실, 플라네타리안, 바이올렛 에버가든, 방과 후 제방일지, 낙원 추방, 사이코 패스, 블랙 라군, 요르문간드, 푸른 강철의 아르페지오(푸강아), 소드아트온라인, 걸즈 앤 판처, 마도카 마기카, 팬티 스타킹 가터벨트(팬스가), 러브라이브......

...... 너무 중구난방 대충 고른 것 같은 데다 좀 예전 것이라 죄송합니다. 추천순......은 아니고 생각 나는 대로 적어봤습니다. 음악 좋아하시고 어느 정도 슬픈 거 괜찮다 하시면 4월 구라, 느와르 좋아하시면 블랙 라군, 요르문간드, 느와르+하드보일드+사이버 펑크=사이코 패스, 게임애니 스포츠물은 우마무스메, 미국식 화장실 유머는 팬스가, 게임 속으로 다이브하는 것의 윈조급이자 2010년대를 대표하는 애니메이션이라 할 수 있는 소드아트온라인, 탱크를 몰며 싸우는 전차도의 소녀들 걸즈 앤 판처, 아이돌 걸그룹들이 춤추고 노래하는 거 좋다하시면 러브라이브, 그 외 암살교실(학교물? 청춘물? 암살물? 절대강자물?)이나 바이올렛 에버가든(바이올렛이 이뻐요), 푸강아(함선의 모에화)도 추천입니다.
IVE이서
23/07/04 21:08
수정 아이콘
추천들 감사합니다 차근차근 즐겨보도록 하겠습니다^^
forangel
23/07/04 18:43
수정 아이콘
버블시대고 뭐고 간에 그시절은 일본 애니를 우리나라에서는 제대로 볼 방법이 없었던게 문제죠..
기껏해야 불법 복제 비디오에 자막도 없던걸 자그마한 티비로 봐야돼서 제대로 감상할수가 없었으니까요.
저도 아키라를 90년에 비디오로 봤지만 자막없으니까 이게 뭐야? 하면서 봤고 그 다음해 폭풍소년 이라고 극장에서 봤었죠.
미야자키하야오 애니만 하더라도 도통 볼 방법이 없었구요.
미야자키하야오 애니의 국내 첫 상영은 아마 93년인가? 홍대에서 축제할때 영화동아리 였을겁니다.
강의실에서 프로젝트로 비디오를 틀었죠. 그 영화동아리의 한 회원이 직접 번역및 자막 달았다고 하더라는..
그때 저도 토토로,라퓨타,붉은돼지등을 처음 봤었습니다. 입장료가 1500원이었던가?크크
물론 지금 저작권 인식으로는 절대 불가능한 불법이지만 그때는 가능했던..
23/07/04 18:50
수정 아이콘
더블오가 수성의 마녀보다 낫던데..
무도사
23/07/04 19:14
수정 아이콘
2000년대 건담은 더블오까지가 딱 정점이고 그담부터는 내리막인것 같습니다
수마랑 더블오 비교는 더블오한테 실례이고 철혈단과 승부를 내야겠죠
실제상황입니다
23/07/04 19:28
수정 아이콘
수마는 파트1 때부터 왜 호평받는지 이해가 안 가는 애니긴 했습니다
작은대바구니만두
23/07/04 19:55
수정 아이콘
우주세기들과 비교하는건 괜히 논란이 많을거 같아서 빼면, 더블오는 단연코 탑입니다.
23/07/04 18:54
수정 아이콘
전성기는 지나고 나서야 전성기였다라는 걸 평가 할 수 있지 않을까요?
게임같은 경우는 애니보다 더 빠르게 성장과 발전 중이라 전성기라는 말을 안쓰죠.
지금이 전성기라는 말은 곧 무너질예정일 때 쓰는 플래그란 말예요. ㅜㅜ
카페알파
23/07/04 19:08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의견에 동의합니다. 사실 일본 애니메이션이 생긴 이후부터 다소의 부침은 있었으나 전성기 아니었던 때는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럴 때가 올지는 모르겠지만 이후에 일본 애니메이션이 다소 쇠퇴하게 되면 전성기를 논할 수 있겠죠. 그 때도 팬들은 갑론을박 엄청 싸울 것 같긴 하지만요.

...... 음, 근데 전성기나 작품성은 모르겠지만 단일 작품으로 사회 전반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에반게리온(1996)이라고 생각합니다.
23/07/04 18:58
수정 아이콘
작화적으로 보면 그렇게까지 작화가 필요한 성격은 아닌 스파이패밀리 같은거도 때깔좋더라고요.
한드만큼은 아니라도 OTT로 비상하고 있는곳이 일본애니 아닐까..
알빠노
23/07/04 19:09
수정 아이콘
피지알 오타쿠 풍년이네
에바 비밥 마크로스 보던 시절이 그립네요
부스트 글라이드
23/07/04 19:12
수정 아이콘
예전엔 쿄애니 하나였다면 지금은 쿄애니급이 한분기에도 몇개씩 나오고있긴해요.
등푸른하늘
23/07/04 19:25
수정 아이콘
라프텔 덕에 쉽게 봄
소시민
23/07/04 19:31
수정 아이콘
제가 열심히 보던 01~08 사이가 전성기인걸로..
23/07/04 20:10
수정 아이콘
귀칼 하나만으로도 지금이 전성기 맞습니다 크크
23/07/04 21:11
수정 아이콘
요즘 애니들은 눈이 확 가는 작품이 없어요.
블래스트 도저
23/07/04 21:12
수정 아이콘
작화는 엄청 발전했죠

그냥 원피스 애니만 봐도
지금 와노쿠니편 작화 동화 보면 과거 OVA 이상입니다
대장햄토리
23/07/04 21:16
수정 아이콘
전성기 맞는거 같아요..
사실 옛날에는 애니보면 뭔가 그뭔씹 이런 분위기였는데..
(ott에서 쉽게 볼수있던지 뭐던지)
귀칼이나 최애의아이, 스파팸 이런거 본다고 뭐 이상하게 보는것도 아니고
다들 오~ 그거? 정도로 아는 작품들도 많으니까요..
그만큼 어느정도 메이저하게 올라와서 그런거 같습니다??
니하트
23/07/04 21:23
수정 아이콘
사실 일본만큼 애니 잘만들었던 나라가 없어서 항상 전성기가 아니었을까 싶은데..
23/07/04 21:47
수정 아이콘
그래서 dnt 5기는 언제 나오는지
사부작
23/07/04 22:09
수정 아이콘
귀칼은 작화는 끝내주지만 전투 외의 전개는 꾹 참고 봐줘야 하던데... 라고 생각하는 옛날 사람.
23/07/04 23:09
수정 아이콘
진짜 요즘이 더 재밌는 거 맞나요?
늙어버려서 그런가 뭘 보려해도 선뜻 손이 안 가던데..

빨간망토차차, 소년탐정김전일, 헌터헌터, 황금용사골드런, 지구용사 선가드
어렸을 적 투니버스에서 해줬던 만화들 생각나는 대로 중구난방 떠올려봐도 떠오르는 것마다 다 재밌다는 느낌이 들었었는데
늙어버렸나 봅니다ㅠ
이정재
23/07/04 23:18
수정 아이콘
재미야 주관적인거니 안맞으면 어쩔수없죠
Dark Swarm
23/07/04 23:50
수정 아이콘
그런 건 말그대로 취향의 문제이신거라...
엑세리온
23/07/04 23:27
수정 아이콘
노래랑 마찬가지로 10대~20대에 봤던 애니들이 기억에 더 남는것 같습니다.
물론 봇치더락은 명작
EurobeatMIX
23/07/04 23:38
수정 아이콘
잘 안봅니다만 소위 인싸들 사이 화제성 생각하면 최소 한국내에선 지금이 맞습니다. 재미니 작품성이니 따져봐야 그냥 추억보정이죠 명작은 어느시대에나 나오는 것일 거구요.
23/07/05 02:21
수정 아이콘
아니 란마 나 은하전설위드 비디오대여점에서 대여해서 보는게 꿀잼이었는데
다시마두장
23/07/05 14:47
수정 아이콘
비디오게임계에서 일본이 지배적인 위치에 있다가 암흑기를 거쳐 근래 부활한 것과 같이 애니메이션도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고 생각합니다.
정확히 기억은 안 나지만 개인적으론 2000년대 초중반쯤(정확히는 제작사 GONZO가 한창 활발하던 시기 즈음)을 암흑기라 느꼈고 OTT 자본이 도입되면서부터 다시 중흥기가 시작됐다고 느꼈네요.
다른 비유를 하자면 과거의 일본 애니메이션이 아메리칸 코믹스의 골든 에이지쯤 된다면 현재의 일본 애니메이션은 시네마틱 유니버스쯤 되지 않나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6652 [서브컬쳐] 일본인이 투표한 실사화 해줬으면 하는 애니 [37] 피죤투8268 23/09/12 8268
486633 [서브컬쳐] 일본판과 한국판의 엔딩이 다른 만화 [22] 꽑꽑꽑9354 23/09/12 9354
486544 [서브컬쳐] 제80회 베니스 영화제 황금사자상 결과 [5] 빼사스8738 23/09/11 8738
486542 [서브컬쳐] 미야자키 하야오 작품들 메타크리틱 점수 [11] 아케이드8319 23/09/10 8319
486533 [서브컬쳐] '그대들 어떻게 살것인가' 로튼토마토 점수 [9] 아케이드9159 23/09/10 9159
486515 [서브컬쳐] [나 혼자만 레벨업] 24년 1월 방영, 3차 pv 공개 [9] Aqours7751 23/09/10 7751
486491 [서브컬쳐] 요즘 일본 먹을것 근황 [11] Lord Be Goja11193 23/09/09 11193
486150 [서브컬쳐] 일본의 한 성교육 교과서 [5] 인간흑인대머리남캐8213 23/09/04 8213
486133 [서브컬쳐] 8월 31일 슬램덩크 공식 종영 후 이노우에가 올린 감사 광고 [20] OneCircleEast10902 23/09/03 10902
486069 [서브컬쳐] 이상하게 노래를 잘 부르는 캐릭터 [9] roqur7026 23/09/02 7026
485578 [서브컬쳐] 새 주인공이라고 힘 빡준 포켓몬 애니 [11] 류수정9370 23/08/24 9370
485228 [서브컬쳐] 한국 vs 일본 베이스 유튜버 [6] Zelazny9050 23/08/19 9050
485191 [서브컬쳐] KPOP 소재 일본 만화에 나오는 기획사 사장 [25] 피죤투8991 23/08/18 8991
484841 [서브컬쳐] LK-99 일본 근황 [3] 졸업7001 23/08/12 7001
483075 [서브컬쳐] [스포] 미야자키 무야호 신작 내용 요약.jpg [32] 캬라10319 23/07/17 10319
482875 [서브컬쳐] 최애의 아이 오프닝곡 '아이돌(アイドル)'의 배경이 된 단편소설 '45510' [12] OneCircleEast8927 23/07/13 8927
482438 [서브컬쳐] 한국게임사의 기념비,일본 피규어 회사가 출시 [10] Lord Be Goja7600 23/07/07 7600
482377 [서브컬쳐] 일본 애니의 전성기는? (70년대~10년대) [62] 예니치카8672 23/07/06 8672
482270 [서브컬쳐] 소.솔직히 일본애니 전성기는 지금이라 생각해요... [135] 피죤투13765 23/07/04 13765
481212 [서브컬쳐] 더 퍼스트 슬램덩크 OST가 나왔었네요. 제가LA에있을때6497 23/06/17 6497
481210 [서브컬쳐] 시대를 앞서나간 정치적 올바름을 보여준 만화+애니메이션 [3] 드라고나10062 23/06/17 10062
480181 [서브컬쳐] 인어공주 설정 변경이 문제라고? [10] 피죤투9088 23/05/29 9088
480169 [서브컬쳐] [우마무스메 / 일본 경마]오늘 도쿄 더비에서 잠든 스킬빙은 이런 말이었습니다. [11] 캬옹쉬바나8426 23/05/29 84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