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6/05 19:57:18
Name 껌정
File #1 Screenshot_2023_06_05_at_19.55.41.JPG (1.09 MB), Download : 52
출처 펨코
Subject [유머] 대기업 과장이 이야기하는 커뮤니티 현실


이걸 또 다른 커뮤에서 퍼오는 나란 놈...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바꿔야지
23/06/05 20:01
수정 아이콘
pgr이야 당연히 나랑 같이 늙어가는거지만 디시 갤러리도 똑같더라고요. 이게 좀 충격이었습니다. 나이대마다 가는 갤러리가 다른 거 같더라고요...
문문문무
23/06/05 23:30
수정 아이콘
그래도 씹덕계열은 좀 뜨는 애니,게임 있다싶으면 푸릇푸릇한 티가 좀 나는 10대 초중고딩들 자주 출몰하는편입니다.
수년전에는 카구야, 그다음엔 좀 기억안나고 그뒤에 체인소맨, 요즘엔 최애의 아이죠.

말하는 투를 보면 확실히 달라요 뭔가 저 중고딩때 막 애니접하고했을때의 그 감성으로 글쓰고 추측하고 팬덤질하고 크크크
니세코이때 어떤 여주가 정실이냐 싸우던 그느낌좀 납니다.
스팅어
23/06/05 20:03
수정 아이콘
젊은 피지알러들 힘내주세요.
페로몬아돌
23/06/05 20:03
수정 아이콘
펨코 말고는 다 할재 커뮤니티 아닌가요?크크크 요즘 1020들은 커뮤보다 다른 쪽들을 더 쓰는 느낌인데
실제상황입니다
23/06/05 20:11
수정 아이콘
펨코도 3040들이 주류인 느낌이고 1020들이 섞여드는 느낌이죠. 더쿠도 비슷하고...
근데 젊은 애들이 적어서 주류가 아닐 뿐이지 그런 대형 사이트들은 결국 다 섞여드는 느낌이긴 합니다
12년째도피중
23/06/05 20:15
수정 아이콘
그래도 더쿠가 조금 더 어립니다. 3040이 의외로 좀 많네 느낌임. 이악물고 1020 코스프레라도 하고.
일반적 화자로 말할때 1020을 상정하기는 하는... 물론 더쿠도 게시판마다 연령구조가 다르긴 합니다.
아이돌 서브컬쳐 쪽은 확실히 좀 어림. 물론 트윗 인스타 틱톡에 비하면야...
실제상황입니다
23/06/05 20: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건 솔직히 피지알 분들이 원체 나이가 많으셔서 감이 좀 안 잡히실 것 같기도 합니다.
밑에서도 말했지만 예전에 제가 올린 추억뽕 글이 무슨 20대 얘기냐 30대 얘기지 하던데 정작 영상 제작자가 97년생이었거든요.
물론 진짜로(?) 어린 애들, 그러니까 휴학이나 군대 등으로 아직 졸업하지 않았을 99~00년생 20대 초중반 이하는 많이 다르긴 할 겁니다.
펨코나 더쿠도 뭐 가령 빅뱅 원걸 얘기하면 늙었다고 하긴 하는데
걔네들은 스스로 30대 초중반만 돼도 틀딱이라 여기고 20대 중후반은 틀딱(진) 정도로 말하는 느낌이라서 피지알이랑은 좀 다르고요.
한방에발할라
23/06/05 20:13
수정 아이콘
사실 펨코도 아이돌 얘기 나왔을 때 빅뱅쪽을 추억하는 비율이 제일 높다는 거 보면 암만 어려봐야 20후반에서 30초중반이 주일 겁니다. 말씀대로 1020은 커뮤보다는 다른 쪽을 쓰는듯
실제상황입니다
23/06/05 20:21
수정 아이콘
근데 그 빅뱅 추억하는 애들이 지금 20대 중반부터거든요. 시대가 너무 빠르게 변해가고 있어서 그렇지 실제로는 그렇게까지 늙은 건 아니란 말입죠.
人在江湖身不由己
23/06/05 20:15
수정 아이콘
네 다음 마인크래프트 크크
아이폰12PRO
23/06/05 20:16
수정 아이콘
펨코도 늙다리들 커뮤죠 크크크
파인트리
23/06/05 20: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fmkorea.com/best/5497641624

그렇게까지 신빙성있는 지표는 아니긴 한데 아카라이브 정도말곤 다 아저씨 아줌마들 커뮤라고 생각합니다

펨코도 창모 유명하냐가지고 진지하게 싸웠던 곳이죠...
23/06/05 20:11
수정 아이콘
1020인구가 워낙 줄어서....
지금 1020은 문화를 선도할 힘이 없습니다.
TV, 유튜브 인기 채널, 웹소설, 웹툰, 드라마, 영화
전부 3040을 중심으로 가는 중.
이건 주인공만 봐도 알 수 있어요.
요즘 어떤 대중 컨텐츠든 10대 20대 주인공으로 성공한 게 있나요?
장르소설도 옛날엔 이고깽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고등학생이 주인공인 게 많았는데 대학생 -> 회사원을 거쳐서 노화되었죠.
고등학생이 주인공인 웹소설은 이제 없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현상은 계속될 거라 봅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3/06/05 20:20
수정 아이콘
근데 20은 좀 다르다고 봅니다. 지금 93년생~03년생까지가 20대죠.
그러니까 아직도 20대 중후반은 30대 초중반이랑 정체성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https://pgr21.com/humor/478429
예전에 제가 위 글을 올렸을 때도 저게 무슨 20대 얘기냐 30대 얘기지~
라는 반응이 많았는데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씀들이었다고 보거든요.
애초에 2년전에 제작된 영상이어서 91년생까지가 20대였다는 건 차치하고
해당 영상 제작자도 97년생이고 거기에 공감하는 제 동생도 97년생이니까요.
무도키즈라는 버논이 98년생이라는데 지금 25살이죠.
문문문무
23/06/05 23:46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현재 펨코나 트위치등에서 주축이되는 세대는 단연코 2030(~중반)입니다.
보통은 펨코 인방,롤갤에 주로 분포되어있고요 아직은 이쪽 커뮤니티의 컨텐츠?가 1020유입들을 끌어모으는중입니다.
거기에는 왁타버스와 스텔라라이브의 버튜버분들이 굉장히 열일하고있죠.

근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이들어간다는 느낌은 계속 들긴합니다.
영원히 어린아이,개구장이 일것만 같았던 대형스트리머들이
노화,나이,결혼을 입에 달고다니는 비중이 눈에띄게 늘고있는거 보면 세월의 흐름이란걸 점점 몸으로 느끼는 중입니다.
크레토스
23/06/05 20:28
수정 아이콘
뭐 한국보다 더 고령화된 일본은 아직도 고등학생 주인공이 대세죠..
진짜 애들용 컨텐츠도 애들이 주인공이고
어른들 즐기라고 만든 컨텐츠도 애들이 주인공인 기묘한 나라 일본
아이폰12PRO
23/06/05 20:18
수정 아이콘
각종 게임 소설 드라마 전부다 3040취향으로 가고있고
온갖 레트로 향현 리마스터 리메이크 팔이 이런거보면 그냥 전세계가 다 늙었다고 표현하기보다는 문화콘텐츠를 소비하는 문화연령대 자체가 올라갔다고 봐야죠
중위 연령대인 3040이 과거에는 술먹고 자고 일하고하느라 자기 취미 취향도 몰랐던 사람들이 많았던거고 지금은 그 자식세대들이 나이먹은거라 그런게 아닌거고요
한방에발할라
23/06/05 20:20
수정 아이콘
사실 아직 인구 자체는 그렇게까지 엄청나게 차이 나는 건 아니더군요. 하지만 인구 자체도 3040이 확실히 더 많으면서 거기에 1020과는 넘사벽인 경제력까지 합쳐지니 아마 체감은 5배에서 10배쯤 날 수밖에 없지 않을까 합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3/06/05 20:31
수정 아이콘
20대들 과반이 아직도 90년대생들이라서 그렇죠..
5년 뒤면 진짜 꽤 차이 나긴 할 것 같습니다
23/06/05 20:23
수정 아이콘
요새 안늙은 커뮤 찾는게 힘들정도로 나이대 많이 올라왔더라고요
너가 못찾는거 아니냐 할 수 있는데 애초에 제가 알고 있을 정도의 커뮤라면 그 커뮤가 젊은 커뮤니티일리가 없음
벌점받는사람바보
23/06/05 20:27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공감 가네요
23/06/05 20:27
수정 아이콘
근데 어짜피 30/40/50/60대 취향을 조사하는게 맞지않나
10대20대는 돈이안되는데
23/06/05 21:17
수정 아이콘
그게 참... 뭘 파는 기업이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세일즈 타겟이랑 커뮤니케이션 타겟이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요.
실제 세일즈 볼륨은 30중반 이후에서 나오더라도 커뮤니케이션 타겟은 20초중으로 잡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러니 20대 트렌드를 파악해야 하는거죠.

예를 들어 일반 마트, 슈퍼, 편의점에서 파는 디저트 상품이라면, 실제 세일즈는 3040에서 일어나는데, 이게 커뮤니케이션(광고 같은)을 3040에 맞추면 안 되거든요. 그럼 늙다리 상품, 재고 떨이 상품 같은게 되는거라 제품 자체는 젊은 느낌을 줘야 해요.
그러니 광고 같은 것도 20초 타겟으로 해줘야 한다는... (실제 20초는 시판 디저트 안 사먹습니다. 까페에서 사먹지)
23/06/05 20:34
수정 아이콘
00~10년대 전성기였던 대학 자체 커뮤니티들도 졸업생이 누적되면서 10년대 전후에 시간대가 고정된 느낌을 받더라고요 이제.
실질적인 대학 커뮤니티 기능은 에브리타임으로 넘어가고요.
디씨조차도 다들 나이대를 골고루 먹은 느낌이 드는게 이제 주력계층이 시간태우는 대학생이 아니라, 루팡하는 직장인들이 글 쓰는것만 같은 내용들이 눈에 들어오고 있어서 크크
손금불산입
23/06/05 20:56
수정 아이콘
피지알은 대놓고 늙어서 타격이 없음 크크
23/06/05 20:57
수정 아이콘
댓글 하나에도 기승전결이 있는 피지알 연령대가 새삼 체감이 됩니다
전지현
23/06/05 20:57
수정 아이콘
저같이 어린 국민학생도 있어요
내가뭐랬
23/06/05 20:57
수정 아이콘
망령들도 늙는다구요..
이게나라냐/다
23/06/05 21:38
수정 아이콘
펨코 나이대가 높은 거면 진짜 문제가 있네요.
올라오는 글 수준 보면......
23/06/05 21:47
수정 아이콘
분명 어릴땐 게임이야기 공부이야기를 많이하던곳이 회사이야기 자동차이야기로 넘어갑니다(?)
마텐자이트
23/06/05 22:00
수정 아이콘
대학교 커뮤니티가 다 늙어버렸습니다. 아마 진짜 대학생들은 에타에서 놀지 않을까 싶어요. 그렇지 않다면 그들만 아는 sns에서 논다던지 할거 같네요. 1020이 워낙 규모가 줄어서 얘네가 주류를 이끄는 문화는 더이상 없을거 같네요. 얘네들도 파편화돼서 혼자 노는 문화가 익숙해져서 더더욱 그럴거 같아요. 특히 10대들은 카톡을 같은반 단톡 말고는 안쓴다고 하죠. 카톡 조차도 어른들이 쓰는걸로 낙인 찍혀 있어요.
스카야
23/06/05 22:00
수정 아이콘
피지알이 저 스샷에 정확히 들어맞죠 크크
23/06/05 22:05
수정 아이콘
20대인 제가 더 노력하겠습니다
23/06/05 22:05
수정 아이콘
왠만한 커뮤들 이제 유머나 정보 보면 같이 늙어가는 나이가 보이죠...
Chasingthegoals
23/06/05 22:24
수정 아이콘
한일슈퍼게임, 농구대잔치 추억 공유하는 커뮤니티인데, 10대 코스프레 하는건 진짜 사람 아니죠. 그런 괴물이 될 바에 차라리 자연스레 꼰대가 될래요.
시나브로
23/06/06 14:33
수정 아이콘
그런 괴물 크크크
23/06/05 22:29
수정 아이콘
늙은이21...... ㅠㅠ
사람되고싶다
23/06/05 22:44
수정 아이콘
오히려 에타가 펨코 디시에 먹혀가던데...
EurobeatMIX
23/06/05 23:00
수정 아이콘
인터넷 1세대가 50대까지 왔고 커뮤1세대가 30중후반~40대초반이 주력입니다. 기존커뮤에 10대 20대가 유입되는 방식이라 연령의 소셜믹스가 발생했다고 생각합니다. 스펙트럼이 커짐.
퀀텀리프
23/06/05 23:40
수정 아이콘
가만히 있어야지..흠흠
이경규
23/06/06 00:19
수정 아이콘
10대들은 소수라서 좋은점이많을지 나쁜점이많을지 흠
23/06/06 01:07
수정 아이콘
수가 준건도 있지만, 개인화 파편화로, 그 윗세대들에 비해 타케팅이 훨씬 힘든것도 문제같습니다.
손꾸랔
23/06/06 03:06
수정 아이콘
제가 1020이래도 아재들이랑 같이 놀고 싶지는 않겠네요.
뭐 오프라인 동네나 마찬가지죠. 신도시 입주했던 신혼부부들이 고인물 되어 경로마을로. 더 지나면 유령마을로
랜더스
23/06/06 08:35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 처음 접속한게 중1이었는데 지금 나이는... 20년이 넘게 흘렀네요;
어디든지문
23/06/06 10:06
수정 아이콘
1020 커뮤니티는 어딜까요 크크크
파인트리
23/06/06 10: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카라이브죠

물론 본문에 나온것처럼 커뮤 자체를 잘 안하긴 하는데 그나마 서브컬처,덕겜 좋아하는 애들이 모인게 아카라이브
라울리스타
23/06/06 11:03
수정 아이콘
커뮤 구성원들도 늙어가는데, 새로운 대세를 만들어낼 10대들의 숫자도 현저히 적음...
랜슬롯
23/06/06 12:10
수정 아이콘
디아4 관련해서 커뮤니티글들을 읽어봤는데 좀 정말 재미있던게 뭐, 누가 옳냐 그르냐가 중요한게 아니라, 서로 싸우는데 자주 사용되던 용어가 틀딱이더라구요. 근데 이게 참 재미있는게.. 곰곰이 생각을 해봤는데

사실 80년대 중반부터, 한 90년대 중반? 이 10년정도의 세대가 소위 인구수 절벽이 일어나기 전 세대이고,
어찌됬든 나름의 관심사에는 서로 알고있거나 (공유하진않더라도), 예를 들어서 디아블로라는 게임을 하진 않았더라도 아 그게임 정도는 인식하고있는데

그 아래세대까지 내려가면 아예 모를가능성이 높거든요.당장 10대 20대초반? 이정도 되는 사람들한테 디아4출시는 아마 왠만하면 모를꺼고 관심도 없을꺼라고 보구요.

그래서 기업들입장에서도 좀 고민이 많을거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3/06/06 17:45
수정 아이콘
91~96년생까지가 워낙 많아서 그렇지 85~90년생이나 97~00년생이나 출생년도별 인구수 비슷합니다. 01년생부터 절벽 시작이죠.
탑클라우드
23/06/06 12:14
수정 아이콘
일단 피지알은 확실하죠 허허허
처음 가입했을 때 제가 막 군 제대하고 20대 초중반이었으니... 벌서 20년 지났네요.

한번 홧김에 탈퇴했다가 몇 년 후 재가입하면서
이제 쓸 데 없는거에 화내지 말아야지 생각했는데,
막상 재가입하고 보니 커뮤니티가 많이 점잖아졌더라구요(그전에도 디씨나 이런데 비하면 지나칠 정도록 점잖 다고 선비소리 들었었지만...)
abc초콜릿
23/06/06 17:09
수정 아이콘
딱 2000년 기준으로 60만명에서 40만명으로 내려 앉고 기하급수로 줄어드니 문화적 주도권도 줄어들 수밖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2811 [기타] 뉴진스 인스타에 댓글달다 걸린 스타쉽 간부 [72] 아롱이다롱이13544 23/07/12 13544
481959 [기타] 모든 커뮤니티글이 하류층에 맞춰짐.jpg [110] 된장까스11938 23/06/30 11938
481622 [서브컬쳐] 한때 오타쿠 커뮤니티를 불타게한 러시아군 VS [11] 퍼블레인10172 23/06/24 10172
481619 [게임] 로아온 결과 [48] 묻고 더블로 가!9861 23/06/24 9861
481478 [동물&귀욤] 요즘 고생물커뮤니티 최고 인기생물.jpg [2] valewalker11525 23/06/21 11525
481384 [스타1] 14년 전 오늘은 비가 내렸습니다 [42] 카카오게임즈14768 23/06/20 14768
481354 [유머] 디아블로 4 대다수는 유저들은 아직 캠페인도 완료하지 않았습니다 [87] 만찐두빵12946 23/06/19 12946
480933 [기타] 오늘자 멜론차트 2023년 6월 개편안 발표 [21] 아롱이다롱이9648 23/06/12 9648
480730 [기타] 트위치,어제 발표한것 취소 [23] Lord Be Goja12537 23/06/08 12537
480707 [게임] 격겜 커뮤니티에서 인정받은 피지알러의 글 [5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783 23/06/07 11783
480612 [유머] 대기업 과장이 이야기하는 커뮤니티 현실 [51] 껌정15191 23/06/05 15191
480568 [유머] 던파에서 의외로 논쟁거리가 되는 것 [30] OneCircleEast8158 23/06/05 8158
480528 [기타] 어머니의 육아블로그가 싫은 학생 [20] Avicii11155 23/06/04 11155
480382 [게임] 파키스탄 철권이 강한 이유.txt [14] Just do it14616 23/06/01 14616
480219 [기타] 한국 축제에 놀러 간 일본 유튜버가 깜짝 놀란 이유 [49] 아롱이다롱이12416 23/05/30 12416
480150 [유머] 롯데리아 발산역점 의외의 이력 [6] Croove13716 23/05/28 13716
479715 [서브컬쳐] 수성의 마녀 18화 대형사고 - 조기 송출 (스포는 없으나 주의) [5] dogprofit6088 23/05/20 6088
479668 [LOL] 야구장에 시구-시타하러 간 KT 롤스터, 그런데... [20] Davi4ever9327 23/05/19 9327
479633 [LOL] 징동 vs T1 경기 후 중국네티즌 평점 [51] 아롱이다롱이10919 23/05/19 10919
479433 [LOL] 23년 LCK 썸머 결승은 대전...? [10] 양념반자르반7795 23/05/15 7795
479341 [연예인] 최근 커뮤니티에서 가장 핫하다는 치어리더 [22] 묻고 더블로 가!13515 23/05/13 13515
478783 [기타] 모든 헬스 커뮤니티에서 욕먹고있다는 헬스 유튜버.JPG [22]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3585 23/05/02 13585
478491 [서브컬쳐] 인방과 디씨의 긍정적인 시너지의 희귀한 사례 (밑에 따효니 관련) [5] Zelazny7854 23/04/26 785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