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5/30 18:25:50
Name 아따따뚜르겐
출처 본문표시
Subject [게임] 480233 관련) 블리자드와 블코, 라이엇과 라코 매출 비교
블리자드(2022) 20억 1200만 달러 - 2조 6156억 (달러 환율 1300기준)
https://investor.activision.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activision-blizzard-announces-fourth-quarter-and-2022-financial

블리자드코리아(2020) 453억인데 본사에 따로 지급한 게 있어서 실제론 950억 정도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258666

라이엇 게임즈는 매출 정보 찾기가 힘드네요.

라이엇게임즈(2017) 2조 3600억 (달러 환율은 아마 1100~1200 사이일듯)
                  (2020) 1조 9600억
http://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289542

발로란트 추가되서 다각화로 인해 최근 매출은 더 올랐을거에요.

라이엇코리아(2022) 3864억
https://www.inven.co.kr/webzine/news/?news=283750

블리자드, "한국시장, 글로벌 매출 5%만 기여"
https://www.asiae.co.kr/article/2010120212253975554

사실 이때(스타 지재권 사태)랑 별반 다르지 않은 블리자드 국내 매출(오히려 축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만찐두빵
23/05/30 18:29
수정 아이콘
라코 한국에서 돈 겁나버네요. 라이엇은 신기한게 저 매출인데 아케인 만드는데 제작비를 1편당 천만달러씩 태운건데 말이 되나 싶네요 크크크
아따따뚜르겐
23/05/30 18:31
수정 아이콘
라이엇은 전통적으로 중국이랑 국내 비중이 컸던 곳이라, 오히려 본토에서 약한 느낌이죠.
크레토스
23/05/30 18:31
수정 아이콘
뭐 넷플릭스 독점이니까 제작비 다 회수하고 이익까지 보는 조건으로 계약해서 선입금 받았겠죠
만찐두빵
23/05/30 18:33
수정 아이콘
상도 쓸어담았고 흥행도 할만큼 했으니 크크크 시즌2도 장인정신으로 만드는거 같던데 기대중입니다. 대신 오래 기달려야하는 단점이 있지만요
Lord Be Goja
23/05/30 18:31
수정 아이콘
스퀘어가 지금보다 훨 작을때 영화만들면서 태운거 생각나네여.20년전 물가로 대충 2000억원이였던거 같은데
만찐두빵
23/05/30 18:33
수정 아이콘
와우..... 초가삼간 다태웠네요
크레토스
23/05/30 18:44
수정 아이콘
스퀘어랑 세가가 일본 게임사치고 거침없이 투자하는 느낌이 있었는데 둘다 그러다 망해서 다른데와 인수합병이..
크레토스
23/05/30 18:32
수정 아이콘
다른 외국계 게임회사랑 비교하면
Siek(소니 게임 부문 한국지사) 매출이 1000억 정도고
한국 닌텐도가 3500억원 정도더군요.
아따따뚜르겐
23/05/30 18:34
수정 아이콘
소니는 그래도 꾸준했는데 닌텐도는 암흑기 지나고 스위치에서 다시 터트린 느낌이라 국내 콘솔 1위 자리 잡아버렸죠.
23/05/30 18:59
수정 아이콘
작년 액블 분기 발표 보니까 블리자드 두배 해야 액블이고 액블 두배 해야 킹이더라구요.
모바일 게임이 미래가 맞습니다.
우리는 하나의 빛
23/05/30 20:44
수정 아이콘
스타, 디아 하는 사람들 이마에 '5%' 써주면 되나요?
23/05/30 22:02
수정 아이콘
글로벌 매출 5%면 꽤 큰거아닌가요?
아따따뚜르겐
23/05/30 22:19
수정 아이콘
지재권 사태를 잘 모르시는거죠? 저때 당시 한국쪽 기사가 블리자드의 글로벌 매출 60%가 한국에서 나온다고 했거든요.
23/05/30 23:48
수정 아이콘
지재권 사태가 뭔지는 저도 모르는데 애초에 블리자드 평생 글로벌 매출 60%인적이 없을거같은데 말이되나요? 크크
30대이하 남자전부가 와우한테 처맞앗을떄도 60%는 아닐거같은데 그만큼 본토에서도 난리여서..
아따따뚜르겐
23/05/31 00:07
수정 아이콘
아마 스타,디아 패키지 팔던 시절 국내 매출 비율이 꽤 높아서(물론 이 당시에도 60까지는 아닌) 저렇게 언플로 뿌린건데 지재권 사태때 그거로 블리자드 물어 뜯어서 부사장이 직접 와서 저렇게 해명한 크크, 애초에 블리자드는 와우 이후 국내는 큰 시장이랑은 멀었죠. 지금도 주 매출은 결국 와우라고 봐야되서
23/05/31 02:01
수정 아이콘
패키지가 꽤 했엇나보네요 개인은 물론이고 피씨방조차 정품사서 하는사람이 없을정도라 매출에 전혀 영향없을거같앗는데..블리자드게임 안해본게 없이 다해봣지만 30%라해도 오바라했을거같은데 60%드립은 미쳣네요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1192 [기타] 출연배우의 음주운전으로 건강문제가 왔던 <사냥개들> 감독 [34] 아롱이다롱이12017 23/06/16 12017
480924 [게임] 완전히 망했다는 로아 글로벌 서버 [49] 묻고 더블로 가!13650 23/06/12 13650
480842 [게임] 믿어달라고 하소연하는 빌리빌리 [19] 묻고 더블로 가!10251 23/06/10 10251
480799 [LOL] LEC에서 맨날 보던분 [2] 아롱이다롱이5189 23/06/09 5189
480252 [게임] 480233 관련) 블리자드와 블코, 라이엇과 라코 매출 비교 [16] 아따따뚜르겐9936 23/05/30 9936
479859 [기타] 의외로 글로벌한 풍습 [4] Lord Be Goja9823 23/05/23 9823
478978 [서브컬쳐] 최근 글로벌 빌보드 10위까지 찍었다는 곡 [4] 파이어군10162 23/05/06 10162
478468 [연예인] 글로벌 대기업이 좋은(?) 이유... [15] 우주전쟁13379 23/04/26 13379
477734 [유머] 커뮤니티 관심종자가 위험한 이유 [22] 맥스훼인11764 23/04/14 11764
477543 [서브컬쳐] 부기영화 광역도발 [31] roqur8349 23/04/11 8349
477318 [서브컬쳐] 슈퍼마리오 영화 이틀 수익 1억 2천만 달러 [21] 아케이드8561 23/04/08 8561
477268 [서브컬쳐] 슈퍼마리오 무비 오프닝 성적 [10] 크레토스6486 23/04/07 6486
476916 [게임] 글로벌 콘솔판매량 근황 [41] 아케이드9337 23/04/01 9337
476099 [유머] 세계로 뻗어나가는 글로벌 K-한류 [14] 10354 23/03/21 10354
475879 [기타] 99,000 짜리 원목느낌 자판.JAPAN [32] Lord Be Goja12804 23/03/17 12804
475777 [기타] 경제) 크레디트 스위스 은행 사태를 araboza [17] 꿀깅이14607 23/03/16 14607
475726 [기타] 현기차 글로벌 완성차 판매 탑3.gisa [33] VictoryFood12011 23/03/15 12011
475720 [서브컬쳐] 어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영화보다 더 감동적이었던 만남 (ft.인디아나 존스) [11] Myoi Mina 12270 23/03/15 12270
475479 [기타] 미국 실리콘밸리은행 사실상 파산, 2008년 금융위기 후 두번째 규모 [34] 아롱이다롱이11076 23/03/11 11076
475248 [유머] 2022년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순위 [23] Leeka7748 23/03/08 7748
474748 [기타] 전세계 글로벌 SUV 판매량 [30] 꿀깅이10476 23/02/28 10476
473940 [게임] 새로운 충격을 선사하는 무기미도 개발사 [11] 묻고 더블로 가!10395 23/02/17 10395
473894 [유머] 스마트폰 이후 심령사진이 사라진 이유 [16] Myoi Mina 10766 23/02/16 107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