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4/12 15:57:28
Name dbq123
File #1 1.JPG (1.10 MB), Download : 53
출처 도탁스
Subject [기타] 21세기 아시아 영화 1위로 항상 뽑히는 영화.jpg




<화양연화> - 왕가위 (2000)


죽기전에 꼭 봐야할 영화 1001
사운드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세계 최고의 영화 5위
BBC 선정 100대 비영어권 영화 9위
BBC 선정 21세기 세계 100대 영화 2위
더 가디언 선정 21세기 세계 100대 영화 5위
부산국제영화제 선정 1996년 이후 제작된 최고의 아시아 영화 TOP 100 1위

배경음이랑 분위기가 사기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우주전쟁
23/04/12 15:59
수정 아이콘
King Scissors 감독님 요즘은 뭐하시는지?...;;
인생은에너지
23/04/12 16:03
수정 아이콘
화양연화 안본 뇌 팝니다 흐흐흐
김하성MLB20홈런
23/04/12 16:06
수정 아이콘
부러우면서도 안타깝습니다? 크크크
부대찌개
23/04/12 16:1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태연­
23/04/12 16:32
수정 아이콘
얼만가요
Janzisuka
23/04/12 17:23
수정 아이콘
뇌 다른 쪽으로 써봐도 되나요? 제시좀
VictoryFood
23/04/12 16:03
수정 아이콘
저 영화가 21세기라고?
했다가 2000년이었군요.
23/04/12 16:07
수정 아이콘
근데 2000년이면 20세기가 맞습니다. 2001년부터 21세기니까.....
23/04/12 16:37
수정 아이콘
반대로 알고 계시네요. 2000년부터 21세기가 맞습니다. 2000년~2099년까지가 21세기
100년 단위에 1을 더하면 됩니다.
2100년은 22세기, 1900년은 20세기인거죠.
멜린스
23/04/12 16:41
수정 아이콘
???2001년부터 21세기 맞는데요?
23/04/12 16:43
수정 아이콘
제가 반대로 알았네요 죄송합니다. ㅠㅠ
유니언스
23/04/12 16:42
수정 아이콘
2000년이면 20세기 맞습니다.
1세기가 서기 1년부터 100년이에요.
서기 0년이 없으니까요.
손꾸랔
23/04/13 06:42
수정 아이콘
아하 만 나이 세는거랑은 다르군요. 한국식 나이와 비슷하넹
João de Deus
23/04/12 16:43
수정 아이콘
2001년부터 21세기 맞습니다
내꿈은세계정복
23/04/12 16:09
수정 아이콘
왕가위 감독 좋아하시는 분들은 다른 영화를 더 좋아하시는 경향도 있던데, 전 반대로 왕가위 영화 별로 안 좋아하는데 화양연화만큼은 킹정 갓정입니다. 중국 배우들이 '우리 언어의 성조 때문에 한국 영화보다 대사가 덜 아름답게 표현되는 것 같다' 라고 TV 쇼에서 발언한 걸 보고 '화양연화 안 봤나?' 생각이 들기도 했고요.
인민 프로듀서
23/04/12 16:09
수정 아이콘
진짜 안좋아하는 감독의 진짜 안좋아하는 영화입니다 ㅠㅜ
이런 극찬을 듣고 또속는 마음에 봤다가 진짜 재미없었던....
내꿈은세계정복
23/04/12 16:22
수정 아이콘
서사적으로 내용은 없다시피 하죠 크크
실제상황입니다
23/04/12 16:12
수정 아이콘
저런 순위표 같은 거 보면 맨날 멀홀랜드랑 1위다툼 하고 있더군요(물론 멀홀이 훨씬 공고하긴 함)
센과 치히로랑 하나 그리고 둘이 아시아 영화 중에서는 2,3인자 격인 것 같고...
(여자)아이들
23/04/12 17:12
수정 아이콘
멀홀이 세계관 반전으로 관객들 혼란스럽게 하지만, 다 제껴두고도 재미만으로 진짜 별 다섯개 감이긴 하죠.
23/04/12 16:12
수정 아이콘
저는 양조위 부인이 장만옥 머리끄댕이를 잡고 화냥년아 하던 부분이 제일 인상깊었습니다.
handrake
23/04/12 17:00
수정 아이콘
불륜이긴 하니 틀린말은 아니라서.....
차라리꽉눌러붙을
23/04/12 20:1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제목이...
손꾸랔
23/04/13 06:45
수정 아이콘
혹시 제목이 '화냥년 이야기'인가 싶어서 다시 스크롤을 올려봤습니다.
폭폭칰칰
23/04/12 16:13
수정 아이콘
불륜도 아름다우면 괜찮다?
허저비
23/04/12 16:59
수정 아이콘
허저비
23/04/12 17:00
수정 아이콘
.....
아니 그런게 아니라
23/04/12 17:15
수정 아이콘
(빼-꼼)
23/04/12 16:13
수정 아이콘
이런 영화들은 뭐랄까 가벼운 마음으로 소파에 누워 쉽게 볼 수 있는 '쇼생크탈출', '아저씨', '타짜' 등과는 다르게
보기 전부터 마음을 가다듬고 준비를 하고 봐야 할 것 같아서 아직 못 봤네요.
도들도들
23/04/12 16:16
수정 아이콘
색, 계 아닌가요(진지)
23/04/12 17:16
수정 아이콘
무간도 아닌가요(진짜 진지)
Janzisuka
23/04/12 17:24
수정 아이콘
중경삼림아닌가요?(이건 20세기네)
로피탈
23/04/12 16:17
수정 아이콘
인정 또 인정
승승장구
23/04/12 16:22
수정 아이콘
왓챠 앱 영화평가할때 1000개는 넘게 봤던거 같은데
이렇게 유명한 안본 영화가 참 많은거 보면 편식이 심한가봐요
Santi Cazorla
23/04/12 16:22
수정 아이콘
저같은 애송이는 영화에 100% 스며들지 못하는 느낌
따식이
23/04/12 16:22
수정 아이콘
예지력 상승이 이럴때 쓰는 말이군요
탑클라우드
23/04/12 16:23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성향이 그렇기도 하지만, 사실 저는 그냥 수작 정도라고 생각하는데
상당히 다수의 사람들로부터 걸작이라는 평을 듣는 영화지요.

왕가위 영화를 엄청 좋아하거나 하지는 않지만,
저는 동사서독이 참 좋았습니다.
청순래퍼혜니
23/04/12 16:45
수정 아이콘
저도 왕가위 영화 엄청 좋아하지만 원탑은 동사서독입니다.
화양연화도 좋은 영화지만 무슨 세기의 걸작까진지는 잘 모르겠어요.
취생몽사 마시고 싶네요
23/04/12 18:18
수정 아이콘
동성서취 없었으면 동사서독 못찍을뻔 했다는 뒷이야기 듣고 빵터졌었는데 사실상 동성서취가 원탑 아닙니까? 크크
청순래퍼혜니
23/04/12 18:41
수정 아이콘
동성서취 예전에는 그냥 웃고 즐기는 영화였는데 얼마전 다시 보니까 배우들이 전부 너무 젊고 아름다운게 괜시리 맘이 쓰라리더라구요 ㅠㅠ 특히 장국영… 원탑 맞는거 같아요 진짜
살려야한다
23/04/12 16:23
수정 아이콘
좋은 작품인건 아는데 좋아하지는 않는 작품

제가 애송이여서 그렇겠지요
23/04/12 16:26
수정 아이콘
언젠가는 꼭 봐야겠다고 십년 넘게 생각만 하고 아직 안본 영화...
Zakk WyldE
23/04/12 16: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랑을 인수분해 한다는 말이 이해가 안됩니다 ㅠ
슈퍼잡초맨
23/04/12 16:49
수정 아이콘
이동진 평론가가 '사랑의 시간을 인수분해한다'고 썼는데,
아마도 쪼개본다는 의미로 쓴 것 같은데.
해당 취지를 살린다면 인수분해보다는 '미분'이 더적절하지 않았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해봅니다.
사랑의 시간을 아날로그적 그래프로 그렸을 때 순간의 기울기랄까 애정의 온도, 세기를 들여다 본다는 의미로 썼다고 생각해서요.
Zakk WyldE
23/04/12 18:2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선플러
23/04/12 17:46
수정 아이콘
침투부 나와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었네요.
그냥 들리는 대로 타이핑 쳤습니다.

--------------------------------
우리가 어떤 사람하고 오래 사랑을 했다라고 했을 때
지나고 나서 그 사람과의 사랑을 떠올려보면
처음 만났을 때 부터, 두 번 째, 세 번째 만남, 다 떠오르는 게 아니라

가장 중요한 어떤 결정적인 몇 가지 순간으로 기억이 나잖아요?
예를 들면 처음 포옹했던 순간, 처음 쳐다봤던 순간 등등
그런 식으로 몇 개로 되어 있는데
결국 사랑의 시간은 돌이켜 보면 다 그런 순간으로 되어 있는데
이런 순간을 인수라고 비유한 거죠.

실제로 화양연화를 보시면 두 사람 사이에 별 일이 없어요.
그런데 이 영화는 21세기 최고의 사랑 영화거든요.

이 영화에서 가장 애틋한 사랑의 순간이 국수 사러 갔다가 계단에서 남들이 보니까
사실은 사랑하는 사이인데 두 사람이 모르는 척하고 비껴간단 말이에요.

그 순간이 이 영화에서 가장 아름다운 애틋한 순간이거든요.
그게 말하자면 그 둘의 사랑에서는 인수에 해당하는 거죠. 그렇게 생각한 겁니다.
Zakk WyldE
23/04/12 18:28
수정 아이콘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23/04/12 16:29
수정 아이콘
그럼에도 좋은것이 사랑이고 예술이다
23/04/12 16:35
수정 아이콘
저는 개인적으로 중경삼림을 더 좋아합니다 흐흐흐
23/04/12 16:39
수정 아이콘
그 시기에 봐야 더 감흥이 큰 영화가 있는거 같아요. 홍콩 반환시기의 홍콩영화라든가
세기말에 나온 매트릭스라던가
선플러
23/04/12 17:51
수정 아이콘
앗 맞아요. 이것도 엄청 중요한 것 같아요.
ET를 지금 아이들이 봐도 그 시절 사람들이 느끼던 그 감동을 똑같이 느낄 수 있을까..

개인적으로는 초등학교 1학년 때 영화관에서 쥬라기 공원을 봤는데
그 전까지 제가 보던 영화는 우뢰매 정도였습니다.
진짜 그때 받은 충격과 공포는..

저는 그 공룡들이 진짠 줄 알았어요. 미국에는 실제로 저러는 줄
23/04/12 16:41
수정 아이콘
저는 동사서독이요 영웅문과 장국영 팬심에 너무 좋아합니다. 장국영이 구양봉이라니 합마공 맞고 싶다!
국영이형 너무 보고 싶어요
루크레티아
23/04/12 16:42
수정 아이콘
부기영화 리뷰를 보고 처음으로 [이 양반이 영화 좀 치는구나] 싶었던 영화..
에이천
23/04/12 16:56
수정 아이콘
색계 아닌가요
João de Deus
23/04/12 16:56
수정 아이콘
왕가위를 그닥 좋아하진 않아서 그런가 살짝 갸우뚱할 때가 많습니다 함께 선두로 꼽히는 멀홀랜드 쪽이 좀 더 수긍이 가는...

개인적으론 해피투게더와 중경삼림이 좀 더 좋았네요
(여자)아이들
23/04/12 17:18
수정 아이콘
멀홀은 재미도 진짜 극강이지만, 보고나서 수많은 영화팬들이 서로 해석과 논쟁, 말다툼, 내 해석이 옳아! 등등 키배도 많이 하고.. 그런 재미난 2차 컨텐츠까지 제공하는 면에서 진짜 걸작이라 생각합니다. 아직도 영화팬들은 멀홀 해석으로 의견다툼을 하고 있을 정도니..
23/04/12 17:02
수정 아이콘
영알못인 제가봐도 화면을 기막히게 뽑네라며 감탄하며 본 영화입니다. 이야기 자체는 다소 진부하다 느낄순 있어도 이 미장센 하나만으로도 볼 가치가 충분한 영화가 아니었나 싶어요
한뫼소
23/04/12 17:05
수정 아이콘
재밌었냐? 라고 물으면 글쎄... 하겠는데 기억에 남는 시퀀스나 컷이 얼마나 있냐고 하면 양손으로 꼽을 수 있을 것 같은 영화입니다. 문외한이지만 탐미적으로 제일 인상깊은 영화가 뭐냐 하면 결국 이거더라구요. 이거 보고 꽂혀서 2046도 봤는데 으음...
김유라
23/04/12 17:12
수정 아이콘
기분이 묘해지는 영화죠... 아름다운 불륜? 음..
(여자)아이들
23/04/12 17:15
수정 아이콘
저에게 동양영화 최고는 걸어도걸어도...
화양연화도 봤지만.. 애초에 이런 멜로 영화는 저같은 찐따 보라고 만든 영화가 아니라서..
확실히 제 주변에도 연애 많이해보고 인기많은 남자얘들이 화양연화나 라라랜드 최고로 꼽더군요 ㅜㅜ
차라리꽉눌러붙을
23/04/12 20:20
수정 아이콘
라라랜드는 사실은 이루지 못한 꿈들에게 바치는 꽃상여 입니다.
제가 개찐따일 때 보고 눈물 줄줄...
할러퀸
23/04/13 10:58
수정 아이콘
꽃상여라는 표현 너무 좋네요. 저도 단순한 연애이야기라기 보다는 꿈과 현실사이의 갈등에 대한 이야기였던 것 같습니다.
Janzisuka
23/04/12 17:27
수정 아이콘
왕가위 너무 좋앙...
아비정전 중경삼림 타락천사 해피투게더 화양연화!!
마이블루베리나이츠는 중경삼림의 해외버전 같은 느낌으로도 좋았어요
무한도전의삶
23/04/12 17:28
수정 아이콘
해피투게더가 최애긴 한데 화양연화도 좋지요.
나이도프
23/04/12 17:33
수정 아이콘
아마도 피지알이었던거 같은데, 2000년대 초반에 왕가위 최고작으로 이거 꼽았다가 영알못 취급 당했던 기억이 납니다. 비슷한걸론 해리포터 3편까지 나왔을때 최고작 아즈카반이랬다가 비슷한 취급.
23/04/12 17:41
수정 아이콘
국수 사러 가는 몸짓까지도 고혹적인...
23/04/12 18:38
수정 아이콘
장만옥이 제일 예쁘게 나온 영화는 첨밀밀입니다 화양연화는 그냥 색감이랑 분위기가 멋있었을뿐
명탐정코난
23/04/12 18:48
수정 아이콘
올드보이가 아니라니
23/04/12 18:53
수정 아이콘
보면서 장만옥 몸무게가 궁금해짐
23/04/12 19:24
수정 아이콘
중경삼림 하도 개띵작이라 해서 봤는데

양조위 존잘이네 빼곤 전혀 취향 아니라...

뭐 어쩌라고...말이 절로나오는...

이럴거면 영화찍지 말고 뮤직비디오를 하던가

했습니다
김건희
23/04/12 21:15
수정 아이콘
이 영화는 음악도 사기죠.
모나크모나크
23/04/12 21:33
수정 아이콘
기생충이 아니군요??
23/04/12 23:04
수정 아이콘
20세기 홍콩영화라면 몰라도 현재진행형인 21세기 아시아 1위다?? 공감은 안가네요. 윗분말대로 기생충도 있는데 음..
달빛기사
23/04/13 10:18
수정 아이콘
멜로는 취향이 아니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888 [기타] 주요 아시아 국가 국민들 1주일 당 독서 시간 [61] 우주전쟁7712 24/06/03 7712
499792 [기타] Layla [20] 머스테인8384 24/05/13 8384
498567 [기타] 월세 320만원짜리 영국 런던의 원룸 [51] 우주전쟁10516 24/04/16 10516
498392 [기타] 해리포터 영화배우들을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22] 퍼블레인8764 24/04/12 8764
497611 [기타] 갓직히 네이버에서 AI 빨리 맹글어야 하는 이유 [20] Lord Be Goja6279 24/03/28 6279
497177 [기타] 페라리 EV는 감정적으로 포효하는 차가 될 것 [22] 타카이7850 24/03/20 7850
496548 [기타] 의외로 짧은 전성기를 마칠지도 모르는 무기체계 [57] Lord Be Goja10953 24/03/09 10953
495145 [기타] 혼돈의 미국 근황 [34] Lord Be Goja15189 24/02/13 15189
494936 [기타] 폰 없던 시절 사람 기다리는 모습 [80] 우주전쟁13646 24/02/08 13646
494228 [기타] 이제 브이알이라고 해도 괜찮은 이유 [27] Lord Be Goja11637 24/01/26 11637
493954 [기타] 아이오닉 5 받는법 [44] 주말15047 24/01/21 15047
492538 [기타] 우왁굳+이세돌 아프리카 이적 가능성?! [220] 묻고 더블로 가!18186 23/12/24 18186
492495 [기타] 오늘 아침부터 1km 줄 섰다는 성심당 [50] 아롱이다롱이14772 23/12/23 14772
487884 [기타] 예술성이 듬뿍 가미된 달력 [13] 우주전쟁10414 23/10/04 10414
487610 [기타] x소기업 빙고 [36] 닉넴길이제한8자11000 23/09/29 11000
487496 [기타] 롤렉스 시계수리손상사건 결과 [27] Lord Be Goja11295 23/09/27 11295
485294 [기타] 허리케인 힐러리, 美남서부로 북상…'재앙적' 홍수 피해 우려 [20] 강가딘10291 23/08/20 10291
485131 [기타] 세계 최대 규모 해리포터 스튜디오, 서울서 3시간 거리에 들어선다 [19] KanQui#19051 23/08/17 9051
484059 [기타] 해리 포터와 20년 후 [29] 퍼블레인8966 23/08/01 8966
483559 [기타] CGV...나만 몰랐나..... [20] Janzisuka14072 23/07/25 14072
482620 [기타] 명작인 줄은 알지만 읽기 부담되는 소설... [70] 우주전쟁11054 23/07/09 11054
480180 [기타] 아내 몰래 그래픽 카드 산 남편 [40] 퍼블레인13274 23/05/29 13274
480086 [기타] 오늘자 주한 미공군 "엘리펀트 워크" 사진 [18] 아롱이다롱이12477 23/05/27 124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