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3/28 12:42:16
Name 우주전쟁
File #1 semiconductorinvestement.jpg (169.0 KB), Download : 24
출처 인터넷
Subject [기타] 삼성 지방 과기원 3곳에 반도체학과 신설... (수정됨)


삼성이 UNIST(울산과기원), DGIST(대구과기원), GIST(광주과기원)에 올해부터 반도체학과를 신설하고 학석사 통합과정을 운영한다고 합니다. 졸업 시 삼성전자 취업의 기회도 제공한다고 하네요. 그만큼 반도체 인력이 필요도 할 것이고, 정부 시책에 부응하는 측면도 있을 것이고, 지방 인재를 육성하는 측면도 있을 거 같네요. 이과 고3 수험생들이 있는 집에서는 관심있을 만한 내용인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린비
23/03/28 12:44
수정 아이콘
이과갈걸..
antidote
23/03/28 12:47
수정 아이콘
취업하면 수도권행인데 지방인재가 육성이 되나요?
리얼포스
23/03/28 12:57
수정 아이콘
물론 서울로 향하는 걸 아예 막을 수는 없지만...
적어도 서울에서 공부한 인재를 내려다 앉히는 것보다는 지방에서 공부한 인재를 눌러앉히는 편이 10배는 쉽습니다.
대학생이 있다는 건 교수가 있다는 거고, 교수 아래 석박사가 일하는 랩이 있다는 거라 그 자체가 고급인력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거구요.

지방 입장에서는 졸업 후 서울로 간다고 하더라도 일단 젋은 학생들이 4년간 지역에서 학교를 다닌다는 것 자체가 굉장히 큰 활력을 불어넣어줍니다. 밖에서 볼 때는 의미 없어 보이는 지방대 유지에 지자체가 목을 맬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23/03/28 12:48
수정 아이콘
이제 spk, 연고, 서성한, -ist 모두 반도체 계약학과를 가지게 됐네요. 서울대만 빼고
23/03/28 17:09
수정 아이콘
spk에서 이미 서울대가...
다시마두장
23/03/28 12:49
수정 아이콘
미국도 반도체 인력 늘린다더니... 당분간 이쪽 과들이 인기가 많으려나요
jjohny=쿠마
23/03/28 12: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KAIST는 2022년에 이미 개설돼서 운영되고 있군요. (특이하게, 다른 KAIST 학부 학과들처럼 '무학과'로 입학하는 게 아니고, '반도체시스템공학과'로 입학하게 되네요. 이후 무학과 학생들이 반도체시스템공학과로 전과하는 것은 불가.)
https://sse.kaist.ac.kr/admission-guide/

막상 인기가 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2022년 기준 학생(아마도 한 학년)이 총 21명이라는 것 같네요. 참고로, 1학년 정원 약 700명이고,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최대 정원은 100명입니다. 즉, 신입생 약 700명 중에서 20명 정도가 반도체시스템공학과를 선택한 모양입니다. 아직 특별히 인기 있다는 느낌은 아니네요.
https://www.data.go.kr/data/3051374/fileData.do

반도체 전문가들 사이에서 '반도체 계약학과가 막상 효용이 별로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 것 같더라고요.

물론 이왕 시작된 과정이니, 재학생들에게도 학교에게도 좋은 기회로 자리잡기를 바랍니다.
No.99 AaronJudge
23/03/28 13:17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카포급에서 저건 오히려 족쇄가 아닌가..싶긴 했는데(무학과 입학이라는게 참 좋다 싶었거든요..대기업을 쉽게 못 갈 학력도 아니구..)
뭐 개인의 결정이니까요…
jjohny=쿠마
23/03/28 13:19
수정 아이콘
일단 KAIST에서는 족쇄까지는 아닌 것 같아요. 입학요강에 보면,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서 타학과로 전과는 가능한 것 같더라고요. (통상의 기준대로라면, 어느 과든 원하는 과로 별 어려움 없이 전과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아주 매력적인가? 하면 좀 긴가민가한 느낌...
No.99 AaronJudge
23/03/28 15:52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Valorant
23/03/28 12:54
수정 아이콘
완전히 딴소리이긴 한데 이런 계약학과중에 고려대 뭐 데이터보안인가 군대 7년 가는게 제일 안습인 것 같더군요.
국정원 이런데서 모셔가지도 않는다고... 그냥 군생활만 쌩 7년해야한다던데 특이해서 기억에 남아있습니다.
23/03/28 13:10
수정 아이콘
사이버국방학과요
Valorant
23/03/28 14:4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탑클라우드
23/03/28 12:56
수정 아이콘
일단 지방에서 학부가 활성화될 수 있다면 그래도 지금보다는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동년배
23/03/28 13:02
수정 아이콘
학생 학부모 입장에서도 학비는 물론이고 서울 생활비 안든다는 것만 해도 엄청난 이득이죠.
최종병기캐리어
23/03/28 13:04
수정 아이콘
반도체계약학과 붙어도 다들 의대 가려고 재수한다고 했던거 같은데...
23/03/28 13:14
수정 아이콘
저 3곳에서 그럴진 모르겠는데
맞다쳐도 모두가 성공은 안 할거니 조금이라도 남지 않겠습니까 크크크
DeglacerLesSucs
23/03/28 13:14
수정 아이콘
의대랑 입결이 붙어있다는 거 자체가 최초합 합격자들이 의대 가러 다 떠나도 그 뒤에 추합으로 들어오는 친구들이 꽤 공부 잘하는 편이라는 거죠
터드프
23/03/28 13:54
수정 아이콘
계약학과가 과연 학생들에게 좋은지에 대해 의문이 있습니다.
진로를 사실상 정하고 학교생활 시작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서요. 삼성이 전문직 정도로 좋은 진로도 아니고..
게다가 계약학과의 최대장점은 장학금을 받으면서 학비 걱정 없이 학교 다니는건데, 유니스트 지스트 디지스트는 어차피 학생들 전액장학금에 용돈도 주거든요.
Valorant
23/03/28 14:42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터드프
23/03/28 15:30
수정 아이콘
거기다 저 세 학교 다 학생수준도 높은데 꼭 삼성을 가야 하는 것도 아닐거 같고요.
kartagra
23/03/28 15:50
수정 아이콘
서성한 라인까지는 충분히 의미 있다고 봅니다.
근데 그 위부터는 애매해지긴 하죠. 그 위라는 건 결국 의대 노린다는 얘기니(...)
실제로 저기서 성균관대는 경쟁률 엄청 빡셀 걸요.
과거 계약학교(?)에 가까운 철도대나 세무대가 딱 성균관대까지 걸치는 라인이었죠.
의문의남자
23/03/28 14:56
수정 아이콘
울산 과기대 쎈가욤? 저기 나온 아는동생이 맨날 자기가전교 1등이었고 자기보다 공부못햏는데 서울대간사람도 있다고 그러는뎀
우주전쟁
23/03/28 14:59
수정 아이콘
제가 듣기론 서성한 라인으로 취급된다고 하더군요. 앞으로 더 발전한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고도 들었던 것 같습니다.
No.99 AaronJudge
23/03/28 15:53
수정 아이콘
저기는 약간 [공부하고 연구하기에 좋은 학교] 대접을 받더라구요
아무래도 국가에서 밀어주기도 하고, 교수님들도 빵빵하시도 해서… 잘나가죠
23/03/28 18:47
수정 아이콘
개교했을때도 좋긴했는데 점점 좋아지는거 같더군요. 유니스트가 일반적인 인식보다 좀 더 높은 위치에 있다고 들었습니다.
몇년전까진 특목고애들 많이가던데, 요즘은 모르겠습니다.
장학금많고 교수들 좋고, 연구하기 좋은환경
여학생들 많고, 문과도 있는데 공대수업도 들어야해서 그냥 문과라생각하고 가면 적응못한데요.
울산시민들 염원인 4년제종합국립대는 못들어왔지만, 유니스트는 기대이상으로 컸습니다.
단점이자 장점은 주변에 놀곳이없고 시내에서 떨어져있다는 점.
울산역까지 가는 교통편은 불편하지만 거리는 가까운편입니다.
23/03/28 16: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나라에서 "xx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 !!" 라는 의견이 나오면 해답은 "대학에 xx학과 신설" 이렇게 되는데, "의사 수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다 !!"라는 의견은 "의대 신설/증원"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는 뭘까요? 공대도 대학 정원 늘이면 수준이 떨어지는 엔지니어들이 양산된다 혹은 지금도 엔지니어 수는 충분한데 제도가 어쩌고 하는 논리로 막아야 하는데 말이죠. 이러니 공대 출신들 취직은 좀 될지 몰라도 몸값이 오를 리 없죠.
Fabio Vieira
23/03/28 16:56
수정 아이콘
하.. 공대를 갔어야했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446 [유머] 문과 vs 이과 [25] 네모필라7483 24/05/25 7483
493574 [유머] 이과 vs 문과.maratang [8] 이호철11669 24/01/13 11669
488744 [기타] 문과가 디자인한 멀티탭 [79] 우주전쟁14393 23/10/22 14393
488097 [유머] 이과가 수명이 짧은 이유 [21] 퍼블레인11855 23/10/09 11855
487368 [기타] 노력하지 못하는 이유.manhwa [35] 인민 프로듀서13524 23/09/25 13524
486566 [기타] 웬만해선 이과생들이 안 만나기 어려운 분들... [38] 우주전쟁10245 23/09/11 10245
484045 [유머] 이과생들 보면 빡치는 톱니바퀴 구조 [11] Myoi Mina 7736 23/08/01 7736
483608 [유머] 힘의 차이가 느껴지십니까 [18] 코우사카 호노카10780 23/07/26 10780
481021 [기타] 이과생들의 정신나간 광기 [2] 묻고 더블로 가!9496 23/06/13 9496
480840 [유머] 역대 수능 난이도.jpg [38] 캔노바디11281 23/06/10 11281
479477 [유머] 젤다 왕눈 : 젤다를 만나러간 링크 그외 젤다 싱크빅 물건들 [14] 겨울삼각형9209 23/05/16 9209
479343 [유머] 선배가 준 하트모양 쿠키 [22]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541 23/05/13 10541
478355 [유머] 문과가 아이디어 내줘도 게을러 터진 이과가 개발안함 [57] 13922 23/04/24 13922
478139 [유머]  이과 공대생들은 정말 체크셔츠를 좋아할까? [21] Aqours9830 23/04/20 9830
476603 [기타] 삼성 지방 과기원 3곳에 반도체학과 신설... [28] 우주전쟁9090 23/03/28 9090
467456 [유머] 요샌 보기 힘들어진 라이벌리 [16] ELESIS10910 22/11/19 10910
465307 [유머] 여대생 누나의 과외를 받은 고3 [12] 메롱약오르징까꿍17600 22/10/23 17600
464104 [기타] 문과와 이과의 주식투자.TXT [27] 비타에듀10719 22/10/06 10719
463201 [기타] 9인치 피자를 주문했는데 5인치 피자 2개가 나왔다 [44] Odin10052 22/09/24 10052
460795 [텍스트] 해리포터 까기 최고봉 [6] Rain#17312 22/08/23 7312
460089 [유머] 좋좋소 생산직 버전 : 이과장의 헬테크 [11] 사울 굿맨10245 22/08/13 10245
458625 [스포츠] 나폴리에서 유벤투스 유니폼 입고 돌아다니기.gif [36] 실제상황입니다8526 22/07/22 8526
456669 [방송] [역전다방] 컴퓨터의 유래 [5] Croove6291 22/06/22 62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