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3/24 12:08:03
Name 물맛이좋아요
File #1 Screenshot_20230324_120631_Chrome.jpg (242.7 KB), Download : 77
출처 박사넷
Subject [기타] 왜 대학원생에게 돈을 줘야할까..?


교수님! 대학원생 죽어요ㅜ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오스
23/03/24 12:09
수정 아이콘
개좋은빛살구
23/03/24 12:09
수정 아이콘
저도 공부만 하는 거면 안줘도 된다 생각합니다. (대표적으로 파트타임)
근데 일시키잖아요 크크크크
고오스
23/03/24 12:10
수정 아이콘
막줄이 핵심이죠

일 시켜놓고 돈 안주면 뭐다?
오타니
23/03/24 12:52
수정 아이콘
???:에이~ 돈주고도 못배우는걸 일시키는거라니
ioi(아이오아이)
23/03/24 12:11
수정 아이콘
공부만 하는 거면, 돈을 받는 게 아니라, 돈을 낼 수도 있죠.

당장 대학교가 그렇게 돈을 받는데요. 근데 아닌 거 모두가 아는데 돈을 안 주려고?
투전승불
23/03/24 12:11
수정 아이콘
독일은 대학생도 돈 주는데?
미카엘
23/03/24 12:12
수정 아이콘
일 겁나 하죠.. 국책 과제 산학 과제 조교 업무 책 번역 등등 아우......
항즐이
23/03/24 12:16
수정 아이콘
랩바랩이죠. 본문처럼 생각하는 대학원생이 없진 않습니다. 다만 돈 생기는데 굳이 부스럼 만들 필요 없으니 인터넷에 올리거나 하지 않죠.
세상에 블랙기업만 있는게 아니고 월루나 꿀직장이 있지만 그들이 별로 보이지 않는 거랑 비슷하죠.
This-Plus
23/03/24 12:18
수정 아이콘
아직 학생이라 자기가 하는 노동이 시장에서 어느 정도 가치인지 잘 산출이 안될 때라...
23/03/24 12:20
수정 아이콘
사회과학대학원에선 이미 한푼도 없습니다만..? 흐흐
No.99 AaronJudge
23/03/24 12:24
수정 아이콘
ㅠㅜㅜ
Lord Be Goja
23/03/24 12:21
수정 아이콘
생산적인일 그때도 안하고 지금도 안하는분이시구나
달달한고양이
23/03/24 12:21
수정 아이콘
랩바랩이죠 요즘엔 잡일 일절 안 시키고 공부만 시키는 경우도 많아요. 근데 실험 배우고 논문 쓰고 본인 학위 받아가려는 게 1번이어야 하는데 얘는 여기서 뭐하러 왔지 싶은 학생들도 많음. 연구원들도 기관부담금 퇴직금 모두 교수 부담인데 회사같이 하려면 기관부담금이라도 산단에서 줘야 하는 거 아니냐고 ㅠ
23/03/24 12:22
수정 아이콘
연구원이 되어서 과제를 하는 경우라면 연구비를 받는 게 맞고, 조교 업무라면 조교비를 받긴 해야겠죠.
연구비 수주한 프로젝트가 없으면.. 돈못받고 혼자 공부하고 연구해야겠지만..
ComeAgain
23/03/24 12:22
수정 아이콘
공부만 하면 안 받는 거 아닌가요?
일을 시켜서 그렇죠?

그 다 큰 어른들(?) 다니는 대학원은 그런 거 없잖아요
No.99 AaronJudge
23/03/24 12:23
수정 아이콘
저 분은 교수님이시겠죠..?

아니 일을 시키잖아요..그럼 줘야죠..등록금을 깎아주던가..
23/03/24 12:23
수정 아이콘
교수되시고도 모르시면 어떡합니다..(아니 오히려 딱 맞는 교수상인가...)
망고베리
23/03/24 12:24
수정 아이콘
일시키면 당연히 돈줘야죠. 대학원생 없으면 실제로 연구하기 정말 힘든 거 본인이 알텐데요? 프로젝트가 별로 많지 않아서 그냥 계속 혼자하셨나…
시린비
23/03/24 12:30
수정 아이콘
일을 시키지 말고 학교처럼 다니게 하던가
성야무인
23/03/24 12:31
수정 아이콘
이게 참 어려운 문제이긴 헌데

그나마 한국은 이게 제도화 되있으니까 이공계에서 급여가 나오긴 합니다만

교수가 학생한테 급여를 주는 이유는

우수한 학생을 확보하기 위해 받는 건 맞습니다.

하지만 미국과는 다르게 한국은 교수가 확보한 연구비에서 학생급여 차지하는 비율이 꽤 많다고 봅니다.

미국의 경우 일단 제가 석박학위 했을때 기준으로 보면

TA와 RA로 합쳐서 급여를 받았습니다.

즉 시간강사로 하는 비용과 학생 연구원으로 일해서 버는 돈인거죠.

그나마도 시간강사는 주당 6시간 RA는 International Scholarship으로 해서 1년 학비랑 생활비를 충당했습니다.

교수가 연구비에서 돈을 주는게 아니라 학생이 직접 벌어야 하는 거였죠.

지금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한국 대학원을 미국처럼 운영하게 되면

학생들이 안올겁니다. 정말 학계에서 유명한 사람빼고요.
망고베리
23/03/24 12:36
수정 아이콘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미국도 RA는 교수가 따오는 연구비에서 대부분 나갑니다. 그렇기에 본인이 벌어서 충당할 경우 지도교수가 푸쉬하는 정도가 굉장히 약해지죠
한걸음
23/03/24 13:33
수정 아이콘
학생들이 TA는 당연히 하고 비서 역할도 하고, 과제 제안서 보고서 다 쓰는데 미국은 후자 비중이 별로 없긴 하더라구요. 포닥은 돼야 건드리는 부분
ArchiSHIN35
23/03/24 12:33
수정 아이콘
20년전 대학원 다닐 때 지도교수 마인드네. 크크
무슨 회사에 취업한 걸로 착각할만큼 외주 일을 시켜놓고 1인당 30만원짜리 해외여행으로 생색내던
모리건 앤슬랜드
23/03/24 12:34
수정 아이콘
문과는 일 안하고 연구만 하나봐요? 돈 안받는거 보면
성야무인
23/03/24 12:39
수정 아이콘
문과는 연구비가 거의 없습니다. T_T~
하아아아암
23/03/24 13:06
수정 아이콘
줄 돈이 없...
제주산정어리
23/03/24 12:49
수정 아이콘
노동의 댓가도 있는거고, 인재 육성을 장려하는 보조금의 측면도 있는거죠. 하도 석박사가 많아지니까, 혹은 본인들 스스로가 자조하면서 비아냥의 대상이 되곤 하지만, 일반적으로 그 정도 교육을 받고 있으면 국가적 인재라고 함이 맞습니다. 횡령이나 부정부패는 다른 문제고요.
파란미르
23/03/24 12:49
수정 아이콘
이공계 한정으로 학생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어야 우수한 연구비를 따서 우수한 연구를 하므로 생활비를 주는게 맞다고 봅니다.
외국어의 달인
23/03/24 12:52
수정 아이콘
교수따까리잖아욧!!! 도장파오라고도 시키더만!!
23/03/24 12:55
수정 아이콘
니들이 과제 시키잖아여
23/03/24 13:21
수정 아이콘
돈 안 받아도 석박할 정도로 집안이 아주 여유로운가 보죠? 그럼 돈 많은 집안만 이공계 박사할 수 있겠네.
고오스
23/03/24 13:35
수정 아이콘
100년 전만 해도 실제로 돈 많은집 아들내미들만 박사공부 했었죠

가끔 나오는 이레귤러 제외하면 최소 먹고사니즘 걱정없는 부류가 대부분...
한걸음
23/03/24 13:26
수정 아이콘
'참여연구원' 항목을 모를수가 있나요 교수가
주작 같네요
고오스
23/03/24 13:34
수정 아이콘
그런 제도가 왜 존재해야 하는지 이해 안간다고 하는거 같습니다
한걸음
23/03/24 13:40
수정 아이콘
학사학위할 땐 안 주는데 석박사학위할 땐 왜 줘야 되냐고 써있는데, 학사학위때는 교육 서비스를 받는거고 석박사학위는 프로젝트에 참여해서 일을 하니까 저런 항목이 있는건데 교수씩이나 돼서 이게 이해가 안 된다는게 이해가 안 돼서요. 고오스님을 공격하려는 의도는 아니고 짤의 글 쓴 사람에게 전달하고픈 말입니다.
계층방정
23/03/24 15:23
수정 아이콘
교수들 중에서는 대학원생이 하는 일은 노동의 가치가 없다고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아마 할 수만 있다면 프로젝트에서도 빼고 돈 안 줄 걸요?
한걸음
23/03/24 15:36
수정 아이콘
참여연구원에서 빼고 돈 안 주고 일을 안 시킬수도 있지만 교수 본인이 직접 실험할 거 아니면 보통 안 그럴 것 같긴 합니다.
고오스
23/03/24 15:51
수정 아이콘
저에게 하는 말씀이 아닌건 알고 있습니다 흐흐

교수들 중에서는 저런건 일로 취급하질 않고 잡일이나 심부름 개념으로 생각하고 돈을 줘야한다 라는 개념이 없는 사람들이 종종 보이죠

당연히 그런 교수가 이상한거고 잘못하고 있는거죠
유목민
23/03/24 13:40
수정 아이콘
대학교수 포함, 선생들 방학때 월급 뭐하러 주는지 모르겠는 소리네요..

그 대학원생들도 밥도 먹고, 출퇴근(등하교)도 해야 하고, 연애 결혼 출산도 해야 하고..

어디가서 대학교수라고 하지를 말던지..
EurobeatMIX
23/03/24 13:49
수정 아이콘
돈 많으면 대학원가라는 말도 아직 있는데다가 예전엔 진짜 있는집이나 학위땄다는걸 생각해보면
NT_rANDom
23/03/24 14:26
수정 아이콘
대학원생에게 학교나 연구실에서 돈을 주는 건 조금 이상하긴 합니다.
돈을 주려면 국가가 모든 대학원생에게 기초소득을 주면 모를까요
악튜러스
23/03/24 14:31
수정 아이콘
이공계면 학교나 연구실에서 나오는게 아니라 과제비에서 나오죠. 과제참여인력이 있고 인건비가 산정되어 있는데 안 주는게 더 이상합니다. 과제 1도 없이 연구만 하는 연구실이 아닌 이상...
23/03/24 14: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석박사 기간 내내 학교에서 누구나 다 주는 돈만 받으면서 다니긴 했는데, 제 노동력으로 교수가 월급 외의 돈을 버는게 아니라면 돈 줄 이유가 없긴 하죠. 근데 대학원생 굴려서 월급 외에 추가로 돈을 번다면 그에 합당한 돈을 줘야죠.
하아아아암
23/03/24 14:56
수정 아이콘
연구비(의 일부)는 교수에게 월급 외의 수입인가요 아닌가요

연구비에서 나오는 연구원인건비는 교수가 주는건가요 제3자가 주는건가요

이런 질문들이 생각이 나네요.
23/03/24 14: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연구비는 월급 외의 수입이죠. 월급이라 함은 책임 강의 시수만 채우고 아무 것도 하지 않았을 때 + 교연비 영역 기준만 겨우 채웠을 때 받는 돈이라고 생각합니다.

연구비에서 나오는 인건비는 연구 책임자가 주는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아아아암
23/03/24 15: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1번 질문을 드린 이유는 연구비 받는다고 해서 교수가 (합법적으로) 더 받는 돈은 크지 않아서 질문드린겁니다. 프로젝트 예산에 교수인건비 xx원 되어 있다고 급여 외에 xx원이 들어오는 구조가 아니라, 학교에서 나오는 월급의 재원이 저 연구비로 충당되는 구조로 알고 있습니다. 학교/학과마다 이 부분 정책은 다를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추가) 국가연구과제의 경우로 한정하겠습니다. 그 외는 이러한 제한이 사실상 없어서.

2번질문은 연구비를 받아도 교수가 금전적으로 받는게 크지않으면 학생인건비를 줄 이유가 없지 않나 싶어서 여쭤봤습니다.
23/03/24 15:09
수정 아이콘
저는 월급 말고 연구비를 받아본 적이 없어서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주변에서 보면 연구비에서 교수 몫 인건비는 그만큼 더 받는 것 같던데, 아닌가요? 뭐 제가 다른 교수들 월급 명세서를 본 적이 없으니 모르겠네요.
하아아아암
23/03/24 15:13
수정 아이콘
산학과제/용역과제 등 기타 연구과제에서는 수당을 더 받을 수 있고 정부과제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내부 인건비로 계상되어 교수 급여의 재원으로 사용됨)

정부과제의 경우 교수인건비 항목으로는 안되고, 연구수당, 인센티브 등의 항목으로 일부 재원 배정할 경우 교수가 받을 수 있을겁니다.
23/03/24 15:15
수정 아이콘
정부과제의 연구 수당 인센티브 항목이 받는 돈인거고, 산학/용역에서 수당이 받는 돈인거죠. 명목이 문제가 아니라 아무 것도 안 하고 숨만 쉬고 있을 때 대비 내 통장에 돈이 더 꽂혔냐 아니냐를 말하는겁니다.
하아아아암
23/03/24 15:20
수정 아이콘
실질적으로 연구비나 내부인건비 대비 그 인센티브가 작은 경우가 많아서요. 이런 연유로 학생인건비를 컨트롤(?)하기도 하구요.

아무튼 "조금이라도" 급여 외 수당이 꽂히면 교수도 번거고, 그 경우 학생들에게도 급여를 지급할 필요가 있다는 말씀이시면 저랑 같은 견해신거 같습니다.
하아아아암
23/03/24 14:58
수정 아이콘
꼭 줄 필요는 없습니다. 능력껏 하시면 되어요.

프로젝트에 연구원 인건비도 할당안하면 되고 뭐...
작은대바구니만두
23/03/24 15:26
수정 아이콘
참 신기한게 저 양반들은 대학원을 안다니고 교수까지 올라갔나...
몽키매직
23/03/24 15:33
수정 아이콘
당신 랩에서 졸업하고 나면 앞 날이 창창하도록 많이 가르켜주거나, 네트워크 잘 확보해서 졸업 즉시 가고 싶어하는 직장에 바로바로 취직 시켜줄 능력이 되시면 인건비 조건이 안 좋아도 줄 섭니다. 그게 아닌 평범한 교수시면 인건비로라도 유인하셔야죠...
멀면 벙커링
23/03/24 15:43
수정 아이콘
대학원생들에게 시키던 일을 순전히 지 혼자 다 해보면 왜 돈을 주는지 알게 될겁니다.
Rorschach
23/03/24 15:52
수정 아이콘
대학원 본인은 그런 생각 할 수도 있는데, 저 생각을 교수 되고 나서 까지 한다는 게 좀 소름...
DeglacerLesSucs
23/03/24 16:27
수정 아이콘
시간을 사는데 돈이 든다는 생각을 못하나보네요
서쪽으로가자
23/03/24 17:43
수정 아이콘
되게 건조하게 얘기하면 돈을 줘야 학생이 오니까.
23/03/24 20:36
수정 아이콘
대학원생은 엄밀하게 따지면 학생+연구원이라고 봐야합니다

연구원한테 월급 안주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3735 [기타] 초전도체 검증을 위해 한국에 도착한 미국 연구팀 [17] 물맛이좋아요10132 23/07/28 10132
483656 [기타] 수학적으로 완벽한 무한동력 장치 [33] 물맛이좋아요9858 23/07/27 9858
483649 [기타] 순욱의 인재 등용 다단계 피라미드.. [30] 물맛이좋아요9297 23/07/27 9297
483217 [기타] 바텐더의 최종병기라고 불리는 술 [11] 물맛이좋아요10930 23/07/19 10930
483175 [기타] 한고조 유방의 역대급 패드립 [38] 물맛이좋아요12036 23/07/18 12036
482253 [기타] 열정적인 게이머는 직원으로 뽑지 않겠다는 게임회사 임원 [35] 물맛이좋아요9752 23/07/04 9752
481655 [기타] ??? : 러시아 쿠테타글 솔직히 지겹지 않나? 물맛이좋아요9494 23/06/25 9494
481624 [기타] 2주전에 러시아 쿠테타를 예상한 군갤러 [3] 물맛이좋아요10466 23/06/24 10466
481272 [기타] 절대 잊어버리지 않을 영단어 [16] 물맛이좋아요11574 23/06/18 11574
481248 [기타] P의 거짓 권장 사양 [10] 물맛이좋아요10472 23/06/17 10472
481118 [기타] (예비군) 서강대, 한국외대 그리고 국민대 [46] 물맛이좋아요12107 23/06/15 12107
480998 [기타] (바둑) 대만에서 여자 바둑이 인기있는 이유 [36] 물맛이좋아요14299 23/06/13 14299
480965 [기타] (광고주의) 바둑기사 이세돌 근황 [16] 물맛이좋아요12903 23/06/12 12903
480901 [기타] 논란의 당근 마켓 매물... [9] 물맛이좋아요12637 23/06/11 12637
480824 [기타] 예비군 논란인 한국외대 총장과 교수를 고발한 단체 [18] 물맛이좋아요12343 23/06/10 12343
480148 [기타] 2023 GPU 성능 상대평가표 [15] 물맛이좋아요8331 23/05/28 8331
478738 [기타] 롤 한일전 시작 전에 기선제압하는 아프리카BJ [3] 물맛이좋아요8991 23/05/01 8991
478727 [기타] 기사 식당 근황 [11] 물맛이좋아요14063 23/05/01 14063
478680 [기타] 언리얼 엔진으로 구현한 1980년대 가정집 (스압주의) [11] 물맛이좋아요9038 23/04/30 9038
478539 [기타] 땡큐베리마취 [10] 물맛이좋아요8411 23/04/27 8411
477764 [기타] 일반상대성 이론을 시각화하는 새로운 방법(영어주의) [25] 물맛이좋아요10410 23/04/14 10410
476439 [기타] 지희 구글에 입사하시려면 C언어 능력시험을 보셔야 합니다. [15] 물맛이좋아요10349 23/03/26 10349
476435 [기타] AI야 얼룩말 탈출사건을 그림으로 그려줘 [14] 물맛이좋아요8999 23/03/25 89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