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2/28 14:19:06
Name 덴드로븀
File #1 2021년+임금근로일자리+소득(보수)+결과+보도자료_Image.jpg (1.01 MB), Download : 64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433668?sid=101
Link #2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11113&act=view&list_no=423944&tag=&nPage=1&ref_bid=203,204,205,206,207,210,211,11109,11113,11814,213,215,214,11860,11695,216,218,219,220,10820,11815,
Subject [기타]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수정됨)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5433668?sid=101
[2021년 임금근로자 월소득 333만원…中企, 대기업 절반 수준] 2023.02.28.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11113&act=view&list_no=423944&tag=&nPage=1&ref_bid=203,204,205,206,207,210,211,11109,11113,11814,213,215,214,11860,11695,216,218,219,220,10820,11815,11895,11816,208,245,222,223,225,226,227,228,229,230,11321,232,233,234,12029,10920,11469,11470,11817,236,237,11471,238,240,241,11865,243,244,11893,11898,12031,11825,246&keyField=T&keyWord=&bodo_b_type=all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 `21년 임금근로자의 [평균소득은 333만원, 중위소득은 250만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13만원(4.1%),  8만원(3.3%) 증가
◇ 조직형태별 평균소득은 회사법인 375만원, 정부·비법인단체 338만원, 회사이외법인 334만원, 개인기업체 196만원 순
◇ 기업규모별 평균소득[대기업 563만원], 비영리기업은 335만원, [중소기업은 266만원]
◇ 산업별 평균소득은 금융·보험업이 726만 원으로 가장 높으며, 숙박 및 음식점업이 162만원으로 가장 낮음
◇ 성별 평균소득은 남자 389만 원, 여자 256만원으로, 남자가 여자의 약 1.5배
◇ 연령별로는 [40대의 평균소득이 414만 원]으로 가장 높음
◇ 근속기간이 길수록 소득이 높았으며, 전년 대비 1년~2년 미만(4.7%)에서 가장 크게 증가

그렇다고 합니다.


본 통계의 ‘소득’은
[고용주가 노동을 제공한 근로자에게 대가로 지급한 보수를 의미하며, 집계치는 세전 기준, 월 단위 소득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로몬아돌
23/02/28 14:20
수정 아이콘
세전이라면 대기업 평균이 생각보다 높지 않네요
지대호
23/02/28 14:27
수정 아이콘
일괄적으로 12개월 곱하면 대기업 6,756만원, 중소기업 3,192만원, 평균 3,996만원 이네요.
체감에 비해 전반적으로 좀 낮지않나 싶지만 이게 현실이겠지요.
망고베리
23/02/28 15:30
수정 아이콘
아니 중소기업이랑 대기업이랑 2배 넘게 차이가 나네요 크크. 이러니 다들 중소기업 안 가고 가더라도 애낳는 건 꿈에도 못 꾸는 거겠죠.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순간 패배자 낙인 찍힐테니깐요
No.99 AaronJudge
23/02/28 16:13
수정 아이콘
진짜 이중구조네요;;;
한국에어비앤비
23/02/28 14:31
수정 아이콘
소득에 수당이나 성과급같은 것도 포함된걸까요 ??
23/02/28 14:35
수정 아이콘
국세청에 잡히는 소득 기준이면 포함이라 봐야겠죠.
한국에어비앤비
23/02/28 16:32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23/02/28 14:37
수정 아이콘
대부분 소득에는 기본 연봉만 들어가지 않나요?
기본금+시간외수당(포괄임금제에 적용된)

성과금이나 보너스 휴가비 기타는 포함 안 될 것 같습니다
저기에 후불성(퇴직금)까지 더하면 실제 대기업이랑
중소기업 차이가 더 날것같은데....
무냐고
23/02/28 14:41
수정 아이콘
포함되죠. 성과금이나 휴가비 이런것도 다 소득으로 잡히는데 포함이 안될 이유가 없잖아요.
차이가 덜 나서 그러시는거 같은데 3~4대 대기업 메인계열사에 성과급 팡팡터지는 곳 연봉만 이슈가 되니까 그렇죠.
23/02/28 14:49
수정 아이콘
포함되는군요
성과금같은건 매년 다르니 포함 안될지 알았는데
어차피 년도 소득이니 포함되서 자료 나오겠네요
한국화약주식회사
23/02/28 14:50
수정 아이콘
국세청이 발표하는 소득에는 성과급 보너스 기타 등등 주는건 거의다 소득이라 가정합니다.
아케이드
23/02/28 14:54
수정 아이콘
국세청 자료니 다 포함된거죠
오드폘
23/02/28 16:25
수정 아이콘
원징 나누기 12로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한국에어비앤비
23/02/28 16:3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NoGainNoPain
23/02/28 14:45
수정 아이콘
매일경제 링크 누르면 왜 이더리움 이야기가 나오죠?
덴드로븀
23/02/28 14:47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크크
Just do it
23/02/28 14:55
수정 아이콘
성별 평균소득이 차이나는게 정상이고 옳은 현실이죠.
하는 일이 다른데
스덕선생
23/02/28 14:58
수정 아이콘
사실 가장 큰 원인은 결혼, 육아 등으로 프리랜서나 아르바이트로 전환한 여성 때문이라 봅니다.

20대는 거의 비슷하고, 30대도 그렇게까지 큰 차이는 아닌데 40대부터 차이가 심하죠. 심지어 여성 통계는 오히려 30대보다 소득이 줄었습니다.
덴드로븀
23/02/28 15:01
수정 아이콘
https://www.bbc.com/korean/news-63869976
[여성 차별: 한국, 26년째 OECD 성별 임금 격차 1위.. '여자가 있을 자리가 없다'] 2022년 12월 7일
최근 OECD가 공개한 '성별 간 임금 격차(gender wage gap)'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성별 임금격차는 31.1%로 조사국들 중 가장 컸다.]
[한국은 1996년 OECD 가입 이래 26년동안 줄곧 회원국들 중 성별 임금격차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기준 [OECD 38개 회원국들의 평균 성별 임금격차는 12%]였다.

한국에 이어 성별 임금 격차가 큰 OECD 국가는
이스라엘 24.3%
일본 22.1%

다른 나라에선 하는 일이 같아서 차이가 덜 나는걸까요?
Just do it
23/02/28 15:04
수정 아이콘
???
회색사과
23/02/28 15:07
수정 아이콘
기왕이면 근속 연수와 임금이 같이 조사된 데이터가 있으면 어떨까 합니다.

한국에 사는 사람들 입장에서야..
한국 사는 사람들 눈에 보이는 원인들로 원인을 추론할 수 밖에 없으니까요.
무냐고
23/02/28 15:24
수정 아이콘
올려주신 기사 자료를 보면 한국도 같은 직무 기준 성별 임금 격차는 18.8%라고 하네요.
이걸 보면 하는 일이 달라서의 영향도 있다고 보이구요.
진짜 유리 천장도 있을거고.
과거에 아들과 딸의 교육차별이 있어서 40~50대에 계속 일을 하고 있는 고학력 여성이 적은것도 이유가 되겠죠.
아케이드
23/02/28 15:5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1위 하는게 뭐이리 많나요;;;
No.99 AaronJudge
23/02/28 16:14
수정 아이콘
노벨상 수상자 1위
자살율 뒤에서 1위
뭐 이런거만 1등하면 좋겠는데 말이죠 ㅜㅜ
VictoryFood
23/02/28 18:32
수정 아이콘
성별 연령별 임금격차를 보면 답이 바로 나오죠.
남자는 40대, 여자는 30대가 피크입니다.
근속년수가 임금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경력단절이 임금격차의 가장 큰 이유죠.
여성의 경력단절을 어떻게 완화시킬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록타이트
23/02/28 16:23
수정 아이콘
피지알에서 이런글 쓰시면 그분들 몰려옵니다.
23/02/28 21:01
수정 아이콘
그분들??? 그래서 위에 달린 댓글들이 님이 말한 그분들인가요?
록타이트
23/02/28 21:58
수정 아이콘
글쎄요 편할대로 생각하십시오.
아케이드
23/02/28 15:26
수정 아이콘
세전 250 받고 결혼 힘들죠...
사업드래군
23/02/28 15:43
수정 아이콘
대기업이 중소기업 2배를 훨씬 뛰어넘었고, 요식업쪽은 진짜 박봉이네요...
톤업선크림
23/02/28 15:57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 다니는데 딱 평균소득 받는군요
No.99 AaronJudge
23/02/28 16:14
수정 아이콘
허;;
카레맛똥
23/02/28 16: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출산 이유가 사실 여기서 나오죠.
다들 벌이 평균은 세전 250인데 평균 눈높이가 적어도 세후 400~500에 맞춰져 있으니 연애든 결혼이든 출산이든 안할 수 밖에..
23/02/28 16:31
수정 아이콘
인구 고령화도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대기업은 상대적으로 고연차들이 버티는 경우가 많아 연봉이 높고,
중소기업은 고연차들은 팽당하고 저연차들이 상대적으로 많다든지...
건설안전기사
23/02/28 22:18
수정 아이콘
대기업이 오히려 평균연령이 낮습니다..
http://www.sbiz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10898
23/02/28 16:45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에선 연봉 3300으로 생색 내면서 너같이 일하는 놈은 3천이 딱인데 우리가 인심쓰는거라는, 후려치기 및 가스라이팅을 하던데 대기업으로 이직하니 기본급부터 그 두 배가 되더라고요. 크크.. 저보고 3천이 딱이라고 했던 중소기업 임원님 가끔 생각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790 [기타] 남녀 소득에 따른 혼인율 [53] Leeka8004 24/05/31 8004
499497 [기타] 밑에 상하이 월세관련 글을 보고 찾아서 올려보는 중국 대도시 현실에 대한 영상 [32] 보리야밥먹자7741 24/05/06 7741
496378 [기타] 버핏이 자회사 고소득 임원의 급여 공개를 거부한 이유 [26] Neo9595 24/03/06 9595
491683 [기타] 일본의 저출산 정책 근황 [74] 무딜링호흡머신17471 23/12/07 17471
489370 [기타] 갤럭시태그 그거 어따씀?? [27] Lord Be Goja13215 23/11/02 13215
483815 [기타] 진짜 대한민국 평균을 알아보자 [33] Avicii11891 23/07/29 11891
482591 [기타] 진짜 대한민국 평균 가구별 소득 [25] 꿀깅이9177 23/07/09 9177
481724 [기타] 2022년 소득 100억원 넘은 재벌가 오너들.gisa [34] VictoryFood13650 23/06/26 13650
480730 [기타] 트위치,어제 발표한것 취소 [23] Lord Be Goja12531 23/06/08 12531
476973 [기타] 샘알트먼 GPT-4와 AGI에 대한 대담 [7] 졸업9886 23/04/02 9886
475921 [기타] 최근 들어 점점 늘고있다는 2030 기초수급자들.jpg [63] Pika4814508 23/03/18 14508
474720 [기타]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36] 덴드로븀11981 23/02/28 11981
474415 [기타] "월 483만원 버셨나요? 평균 가구입니다" [40] 꿀깅이14251 23/02/23 14251
471375 [기타] [슈카] 일반적인 대한민국 사람들의 인생 페이즈 [22] VictoryFood17102 23/01/11 17102
470716 [기타] 뽐뿌 커플의 데이트 통장 문제 [32] 꿀깅이12793 23/01/03 12793
468569 [기타] 현기차 로드탁송 알바 근황 [12] 꿀깅이13991 22/12/03 13991
468025 [기타] "5만원이면 오지 마세요"…결혼식 축의금 내고도 욕먹는다? [117] 꿀깅이17827 22/11/27 17827
465839 [기타] 커뮤니티별 평균연봉을 아라보자 [35] 꿀깅이13444 22/10/30 13444
464442 [기타] 대한민국 중산층 기준 [86] 꿀깅이13897 22/10/11 13897
455889 [기타] 애플,무이자 대출 Pay Later 서비스?! 게시 [22] Lord Be Goja5534 22/06/10 5534
452939 [기타] 포브스 선정 내집마련 어려운 나라(도시) [35] 니시무라 호노카7792 22/04/23 7792
452507 [기타] 국내 소득 양극화 정도 비교 [29] 니시무라 호노카8200 22/04/17 8200
447726 [기타] 청년을 위한 9.3% 적금.jpg [81] VictoryFood14093 22/02/07 140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