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2/01 13:02:35
Name Lord Be Goja
File #1 화재.png (605.3 KB), Download : 42
File #2 맅차.png (1014.1 KB), Download : 35
출처 기글하드웨어 /구글
Link #2 https://gigglehd.com/gg/lifetech/13676838
Subject [기타] 소방차 3대가 기본으로 출동해야 하는것





-------------------------------------------

그것은 테슬라 차량화재입니다
그것도 적절한 방법으로 끌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2/01 13:10
수정 아이콘
앞으로 더 많아질텐데 전기차만 불끄는 특수장비 개발이 필요할거 같네요;;
23/02/01 13:10
수정 아이콘
그와중에 갤런으로 표시하는게 빡치면 정상인가요?
겨울삼각형
23/02/01 13:57
수정 아이콘
그야

미국이니까요


끄덕
하아아아암
23/02/01 13:11
수정 아이콘
아직 시기상조인가..
율리우스 카이사르
23/02/01 13:13
수정 아이콘
근데 사실 이러면 뭔가 국가차원에서 세금을 더 맥여야 하는거아닌가 흠. 전기차를 마냥 장려하는게 맞는건지도 쫌.
타카이
23/02/01 13:16
수정 아이콘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는 화재 시 특수소방용수를 청구...?
시린비
23/02/01 13:13
수정 아이콘
What is a gallon?
덴드로븀
23/02/01 13:16
수정 아이콘
영국 갤런 4.54609 리터
미국 액량 갤런 3.785411784 리터

어떤 갤런으로 하시겠습니까?
23/02/01 13:24
수정 아이콘
홀리 쓋
Lord Be Goja
23/02/01 13:24
수정 아이콘
강한걸로 넣어주세요
23/02/01 16:35
수정 아이콘
헐퀴...
덴드로븀
23/02/01 13:14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zwwbUo_0ifk?t=610
[친환경 전기 자동차 재현 실험 화재 대응 매뉴얼]

그래서 무작정 불이 꺼질때까지 물을 뿌리는대신
불이난 전기차 주변에 물높이를 어느정도 만들어줄 팬스를 쳐서 물에 잠겨있게 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를 계속 시도중이죠.
23/02/01 13:18
수정 아이콘
전기차가 대세가 될정도로 늘어나면 아직은 감당이 안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충전부터도 어려울꺼 같고
23/02/01 13:23
수정 아이콘
마린 넷에 메딕 하나.. 전기차 한대에 소방차 세대..
단비아빠
23/02/01 13: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 + 주차장 만차로 소방차 접근 곤란
이 콤보가 한번 뜨면 지옥문이 열리겠지요...
발생이 확정된 미래인데도 현재로선 별 도리가 없는...
언젠가 전기차 화재로 진짜 큰 사고 한번 나고서 그때서야 많은게 바뀔 것 같습니다...
李昇玗
23/02/01 13:30
수정 아이콘
끔찍하네요....아파트 주차장에 전기차 많은데...
고오스
23/02/01 14:22
수정 아이콘
이건 정말 확정된 미래인데 현재까지 뚜렷한 대처 방법이 없죠
숙성고양이
23/02/01 14:50
수정 아이콘
사는동안 한 번 이상 꼭 나올 것 같네요
23/02/01 15:08
수정 아이콘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자체 침수 시키는 장치가 있어야 할수도...
아구스티너헬
23/02/01 19:56
수정 아이콘
전기차는 지하에 들어가면 안되죠 아직까진
23/02/01 13:24
수정 아이콘
그냥 다 탈때까지 기다려야하나..
iPhoneXX
23/02/01 13:54
수정 아이콘
지금 대부분이 그렇게 할껍니다. 확산만 막는 수준인거죠.
23/02/01 13:31
수정 아이콘
아파트 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 나는 순간 바뀌겠죠.
확정된 미래라는 게 안타깝네요.
interconnect
23/02/01 13:32
수정 아이콘
상상해봤는데 커다란 젤리같은 막을 던져서 끄면 안될까요??
타카이
23/02/01 13:34
수정 아이콘
산소 차단해도 탑니다...
체크카드
23/02/01 13:37
수정 아이콘
공기 차단등으로 끌수 없고 무조건 온도 낮추는 방법 뿐이라 화재 차량 주변에 벽을 세워 임시 수조를 만들고 배터리팩이 잠기는 높이까지 물붓고 온도가 내려갈때까지 계속 물 부워줘야 합니다
묵리이장
23/02/01 13:39
수정 아이콘
소화가 잘 되면 고체전지도 필요없고 배터리 안정성도 올라가겠죠.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고 kimm에서도 괜찮은 논문들이 나오고는 있는 듯 합니다만 시간은 좀 걸릴 듯 보이네요.
23/02/01 13:39
수정 아이콘
전기차 화재진압용 이동식 수조가 있고 전국에 조금씩 보급되고 있습니다
망고베리
23/02/01 13:46
수정 아이콘
저거 때문에 전기차가 시기상조라는 건 좀;;
찬공기
23/02/01 14:48
수정 아이콘
꽤나 큰 문제 아닐까요... 위에 많은 분들이 이야기 하셨지만, 구축 아파트 이중주차 잔뜩 되어 있는 지하주차장에서 테슬라 한번 불나면 진짜 큰일 날 수 있습니다... 정말 크게 망할 가능성이 있는데 그 가능성이 낮은지도 확실치 않아요... 비행기처럼 가끔 타는 것도 아니고, 늘 생활하는 아파트의 지하에서 생길 수 있는 일이니 더 위험하구요.
망고베리
23/02/01 15:05
수정 아이콘
큰 문제라고 하기엔 유럽이나 미국도 무관심하죠. 그게 한국만의 문제라면 시기상조가 아니라 다른 나라 다 전기차쓰는데 대책없는 한국만 큰일난 거 겠구요.
일반상대성이론
23/02/01 15:29
수정 아이콘
거긴 지하주차장이 우리나라만큼 흔하진 않으니까요
중국을 좀 봐야겠네요
찬공기
23/02/01 15: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음... 지하 주차장에 겹겹이 이중주차 하는 우리나라 구축 아파트 같은 상황이 외국에 얼마나 있을까 싶은데, 이건 솔직히 제가 외국 사정을 잘 모르겠네요.

그런데 외국이 신경 안쓰는데 왜 우리만 유난이냐 라는건 논리적인 대응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아구스티너헬
23/02/01 19:58
수정 아이콘
유럽이나 미국은 거주공간 지하에 주차하는 케이스가 많지 않습니다.
유료도로당
23/02/01 13:47
수정 아이콘
임시수조 만들어서 찬물에 담궈놓는게 최고라곤 하더군요. 물도 아끼고..
몽키매직
23/02/01 14:46
수정 아이콘
지하주차장에 전기차 많아지면 몇 십대씩 불 붙었을 때는 답이 없겠네요....
아예 지하주차장을 물로 채워버리면 일단 불을 끌 수 있다고 보면 되나?
전기차들은 제일 지하에 따로 주차 시켜야 될 것 같기도 하고요...
神鵰俠侶_楊過
23/02/01 15:08
수정 아이콘
빈 수조에서 충전하다가 불 나면 물이 아래에서부터 빠른 속도로 차오르는 시스템을 갖춰두어야겠군요.
윤성호
23/02/01 14:38
수정 아이콘
포크레인이랑 같이 가서 흙으로 묻는게 낫겠네요
23/02/01 15:09
수정 아이콘
근데 테슬라만이 아니라 리튬이온 배터리 쓰는 전기차는 다 마찬가지 아닌가요? 테슬라 화재가 뭐 더 특별한 게 있는 건가요?
유료도로당
23/02/01 15:17
수정 아이콘
다 마찬가지입니다. 북미에서는 특히 전기차 중에 테슬라 점유율이 압도적이니 사고사례도 제일 많은듯 합니다.

다만 테슬라의 경우 타 완성차업체에 비해 특히 팬시한 디자인을 추구하면서 세이프티 관련 디테일한 노하우는 좀 떨어지는 부분이 있어서, 사고로 인한 화재 발생시 문을 열고 탈출하기 어렵다거나 하는 이슈가 있긴 했습니다.
23/02/01 15:34
수정 아이콘
탈출 이슈는 저도 압니다. 그런데 본문은 '화재'에 대한 내용인데 테슬라만 언급되길래요.
海納百川
23/02/01 15:41
수정 아이콘
스마트폰이라는 뜻으로 아이폰이라는 제품명을 쓰는것과 비슷한거죠. 그만큼 인지도나 점유율이 압도적인....
Lord Be Goja
23/02/01 16:41
수정 아이콘
끄는데 어느정도의 물이 필요하다고 명시한게 테슬라뿐인가봅니다.오래팔린 제품이라 불도 더 오래전부터 나서 끄는데 쓰는 물양의 변화도 테슬라제품만 알수있던거같네요
고물장수
23/02/01 15:15
수정 아이콘
전에도 썼던 댓글인데 다시 퍼옵니다. 괴담만 돌아다니지 않고 제대로 이슈화돼서 법제화되기 바랍니다.

전기차 화재 문제는 요즘 보도가 많이 되지만.. 주로 괴담만 퍼뜨리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건 기술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법만 고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소방청이 일을 안해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겁니다.]

현재 전기차 및 고용량 배터리에 관한 화재안전기준이 전무합니다. 충전소도요.
전기차가 나온지가 언젠데!!
그러면서 요즘 불만 나면 화재 조사도 하기 전에 전기차에 뒤집어 씌우려 들더라고요.

전기차가 아니라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쓰는 리튬 배터리 팩의 경우에는 내부에 격벽이 있어서 못을 박아도 점화되거나 터지지 않습니다.
(삼성제품은 이 부분이 고체가 아니고 얇아서 사고가 자꾸 난다고... 대신 얇고 가볍죠)
https://www.yna.co.kr/view/AKR20170325031400017

전기차 배터리 팩에도 셀마다 내지는 적당히 잘라서 방화구획하면 됩니다. 어쩌다 셀 하나가 잘못돼서 점화되더라도 불이 자동차 전체로 번지지 않게.
배터리나 소방을 몰라도 생각할 수 있는 아주 간단한 이야기죠.

[그냥 일을 해야할 놈들이 아무도 안하고 있을 뿐입니다.]

소방청은 현장 구조대의 헌신과 희생 뒤에 숨어서 그렇지 관심갖고 들여다 보시면 게임위만큼이나 무능하고 일 안하는 부처랍니다.
시민여러분의 관심과 맵고 쓴소리가 필요합니다.
23/02/01 15:25
수정 아이콘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전기차 배터리 팩에도 셀마다 내지는 적당히 잘라서 방화구획하면] 전기차의 디자인, 배터리 용량과 성능, 주행가능 거리 등 핵심적인 요소에 변경을 초래하지 않을까요? 전기차 배터리 안전규제에 관한 글로벌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면 그에 따르면 되는데, 만약 우라나라에만 저런 규제가 도입된다면 테슬라같은 외제차량도 수입이 안되고, 현대의 전기차도 수출이 어려운 등 전기차 시장에서 갈라파고스화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고물장수
23/02/01 15: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국은 테슬라가 있는 나라라서 그런지 자동차 자체에 대한 규제는 아직 마련되어있지 않고 화재 대응 매뉴얼만 있습니다.
다만, 충전설비에 대한 화재안전기준은 있습니다.
리튬계 배터리가 점차 널리 사용되고 있고 전기차(그쪽에선 대안연료차(AFV) 라고 표현)가 늘어나면서 그쪽 소방청에서 문제의식이 제기되고 계속 지들끼리 뭔가 논의를 하고 있습니다.
미 소방당국은 하나에 셀에서만 문제가 발생해도 전체 셀로 번지는 것이 문제라는 점까지도 인지하고 있네요.

유럽은 이미 배터리팩에 대한 자체적인 내화기준을 마련했습니다.
내화테스트를 통과해야 유럽에 수출 및 판매를 할 수 있습니다.
독일어를 할 줄 몰라서... 유럽은 이 이상은 모르겠습니다.

항상 유럽만 규제를 선도하라는 법은 없죠.
海納百川
23/02/01 15:47
수정 아이콘
전자기기 전지와 전기차 전지는 용량이 10000배 정도 차이가 나서 같은 레벨에 놓고 비교할 물건이 아닙니다.
저기차 배터리가 어떤 상황에서도 안전하도록 설계한다면 아마 항속거리는 반토막이 날겁니다.
찬공기
23/02/01 15:56
수정 아이콘
일상생활에서 늘 사용하는 자가용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그렇다면 전기차는 정말로 시기상조가 되는 게 아닐까요.
海納百川
23/02/01 16:04
수정 아이콘
그건 시장이 알아서 판단하겠죠. 비행기도 사고나면 열에 아홉은 죽는줄 알지만 타는것처럼요.
활화산
23/02/01 21: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합니다.
海納百川
23/02/01 22:18
수정 아이콘
에휴.....
아구스티너헬
23/02/01 20:02
수정 아이콘
테슬라 베터리가 정확히 그렇게 되어있죠 셀별로
그래도 화재는 못막고 있습니다.
단위셀의 용량이 커서 단위셀 만으로도 발화하기 때문이고 열이 너무 높아 옆셀로 전이되는거죠

그럼 셀을 더 작게 나누면 되는일인데 그럼 집적도가 떨어져서 베터리 사이즈가 훨씬 커지고
무게 증가, 용량감소 크리티컬이 터지겠죠
탑클라우드
23/02/01 15:27
수정 아이콘
고용량 배터리도 아마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겠죠?
기술의 발전으로 화재 위험이 드라마틱하게 감소하는 날이 어서 오기를...
海納百川
23/02/01 15:48
수정 아이콘
지속적으로 노력을 하고 있고 조금씩 개선이 되고는 있지만 드라마틱하게 하루아침에 바뀌 날은 아주 요원하다는게 현실이죠.
사바나
23/02/01 16:08
수정 아이콘
저 물을 소양강에..
23/02/01 16:17
수정 아이콘
모르시는 분들이 많던데 이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사건은 몇건 있었습니다. 당장 제가 사는 아파트에서 코나가 불타서 난리가 났었거든요.

그런데 걱정하시는 만큼 연쇄 화재로 번진다거나 하진 않았습니다. 불난 시간대가 새벽인데다가 전기차 화재 특성 상 진압은 거의 불가능했고 그냥 전소를 기다렸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제 차는 좀 떨어진데 주차를 해서 전혀 피해가 없었고 후에 관리사무소 통해 듣기로는 바로 옆에 주차 되었던 차량 한두대 정도가 직접적으로 피해를 봤고 나머진 그을음, 탄내 정도의 피해 였다고 하더라고요. 제일 피해가 컸던건 지하주차장 자체였는데, 화재장소는 바닥, 천장 등이 난리가 났고 지하주차장 특성상 열, 그을음, 탄내 등이 잘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피해가 상당했습니다. 당시 도색 등 지하주차장 보수작업 견적이 3~4천 나온걸로 아는데 현대자동차 상대로 피해보상 소송 한다는 이야기만 듣고 결과까진 모르겠습니다.
상록일기
23/02/01 16:55
수정 아이콘
산소가 없어도 화재가 진화가 안된다고 하시는데 그건 왜 그런건가요? 산소 없이도 불길이 유지가 가능한가요? 문과라 정말 모릅니다...
23/02/01 17:18
수정 아이콘
https://www.google.com/search?q=%EB%A6%AC%ED%8A%AC+%EB%B0%B0%ED%84%B0%EB%A6%AC+%ED%99%94%EC%9E%AC+%ED%99%94%ED%95%99%EB%B0%98%EC%9D%91&client=ms-android-samsung-rvo1&source=android-home&source=hp&ei=dx3aY-XTFtXbhwPB7J34CQ&oq=%EB%A6%AC%ED%8A%AC+%EB%B0%B0%ED%84%B0%EB%A6%AC+%ED%99%94%EC%9E%AC+%ED%99%94%ED%95%99%EB%B0%98%EC%9D%91&GS_lcp=ChFtb2JpbGUtZ3dzLXdpei1ocBADMgUIIRCgAToLCAAQgAQQsQMQgwE6BQgAEIAEOgQIABADOgYIABAIEB46CQgAEAgQHhDxBDoICAAQCBAeEA86BAgAEB46BwghEKABEAo6BAghEApQ-QVYoklghUtoB3AAeACAAbgBiAHmKZIBBDAuMzeYAQCgAQGwAQA&sclient=mobile-gws-wiz-hp#ip=1

양극이 분해되면서 자체적으로 산소가 나온다고 하네요.
상록일기
23/02/01 17:33
수정 아이콘
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5727 [기타] gs혜자 도시락에 이은 cu종원 도시락 [40] 카루오스12873 23/03/15 12873
475417 [기타] 이사를 무척이나 좋아하는 대한민국 정부 [21] 판을흔들어라9886 23/03/10 9886
475320 [기타] 버번 위스키에 대해 알아보자.jpg [59] Aqours9309 23/03/09 9309
475255 [기타] 비빔밥은 옛말…요즘 미국에서 뜨고 있는 한국의 길거리 음식은 [72] 로켓11774 23/03/08 11774
475229 [유머] 물가가 확 체감됨 [32] 껌정14191 23/03/07 14191
474886 [기타] 새로나온 제로 음료 3가지 리뷰 [60] 아롱이다롱이10361 23/03/02 10361
474825 [기타] 혜자 도시락에 맞서는 CU의 루피도시락 [52] 톰슨가젤연탄구이11469 23/03/01 11469
474701 [기타] 김혜자 도시락이 혜자인 이유 [50] Aqours10340 23/02/28 10340
474412 [기타] 고대 인류사의 큰 미스터리 가운데 하나... [47] 우주전쟁11501 23/02/23 11501
473962 [유머] 약후) 중국 홈쇼핑 근황.JPG [36] 12412 23/02/17 12412
473897 [스포츠] 긱벤치6 등장으로 다시 벌어진 갤럭시와 아이폰의 격차.jpg [52] 삭제됨10677 23/02/16 10677
473856 [기타] BMW의 새로운 콧구멍 [33] 꿀깅이9394 23/02/15 9394
473360 [기타] 갤럭시 s23 원신 벤치마크 [45] 우정머11902 23/02/09 11902
472820 [기타] 소방차 3대가 기본으로 출동해야 하는것 [59] Lord Be Goja10919 23/02/01 10919
470579 [기타] 83년생들 남녀 혼인율 [22] 꿀깅이13183 23/01/01 13183
470185 [유머] 성심당 크리스마스 케이크 실물과 가격 [119] Leeka15777 22/12/26 15777
470109 [방송] 월급 350에 숙식까지 가능…"그런데도 사람이 없어요" [59] kien.16954 22/12/25 16954
469621 [기타] (스압주의) 2000년대 초반 사진 100장 [39]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1678 22/12/18 11678
469580 [기타] 투자 얼어붙어 눈물나는 스타트업들 근황.jpg [47] VictoryFood16157 22/12/17 16157
469520 [서브컬쳐] (후방주의) 스킨만으로 모든 불만을 잠재운 오늘자 벽람항로 [14] 묻고 더블로 가!17477 22/12/17 17477
469513 [유머] 이달의 판매원 [21] 메롱약오르징까꿍13492 22/12/16 13492
469287 [유머] 통일 vs ios 외부 앱스토어 [7] 인간흑인대머리남캐7739 22/12/14 7739
468798 [기타] 미국차 내구성 Top10 [22] 꿀깅이10912 22/12/07 1091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