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1/19 21:06:16
Name Starlord
File #1 03d3f4cfeee6b8c4748a99b8fd0dc998.png (1.87 MB), Download : 76
출처 펨코
Subject [유머] 한글이 현재 모습과 다르게 변할뻔한 사연


대 병 우

빛 병 우

피지알에서 한글 못쓸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1/19 21:10
수정 아이콘
아깝다 풀어쓰기 됐으면 피지알에서 자음연타 가능했을텐데
산밑의왕
23/01/19 21:12
수정 아이콘
사실 모아쓰기란 특성때문에 폰트가 한정되는 단점은 있긴 합니다.
에텔레로사
23/01/19 21:13
수정 아이콘
저렇게 바뀌었더라도 자리 잡히고 난 후세라면, 위에 적힌 이유들을 조명하면서 대시경 갓현배를 풀어쓰며 찬양하고 있을 것 같아요.
츠라빈스카야
23/01/19 21:13
수정 아이콘
한글타자기 관련해서는 공병우박사 외에도 꽤 여러 가지 시도가 있더군요.
과학하고앉아있네에서 걸박사님이 꽤 자세하게 얘기했던 기억이..
차라리꽉눌러붙을
23/01/19 21:15
수정 아이콘
우?? : 빛병우???
아이군
23/01/19 21:17
수정 아이콘
뭐 저때 풀어썼으면 지금 사람들은 자연스레 풀어썼을 테니깐.....
23/01/19 21:32
수정 아이콘
풀어썼으면 근데 IT 시대에는 더 좋았을듯...
23/01/19 21:33
수정 아이콘
아깝긴 하네요 풀어썼으면 한글 폰트 용량이 획기적으로 줄었을텐데
강가딘
23/01/19 21:33
수정 아이콘
러시아 글자 같다는...
23/01/19 21:39
수정 아이콘
한글 풀어서 거꾸로 읽기 하니까 아스달 연대기가 떠오르네요..
동년배
23/01/19 21:45
수정 아이콘
베트남도 그렇고 튀르키예도 그렇고 독립국가들이 기존 글자들이 불편하고 문맹률도 높을 때라 문자를 새로 배운다는 부담감이 없을 때라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음...) 저런 시도 많이 했습니다. 지금 키릴 문자 라틴문자로 바꾸려는 나라도 있고... 저런 것보다 진짜 큰 일 날뻔 했던건 한글간소화파동이죠.
23/01/19 22:00
수정 아이콘
한글 풀어쓰기가 나쁘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한 글자를 한글 대문자로 시작하고 모음과 받침을 한글 소문자로 쓰면 구분이 쉬워져서 그렇게 가독성이 떨어질 것 같지도 않고요.
풀어쓰기가 아주 다양한 폰트를 만들어 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요즘 같은 정보 시대에는 장점이 아주 많아서 둘 다 정식 쓰기법이 되었다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Easyname
23/01/19 22:04
수정 아이콘
심영:김두한 X까네!
아이슬란드직관러
23/01/19 22:31
수정 아이콘
요즘 네벌식 타자기랑 재밌게 놀고 있는데 폰트보면 당시엔 풀어쓰자는 말 나올만하다 싶습니다 크크
지니팅커벨여행
23/01/19 22:32
수정 아이콘
풀어 썼으면 보고서 분량이 더욱 늘었겠네요
데몬헌터
23/01/19 22:38
수정 아이콘
에엑따
23/01/19 22:39
수정 아이콘
풀어쓰기에 익숙해졌더라면 다른 장점도 많지 않았을까 싶긴하네요.
Jignificance
23/01/19 23:45
수정 아이콘
풀어썼으면 더 좋았을 것 같네요. 한글이 되기는 해도 맥이나 일부 프로그램에서 아직도 한글과 관련된 오류가 있기도 하고 한글은 이용한 nlp나 텍스트마이닝도 훨씬 더 발전했을 것 같아요.
남한인
23/01/19 23:55
수정 아이콘
외솔 최현배 선생 훌륭한 분이지만,
한글 풀어쓰기는 삽질이고,
그럴 바에는 라틴 알파베트를 도입하여
약간의 부호를 추가 (예컨대, ê, û같은 것)하는 편이 나을 거라고 봅니다.

어차피 두 문자의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북셈 문자가 나오므로 이상한 이야기도 아닙니다.
23/01/20 00:22
수정 아이콘
풀어쓰면 한글의 개성이 사라짐… 그럴거면 차라리 영어를 공용어로 하는 것이 낫겠네요
-안군-
23/01/20 00:47
수정 아이콘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처럼 알파벳으로 음차해서 고유어를 표현하는 방식이 됐을지도..
피우피우
23/01/20 00:45
수정 아이콘
익숙해서 그런진 모르겠지만 걍 심미적으로 모아쓰기가 훨씬 나은 것 같습니다 크크
23/01/20 01:22
수정 아이콘
풀어 쓰기는 한글 타자기 발명 이전에 나온 과도기적 발상이죠.

'밣' 한 글자가 네 글자가 되면 A4 한 장 짜리 문서가 2~4장짜리가 되죠. 가독성 높여 보겠다고 대소문자 쓰고 모양 변경하고 부호 쓰게 되면 차라리 영문 쓰고 말지가 되죠.

지금이야 너무 흔하고 당연하게 한글 타자 쓰고 있지만 중국이나 일본이 로마자로 타자 입력하는 걸 보면 한글 타자기의 발명은 기계식 타자기로부터 디지털 입력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혁신입니다.
23/01/20 03:29
수정 아이콘
풀어 쓴다고 문장 길이가 서너배 되진 않죠. 모아쓰기보다 공간적으로 덜 빡빡해지니 더 작거나 날씬한 폰트로 쓸 수 있죠.
23/01/20 08:34
수정 아이콘
그래도 늘어나긴 할거 같은데요.
장수 늘어나는걸 폰트 줄여서 맞출수 있다는 발상 아닙니까?
나는아직배가
23/01/20 09: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풀어 쓴 영어글이 한중일 말로 적은 것보다 공간을 많이 차지할 거 같지만... 실제로는 작게 써도 잘 보여서 상대적으로 작은 폰트로 빡빡하게 때려넣을 수 있으니 오히려 종이를 덜 먹는 거 같아요. 지금 한글은 폰트 작으면 읽기가 불편해서 서점에 책들 폰트 크기... 무지 큼지막하고 종이 낭비 엄청 심하죵. 경험상으로도.. 같은 걸 영문으로 편집 된 거와 한글로 편집 된 놈에서 앞쪽이 더 종이 덜 먹었으면 먹었지 더 먹었던 적은 없었던 거 같아요. 앞쪽은 작정하면 공간절약 엄청 할 수도 있는데 뒤쪽은 그런 시도 잘 안 하죠. 안보이니까... 우리가 의외로 폰트 크게 듬성듬성 인쇄해서 종이 낭비해 먹고 사는 거 같습니다
23/01/20 16:59
수정 아이콘
풀어 쓴 영문은 가독성도 좋고 공간 절약도 될 수 있지만 풀어 쓴 한글은 그렇지 않죠. 가독성 나빠지고 공간만 옆으로 늘어날 뿐입니다. 사람들이 선진국이 영문 쓰고 영문을 바탕으로 타자기와 입력기가 발명 되어 발전하니, 한글의 특징은 생각도 안 하고 영문을 기준으로 그 틀에 끼워 맞추려고 하는데 한글과 영문의 차이를 무시한 처사죠.

애초에 일부 학자들이 풀어 쓰기를 고안하고 시도하려고 한 건 서양 선진국들은 타자기를 통해 문서를 개인의 손글씨에서 벗어나 빠르게 입력하고 누가 봐도 동일한 시인성을 확보해서 행정이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걸 보며 서양이 만든 타자기에 우리글을 입력할 수 있게 해서 어떻게든 따라 잡아 보려는 절박함에서 비롯된 거죠.

하지만 공병우 박사의 한글 타자기 발명으로 우리는 한글 제자 원리에 맞고 디지털 시대에 영문보다 빠른 속도로 입력할 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초성·중성·종성이 구분되는 성질을 이용해서 순서가 틀려도 오타를 바로 잡을 수 있는 모아치기나 초성·중성·종성을 한 번에 입력할 수 있는 동시치기의 개발로 영문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오타를 줄이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게 되었죠. 풀어 쓰기는 영문에 적합한 방식이고 모아 쓰기는 한글에 적합한 방식입니다.
나는아직배가
23/01/22 00: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처음부터 풀어 쓰는 걸로 배워서 알파벳처럼 쓴다면 달랐을 겁니다... 모아쓰기 해 놓으니 파악이 느리고 작거나 좁게 못 쓰는 거지, 한글은 자모조차 태생적으로 서양 알파벳보다 가독성이 안 나와서 풀어써도 크고 듬성듬성 적어야 할 리는 없다고 생각해요. 자모들이 다 비슷비슷해서 구분이 안 가는 게 아니잖아요? 그냥 서양 알파벳 쓰는 것과 비슷하게 쓰지 않을까요? 오밀조밀 안 모아지고 옆으로 늘어진다고 양넘 알파벳으로 쓴 게 페이지 더 잡아먹지는 않더라니깐요? 한글자모는 예외일 리가 없죠. 우리가 그렇게 쓰는 걸 한 번도 배우고 해 본 적이 없어서 풀어 쓴 게 뭔가 잘 될리가 없다고 심리적 저항감을 느낄 뿐... 그냥 기분탓일 것 같네요. 물론 이젠 아무 의미 없는 말이고, 모아 쓴 거에서 나오는 독특한 조형미가 어느 나라 글자에도 없는 독특함을 주고 있으니 굳이 풀어쓰기를 아쉬워 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하네요.
23/01/20 03:28
수정 아이콘
풀어쓰자는 건 한글의 특성을 간과하고 표음문자로 격하하는 거죠.
손꾸랔
23/01/20 03:30
수정 아이콘
사랑스러운 훈민정음을 지켜낸 숨은 공로자가 공병우 박사셨군요.
만약 풀어쓰기 특히 최현배 구상으로 갔다면.. 아찔합니다.
단비아빠
23/01/20 09: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글 폰트 크기는 풀어쓰기가 아니었어도 조합형만 도입하면 충분히 작아지죠.
그리고 사실 조합형은 아직도 임베디드에서는 은근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완성형 조합형 코드 변환을 이용해서 말이죠.
데스크탑에서도 한글 폰트가 그렇게까지 문제가 될 수준으로 사이즈가 크던가
폰트 종류가 부족했다면 내부적으론 조합형을 사용하는게 대세가 되었을겁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건... 완성형도 그냥저냥 쓸만했었다는 일종의 반증이겠지요.

그리고 한글을 풀어쓰자는건...
본문에는 안쓰여있지만 인쇄 문제도 굉장히 컸을겁니다.
어떤 면에서든 나라를 발전을 시키려면 다양한 책들을 많이 찍어내야 하는데...
한글 모아쓰기는... 인쇄에 있어서도 정말 안좋죠...
폰트 문제는 디지탈이 아니라 옛날 아날로그 시절이야말로 더 치명적인 문제였을겁니다.
조판을 하기 위해서 26개 알파벳들의 금속활자만 있으면 되지만 한글은 몇천개가 필요하니까 말입니다. (한자까지 합치면 어우야..)
인쇄 비용에서 어마어마한 차이가 나니까... 그나마 어느 정도 인쇄 인프라가 갖춰지기 전에는
차라리 한글을 풀어쓰자고 생각하는게 더 쉬운 해결책이었을겁니다.
23/01/20 11:24
수정 아이콘
본문에 쓰여있습니다;
단비아빠
23/01/20 13:12
수정 아이콘
본문에 인쇄 얘기는 없습니다... 타자기 문제는 인쇄하고는 좀 다르죠
23/01/20 13:24
수정 아이콘
타자기와 인쇄기가 좀 다르다 주장할 순 있어도 문제는 같고 이미 나와있는걸요
달빛기사
23/01/20 09:45
수정 아이콘
풀어 쓰는게 좋을리가... 가독성은 생각도 안하는..
23/01/20 11:15
수정 아이콘
이런 게시물에 '염두하다'가 거슬리면 문법나치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2984 [서브컬쳐] 서울 만화책 할인 (명탐정 코난/드래곤볼 외) [2] 고쿠7882 23/02/03 7882
472983 [LOL] LCK 2023시즌 첫 펜타킬.MP4 [7] insane7655 23/02/03 7655
472982 [유머] 잘생겨도 야구 못하면 버스 불탄다는 짤의 진실 [27]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403 23/02/03 13403
472981 [유머] 여섯살짜리 아이가 믿지 못하는 사실.jpg [33] Myoi Mina 13231 23/02/03 13231
472980 [유머] 돈세탁 레전드 [15]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685 23/02/03 12685
472979 [유머] 땅 200평 준다는 누나 카운터치는 기안84.jpg [14] 캬라11828 23/02/03 11828
472978 [서브컬쳐] 최근 수상한 이유로 매출이 증가중인 음식점 [10] Fin.10148 23/02/03 10148
472977 [기타] 엉터리 닭가슴살 가공육 판매업체 근황 [17] Lord Be Goja11862 23/02/03 11862
472976 [동물&귀욤] 집사가 서서 오줌 싸는걸 보고 배운 고양이. mp4 [13] insane9409 23/02/03 9409
472975 [기타] 아버지를 실수로 다리미로 지져버림 [15] insane11657 23/02/03 11657
472974 [유머] 국산게임 평점 테러중인 중국인.....jpg [12] Myoi Mina 12333 23/02/03 12333
472973 [방송] 피지컬 100 3대 800 치는 파워리프터 [8] Pika4811733 23/02/03 11733
472972 [게임] 모바일인덱스 기준 1월 미소녀게임 매출순위 [16] 묻고 더블로 가!9382 23/02/03 9382
472971 [스타1] 게임 진짜 X같이 하는 프로게이머.MP4 [22] insane10512 23/02/03 10512
472970 [기타] 디스코드 쓰면 게임이 느려지는 느낌이 드나요 [20] Lord Be Goja10804 23/02/03 10804
472969 [스타1] 이번 ASL 예선 4강에서 안기효가 김택용 이긴 경기 분석 영상 [14] 시나브로8199 23/02/03 8199
472968 [기타] 현대카드 정태영 대표이사의 오늘의 점심.jpg [10] insane11569 23/02/03 11569
472967 [기타] 애플페이 전 카드사에 개방…현대카드 독점 계약 깨졌다 [28] 지친청년12324 23/02/03 12324
472966 [LOL] LOL 지휘통제실.jpg [2] KanQui#17414 23/02/03 7414
472965 [유머] 피디 한대 맞기 3초전 [7] 쎌라비9850 23/02/03 9850
472964 [연예인] 반전 매력으로 화제를 모으고 있는 우수한 치어리더 [12] 묻고 더블로 가!13027 23/02/03 13027
472963 [기타] 넷플릭스 공유 관련 또 변경 [21] Lord Be Goja10264 23/02/03 10264
472962 [유머] 한국 영화 명대사 비틀기.JPG [24] 실제상황입니다10781 23/02/03 107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