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1/17 15:13:47
Name 굄성
File #1 majo.jpg (197.2 KB), Download : 27
출처 https://twitter.com/pakucchi/status/1615161311083778048
Subject [기타] 미래를 예상한 마조앤새디


역시 건설사들은 믿는구석이 있군요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핔스핔
23/01/17 15:17
수정 아이콘
왜 사주는건가용
23/01/17 15:25
수정 아이콘
건설사 터져요 빼애액~
고오스
23/01/17 15:41
수정 아이콘
1. 건설사와 엮인 곳이 너무 많아서 하나 쓰러지면 도미노로 여기저기서 무너지면서 경제위기 도래 가능성 매우 높음

2. 현 여당 지지자와... (읍읍)

등등의 이유로 사주는거죠

저도 영끌족 등 맘에 안들지만 원채 꼴아박은 사람들이 많으니 후...
23/01/17 15:28
수정 아이콘
항상 의문을 가졌던...too big to fail이라는 말...
하아아아암
23/01/17 15:29
수정 아이콘
왜 조석이 보이지 덜덜
Grateful Days~
23/01/17 15:30
수정 아이콘
평당 2천만원!?!!?
23/01/17 15:30
수정 아이콘
이거도 규모의 경제로 봐야죠.
소수의 피해자가 발생하면 그러던가말던가 아무도 신경안쓰지만, 대규모 제조업, 금융권이 휘청한다? 그러면 연쇄작용 어마어마하니 정부가 나서줍니다. 지금껏 그래왔고 앞으로도 쭈욱 그럴겁니다.
한국정서상 아파트, 건설업이다 보니 부정적인 경향이 심하긴한데 이런식의 땜빵이 옳은건지 아닌지는 애매합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3/01/17 15:36
수정 아이콘
그러다보니 모랄헤자드가....
23/01/17 15:37
수정 아이콘
모럴헤저드의 예는 아니지만 지금 둔촌주공 터지면...어후;;;;
23/01/17 15:42
수정 아이콘
가격을 내려 팔면 됩니다.
규모의 경제 이전에, 기존 구매자들의 깽판을 건설사가 감당하기 싫으니 버티는거죠.

지금 일반적으로 회사 다니는 분들이 상상도 못할 만큼, 전방위적인 산업이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자영업자든 중소기업이든 어려운 기업 모두에 국가가 돈 투입해주는 것도 아닌데,
건설사의 [물건 판매] 가 연쇄작용이 어마어마하다?????
핑곕니다.

국가가 나서서 매입해서 싼 가격에 재임대를 주든, 청년임대로 돌리든 뭘 하든 상관은 없는데
같은 방법을 건설사가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거] 잖아요 사실?
그걸 했다가 어떻게 건설사가 입주민들에게 박살나 왔나를 아니까 그냥 나라가 나서 줄 때까지 버티는 모습이죠.

부동산이 자산이다 라는 건 잘 알겠는데,
왜 그 남의 자산을 세금으로 가격이든 뭐든 유지를 해줘야 합니까.....
국가가 뭔 국민 자산 관리 업체도 아니고.
언제부터 제 자산을 국가가 신경 써주고 관리해주고 있다고...
고오스
23/01/17 15:44
수정 아이콘
일반인이 현 경제 위기를 제대로 인식 못하는 이유 중 하나가 언론이기도 하죠 @_@...
23/01/17 15:56
수정 아이콘
예 맞습니다. 악성 재고남으면 싸게떨이하면 되죠. 그걸 왜 국가가 사줍니까?
근데 아파트는 일반적인 재화랑 좀 성격이 달라서 문젭니다. 예전에 일산 두산위브 아파트같이 그냥 단순히 완공 후 악성재고 정도면 지지고볶던가 니가 알아서 해라하면되겠지만(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건으로 두산건설은 망했죠)
지금 둔촌주공은 그 좀 뭐라해야할까 돈(대출)문제가 상당하죠. 그냥 '싸게 팔게요' 정도로 해결이 안되는 문제라서 그렇습니다.
뭐 어차피 저랑 관계1도 없는 아파트고 망해서 다 죽던가 말던가 당장 제 피부에 와닿는 일은 아닌데, 또 정부의 입장은 전혀다르니까요.
23/01/17 16:08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제 생각은 그겁니다.
[아파트가 왜 일반적인 재화랑 성격이 다르다]
라고 분류를 하느냐는거죠.
쌍용 망한다고 국가가 쌍용차를 매입해 준 것도 아니고,
대우 망한다고 대우를 매입 해 준 것도 아니고,
지금 수많은 지지부진 한 재건축 조합들의 문제들을 정부가 하나하나 나서서 매입해 줄 것도 아닌데,
둔촌은 크니까?
제 입장에서 나라라는게, [작으면 일단 좀 망해도 넘길 수 있지 뭐] 라고 생각한다고 밖에 안 보입니다.
둔촌주공보다 더더욱 거대한 개개인의 부동산 대출 문제에서, 전방위적인 문제가 생기면,
나라가 개개인의 부동산 매물을 매입해 줄 건 아니잖아요 사실?

둔촌 주공은 현재도 건설사 VS 조합단에서 누가 손해보느냐의 싸움이지, 둔촌주공이 터진다고 나라가 기운다??
제가 20년 넘게 산업 현장에서 본 모습은 다릅니다.
건설사 누가 망해봐야, 그 자리로 다른 건설사가 올라가든, 있는 건설사가 나눠먹든, 건설사 큰거 하나 망했다고
나라가 망한 모습을 본 적이 없습니다.
애초에 망할 때쯤 되면, 손해 보고라도 팔려는 모습은 조합이든 건설사든 익히 보긴 했지만 말이죠.

제가 볼 땐, 그냥 부동산을 위시로 한 정치적 행보로 밖에 안 보입니다 -_-;
23/01/17 16:13
수정 아이콘
아파트가 일반적인 재화랑 다른점이 음 뭐 자동차랑 비교를 하자면,
자동차: 주문을 받으면 자동차회사가 가진 자본으로 차를 먼저 만들고, 고객에게 돈을 받은 다음 차량을 넘겨준다.
아파트: 아파트를 건설할 '계획'으로 금융권에서 대출을받고, 구매자를 모아서(분양), 구매자가 계약금,중도금을 납부하면, 그돈으로 금융권에 빚도 갚고, 아파트도 짓고.

이래서 문제라는겁니다. 그래서 선분양하지말고 후분양하자고 하는데, 선분양 후분양까지 얘기꺼내면 너무 길어지고, 여튼 이래서 다릅니다.
아이군
23/01/17 16:08
수정 아이콘
둔촌 주공 같은 경우는 가격 내려서 해결이 안되니깐요....

지금 부터 둔촌 주공이 벌어야 할 돈은 거의 4조에 달합니다.(4000세대X10억) 여기서 20퍼센트만 할인해도 1조가 날라가는 거죠.
그런데 이것도 모자라서 추가분담금도 엄청나게 걸려있고 거기에 또 추가추가 분담금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거기다가 이 돈이 다 돌고 도는 돈이라서 하나 망하면 나머지도 연쇄적으로 망하는 구조입니다.

쉽게 말해서 둔촌 주공은 이 고분양가에 최적화 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지금까지 상황이 그렇게 만들었죠.

둔촌주공이 지난 정부 분양가 욕을 그렇게 많이 했는데, 왜 지난 정부가 그렇게 분양가를 만들었는지를 온몸으로 증명한 꼴이죠.
23/01/17 16:16
수정 아이콘
저도 서울 강북 지역 재건축하는 아파트를 조합원으로써 대기 중이고,
여긴 둔촌주공보다 심해서, 지금 몇년째 조합은 돈만 해먹고 아직 지하1층은 커녕 기반 공사도 시작을 못 했고,
조합원 개개인별로 손해는 벌써 몇억입니다 -_-;
(뭐 이러고도 웃긴건, 그 사고를 친 조합장이 계속 조합장을 하고 있다는 게 코메디인데 이건 별개의 문제이니...)

근데, 제가 이렇게 손해를 보고 있고, 금리로 타격도 받고 있지만,
규모가 작든 크든, 정부의 정책이 일관되야 한다는 생각은 변화가 없습니다.

저는 제 선택으로 부동산에서 손해를 보고 있는 것 뿐이고,
이게 더 큰 손해로 다가 올 것 같으면 정리를 해야한다 생각을 하는 사람일 뿐이에요.
하물며 전 다주택자도 아닙니다. 몇년째 기둥도 하나 땅에 못 박은 재건축만 지켜보며 월세 살이 중입니다.

지금 부동산, 사업, 기타 등등 대부분의 제가 참여중인 파트에서 곡소리가 들려오는데
부동산만 콕 찝어서, 특히 그 중 일부만 콕 찝어서 정부가 혜택을 주겠다??????
해당 업계에서 좀 더 몸부림 치고 선택해도 늦지 않다고 봅니다.
아이군
23/01/17 16:25
수정 아이콘
정부 정책이 일관되어야 하지만, 사람들은 일관되지 않으니깐요.

당장 여기만 좀 검색해도 전 정부에 대한 조합원들의 성토가 줄을 이었잖습니까....
현실적으로 아예 다 푸는 건 말도 안됩니다. 둔촌이 '진짜로' 터지면 그 데미지가 IMF급입니다.

그럼 결국 적절하게 제한하고 적절하게 도와줘야 되는데,
다들 그렇게 제한하는 거 싫다고 난리를 피웠잖습니까....

저도 지금 상황이 전혀 좋지 않습니다. 제 세금 날라가는 건데요.
하지만 우리는 과거에 선택을 했고, 그 결과 지금은 선택권이 없는 거죠. 그 뿐입니다.
고오스
23/01/17 15:42
수정 아이콘
대마불사가 괜히 나온말이 아니죠
코인언제올라요?
23/01/17 15:30
수정 아이콘
세금 투입~~
23/01/17 15:47
수정 아이콘
규제한다 그러면 정부가 원하는대로 다 규제 맞는데 그럴거면 반대 상황에서 구제도 어느 정도는 해줘야하는거 아닌가 싶긴 합니다.
Zakk WyldE
23/01/17 15:47
수정 아이콘
장기적으로 봤을때 그냥 터지게 놔두는게 맞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매번 이런식이니 다음에도 그런식이겠지..
23/01/17 15:48
수정 아이콘
그런데 중소건설사들 파산하고 나면 결국 그 피해는 국민들이 받고 장기적으로 건설사 독과점에 의한 집값 상승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결국 하락할때 받아줘야 상승할때 분양가를 제한할 명분이 되기도 하고요...
nm막장
23/01/17 15:59
수정 아이콘
이번 둔주건은 건설 PF가 얽혀있으니 도미노를 막기 위함인 거는 같은데 과하다는 느낌은 있네요.
아이군
23/01/17 15: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재작년 이전에만 해도 조합원의 이익을 침해하는 정부 OUT!!외치던 분들 참 많았는데....

그 때 그렇게 자유시장경제 찬양하시던 분들은 다들 어디로 갔을까.....

청약 당첨된 사람이 룰루랄라(?) 할때 조합원은 분담금 낸다고 허리 휜다 는 말은 지금도 종종 기억이 납니다.
타농부
23/01/17 16:07
수정 아이콘
이럴거면 쌀사주는 걸로 뭐라 하지 말던가
김재규열사
23/01/17 16:18
수정 아이콘
덩치가 커지면 모럴헤저드와 자유시장경제 면역인거 모르셨죠?
라이엇
23/01/17 16:37
수정 아이콘
시행사들은 망해도 될꺼같은데...워낙 해먹는 인간들이 많아서.
23/01/17 17:19
수정 아이콘
세금 플렉스 지리네요.
옥동이
23/01/17 18:39
수정 아이콘
이렇게 대형 건설사들은 살아남고 중소 건설사들은 다죽음....다시 호황이 오면 살아 남은 대형 건설사들은 다시 또 독식하는 구조인가요
23/01/18 08:36
수정 아이콘
아니 자꾸 둔촌 이야기 하면서 건설사한테 싸게 팔라고 그러십니까?

둔촌 건설사는 싸게 못 팔아요.
저건 조합거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2483 [LOL] 평일 아침에도 경기 진행중인 LCK 근황.jpg [12] Ensis8017 23/01/27 8017
472482 [유머] [주식] ???: 주주놈들아 또 속았냐! [22] 김유라13121 23/01/27 13121
472481 [기타] 오늘 지구 근처를 스쳐 지나가는 것... [46] 우주전쟁12494 23/01/27 12494
472480 [기타] 세월의 흔적 [15] 동굴곰13320 23/01/27 13320
472479 [기타] 작년 10월 입주했다는 검단 신축아파트 근황 [71] Myoi Mina 16845 23/01/27 16845
472478 [게임] 데드 스페이스 리메이크 오픈/메타크리틱 리뷰 점수 등록 [11] Myoi Mina 9010 23/01/27 9010
472477 [유머] 슬램덩크 다음 5팀 중 우승팀은?.jpg [40] 김치찌개7401 23/01/27 7401
472476 [유머] 더글로리 주인공이 송혜교인 이유(소름주의) [9] 실제상황입니다11447 23/01/27 11447
472475 [유머] 엠마 스톤 속였던 엔드류 가필드 [4] Myoi Mina 10437 23/01/27 10437
472474 [유머] 포스포큰 주인공 모델 근황 [1] Myoi Mina 8754 23/01/27 8754
472473 [유머] 회사에서 앉고싶은 자리 고르기.jpg [29] 김치찌개9877 23/01/27 9877
472472 [유머] 분식조합 닥전vs 닥후 [18] 김치찌개7670 23/01/27 7670
472471 [유머] 삼시세끼 똑같은 밥 먹으면 연봉 10억.jpg [56] 김치찌개10391 23/01/27 10391
472470 [기타] [후방] 당신이 가장 좋아하는 요리가 뭔지 알고 있습니다 [7] BTS14453 23/01/27 14453
472469 [유머] 두줄로... [1] 메롱약오르징까꿍5912 23/01/27 5912
472468 [유머] [주식] '그 주식'이 있어 미국장은 심심할 틈이 없습니다 [15] 헤세드8310529 23/01/26 10529
472467 [유머] [약후]대유쾌 마운틴에 도달한 AI 그림 근황 2.jpg [29] 삭제됨15137 23/01/26 15137
472466 [유머] 플랭크자세 평가좀 [10] 메롱약오르징까꿍10024 23/01/26 10024
472465 [기타] 서울에 지어질 예정인 새로운 랜드마크 '서울링' [58] 꿀깅이12115 23/01/26 12115
472464 [유머] 어느 파키스탄 드라마 [7] 메롱약오르징까꿍8794 23/01/26 8794
472463 [유머] 대충 목숨을 구해주자 몸으로 갚는 클리셰 [18] 길갈10604 23/01/26 10604
472462 [유머] 블리자드 중국 서비스 종료 후 한국 히오스 근황 [11] Avicii9843 23/01/26 9843
472461 [유머] 아빠에게 딸 학예회를 맡기자 생긴 일.jpg [16] 한화생명우승하자11028 23/01/26 1102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