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1/17 10:23:26
Name 꿀깅이
File #1 1673419553776_2.jpg (157.4 KB), Download : 30
File #2 1673089527291.jpg (76.9 KB), Download : 25
출처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145724
Subject [기타] 둔촌주공 “주력평형 70%대 계약률”




둔촌주공 오늘 정당계약 마감…“주력평형 70%대 계약률”


정부가 둔주 계약일에 맞춰(?) 각종 규제를 풀었으나 완판은 실패하고 줍줍 가는 분위기네요

투자용이 아닌 실거주로는 메리트 있어보이는 가격인데
다들 주우러 가보시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1/17 10:27
수정 아이콘
어제 히비키하모니 한병만 안샀어도 사러 갔을텐데 아쉽습니다
허세왕최예나
23/01/17 10:36
수정 아이콘
저는 발베니 싱글배럴 ㅜㅜ
23/01/17 10:40
수정 아이콘
저도 히비키 21년산만 아니었어도 ㅠ
23/01/17 10: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주력 70%면 예비당첨자한테 넘어가면 보통 거기서 완판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60~70% 소화하면 예비당첨자 선에서 거의 다 팔리는게 보통이라.

아마 줍줍은 소형평수만 나오거나.. 주력 극소수 & 소형평수만 뜰거 같네요.

옆에 헤리티지도 본청약은 다 소화못했지만. 예비당첨자들이 다 받아줘서 줍줍은 안나오는걸로 끝났습니다.


저건 '본당첨자들이 70% 정도만 계약했다' 는 거고
그 이후에는 '예비당첨자' 먼저 기회가 가고
그래도 안받아야 줍줍으로 가는데 70% 정도면 줍줍 거의 안나옵니다.

소형은 흥행 실패한거 같으니 줍줍 나올거 같지만요.
23/01/17 10:33
수정 아이콘
사실 둔촌주공이 이정도로 어물쩡 넘어가주기만 한다면 오히려 정부입장에서 추가적인 완화책이나 부양책카드를 꺼낼 이유가 전혀 없어보여서 오히려 집값은 전세가 하락으로 인해 계속 하방압력만 받을것 같은데 혹시 leeka님은 어찌 보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차라리 폭망하면 다른 카드가 나올수도 있었을거같은데
23/01/17 10:39
수정 아이콘
전세가가 반등할려면 금리가 내려가야 되는데.. 그 전까지는 하방압력을 피하긴 어렵지 않나 싶네요..

전세 2억에 금리 2%가 전세 1.5억에 금리 4%랑.. '세입자 기준 매달 내는 돈'은 오히려 후자가 높아서 세입자도 힘들지만
절대 전세금은 후자가 낮아서 집값의 하방압력은 계속 주는 구조다보니..


그냥 지표상으로는 '빠른 하락 -> 완만한 하락' 정도로 바뀌는 신호는 보이고 있고. 정부도 이정도만 의도하고 있는거 아닌가 싶긴 합니다.
기준금리도 0.25를 더 올리면서 반등을 바라는건 사실 무리라고 봐서..
롤스로이스
23/01/17 10:34
수정 아이콘
옆에 헤리티지는 가격이..
23/01/17 10:35
수정 아이콘
그렇긴 한데.. 뭐 저 주력 70%가 뻥카가 아니라면 예비당첨자들이 결국 거의 다 받는 %긴 해서...

소형은 말 못하는거보니 망한거 같긴 합니다만..
마술사
23/01/17 10:30
수정 아이콘
저 계약율이 정당당첨자대상만인가요?
아니면 5배수 예비당첨자까지 연락갔는데도 계약율이 저렇단건가요?
23/01/17 10:31
수정 아이콘
예비 안갔습니다.

소형은 줍줍 뜰거 같긴 한데 주력 평형들은 예비당첨자들이 먹을꺼라서 최종적으론 한두개 뜨거나 안뜨거나 할껍니다.
phenomena
23/01/17 10:31
수정 아이콘
무주택자분들은 저거라도 빨리 사야죠

10년-15년 뒤에 인구절벽 문제 터지는거 확정인데 그때가면 중국 이슬람 동남아 가리지않고 대규모 이민신청 받겠죠

신생아는 주택수요 1이 되려면 최소 20년 걸리지만 이민자들은 한국땅 밟는순간 바로 주택수요 1이 되는데요

특히 중국인들은 이민가서 터전잡으면 부동산부터 쓸어담기로 유명한데 그때가면 무주택 폭락론자들은 영영 집 못사죠

그나마 지금은 한국인한테 보증금 맡기고 살지만 그때가면 쥔줸부, 장왈승 이런분들한테 보증금 맡기고 전세 살아야하는
23/01/17 10:35
수정 아이콘
부동산 오른다는건 매번 논리가 바뀌니 참신하네요
부동산살수있는 중국인들이 한국에 이민을 왜오나요
그리고 이미 투자용 부동산은 중국이 줍줍해서
규제 더하라고 난리인데...
제발요
23/01/17 10:36
수정 아이콘
?
ioi(아이오아이)
23/01/17 10:37
수정 아이콘
부동산 투자, 그것도 돈촌주공 급 부동산을 투자로 살 수 있는 중국인은 한국에 이민 안 옵니다.
No.99 AaronJudge
23/01/17 15:32
수정 아이콘
저기가 한두푼 하는곳도 아니고
중국에서 저 정도 집값 감당할 사람이면 고소득층일것같은걸요 흐흐
23/01/17 10:40
수정 아이콘
보통은 인구절벽에서 부동산 문제를 반대로 생각할 것 같은데 남다르신 분석이시네요;;;
노련한곰탱이
23/01/17 10:40
수정 아이콘
본국에서 자리 못 잡고 이민오는 사람들이 한국 중산층도 못 사는 강남 아파트를 산다고요?

그리고 게임 사이트에서 선수 비칭을 이름 예라고 든겁니까?
Paranormal
23/01/17 10:4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제로콜라
23/01/17 10:42
수정 아이콘
물리셨나요? 울지말고 말해봐요
이민들레
23/01/17 10:46
수정 아이콘
이 댓글을 보니 부동산 하락에 확신이 생겼습니다.
무냐고
23/01/17 10:47
수정 아이콘
와 엄청 똑똑하시네요.
10빠정
23/01/17 10:51
수정 아이콘
말도안되는……
레드불
23/01/17 10:54
수정 아이콘
중국 혐오에 올라타서 공감 받으시려는 건 좋은데 캐니언하고 장원영은 왜 걸고 넘어지세요.
23/01/17 13:21
수정 아이콘
장원영은 중국인 아닌가요?
뒹굴뒹굴
23/01/17 11:01
수정 아이콘
잘쓰셨는데요?
역시 유머 게시판이라 그런지 빵빵 터지네요 흐흐흐
shooooting
23/01/17 11:09
수정 아이콘
띵?
iPhoneXX
23/01/17 12:10
수정 아이콘
대규모 이민신청 했는데 아무도 안오면 더 싸겠네요!!
아구스티너헬
23/01/17 13:05
수정 아이콘
한국에 올 이민자들은 주택수요 1이 아니고 대부분 회사 기숙사나 들어가면 다행인 저급여 노동자들입니다.

집 살만한 고급 이민자는 한국에 올 메리트가 전혀 없어요 지금까진

그런 논리로 영끌 대출이자를 힘들게 부담하고 계신다면 달리 생각해보세요
투전승불
23/01/17 16:58
수정 아이콘
[천재등장]
빼사스
23/01/17 10:32
수정 아이콘
어차피 나락 가는 중인데 정말 불나방처럼 뛰어든 사람들이네요.
타카이
23/01/17 10:32
수정 아이콘
뭐 읽어봐서 내용면에선 실제론 깜깜이 기사라
까봐야 알겠죠
23/01/17 10:33
수정 아이콘
부알못인데 남는건 어떻게 소화되나요?

청약가보다 낮게 팔아요?
제로콜라
23/01/17 10:40
수정 아이콘
정가입니다.
나중에 정말정말 안팔리면 할인해주기도 하고요
23/01/17 10:43
수정 아이콘
대신 청약 통장없거나 유주택자도 살수있는 그런거죠?
제로콜라
23/01/17 11: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단 예비당첨자들한테 기회가 있고
그래도 물량이 남으면 무순위 청약인데 청약통장 불필요 무주택자 가능
그래도 물량이 남으면 선착순인데 누구나 가능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세한건 나중에 공고를 확인하셔야겠습니다.
몽키매직
23/01/17 10:46
수정 아이콘
정가로 팔 수 있는데까지 팔고, 안되면 끼워팔기로 뭔가를 같이 줘서라도 정가에 팔고 그러다가 안되면 가격 깎습니다. 사실 아파트 위치 나쁘지 않으면 기다리면 언젠가는 팔리고, 90% 의 물량을 100% 가격에 파는 게 90% 가격에 100% 파는 것보다 낫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할인 안 하려고 합니다. 예전 사이클 때 고가 미분양 아파트 넣으면 외제차 +@ 줄 때도 있었어요.
23/01/17 11:12
수정 아이콘
길게는 완공까지도 분양홍보합니다. 조합에서는 계약금과 중도금이라는 돈이 안 들어오니까 팔릴때까지 이자발생분만큼 손해가 쌓이고요
완판이 안될거같으면 할인분양하는데 이렇게되면 기존 계약자가 데모를 하기도하고 조합원들도 손해를 보니까 초기에는 반대가 심합니다
진짜 완판각이 안뜨면.. 하긴하겠죠.. 몇채 안 팔리는 정도로는 그냥 가지고 갈겁니다.
다람쥐룰루
23/01/17 12:17
수정 아이콘
청라가 할인판매 했었죠 그정도로 안팔리는거 아니면 할인은 잘 안해요
아구스티너헬
23/01/17 13:06
수정 아이콘
발코니 확장 무료 라던가..
시스템 에어콘 무료 라던가..
이런 현물 방식이 좀더 선호되죠
23/01/17 13:22
수정 아이콘
발코니도 확장할 수 있나요? 방 크기를 줄이는건가요?
술팬더
23/01/17 15:11
수정 아이콘
발코니를 없애고 방을 확장한다는 의미로 쓰입니다.
23/01/17 10:33
수정 아이콘
계약률 40% 불행회로 돌리던 분들도 많았는데 선방했네요.
다만 “주력”에 함정이 숨어있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23/01/17 10:36
수정 아이콘
소형은 폭망.. 했다고 봐야 되는거 같네요.
23/01/17 10:41
수정 아이콘
국평은 진지하게 돈있으면 들어갈만 해요. 영끌은 좀 그렇고..
롤스로이스
23/01/17 10:44
수정 아이콘
돈있는 사람이 없다는게 저 계약률로 나타나는거 아닐까요.
'우리나라 돈많은 사람 많다'에서 '우리나라 빚많은사람 많다'로 넘어가는 반증인듯합니다.
말랑몰랑
23/01/17 10:50
수정 아이콘
돈 많은 사람이라고 함부로 쓰진 않죠.

규모가 훨씬 작긴 하지만, 59 기준 둔주보다 3~4억 가량 싸다는 강동 자이는 계약률 100% 이미 찍었으니까요.
10빠정
23/01/17 10:53
수정 아이콘
둔촌이 솔직히 좋은자리는 아니죠….돈있으면 차라리 강남에..
웸반야마
23/01/17 11:40
수정 아이콘
강남에 저돈으로 갈수있는 아파트가 어딨나요
23/01/17 10:54
수정 아이콘
그렇진 않는 것 같아요. 정말 돈있는 사람은 왠만해선 둔주 청약기준에 들어가지 않거든요.
소득도 적당히 되면서 높은 이자도 감당가능한 전세사는 어정쩡한 사람이 많지 않다는거죠.
이기준에 들어가더라도 현재 청약안하고 그냥 대기하는 사람도 많은 듯 합니다. 전매제한도 풀렸겠다 가격이 더 떨어질꺼라고 보는 사람들이죠.
23/01/17 11:13
수정 아이콘
음 일반 매매도 아니고 오히려 돈없는 사람이 당첨되어야 해 하면서 덕지덕지 붙인 조건들을 만족해야 하는 청약시장인데요...?
이민들레
23/01/17 11:06
수정 아이콘
돈이 있는 분들은 이미 영끌로 서울집 한채씩 사지 않았을까요
시린비
23/01/17 10:42
수정 아이콘
정부의 둔촌 일병 구하기...
... 라는 영상을 본듯~ 부알못임~
flowater
23/01/17 10:42
수정 아이콘
전체계약률 공개안하는게 수상하네요
꿀깅이
23/01/17 10:45
수정 아이콘
내일 공식 발표일입니다
마술사
23/01/17 11:12
수정 아이콘
내일이 정당계약마감일이지만 발표 안할수도 있습니다. 다른 미달난곳들도 계약율 발표안하고 슬그머니 줍줍으로 가고있어요
23/01/17 13:37
수정 아이콘
공식 발표 안한다던데요.
23/01/17 10:47
수정 아이콘
아직 계약 마감일이 안되었으니까요...
오늘까지 정당계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식적으론 내일 알 수 있습니다.
flowater
23/01/17 10:50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23/01/17 14:49
수정 아이콘
저것도 디시에서 말한거 그냥 퍼갔다는 소문이 있습니다 크크
그런거없어
23/01/17 10:43
수정 아이콘
주력으로 같이 묶긴했지만 59랑 84차이는 클 것 같습니다. 59는 대부분 계약하고 미계약의 대부분은 84가 아닐지.
마술사
23/01/17 11:14
수정 아이콘
글쎄요 기존에는 59는 중도금대출되고 84는 안되서 84가 비관적이었는데
지금은 규제풀려서 59 84 둘다 중도금대출되니 84가 오히려 계약률이 높을것같은데요
Jean Coq de Raltigue
23/01/17 12:17
수정 아이콘
당연히 84는 마감되겠죠. 84를 놓을리가. 29,29와 같은 소형평수가 미달된다면 될겁니다
마술사
23/01/17 12:25
수정 아이콘
주력평수조차도 계약율이 70%수준이라고하는데 "당연히 마감되겠죠"라고 단정지을만한게 있을까요? 정당계약 말고 예비 줍줍 포함 완판이면 모를까 지금으로선 정당계약 마감은 어려울것같네요
빼사스
23/01/17 10:51
수정 아이콘
오늘 저렇게 기사를 내야 지금이라도 계약 안 한 사람 빨리 하라라고 할 수 있는 듯한데...
타카이
23/01/17 10:57
수정 아이콘
그런 의미의 기사긴 하죠
뻠핑용
23/01/17 11:27
수정 아이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셨군요
Peter Pan
23/01/17 13:59
수정 아이콘
22
23/01/17 10:55
수정 아이콘
전체 계약률은 70%미만인게 확실해 보이긴하네요.
Paranormal
23/01/17 10:55
수정 아이콘
자신이 없는 거 보니 영 불안해 보이긴 하네요
이쥴레이
23/01/17 10:56
수정 아이콘
40%라고 소문이 무성하더니 70%네요.
일단 주변 시세나 위치등을 생각하면 국평 12억대
분양가가 저렴한거라고 하는데....

작은돈이 아니죠...
동년배
23/01/17 11:08
수정 아이콘
70%라고 하는게 분양업계 관계자라고 하는데... 흠
MissNothing
23/01/17 11:10
수정 아이콘
뭐 일단 큰 웨이브는 넘겻으니 다시 뚜드러패야죠
나막신
23/01/17 11:13
수정 아이콘
위치나 가격 보면 아직도 괜찮은것 같은데 구조가 이상하게 지어서 인기없는건가요?
지니팅커벨여행
23/01/17 12:24
수정 아이콘
위치나 가격이 모두 별로입니다.
구조가 이상한 건 덤이고요.
23/01/17 11:13
수정 아이콘
아오 그 대단지에 소형평수 그렇게 박는게 좀 보기싫었는데.. 소형은 폭망이긴한가보네요
트윈스
23/01/17 11:25
수정 아이콘
이게 왜 유게..?!
꿀깅이
23/01/17 11:27
수정 아이콘
그래서 막짤을 넣었습니다!!
23/01/17 11:26
수정 아이콘
인구소멸로 결국 부동산은 우하향 할 것 같은데, 그 사이에 지방 소멸로 인한 수도권 대폭발이 한번 발생할 것 같아서 예측하기가 너무 힘드네요.
웸반야마
23/01/17 11:41
수정 아이콘
일본보면 소멸은 지방만이죠
23/01/17 17:43
수정 아이콘
우선은 지방이 먼저 소멸하면서 수도권으로 인구가 일시적으로 오히려 증가할 수도 있겠습니다만(제가 위에서 수도권 대폭발이라고 표현한 것이 이것입니다), 일본에서 지방 인구의 감소를 연구한 "지방소멸" 이라는 책을 보면 지방에서 대도시로 이주해 온 인구는 출산률이 낮아지는 현상을 얘기하고 있습니다. 결국 지방이 먼저 소멸하고 초장기적으로는 수도권도 인구가 줄어드는 흐름으로 갈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드네요.
한방에발할라
23/01/17 11:42
수정 아이콘
인구소멸로 인한 부동산 하락이야 발생할 수 있겠지만 그게 서울과 서울 인접 수도권까지 영향을 미치는 건 적어도 살아 생전에 볼 가능성은 적어서 신경 꺼도 상관없을 거 같습니다 까놓고 말해서 인구소멸로 인한 부동산 하락이 서울까지 나타났다면 이 나라는 이미 망한 거니 한시라도 빨리 다른 나라로 도망가야 하고요 그때는 부동산 가격 걱정할 게 아니라 이미 망한 이 나라에서 탈출이 가능하냐를 걱정해야죠
왕십리독수리
23/01/17 12:03
수정 아이콘
인구가 줄어도 자산이 소멸하진 않고, 인구 감소에 따라 서울 집중은 강화돼 오히려 서울 집값은 오를 거 같습니다
Jean Coq de Raltigue
23/01/17 12:18
수정 아이콘
수도권의 경우 우하향되겠지만.. 서울은.. 오르지 않을까요! 더 살고 싶어지는 동네가 되어갈텐데요
별빛다넬
23/01/17 17:21
수정 아이콘
인구 줄어든다고 서울대 쉽게 들어갈수 있다는 이야기랑 뭐가 다른가요?
23/01/17 17:34
수정 아이콘
제가 입시는 잘 모릅니다만, 1) 인구가 줄어들고 2) 대학 정원이 유지된다면 상대적으로 서울대 진학이 더 쉬워지는 것은 사실이지 않을까요? 혹시 제가 모르는 부분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특이점이 온다
23/01/17 12:21
수정 아이콘
뻠핑 기사인건 아는데, 그래도 좀 잘 처리돼야죠.

강원도발 이자폭풍이 아직 진행중인데, 여기까지 쓰러져 버리면 정말 건설사들 한치앞도 안보입니다.

설령 정리 하더라도 천천히 연착륙 했으면 좋겠습니다.
사당동커리
23/01/17 12:43
수정 아이콘
[일반] 산성역 포레스티아 줍줍이 14,748:1 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글 중에 "로또보단 청약이.. 로또 확률하고 청약 확률 대비 먹는 돈 생각하면 청약은 혜자를 넘어서..."
https://pgr21.com/freedom/94320
불과 13개월 전인데 분위기가 아주 정반대네요.
차이점이 있다면 그 땐 유게가 아니라 자게에 글이 많이 올라오고 벼락거지 영끌
신조어가 뒤덮었다는 점?
23/01/17 12:47
수정 아이콘
주력평형 70%정도라면.. 전체계약률은 50% 내외려나요?
TWICE NC
23/01/17 16:33
수정 아이콘
주력 평형의 가구 수가 적기 때문에 (소형 평형 대비)
전체 계약률은 50% 안될 겁니다
23/01/17 16:49
수정 아이콘
주력평형 외에는 처참할꺼 같은데 그럼 생각보다 별로일수 있겠네요
nm막장
23/01/17 13:00
수정 아이콘
주력평형은 국평 그러니까 84제곱을 의미하는게 맞나요
말랑몰랑
23/01/17 13:09
수정 아이콘
기사 본문에 나옵니다.
(분양 업계 관계자는 “선호도가 높은 59·84㎡의 경우 70%대를 웃도는 계약률을 기록한 것으로 안다”)

59, 84 합쳐서 입니다.
23/01/17 13:32
수정 아이콘
저거 누가 세로드립 장난한거를 얼씨구나하고 기사로 받아썼다는 소리 있습니다. 잘 판단해야할거 같아요. 장위도 까보기 전엔 90프로 기사 나왔었을걸요?
23/01/17 13:40
수정 아이콘
69.74퍼센트 글 말씀이시죠?
23/01/17 13:46
수정 아이콘
네 그거. 언론도 내일 논조를 봐야 그나마 가늠이라도 될듯
그럴수도있어
23/01/17 16:29
수정 아이콘
계약률을 내일 발표하기로 했다가 다음달로 미뤘다고 하는 기사가 나왔네요.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23011712595549136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2419 [기타] 처제가 와이프 딸이라고 합니다.. [86] 꿀깅이14538 23/01/26 14538
472418 [기타] 대구에 있다는 보10/월5 월세집 [28] 꿀깅이9637 23/01/26 9637
472417 [기타] 점점 다가오는 역전세의 공포 [90] 꿀깅이12953 23/01/26 12953
472416 [게임] 배틀필드 근황 [11] Lord Be Goja7188 23/01/26 7188
472415 [기타] 하루만에 헬스장에서 퇴관당한ssul [40] 꿀깅이11357 23/01/26 11357
472414 [기타] 자기가 낸 축의금 일부 달라는 친구 [68] 꿀깅이10952 23/01/26 10952
472413 [유머] 식당에서 펼쳐진 즉석공연 레전드 [5] 문문문무9714 23/01/26 9714
472412 [유머] 우리나라가 양궁을 잘 하는 이유.JPG [1] Pika488035 23/01/26 8035
472411 [유머] 오묘한 패션의 세계... [14] 우주전쟁7307 23/01/26 7307
472410 [유머] 어서와 양궁은 처음이지? [11] SAS Tony Parker 8461 23/01/26 8461
472409 [서브컬쳐] 슬램덩크에서 회수 하지 못한 떡밥.JPG [41] Anti-MAGE10041 23/01/26 10041
472408 [기타] ??? : 이 추위에 진짜 아이스 아메리카노 마신다고? [18] 손금불산입10910 23/01/26 10910
472407 [유머] 옛날에 쓰던 컴퓨터 프로그램.JPG [39] Pika489456 23/01/26 9456
472406 [유머] 집에서 컴파운드보우 땡긴 디씨인 [19] Myoi Mina 8632 23/01/26 8632
472405 [유머] 얼라는 못오는 노얼라존 [10] 동굴곰10870 23/01/26 10870
472404 [기타] 병캉스의 최후 [28] 톰슨가젤연탄구이11296 23/01/26 11296
472403 [유머] 우리가 몰랐던 자동차 생산의 진실 [11] 길갈11463 23/01/26 11463
472402 [기타] 보고 있으면 기분이 묘해지는 움짤... [44] 우주전쟁13209 23/01/26 13209
472401 [스포츠] WBC 각조 국가별 파워랭킹(한국 7위).JPG [29] 실제상황입니다9981 23/01/26 9981
472400 [유머] 제대로 망쳐버린 예수 그림 근황.jpg [27] Myoi Mina 13656 23/01/26 13656
472399 [연예인] 연예인이 날 쳐다보게 만드는 법 [15] 묻고 더블로 가!15164 23/01/26 15164
472398 [기타] 쓰레기집을 청소해주는 유튜버 [7] 꿀깅이12399 23/01/26 12399
472397 [기타] 이탈리아 독특한 문화 [3] 꿀깅이11201 23/01/26 112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