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1/15 15:59:05
Name 삭제됨
출처 애객
Subject [유머] 과학이 발달할 수록 밝혀지는 유전자의 중요성.jpg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1/15 16:02
수정 아이콘
난가...?
라이엇
23/01/15 16:05
수정 아이콘
눈에 보이는 외모부터 보이지않는 지능, 정신력도 유전의 영향이 크죠. 불편한 진실이니 외면하고 싶을뿐...
아케이드
23/01/15 16:09
수정 아이콘
선천적 능력 차이를 인정해 버리면 PC의 근본이 무너져 버리는 거라 그런지, 뻔히 있는 데도 외면하는 경향이 있는 듯 하죠
23/01/15 16:16
수정 아이콘
Pc보단 미국의 능력주의가 무너지는 거죠. 극도의 자유주의가 성행할 수 있었던 것이 가난한 사람은 게으르고 노력없고 부자인 사람은 노력하고 성공했다는 건데 그 개념이 무너지는 거니까요. 오히려 pc야 말로 선천적인 것으로 이루어지는 차별에 대한 반박에 가깝고요.
아케이드
23/01/15 16:21
수정 아이콘
"가난한 사람은 게으르고 노력없고 부자인 사람은 노력하고 성공했다"는 걸 아직도 믿는 사람이 있나요?
차이가 있다는 건 대체로 인정하되 그 차이는 재능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보수적 관점이고, 재능의 차이보다는 부의 되물림, 자본의 차이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는 게 진보적 관점이라고 생각합니다
23/01/15 16:27
수정 아이콘
님이 안 믿는다면 다행이지만 님이 안 믿는다고 그걸 믿는 사람이 있나요? 라는 건 매우 위험한 생각이죠.
세츠나
23/01/15 19:51
수정 아이콘
믿는 사람이 얼마든지 있을 뿐더러 자기 자신은 절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하거나 철석같이 믿고있는 사람도 어느날 문득 자기 행동이나 관점에서 모순을 발견하곤 하는게 현실입니다. 사회나 교육제도가 은연중에 하는 선전 선동에서 온전히 자유로운 사람은 없습니다.
23/01/15 16:37
수정 아이콘
능력주의가 무너지는게 아니죠. 능력이란게 노력으로만 되는게 아니라 선천적인 것도 있는거고, 그 개념이 부정된 적이 없습니다. 천재나 가문이 왜 있는데요.
능력주의는 뭐에서 능력이 기인했던, 능력만으로 평가한다는 겁니다.
23/01/15 17:53
수정 아이콘
뭐가됐든 능력만으로 되는 거면 개개인의 노력을 미국에서 뭐 그리 강조하나요. 능력주의는 뭐가됐든 능력으로 된다는 게 아니라 개개인의 능력은 본인의 노력 여하에 달린 것이며 그로인해 발생하는 차별이나 빈부격차를 인정하는 것에 가깝습니다.

애당포 세상이 스포츠가 아닌데 능력을 무슨 기준으로 측정할 건데요. 오히려 성공한 사람이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것이 능력이다인 거죠.
우울한구름
23/01/15 17:29
수정 아이콘
능력주의가 무너질건 없죠. 같은 이유로 pc가 무너질 것도 없습니다.
23/01/15 17:53
수정 아이콘
아 동감합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3/01/15 16:10
수정 아이콘
굿 윌 헌팅의 대사가 떠오르네여
["네 잘못이 아냐"] 흑흑
고오스
23/01/15 16: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생학 까지는 아니지만 연구 결과들을 보면 유전 요소가 꽤 유의미하다는 맞는 말이죠

물론 유전만으로 모든게 되는건 절대 아니고 남들보다 유리하다 정도죠

그리고 유전 못지않게 주위 환경이 정말 중요하다고 봅니다
23/01/15 16:50
수정 아이콘
그 유리한건 당연히 다 알고 인정하는데 정도가 어느 정도이냐가 중요한 거죠. 다들 환경 노력보다는 타고난게 최소 절반이상 아니냐는 의견들이 많아지는것 같구요.
문문문무
23/01/15 16:15
수정 아이콘
만약 AI 가 1000년의 세월동안 이렇다할 위기없이 꾸준히 발전한다면
살아있는 인간을 실시간으로 유전자 개조시켜버릴수도 있을까요?
23/01/15 16:20
수정 아이콘
제가 AI라면 인간은 [자연적으로] 놔두고 인간과 인간 문화를 사파리처럼 쓸 거 같은데요...
굳이 인간을 개조할 필요가 있나요. 새로운 뭘 만드는게 낫지.
문문문무
23/01/15 16:23
수정 아이콘
필요를 논하는게 아니라
극의경지에 가까운 기술을 전제로 유전자라는게
이미 한창 살아움직이는 개체의 것도 조작이가능한 성질인지를 묻는거죠
김아무개
23/01/15 16:25
수정 아이콘
의식주 해결 해주고 너 하고픈대로 해도 된다고 냅두면 알아서 천천히 사멸할거 같습니다...
적이 없으면 한없이 나태해 지는게 또 인간이고...
아케이드
23/01/15 16:24
수정 아이콘
신의 경지로 발전한 AI가 굳이 인간 따위를 개조해서 쓸 필요성이나 느낄까요...
최소한의 인구만 보존해서 연명만 시켜주거나 아니면 쓸모없다고 멸망시켜 버릴수도 있을 거 같아요
쓸데없는 에너지 소모 및 환경 오염 최소화하려고 매트릭스를 만들어서 격납해 버릴수도 있구요
문문문무
23/01/15 16:25
수정 아이콘
필요를 논하는게 아니라
극의경지에 가까운 기술을 전제로 유전자라는게
이미 한창 살아움직이는 개체의 것도 조작이가능한 성질인지가 궁금하네요
아케이드
23/01/15 16:29
수정 아이콘
몇몇 미래학자들이 말하는 싱귤래리티 이후의 AI라면 물질을 나노수준에서 조작 가능할 정도라서
그 정도의 AI라면 유전자도 분자단위로 조작해 버릴수 있을테니 가능하겠죠
문문문무
23/01/15 16:32
수정 아이콘
유전자를 일부분만 변화시켜서 점진적으로 바꿔나가도 문제가 있을려나요

방사능 피폭 증상보면 유전자가 방사선에 노출되어서 일부분만 파괴되어도
몸전체에 퍼져서 시간이지나면 결국은 죽는다는 얘기를 본적이있어서요

바꾸려면 최대한 빠르게 전신의 유전자를 바꿔야하나?
아케이드
23/01/15 16:37
수정 아이콘
여러가지 전제가 필요하겠지만 인간 신체의 DNA와 그 역할을 완벽하게 파악한 AI라면 해당 유전자를 변형했을때의 결과를 모두 시뮬레이션해보고 수천만 가지의 케이스 중에서 가장 부작용이 적은 방법을 선택해서 순식간에 변형시켜 버리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현재의 AI로도 바이러스의 DNA 변이를 시뮬레이션해서 선제적 대처에 사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하는데
그게 극단적으로 발전된 형태라면 인간에게도 적용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상상입니다
문문문무
23/01/15 16:46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저는 사실 1000년뒤의 AI가 아니라
유전자의 성질에 대해서 궁금했던건데 질문의 형식이 잘못됬나보네요
뭐 쨋튼 알겠습니다.
아케이드
23/01/15 16:50
수정 아이콘
유전자의 성질과 그 파급효과까지 100%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함부로 조작하면 치명적인 병이나 부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이 너무 크겠죠
참고로 미래학자들 중 소위 싱귤래리티는 1000년이 아니라 수십년 안에 일어난다고 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AI가 스스로를 개선할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시작하면 그 발전은 기하급수적으로 일어나 인간이 상상도 못할 짧은 시간안에 신적인 영역까지 발전해 버릴 거라는 논리죠
물론, 아직까지는 상상의 영역이긴 합니다
문문문무
23/01/15 17:00
수정 아이콘
아 특이점은 멀티모달AI가 인간의 지적능력을 대부분 대체할수있는 수준에 도달하는것을 기준으로 볼때
제가볼땐 넉넉잡아 5년안에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전에는 아무리빨라도 십수년은 걸린다고 생각했는데
작년 1월즈음 부터 자연어처리 부문에서 구글이나 오픈AI쪽에서 성과를 발표하면서
현재까지의 모델별 성능향상 그래프를 제시한것을 보고
완전히 생각이 바뀌었어요, 제생각보다 몇배는 더 빠르겠다 싶더군요

그뒤로 공개된 CHAT GPT나
올해등장할 GPT-4가 튜링테스트를 통과했고
GPT-3보다 10배인가 100배에 가까운 모델사이즈 뻥튀기,
그리고 이번엔 자연어 처리뿐만 아니라 멀티모달AI일수도 있다(사실이건 좀... 근들갑&찌라시 같긴한데...)
.. 같은 소식들을 접하면서

진짜로 5년내로 AI가 지휘하는 인간형안드로이드시스템까지 도달가능하겠다 싶더군요
아케이드
23/01/15 17:08
수정 아이콘
문문문무 님// 기술발전은 좋은데 기계가 그렇게까지 발전해 버리면 인간의 존재의미가 뭘까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문문문무
23/01/15 17:12
수정 아이콘
아케이드 님// 저는 개인적으로 인간과 AI의 구분이 모호해질거라고 생각합니다.
AI는 그냥 인간정신의 도구 = 인간의 새로운 신체장기 = 새로운 기능적 정체성 이 되지않을까 싶어요
그렇게 1,2세기쯤 뒤에는 이렇다할 우주재앙이 닥치지 않는한
인간과 AI가 거의융합된 형태가 되지 않을까 라는 소설을 써봅니다.
23/01/15 16:37
수정 아이콘
영화 가타카...
23/01/15 16:39
수정 아이콘
천년은 너무 긴데요…
사람이 해도 그리 오래걸리지 않을 것 같은데
23/01/15 16:22
수정 아이콘
특성 초기화 안되나요...?

나 태어날때 패시브 스킬 잘못 찍은것 같은데...
메가톤맨
23/01/15 16:29
수정 아이콘
그래서 우리가 조아노이드인가요..?
맹렬성
23/01/15 16:32
수정 아이콘
지구인이 강림자가 될 가능성이 더 높아보입니다
구라쳐서미안
23/01/15 17:01
수정 아이콘
사고치고 뒷수습안하고 덮고 떠나는 걸 보면 우리랑 비슷해보입니다.
23/01/15 16:30
수정 아이콘
최근 유전학 연구는 유전자가 피부 색과 같은 인종간의 단순한 특성을 설명하는 것을 넘어 신체의 구조와 크기, 그리고 질병에 대한 민감성 까지도 설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이제 왜 북유럽인들이 남유럽인보다 키가 평균적으로 더 큰지를 유전적 요소를 이용해 설명할 수 있으며 왜 유럽계 미국인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보다 다발성 경화증이 더 많이 걸리는지를, 반면 말기 신장 질환은 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더 많이 걸리는지를 설명합니다.

상기는 기사내용인데.. 우리 누구나 특정지역 (북유럽)사람들이 키가 더 크다는 것도 알고 있고 농담삼아 흑형들은 중요부위의 크기가 다르다는것을 이야기하고, 격렬한 신체능력이 요구되는 nba에서 흑인들이 주로 활약을 하고 있다는 것도 잘 알고 있는데 뭐랄까. 그런 유전적 차이는 다 납득을 함에도 불구하고 이게 그럼 "지능"은? "폭력성"은? 등등의 예민한 주제로 들어가면 다들 조심하는거 같긴합니다. 근데 나머지 신체적 능력이나 병의 발현조차도 다 유전적 영향이 있는데 지능이라고 차이가 없을까. 그것만 딱 인종간 동일하다 하는것도 이상한듯하고.
맹렬성
23/01/15 16:35
수정 아이콘
거야...조심스레 언급하지 않으면 우월한 신체능력과 높은 폭력성, 부족한 자제심을 타고난 분들에게 맞아죽기 때문입니다
모르골
23/01/15 16:42
수정 아이콘
유전자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는데 혹시 피부색 유전자를 바꾸기 어려울까요? 만약 유전자 조작이 실용화되기 시작한다면 태아때부터 자기 아이들을 백인스럽게 바꾸는 일이 유행할것 같아서요.
라이엇
23/01/15 16:57
수정 아이콘
인류가 발생한 후 수십만년동안 환경의 억압에 따른 진화를 해왔는데 차이가 없을수가 없죠.
당장 한국만해도 다른 지역에 비해 암내가 안나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매우매우 많으니까요.

'지능' '폭력성'이 정확히 뭐라고 규정하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수학적 능력이나 한정된 공간에서 사람이 많아지는거에 대해 불쾌감을 얼마나 느끼는지의 차이는 명확하게 날꺼라고 봅니다.
23/01/15 18:05
수정 아이콘
솔직히 동물로 치면 인종간 차이는 아종 수준으로 차이가 난다고 봅니다.
인생은서른부터
23/01/15 16:31
수정 아이콘
상태창!! 상태차ㅏ아앙
23/01/15 16:37
수정 아이콘
우생학 시즌 2
23/01/15 16:39
수정 아이콘
영화 가타카가 실현될 날이 얼마나 남았을지
Polkadot
23/01/15 16:43
수정 아이콘
부정적인 미래로 치닫아서 인류 각각의 개체를 유전적으로 선별하는 일이 생기지 않는한 계속 눈가리고 아웅하지 않을까요?
23/01/15 17:07
수정 아이콘
제 미숙한 지식으로는 롤스가 주장했던 무지의베일로 덮인 원탁이 필요하지 않나 싶긴 합니다
Valorant
23/01/15 17:56
수정 아이콘
입안 세균도 유전에 영향을 받아서 양치 열심히 해도 충치 생기는 사람과 양치는 하지도 않는데 충치는 커녕 새하얀 치아를 가진 사람도 있다더라구요
리클라이너
23/01/15 18:19
수정 아이콘
제가 아침에 기상 직후 1번, 자기 전에 1번 이렇게 양치하는데 입냅새도 안나고 충치도 제로입니다. 이건 좀 자랑인 듯 크크
Valorant
23/01/15 19:11
수정 아이콘
치아 건강이 오복중에 하나죠! 자랑 맞습니다 크크
임플란트까지 안간다고 생각하면
자리끼
23/01/15 21:22
수정 아이콘
전 죽을때까지 사랑니 안나올꺼같아서 감사합니다.
23/01/15 17:59
수정 아이콘
20세기보다 확실히 과학기술력이나 국가적인 제도 같은 것이 발달했겠지만, 아직까지 인류는 20세기의 '미개'로 돌아가서 다시 한번 시도할 정도로 새로운 통찰을 얻은 것 같지도 않습니다. 소설 '창문을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처럼 '반정부 시위를 하다니 -> 존재해서는 안되는 사람이군 -> 체포 후 정신검사 후 강제거세 실시'하던 시대,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처럼 어느 인종이 과학적으로 수준 떨어진다고 발견했다고 주장하며, 정권에 반기를 드는 사람에게 '이쪽 피가 섞인 모양이구만'이라고 서류를 써주던 시대. 21세기는 적어도 이거보다는 나은 시대였으면 좋겠는데, 진화라는건 수백만년이 걸리는 절차고, 호모 사피언스는 아직도 남은 유전풀의 시간 안에서 더 많은 시행착오를 하고 싶어서 몸이 근질거리겠죠.
카페알파
23/01/15 18:01
수정 아이콘
그럼에도 나타나는 성과는 환경, 노력, 재능(유전), 운, 기타 그 밖의 무언가(...)의 총합이라고 봅니다. 가장 중요한 건 환경이라고 보고요. 저 위의 예를 봤을 때 '쉽게 살찌는 성향' 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도 가난해서 마음껏 먹을 수 있는 '환경' 이 안 되면 살 안 찝니다.
Easyname
23/01/15 19:13
수정 아이콘
한국 정도만 돼도 패스트푸드, 라면도 아껴먹는 사람은 절대적 소수일 것 같은데요
Stoncold
23/01/16 10:53
수정 아이콘
사실 노력도 재능의 한 분야고(끈기나 어떤 일을 안 지치고 계속 할 수 있는 것 자체가 타고난 부분이 크죠), 환경 또한 스스로 정하는게 거의 불가능에 가까우니 과장 조금 보태서 죄다 운빨이라 해도 상관없는 수준이죠
카페알파
23/01/17 01:14
수정 아이콘
뭐, 사실 대부분의 퍼포먼스가 마찬가지로 운+노력의 조합이죠. 어찌보면, 재능이나 환경도 운에 들어가는 영역이고요. 다만, 그 '운' 에 해당하는 부분의 핑게를 대고 노력을 하지 않는 행위(어차피 노력해도 안 돼)는 경계해야 한다고 봅니다. 사실 최고의 노력이 들어간 다음이 운의 영역이고, 그 이전엔 운과 노력의 조합이라 어디까지 운이고 어디까지 노력인지 알기 힘들죠. 그래서 해 보는 데까지는 해 봐야 하는 것이고요.

약간 다르게 생각해 보면 머리에 총을 들이대고 '너 ○○○ 못하면 죽어' 라고 했을 때 상당수는 평소보다 더 높은 수준의 성과를 보일 겁니다. 그렇다면 그 사람은 노력한다면 거기까지는 할 수 있는데, 거기까지 가기 위한 '노력' 을 안 한 거죠. 애초에 절대 못 하는 경우는 총 들이댄다고 못 하니까요. 스스로 '재능', '환경' 등의 단어에 얽매여 스스로의 능력을 제한하고 있는지는 생각해 볼 일입니다.
23/01/16 11:55
수정 아이콘
가난할수록 더 살찌는거만 사먹을수 밖에 없는거 모르시나요?

부자들은 홀푸드 먹고
가난하면 라면이나 값싸고 몸에 안좋은걸로 채우죠
카페알파
23/01/17 01:08
수정 아이콘
아마 위 Easyname 댓글을 보시고 그렇게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그마저도 못 먹는 환경이라면 살이 안(못) 찌겠죠. 예를 들면 아프리카의 최빈국이라든지......
김연아
23/01/15 18:47
수정 아이콘
AI가 발전하면 인간을 쓸모없는 존재, 가둬야할 존재가 아니라 가장 아름다운 존재로 여길 거 같은데요
23/01/16 14:15
수정 아이콘
얼마 전에 유전자 검사를 받았는데 제 건강상태, 체질, 생활습관과 정반대의 검사결과가 가득해서 아주 황당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699 [유머] 스포츠팬들 사이에서 은근 논쟁 나는 주제.jpg [139] 프로불편러8578 24/05/29 8578
500662 [유머] 이번에 발표된 레전드 스킨 정책에 대해서 불타오르고 있는 서구권(레딧) [136] EnergyFlow8480 24/05/29 8480
499771 [유머] 일류의 여유를 보여주는 육상선수 [12] 우주전쟁7695 24/05/12 7695
497742 [유머] 진지하게 논란이 됐었던 운동선수 vs 일반인 [111] KanQui#110145 24/03/30 10145
497172 [유머] 한국인 파퀴아오 vs 한국인 오타니 상품성은?.jpg [59] 北海道5668 24/03/20 5668
494990 [유머] 키 193이라고? "네덜란드 가보면 딱 좋겠다" -> 실행 [16] 김삼관12510 24/02/10 12510
489103 [유머] 지금 황희찬 선수를 막을 수 있는 유일한 것... [20] 우주전쟁11826 23/10/29 11826
485278 [유머] 어떻게 청소할까 싶은 유튭 컨텐츠.... [9] 포졸작곡가10875 23/08/20 10875
485116 [유머] 이건_동물갤러리_입장도_들어봐야_한다.jpg [29] 자급률11506 23/08/17 11506
483965 [유머] 뜬금 없는 햄버거 서머 퍼스트팀 [61] KanQui#110553 23/08/01 10553
481728 [유머] 문신하고 살 때 각오해야 하는 것.jpg [95] 핑크솔져15993 23/06/26 15993
480816 [유머] 이서진의 올해 여름휴가 계획.jpg [18] 핑크솔져13997 23/06/09 13997
480565 [유머] 자고난 다음 날 문득 [14] Valorant8908 23/06/05 8908
478418 [유머] [부기영화] 지금 한국영화 극장에 대한 일반인의 시각 [46] 김유라10286 23/04/25 10286
477735 [유머] 넷플릭스 근황. ( 클레오 파트라 ).jpg [88] Myoi Mina 14929 23/04/14 14929
477231 [유머] [스압] 빈민가의 노숙자들.jpg [13] 삭제됨11910 23/04/06 11910
475543 [유머] 고대 괴수들이 지금 시대에 뛰어도 잘할까에 대한 일본 레전드의 답변 [26] Myoi Mina 10986 23/03/12 10986
475101 [유머] 돈을 아무리 많이 줘도 지방을 누가 가냐 [132] 구상만17239 23/03/06 17239
473389 [유머] 요즘 넷플릭스 피지컬 100이 더 잼있어진 이유 [56] 여기12169 23/02/09 12169
472256 [유머] 기아차를 싫어하는 회사 [5] DogSound-_-*8407 23/01/24 8407
471649 [유머] 과학이 발달할 수록 밝혀지는 유전자의 중요성.jpg [57] 삭제됨11646 23/01/15 11646
466170 [유머] 얼리 어답터는 알아야 했던 거 [34] 드라고나10825 22/11/03 10825
464721 [유머] 가장 처음해본 피파는?.jpg [45] 김치찌개9948 22/10/15 99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