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1/15 12:26:06
Name 꿀깅이
File #1 30.jpg (753.4 KB), Download : 65
출처 http://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39890025
Subject [기타] 스몰웨딩 가격


비상!!! 돈 증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1/15 12:28
수정 아이콘
100프로 스드메, 신혼여행 비용 저거보다 더 들겁니다. 너무 보수적으로 적게 잡았음
23/01/15 12:28
수정 아이콘
저 커플이 남자가 의사인데 강남에 집 구하기는 무리라니까 강사인 여자가 자기 강남 아파트에 들어와서 살자는 그 커플이죠?
지켜보고있다
23/01/15 12:33
수정 아이콘
에이 그럼 저분들은 신라호텔 풀옵 해도 돈이 남을듯하네요
No.99 AaronJudge
23/01/15 16:08
수정 아이콘
이야 최고네요
옥동이
23/01/15 12:29
수정 아이콘
스몰웨딩 말고 다른 말로 불러야지 싶은데 크크
23/01/15 12:30
수정 아이콘
스몰(잔고)
23/01/15 12:31
수정 아이콘
하객 200명이 스몰웨딩이요..?
사울 굿맨
23/01/15 12:34
수정 아이콘
요즘엔 일반예식장에서 하는 공장식 웨딩 말고, DIY 웨딩을 스몰웨딩이라 하는듯...크크
몽키매직
23/01/15 12:34
수정 아이콘
예식장 비용은 날짜 정하고, 미리 잡느냐 몇 달 전에 남는 자리로 잡느냐에 따라 2배 이상 차이가 나서... 임박할수록 싸지더라고요. 날짜 그렇게 안 중요한 분들은 3개월 쯤 전에 강남 예식장 돌면서 적당한 비는 날짜 잡으시면 (비는 게 없을까봐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엄청 많이 비어 있습니다) 보통 알고 있는 가격의 반절에 가능합니다~ 저는 강남에 연예인들도 하는 예식장에서 했는데 하객 450명에 2000 대 초반 나왔어요.
23/01/15 12:35
수정 아이콘
댓글에 저 분들 직업보니 있는 자들의 없는 척 장난(?) 같아보이는
김유라
23/01/15 12:45
수정 아이콘
가 맞습니다 크크크

어지간한 재력아니면 신라호텔은 고사하고 강남쪽 웨딩홀만 견적내봐도 손이 벌벌 떨리죠ㅠㅠ
츠라빈스카야
23/01/15 12:4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증발하는 거긴 한데, 저게 다 증발하는 건 아니고 축의금으로 어느 정도 커버하는 건 얘기를 안해주는군요. 신혼여행을 결혼이 아니라 결혼식 비용으로 넣어야 하는가도 좀 아리송하고....
그래봐야 200명이 10만원씩 잡아도 2천 정도긴 하지만..저사람들은 직업이나 배경 보아하니 그것보다 더 들어올 것 같긴 한데..
Meridian
23/01/15 12:50
수정 아이콘
저분들 남자는 os의사고 여자는 잘나가는 영어강사... 저분들한텐 스몰웨딩일수 있죠 크크
유리한
23/01/15 12:51
수정 아이콘
괜히 다들 비슷비슷한 결혼을 하는게 아닙니다.
그게 제일 싸고 수금도 잘 됩니다.
스몰웨딩은 규모는 작아서 수금은 안되는데 비쌈.
23/01/15 12:52
수정 아이콘
원빈-이나영이 진정한 스몰웨딩 아니었나요?
무한도전의삶
23/01/15 13:07
수정 아이콘
스몰의 뜻을 모르나?
닉넴길이제한8자
23/01/15 13:10
수정 아이콘
미디어에서 저런거 빵빵 틀어대니까 결혼에 대한 인식이 개차반이죠....
공무원 월급 이야기 나오면 항상 나오는 말 있잖아요
사람들 대부분은 중소기업 다닌다고
(왠지 모르겠는데 결혼이야기 나오면 그런이야기 쑥들어가던데...)
저사람들은 진짜 상황이 좋은사람들
대부분은 저사람들보다 훨씬 상황 안좋은 사람들인데....
그런사람들 저거보면 어떤 생각 들까요....
남자는 결혼은 돈 많이 필요한거란 생각들고
여자는 결혼하면 저정도는 해줘야 된다고 생각하겠죠....
그러면 그냥 결혼하면 떠오르는건 돈 많이 들어도 남들만큼 해야한다 인데....
그냥 생각만 해도 피곤한...
23/01/15 13:10
수정 아이콘
스몰웨딩은 하객을 50명 이하로 잡으면 비용 얼마 안듭니다. 일반 결혼식처럼 200-300명을 동원하며 스몰웨딩하려는게 문제죠.
23/01/15 13:12
수정 아이콘
증발은 무슨. 하객 200명분 축의금 기본만 받아도 어지간하면 또이또이 칩니다. 오히려 남을수도 있어요.
23/01/15 13:17
수정 아이콘
아니 근데 하객명 200명이 스몰은 아니지 않나요 크크크크
닉바꾸기힘들다
23/01/15 14:56
수정 아이콘
그러게여 직계 + 절친 정도가 스몰이라 하지 않나요.
김승남
23/01/15 13:23
수정 아이콘
예식장 예약하고 밥만 사람 수만큼 시키면 모든 부대 비용 다 공짜에 티비 같은 선물도 주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리고 이 시절엔 결혼하면 실제로 돈이 많이 남았죠)

왜 결혼 하는 사람은 주는데 비용이 더 올라가는지 신기하네요
우리는 하나의 빛
23/01/15 14:43
수정 아이콘
신규 유입이 줄어드니까 할 생각 있는 유저들한테서 더 뽑아먹어야죠.
No.99 AaronJudge
23/01/15 16:09
수정 아이콘
진짜요…? 상상이 안 가네요;
이쥴레이
23/01/15 18:35
수정 아이콘
10년전에 제가 결혼할때는 하객수 일정이상 비율 높으면 예식홀 비용은 무료였던곳 많았습니다.
23/01/15 13:25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알아봤는데 적당히 괜찮다 싶은곳은 최소보증인원을 200명 이상만 된다는 조건이 있어서
인원수 적게 스몰웨딩을 하고싶어도 못합니다 크크
보증인원은 실제 인원수가 아니고 그냥 가격 뻥튀기를 위한 수단..
나무위키
23/01/15 14:02
수정 아이콘
빼앗긴 아싸에 이은 빼앗긴 스몰웨딩인가요..
EurobeatMIX
23/01/15 14:21
수정 아이콘
이제 저게 노멀이겠네
23/01/15 14:24
수정 아이콘
앞팀이랑 반반 내고 꽃은 그대로 들어가면 안 되나...
꿀깅이
23/01/15 15:38
수정 아이콘
꽃은 그대로 쓰고 돈을 또 받??
23/01/15 15:48
수정 아이콘
일반? 공장형? 예식장 중 제대로 하는 곳은 보통 그렇게 합니다
맹렬성
23/01/15 14:26
수정 아이콘
신랑신부가 직접 결혼식 아이디어내고 시간되는 가족들은 최대한 동원되어서 용역 최소로 쓰고 식준비를 다 해야 스몰웨딩이라 할 정도로 금액이 저렴해지는거지, 업체에 다 맡길 요량으로 찾아보면서 너무 비싸다 이러고있음 대체 뭐하자는건가 그런 생각이 듭니다(...)
우리는 하나의 빛
23/01/15 14:39
수정 아이콘
저 스몰웨딩이 내가 생각하는 그 스몰웨딩이 아닌가벼...
맹렬성
23/01/15 14:50
수정 아이콘
감수성 후달리는 공장식 웨딩은 싫은데 하객 수용공간이나 식의 호화로움은 공장식과 동급이었으면 좋겠다 그 정도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즉, 나만을 위한 수제품 스마트폰 만들어주세요 해놓고 왜 비싸냐고 불평하는 격 크크크
23/01/15 15:02
수정 아이콘
결혼해도 부를 하객수가 200명이 안 되는데...
안철수
23/01/15 15:04
수정 아이콘
이런게 혐오 유발 방송인듯
12년째도피중
23/01/15 15:10
수정 아이콘
이것이 뉴 노멀...아니 뉴 스몰이다.
이웃집개발자
23/01/15 15:23
수정 아이콘
제가 아는 스몰웨딩이란건 최소한의 가족과 지인만 불러서 총합 30명 안으로 뚝딱 끝내버리는걸로 알고 있었고 실제 그렇게 한 선배도 두명이나 있는데 사실 다른거였구나..싶은 생각이 드는군요
김성수
23/01/15 15: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몰웨딩이라는 게 그냥 부부가 아무 것도 없는 장소만 대여하고 하나하나 직접 시간 들여서 준비하는 걸로 생각했고, 그게 낭만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런 게 아닌가 보군요. 스몰웨딩이 더 비싸다고 했던 말들이 저렇게 업체에 맡긴 것을 말한 거였나는 생각이 듭니다.
레이미드
23/01/15 15:43
수정 아이콘
스몰 웨딩은 사실상 스몰 (럭셔리 or FLEX) 웨딩이라고 봅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3/01/15 16:37
수정 아이콘
이런 방송은 제발 좀 안 했으면
23/01/15 16:54
수정 아이콘
검소하네요.. 두분의 직업과 재정상황을 고려하면요..
겨울삼각형
23/01/15 17:35
수정 아이콘
요즘 그래서 축의금 5만원 내면 눈치 보인다고
23/01/15 18:12
수정 아이콘
저런걸 왜 미디어에서 보여주는 지 이해가 안가네요.
자연스러운
23/01/15 18:31
수정 아이콘
이런거 보고 흥분하는 분들 좀 안타깝네요.
지기준에 스몰이면 스몰인거고
우리 보기에 돈지럴이면 돈지럴인데
강남건물주 의사커플 수준 못따라가서 미디어 탓하고 자괴감 빠지시면 힘들자나요
김꼬마곰돌고양
23/01/15 21:10
수정 아이콘
결혼식에만 4천만원 넘게 쓰는데 신혼여행은 천만원짜리로 알아본다? 크크크
23/01/15 23:51
수정 아이콘
스몰웨딩의 뜻이 왜 저리 변질된건가요??
당연히 하객수가 기준이라고 생각했는데
SG워너비
23/01/16 18:16
수정 아이콘
방송에서 이딴 것 좀 보여주지 말라고...
난키군
23/01/17 14:02
수정 아이콘
저도 스몰웨딩 알아보다가 결국 그냥 웨딩 했는데 일반 웨딩이 젤 싼건 사실입니다.
스몰은 말만 스몰이고 전혀 스몰하지 않아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2140 [유머] 세뱃돈 학살자 [10] 고물장수11776 23/01/22 11776
472139 [유머] 사촌동생 (27) "씹덕겜에 한 달에 5만원씩 쓰는게 이해가 안 간다." [30] Myoi Mina 14786 23/01/22 14786
472137 [유머] 방콕 택시기사에게 들은 한중일 구별법 [20] Myoi Mina 11651 23/01/22 11651
472136 [스포츠] 김민재 자동차.jpg [14] 깐프14431 23/01/22 14431
472135 [기타] 계란말이 장인의 다른 요리들.jpg [11] insane9856 23/01/22 9856
472134 [기타] 작년 안 찾아간 로또 당첨금 413억원.gisa [13] VictoryFood11734 23/01/22 11734
472133 [유머] 너무 귀여워서 미안한 피아노 연주 [9] 메롱약오르징까꿍12686 23/01/22 12686
472132 [방송] 우마게임 Ep1 [31] BTS13484 23/01/22 13484
472131 [기타] 국내영화 우상의 나비효과.jpg [50] insane18381 23/01/22 18381
472130 [동물&귀욤] 강릉 동물농장서 사자 2마리 탈출…2시간여 만에 생포 [18] insane13364 23/01/22 13364
472129 [유머] 무럭무럭 자라는 유기견 [13] 메롱약오르징까꿍13323 23/01/22 13323
472128 [기타] 4650만원 아낌 [25] insane13119 23/01/22 13119
472127 [기타] 2022 누벨바그 갤러리 어워드 발표 [18] 인민 프로듀서13124 23/01/22 13124
472126 [서브컬쳐] 포켓몬 출연 20년의 짬이 느껴지는 히로인 [3] 길갈8751 23/01/22 8751
472125 [유머] 설날에 층간소음 예고 당한사람 [25] 여기12822 23/01/22 12822
472124 [동물&귀욤] [혐주의] 동물학대범과 동물애호가는 한끗차이다 [50] 로켓11908 23/01/22 11908
472123 [음식] 계란마스터의 떡꾹.jpg [15] VictoryFood13447 23/01/22 13447
472122 [유머] 새로운 삼성걸 [15] 퍼블레인10390 23/01/22 10390
472120 [서브컬쳐] 강퀴가 제안하는 애니메이션 4대 금지키워드 [41] KanQui#112001 23/01/22 12001
472119 [텍스트] 2022.08.31 19:48 사랑하는 사람을 먼저 보내고 쓰는 일본 사람들의 3줄 편지 모음집 [3] 사나이의로망9643 23/01/22 9643
472118 [유머] 다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물리법칙은? [25] 우주전쟁10522 23/01/22 10522
472117 [LOL] 구마 : 트럭 두번 나오는건 좀 뇌절같기도 했어요 [2] 삼화야젠지야8631 23/01/22 8631
472116 [기타] chinese new year 논란에서 기억나는 댓글 [25] 판을흔들어라14309 23/01/22 143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