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3/01/12 12:22:30
Name 피죤투
출처 네이버
Subject [서브컬쳐] 20년대 일본 애니 극장판 국내 관객수 (수정됨)
bdJDSKE.png
슬램덩크 50만 (상영중)



pCtrZli.png
짱구 80만



2M13ag4.png
귀칼 200만




UpwUwBa.png
원피스 19만 (상영중)



FgdIZsn.png
코난 6만





더 있을거 같지만 아는 애니가 이정도뿐이라 허헣..
슬램덩크는 이기세면 귀칼 넘볼지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개인정보수정
23/01/12 12:24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가 아직 50만이군요. 글 올라오는 빈도만 보면 귀칼 10배는 보는 거 같은데 크크
아케이드
23/01/12 12:26
수정 아이콘
아재 사이트라 크크크
비뢰신
23/01/12 12:27
수정 아이콘
슬램 덩크 인터넷 반응은 거의 김래원 해바라기급 크크
23/01/12 12:29
수정 아이콘
자게 반응은 200만 돌파 급인데...
확실히 아재(을 위한) 만화라...
아케이드
23/01/12 12:32
수정 아이콘
일주일에 50만인 것이고 드랍률도 낮아서 200만 갈수도 있다고 봅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3/01/12 12:36
수정 아이콘
뭐 얼마나 찍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아직 귀멸 개봉 일수 반도 안 된 것 같은데 왜 이런 반응이 나오는지 좀 의아하긴 하네요
23/01/12 12:30
수정 아이콘
무한열차 편은 볼 때마다 눈물이 ㅠ
23/01/12 12:33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신카이 마코토 작품이 다 20년도 전꺼라 없고
호소다 마모루는 늑대아이, 괴물의아이 이후 하향세 같아
대작이 진짜 얼마 없네요
호소다 마모루 최근작이 6만정도 같고 ...
shooooting
23/01/12 12:33
수정 아이콘
무한열차는 역대급이죠 !
23/01/12 12:38
수정 아이콘
역대 순위는
너의 이름은(2016) - 379만
하울의 움직이는 성(2004) - 261만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2020) - 218만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 - 216만 이네요.

상영관이 적게 시작했고 초반 흥행하면서 늘어나는 추세인데다 경쟁작도 적어서 100만 이상은 충분할거 같고 200만도 노려볼수도?
23/01/12 12:42
수정 아이콘
일본애니만 순위 하신건가요?
옛날에 마당을 나온 암탉 이었나 그것도 굉장히 많이 봣던걸로 기억하는데...
23/01/12 12:45
수정 아이콘
네. 한국 애니메이션은 마당을 나온 암탉이 220만으로 최고 기록이고, 미국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면 겨울왕국 2가 1374만, 겨울왕국 1이 1030만이라네요(나무위키 피셜).
나혼자만레벨업
23/01/12 12:50
수정 아이콘
겨울왕국2 는 이야기의 서사가 1에 비하면 매우 부족하다고 느꼈는데, 역시 전편의 후광이 다음편에 영향을 크게 주는군요.
티아라멘츠
23/01/12 12:59
수정 아이콘
그렇죠 요즘은 그래서 프랜차이즈는 망치면 다음작에서 그 영향이 나오죠.
안아주기
23/01/12 16:38
수정 아이콘
라제.........
도라지
23/01/12 12:46
수정 아이콘
디즈니까지 합치면 말도 안되는 작품들이 있긴 하죠 크크크크
ioi(아이오아이)
23/01/12 12:39
수정 아이콘
게시판 지분률만 생각하면 헤어질 결심 급 위력을 가진 영화
실제상황입니다
23/01/12 12:4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럴 만도 한 것이, 그 귀멸이 1주차에 20만이었으니까요.
찾아보니까 헤어질 결심이랑 페이스가 비슷하긴 하네요(1주차 50만, 최종 성적 190만)
ioi(아이오아이)
23/01/12 12:43
수정 아이콘
코로나 때문에 관객 디버프가 오지게 걸렸고
코로나 때문에 오지게 상영 기간 버프가 걸린

기이한 영화가 귀칼이라서
실제상황입니다
23/01/12 12:46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로 헤어질 결심 급이긴 한데요? 뭐 얼마나 더 흥행할지는 모르겠지만 초반 페이스만 보면 말이죠.
23/01/12 13:55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내용으로는 탑건 매버릭이 더 맞지 않나 싶네요. 헤어질 결심이 막 엄청 흥행한 건 아니어서요. 슬램덩크 정도는 아니지만 로맨스 치고 남자들이 좋아할만한 영화 라는점에서 둘이 비슷한 점도 있긴 하네요.
23/01/12 12:54
수정 아이콘
한국 애니 극장판에는 슈퍼차일드, 헝그리베스트파이브, 원더풀데이즈라는 슬픈 전설들이 있어.

왜 슬퍼?

내가 그거를 전부다 극장에서 봤거든.
23/01/12 13:33
수정 아이콘
꿈꾸고 있어

날아오르는
23/01/12 13:50
수정 아이콘
새처럼 자유롭기를 우린 언제까지나


노래는 좋았도르...
벌점받는사람바보
23/01/12 12:54
수정 아이콘
원피스 스탬피드 2.2만명
하이큐!! 땅 VS 하늘 4.3만명
수퍼 소닉 31만명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 9.1만명
포켓몬스터 뮤츠의 역습 EVOLUTION 9.7만명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2 8.2만명
극장판 포켓몬스터: 정글의 아이, 코코 21만명
수퍼 소닉2 31만명
극장판 포켓몬스터DP: 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 58 만명
버즈 라이트이어 34만명
미니언즈2 226만명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49만명
뽀로로 극장판 드래곤캐슬 대모험 44만명

소닉인기가 생각보다 좋네요
이쥴레이
23/01/12 13:04
수정 아이콘
최근에 뽀로로 극장판 바이러스를 없애줘는 롯데시네마 단독개봉이라 관객수가 안잡히네요. 직접 가서 봤을때는 아이들이 많았는데
6년전 나왔던 컴퓨터왕국 대모험 리소스를 활용한 짜집기가 아닌가 할정도로... 퀄리티나 상영시간이 좀 처참했습니다.
뽀로로 극장판은 눈썰매 경기가 최고였던거 같네요. 영화 국가대표틱한 스토리 전개나 주제가나 퀄리티가 참 좋았는데..

신비아파트 차원도깨비는 최근에 아이랑 봤는데 퀄리티가 생각보다 좋았고 아이들이 좋아할만해서 50만은 이상은 갈줄 알았는데...
아직 40만이네요.

아동용 극장판 애니들은 기본이상 흥행(?) 하면 40~50만정도 관객수인거 같네요.
아우구스투스
23/01/12 15:47
수정 아이콘
슈퍼소닉2는 실사일거에요.
이쥴레이
23/01/12 12:54
수정 아이콘
명탐정 코난 최근 극장판이 할로윈의 신부인데 작년 한국 개봉시 50만 조금안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본문의 나온 수학여행은 더빙없는 자막판에 늦게 개봉하였고 평가도 안좋아서... 국내에서 망한걸로...

2월달에 스즈메 문단속 대기중인데.. 슬램덩크 효과도 있을거 같고
너의 이름으로 국내 흥행 1위기록을 가지고 있는 신카이마코토 감독 작품이니.. 날씨의 아이보다는 평가가 좋기도 해서
배급사가 대대적으로 마케팅은 할거 같네요.
Anabolic_Syn
23/01/12 12:56
수정 아이콘
뭐 어차피 슬덩보다 아래긴 하지만 코난 저건 외전 격이라
최근 개봉작인 할로윈의 신부 49만으로 봐야..
오렌지 태양 아래
23/01/12 12: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귀칼이 많이보긴 많이 봤군요
200만이라니...

지금 슬램덩크 정도의 화제성은 고사하고 보는사람들만 보는 느낌이었는데
오우거
23/01/12 13:09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가 오히려 보는 사람만 보는거고

귀칼은 남녀노소 폭넓게 성공했죠.

물론 슬램덩크 보는 사람들이 우리나라에서 인구가 매우 많은 계층이라서 더 대박날수 있습니다.
23/01/12 13:59
수정 아이콘
귀칼은 20대도 많이 봤거든요. 화제성이라는 게 결국 내 주변에서 느끼는 거라... 거기다 우리나라에서 스포츠 컨텐츠는 생각보다 마이너 합니다. 인기 있는 것도 국가대표고 흥행한 스포츠 영화도 다 국가대표 이야기였죠.
스토리북
23/01/12 13:00
수정 아이콘
왜 원피스보다 귀칼이 높은 걸까요? 그냥 퀄리티 문제인가...?
무냐고
23/01/12 13:01
수정 아이콘
원피스는 애니부터 별로라 기대감이 없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3/01/12 13:02
수정 아이콘
원피스는 드래곤볼 극장판마냥 너무 외전 느낌인데 귀칼은 메인 스토리를 애니화한 거라는 차이점이 있죠.
짱구 같은 거는 애초에 원작이 옵니버스 식이라 극장판이 특별 이벤트라는 느낌이구요.
오우거
23/01/12 13:03
수정 아이콘
원피스가 높으면 그게 더 이상한듯
Your Star
23/01/12 13:07
수정 아이콘
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들은 애니부터 별로다, 스토리 문제다, 그냥 재미가 없다 라기에는 원피스는 한국에서 인기가 많은데 극장을 안 가요. 극장을 안 간다구요.

원피스 만큼 온갖 커뮤에서 떠드는 만화 없습니다 솔직히..
스팅어
23/01/12 14:07
수정 아이콘
원피스의 포텐이 높은 것은 맞지만, 드랍률도 말도 안되게 높습니다. 주변에 원피스 최신화까지 열심히 보는 사람보다 어디어디까지 보고 안본다는 사람들이 더 많아요. 인지도는 훨씬 높지만 그렇다고 꾸준히 챙겨보는 애독자는 많지 않을겁니다.
그리고 페이트와 귀칼의 제작사인 유포테이블의 작화와 연출은 업계 탑클래스라 아무 것도 모르는 사람이 봐도 뽕맛이 엄청나며, 원피스와 달리 원작을 안본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흥미진진하게 볼 수 있는 잇점도 있죠.
及時雨
23/01/12 13:07
수정 아이콘
원피스 극장판은 보통 본편이랑 다른 얘기라서 봐도 그만 안봐도 그만이긴 해요.
파비노
23/01/12 13:16
수정 아이콘
원피스도 알리바스타나 워터세븐을 짤라서 극장판으로 내면 흥행은 더 잘될듯요.
23/01/12 13:41
수정 아이콘
퀄리티 문제도 있긴 하죠. 원피스 극장판은 입소문 타고 흥행할 만한 작품은 없었어요.

뭐 다른 극장판(특히 코난)이라고 잘만든다는 건 아니긴 한데...
먼산바라기
23/01/12 13:08
수정 아이콘
..1920년대가 아니었어..???!!
23/01/12 13:12
수정 아이콘
드래곤볼 극장판은 2만도 안 되었는데 처음 드래곤볼 슈퍼 극장판 골든 프리더 여기까진 좋았습니다.... 오랜만에 추억도 되살아나고....
그리고 예전 극장판 리메이크 브로리편도 괜찮았습니다. 전투신 쩔고...
근데 이번에 나온 슈퍼 극장판은 셀 우려먹기와 거기다 오렌지 피콜로라는 초 괴상한 조합을 들고나와서 극장판을 내놓았는데 정말 별로였습니다.
덕분에 관객도 없었지만요...
아이폰12PRO
23/01/12 13:13
수정 아이콘
귀칼 - 첫주 20만 최종 200만이지만 오히려 입소문을 타면서 롱런에 성공한 경우. 뛰어난 작화+몰입감있는 에피소드 딱 통으로 떼어내서 입문용으로 봐도 이해가 됨. 적당한 신파로 극장 퇴장감도 좋음.

원피스 - 본편을 애니화 한 귀칼과 다르게 항상 본편에 상관이 거의 없는 독립에피로 이루어진 외전. 사실상 캐릭터만 그대로가다보니 엥간한 애정이 없으면 볼 이유 X. 본편좋아해도 본편 명장면을 뛰어난 작화로 즐기는 뽕맛도 0 그러니 관객수 낮음.

가장 큰 차이는 이거라고 봅니다.
슬램덩크도 귀칼처럼 본편의 가장 하이라이트 에피소드를 애니화했으니 흥행한거고요. 물론 확장성은 귀칼보다 더 떨어질수도 있다고 보긴하는데...
의문의남자
23/01/12 13:17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 요즘 신입 들어오는 20대 중반정도 애들한테 물어보면 잘 모르더라구요. 만화책이란 문화도 많이 안즐겻다고하고
아케이드
23/01/12 13:59
수정 아이콘
OTT가 블랙홀이죠
TV, 영화 뿐 아니라 만화, 소설 등 온갖 문화 상품들을 다 잡아먹고 성장 중이라고 봅니다
쿼터파운더치즈
23/01/12 13:23
수정 아이콘
귀칼 4개월동안 상영했어요
티아라멘츠
23/01/12 13:30
수정 아이콘
원피스는 원피스 필름 레드면 그건 그냥 ado 뮤직비디오입니다
등짝에칼빵
23/01/12 13:42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 솔직히 50만정도.. 최대 70만 예상했는데 100만은 넘을 것 같네요.
200만은 힘들 테고... 흠 한 120~30만명정도 가능하맂도
달빛기사
23/01/12 13:56
수정 아이콘
50만이나 봤네.. 상영관도 별로 없더만..
대장햄토리
23/01/12 14:21
수정 아이콘
3월 8일엔 스즈메의 문단속
3월 11일엔 귀멸의 칼날 도공마을 (선행상영) 이라..
장기개봉은 무리일것같고..
1-2월에 관객을 얼만큼 뽑아내느냐가 관건이겠네요..
승률대폭상승!
23/01/12 14:24
수정 아이콘
귀멸은 217일동안 상영한 영화
15일만에 50만 돌파
23/01/12 16:53
수정 아이콘
원피스 낮은 이유는 다른 이유는 다 갖다붙인거고 그냥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 조회수만 보면 답 나옵니다
혼자 앞자리수가 달라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2070 [서브컬쳐] 연상호 신작 정이 평점 근황.JPG [10]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792 23/01/21 9792
472069 [기타] 지하철에서 주운 로또 [13] 닉넴길이제한8자9113 23/01/21 9113
472068 [게임] 블리자드 1월 23일 中 서비스 종료 [21] 카루오스12201 23/01/21 12201
472067 [기타] 원칙과 현실 사이에 고민하던 태종의 답 [7] 판을흔들어라8950 23/01/21 8950
472066 [유머] 한국인이 흰피부 좋아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미국인 교수 [32] Myoi Mina 12151 23/01/21 12151
472065 [유머] 남자들이 인정한 최고의 맛집 동네.jpg [19] Pika4811129 23/01/21 11129
472063 [유머] A급 병사의 휴가.jpg [5] Myoi Mina 10115 23/01/21 10115
472062 [유머] 리스부부에서 미친부부가 된썰 [15] 김아무개13338 23/01/21 13338
472061 [기타] 여자 상사에게 귀엽다는 소리 듣는 법 [18] 묻고 더블로 가!10664 23/01/21 10664
472060 [서브컬쳐] 슬램덩크 극장판 만화 (스포있음) [8] 그10번8223 23/01/21 8223
472059 [유머] 눈에서 욕나오는 히로인 [23] 헤세드8311939 23/01/21 11939
472058 [게임] (약후) 수치스러운 별명을 얻게 된 검은사막 신규 캐릭터 [4] 묻고 더블로 가!12287 23/01/21 12287
472057 [기타] 원유매장량 4위, 천연가스 매장량 2위 국가에서 부족한 것 [17] 판을흔들어라12535 23/01/21 12535
472055 [기타] 폴라티를 못 입는 사람들.jpg [45] 김치찌개11726 23/01/21 11726
472054 [유머] 현대 대중음악 GOAT 논쟁.jpg [47] 김치찌개12324 23/01/21 12324
472053 [유머] 이런성격 친구 참을수있다 vs 손절 [19] 김치찌개10285 23/01/21 10285
472052 [유머] 알콜 중독 테스트.jpg [24] 김치찌개8374 23/01/21 8374
472051 [서브컬쳐] 특이점이 온 일본의 킬링벌스 유투부 체널 [21] 묘이 미나 10695 23/01/21 10695
472050 [유머] 에어부산 승무원 사투리 [4] Valorant10865 23/01/21 10865
472049 [LOL] 현재 쵸비상인 사람 [3] Avicii8307 23/01/20 8307
472048 [연예인] 귀여운 막내를 안고 훈훈하게 화보 찍은 아이돌 그룹 [7] Davi4ever9271 23/01/20 9271
472047 [유머] 입에서 무슨 소리가 나면 아재입니다.gif [25] Myoi Mina 12395 23/01/20 12395
472046 [서브컬쳐] 드래곤볼 신장판 e북 -37%할인 [6] 고쿠7857 23/01/20 78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