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2/28 15:41:04
Name 인간흑인대머리남캐
File #1 steamwin.jpg (667.5 KB), Download : 44
출처 유튜뷰
Link #2 https://www.youtube.com/watch?v=_xjzVQtCvhU
Subject [게임] 콘솔 전쟁은 끝났고 스팀이 이겼다


킹갓텐도 빼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handrake
22/12/28 15:41
수정 아이콘
닌텐도는 세일도 30%만.....
카오루
22/12/28 15:43
수정 아이콘
멀티플랫폼, 대규모 자본이 기존 콘솔게임계 끝장낸다는 소리는 리니지를 필두로 mmorpg 나오던 때부터 시작해서 에뮬, 모바일, ms콘솔계 진출, 게임패스, 스테디아 등등 새플랫폼 나올때마다 20년간 주구장창 나오는듯..
벌점받는사람바보
22/12/28 15:44
수정 아이콘
pc랑 나오는 게임도 비슷하고
독점도 크게 신경안써도 될정도고
서로 그래픽,로딩,프레임,가성비,멀티 비교하는거 일상인대
닌텐도 독점작들만 진짜 따로놈
설탕가루인형
22/12/28 15:44
수정 아이콘
저도 모든 게임을 스팀에서 구매하고 실행합니다.
킹텐도만 빼고요
Paranormal
22/12/28 15:47
수정 아이콘
킹텐도는 항상 예외입니다
Lainworks
22/12/28 15:47
수정 아이콘
킹치만 1080 이후로 컴 맞추기 너무 귀찮고 비싸서 엑박으로 게임패스만 돌립니다
야크모
22/12/28 16:34
수정 아이콘
2222
현재 컴퓨터는 1080ti에서 멈춰있습니다
22/12/28 15:48
수정 아이콘
이제 게임기로 게임하는게 가성비가 더 나은거같아서...
22/12/28 15:51
수정 아이콘
반대로 4K로 시대의 최첨단을 달리는 사람들이나 죽어도 키마로 게임을 해야하는 사람들 아니면 게이밍 PC가 가성비가 한참 줄어버려서...
22/12/28 15:52
수정 아이콘
지네들끼리 싸울 때 뒤에서 웃는건 닌텐도..
인생은서른부터
22/12/28 15:56
수정 아이콘
스팀덱 지르고 싶다..
월급날인데 한번.. 어디 확 그냥 한번 어디.. 그냥 확..
..어디 그냥.. 어디... 그냥....
그말싫
22/12/28 15:56
수정 아이콘
컴에 이삼백씩 박을 생각없는 라이트게이머
독점 갓겜을 안해보고 넘어 갈 수 없는 코어게이머
이래저래 콘솔 소비층은 계속 있을 수 밖에 없죠.
호랑이기운
22/12/28 16:00
수정 아이콘
자막 줄바꿈 킹받네요
22/12/28 16:01
수정 아이콘
다양한 단축키가 필요한 시뮬레이션 경우 편의성은 PC가 역시 압도적이죠. 콘솔은 스위치만 갖고 있네요. 흐흐
미카엘
22/12/28 16:04
수정 아이콘
킹텐도는 킹쩔 수 없지
문문문무
22/12/28 16:04
수정 아이콘
캐주얼,아케이드 게임성에 몰빵하면 저렇게 되는건가 싶더라고요
닉넴바꾸기좋은날
22/12/28 16:10
수정 아이콘
닌텐도는 괘씸하리만치 사람 마음을 잘 압니다.
변주할때가 되면 혁신을 보여주고,
절여진 사람들에겐 엑기스를 짜냅니다.
덴드로븀
22/12/28 16:39
수정 아이콘
게×프×× : 히히~ 똥이다~ 어? 이걸 먹네? 히히 또 똥 싸야지
닉넴바꾸기좋은날
22/12/28 17:37
수정 아이콘
그곳은 게임회사가 아닙니다 인형 카드게임회사입니다
22/12/28 18:32
수정 아이콘
???? : 그래서 안할거야? 안살거야? 크
소이밀크러버
22/12/28 16:16
수정 아이콘
전 오히려 PC에 가장 손이 안 가더라구요.

일하는 내내 키보드 마우스 쓰다가 퇴근하고나서도 컴퓨터 책상에 앉아서 키마질 하려니까 피곤하더군요.
22/12/28 16:19
수정 아이콘
그래픽카드 가성비가 너무 안좋아져서 이제는 게임할거면 콘솔 사는게 더 나은듯
마감은 지키자
22/12/28 16:39
수정 아이콘
이 바닥도 늘 돌고 돌죠. 닌텐도라고 항상 성공하는 것도 아니고, 화무십일홍을 잘 보여주는 동네입니다.
유일한 진리는 다 사면 되잖아뿐... 크크크
마감은 지키자
22/12/28 16:41
수정 아이콘
그리고 저 채널은 기사를 번역해 소개할 뿐이라서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일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그런 의견도 있다 정도...
스팀덱 나왔으니 이제 스위치는 필요 없다는 기사도 있었는데요 뭐. 크크
비뢰신
22/12/28 16:45
수정 아이콘
베요네타는 예로 부적절한게
닌텐도에서 만들어달라고 돈 대줬거든요... 물주가 닌텐도인데 무조건 박아야줘
크레토스
22/12/28 16:55
수정 아이콘
라기엔 플스 엑박도 갈수록 수익성 높아지는 중이고 PC게임 시장은 쪼그라드는 중이라..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2/12/28 17:05
수정 아이콘
PC 하드웨어 성장이 줄어들고 있어서 그런 인식이 있는데 PC게임 자체는 꾸준히 매출 성장 중이에여
크레토스
22/12/28 18:28
수정 아이콘
올해는 나와봐야 알겠고 21년에도 PC게임시장 규모 성장률이 -0.8% 였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2/12/28 19:49
수정 아이콘
마이너스 찍은 통계는 아마 브라우저 게임 포함일겁니다. 흔히 말하는 스팀/에픽 게임을 의미하는 DL/박스 게임은 올랐을거에여
22/12/28 17:00
수정 아이콘
닌텐도가 진짜 게임업계 천상계인것같아요.
퍼스트파티를 너무 잘만들어서 콘솔을 살수밖에 없게 만드는 놈들...
22/12/28 18:39
수정 아이콘
강력한 독점서브파티를 잃고 성능에 밀리며 헤게모니에서 십수년간 밀려난 경험 어디 안가죠.
모두 들어올 수 있는 강력한 갈라파고스를 생성 성공한 느낌..
22/12/28 17:00
수정 아이콘
데탑 나름 돈 좀 주고 새로 맞춘지 몇달정도 됐는데 여전히 콘솔로 겜을 더 많이 하는 느낌입니다.
부팅하고 겜 실행하고 어쩌고 할 시간에 콘솔 켜고 의자에 누워서 패드로 겜 시작하는게 너무 편해서;;;
삼화야젠지야
22/12/28 17:02
수정 아이콘
모바일게임은 결국 조작감이라는 한계에 부딪혔고 닌텐도가 휴대용 게임기 시장을 쥐고 있는 한 흔들릴 일이 없을듯.
스팀덱이 얼마나 호응을 얻을지에 따라 달려 있나 싶은데 소식이 없네요.
마감은 지키자
22/12/28 17:12
수정 아이콘
스팀덱은 잘 팔리기는 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게임체인저가 되기에는 부족합니다. 앞으로 세대가 넘어가면서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지만요.
크레토스
22/12/28 18:30
수정 아이콘
딱 그 범주내에서 잘 팔리는 거라... 솔직히 PS VITA 판매량 이기기도 쉽지 않죠.
22/12/28 17:10
수정 아이콘
자 이제 게임시장을 통일한 스팀을 티비로 할수있도록 머신과 컨트롤러를 만들어보자! OS도 리눅스기반으로 따로 만들어서 무료로 풀어보는거야!
이쥴레이
22/12/28 17:59
수정 아이콘
전 닌텐도에 인질이 안되어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했는데
포켓몬 마리오 젤다등 안함..

그런데 아들이 인질이 될줄이야...
22/12/28 18:16
수정 아이콘
전 와이프가 인질이되심
F1rstchoice
22/12/28 19:10
수정 아이콘
결국 게임은 pc가 종결이라고 생각해요.
콘솔에서 플레이하는건 수많은 타협(프레임, 그래픽, 로딩속도 등)이 포함된 거라고 생각해서...

그래도 플5랑 엑시엑오면서 많이 나아졌죠
마감은 지키자
22/12/28 19:41
수정 아이콘
하지만 PC조차도 타협이 필요하죠. 하이엔드 PC를 갖추는 것은 이전에도 힘든 일이었고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다시마두장
22/12/28 19:40
수정 아이콘
이것이 온리원의 위엄...
시부야카논
22/12/28 19:51
수정 아이콘
스팀박스라는게 나올때 "크크크 저게 뭔 뻘짓?" 이라고 비웃음 당하면서 쌓이고 쌓이던게 지금의 스팀덱이 된 거죠
다시마두장
22/12/28 19:51
수정 아이콘
저도 스팀 라이브러리에 게임을 천 개 넘게 쌓아놓고 있고, PC와 콘솔 버전이 둘 다 있으면 PC버전 구매에 조금 더 마음이 가는 편이긴 한데...
(주로 플랫폼이 바뀔 염려 없이 라이브러리가 지속된다는 이점때문에)

이것저것 신경쓸 것 없이 제작자가 특정 기기에 최적화해놓은 세팅으로 생각없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이점, 여러 용도로 사용하는 PC인데 그 위에서 또 게임을 돌린다는데서 오는 일종의 부담감/번잡함 탓에 아무래도 게임은 콘솔로 하는 게 마음이 편하더라구요.
그런 이유에서 PC게임들을 사놓고 안 하기를 반복하다가 역설적이게도 스팀덱을 구매한 이후로 PC게임을 다시 하고있네요 크크.
마감은 지키자
22/12/28 20:14
수정 아이콘
저도 PC 쪽을 더 선호하기는 하는데(특히 모드가 활성화되었을 경우), 듀얼센스의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는 상당히 고민이 되더군요. 이게 손맛이 참 찰져서... 위쳐3도 플스5로 하고 있습니다. 말 탈 때 따가닥 거리는 느낌이 안 나니 영 심심하더란 말이죠.. 크크
아케이드
22/12/28 22:12
수정 아이콘
전혀요... 스마트폰이 최종 승자죠
지대호
22/12/28 23:00
수정 아이콘
콘솔이 여전히 가성비와 편리함 쪽에서 메리트가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81234 [게임] 스타필드 번역 언어수보다 많은것 [10] 유니언스8493 23/06/17 8493
481204 [게임] 의외로 유저 평점이 구리다는 게임 [21] 꿈꾸는드래곤10542 23/06/16 10542
480558 [게임] 포스포큰, 레드폴보다 더 높은 동접자수 기록!!! [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670 23/06/05 10670
480382 [게임] 파키스탄 철권이 강한 이유.txt [14] Just do it14610 23/06/01 14610
480309 [게임] ???: 이번 격겜은 컨텐츠가 어쩌고 초보친화가 어쩌고.. [2] 인간흑인대머리남캐6292 23/05/31 6292
480235 [게임] 얼마전 플스 쇼케이스에서 첫 공개된 장치 [32] Lord Be Goja10511 23/05/30 10511
478816 [게임] 의외로 윈도우 XP와 10 사용자는 볼수 없다는것 [7] Lord Be Goja9212 23/05/03 9212
478491 [서브컬쳐] 인방과 디씨의 긍정적인 시너지의 희귀한 사례 (밑에 따효니 관련) [5] Zelazny7852 23/04/26 7852
477070 [기타] ASUS 스팀덱 같은 휴대용 게임기 발표 [13] Pika486344 23/04/04 6344
476680 [게임] 라오어1 PC판 스팀 평가 근황 [48] 달은다시차오른다9594 23/03/29 9594
476527 [유머] 한국 복돌이와 정돌이 차이 [65] 된장까스11831 23/03/27 11831
476402 [유머] 다크 앤 다커 근황. [19] 짐승9775 23/03/25 9775
475874 [게임] 요즘 각종게임기 근황 [35] Lord Be Goja11940 23/03/17 11940
473930 [게임] 화제의 스팀게임 '다크 앤 다커', 사실은 넥슨 프로젝트 유출? [21] 졸업10229 23/02/16 10229
473599 [게임] 결국 사과문까지 올린 카운터사이드 [15] 묻고 더블로 가!10400 23/02/12 10400
473065 [게임] 카운터사이드 스팀 이관보상 근황 [8] 묻고 더블로 가!6957 23/02/05 6957
472655 [게임] 가짜 닌텐도 킬러와 진짜 닌텐도 킬러 [20] 인간흑인대머리남캐7989 23/01/29 7989
472023 [게임] 출시 후 역대급 반응이라는 오투잼 온라인 [12] 손금불산입8456 23/01/20 8456
471902 [게임] 포스포큰 PC 요구사항 공개후 논란 [45] 아케이드12616 23/01/18 12616
471255 [게임] 스팀동접 3위를 찍은 게임의 원동력 [13] Leeka9482 23/01/10 9482
470461 [게임] 2022년 스팀 최고 매출달성 게임 11개 [12] Leeka7359 22/12/30 7359
470340 [게임] 트리 오브 세이비어 전 원화가 근황 [5] 톰슨가젤연탄구이7774 22/12/28 7774
470323 [게임] 콘솔 전쟁은 끝났고 스팀이 이겼다 [4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642 22/12/28 1164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