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2/27 21:55:59
Name Avicii
File #1 Screenshot_20221227_215421_Chrome.jpg (1.54 MB), Download : 65
출처 https://youtu.be/tGp8k_9EEHM
Subject [방송] 점입가경 빌라왕 사건





2주동안 세 명사망

세명이가진 빌라 1400여채

죽는 날도 계약 했다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부야마
22/12/27 21:58
수정 아이콘
제대로 수사해야 되는 거 아닌가요..
그10번
22/12/27 21:58
수정 아이콘
오늘 아침에 두번째 사망뉴스를 보고서 섬찟했는데 세번째 사망뉴스네요. 덜덜덜
This-Plus
22/12/27 22:00
수정 아이콘
이거 진짜 제대로 파야 하는데...
스웨트
22/12/27 22:02
수정 아이콘
.. 바지로 빌라왕 만들고 죽인거 아니에요..?
22/12/27 22:04
수정 아이콘
젊은 사람들이 비슷한 시기에 픽픽 죽어나가...?
꿀깅이
22/12/27 22:05
수정 아이콘
와 죽임당하는거겠죠? 무섭다
악튜러스
22/12/27 22:06
수정 아이콘
수사는 진행되고 있나요?
이거 작은 문제가 아닌거 같은데요.
빌라 수천채라 최소 천억단위...
Meridian
22/12/27 22:06
수정 아이콘
자살당하는거 같이 생각되면 음모론자일까요.
미네르바
22/12/27 22:22
수정 아이콘
삐빅 정상입니다~
똥진국
22/12/27 22:11
수정 아이콘
이건 뒤에 뭔가 있다는 생각을 안할래야 안할수가 없군요
이 사건을 제대로 조사하지 못하거가 안하거나 한다면 이 사건이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생명까지 뒤흔드는 어마어마한 나비효과를 가져올지도 모릅니다
지금까지 있었던 부동산 관련 비리 사건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일거 같습니다..
ioi(아이오아이)
22/12/27 22:13
수정 아이콘
이건 너무 티나게 죽이는 거 아니냐?
문재인대통령
22/12/27 23:25
수정 아이콘
더 티나게 죽은것도 우기는거 보면 ...
iPhoneXX
22/12/27 22:15
수정 아이콘
거대한 음모라도 있는거 아닌지..이런거야 말로 수사 들어야 되지 않을까 싶은데..
댓글자제해
22/12/27 22:17
수정 아이콘
두명째도 이상한데 세명이면...
이건 거대조직이라고밖에 볼수없지않나요
그리고 제도적으로도 큰 헛점이라고 봅니다
잡히기전에 정리중같아요
Just do it
22/12/27 22:17
수정 아이콘
와...갠적으로 장기매매보다 훨씬 무서운 일같은데요...
진짜 현실은 영화보다 더 버라이어티 하네요;
22/12/27 22:19
수정 아이콘
음모론같은거 잘 안 믿으려고 노력하는데,

이건 진짜 배후에 누군가 있고, 저 사람들은 자살당한게 아닌가 생각이 안들래야 안들 수가 없어요... 덜덜;;
그럴수도있어
22/12/27 22:19
수정 아이콘
꼬리자르기가 분명해 보이네요. 이건 제대로 수사해야합니다.
22/12/27 22:20
수정 아이콘
이건 음모론이 아닐거라 믿습니다.
22/12/27 22:25
수정 아이콘
과연 이걸 수사할 의지와 능력이 있을 것인가.
해먹는 데는 버닝썬처럼 여야가 따로 없어서 유야무야 될 것 같은 느낌이네요
스토리북
22/12/27 22:26
수정 아이콘
바지사장인 건 이미 기정사실이죠.
22/12/27 22:32
수정 아이콘
최초 사망한 빌라왕 김 모씨는, 내인성 질환으로 사망.
두 번째 사망한 사람은 자살 추정되니, 한 조직에서 얀쇄적으로 살해했을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문제 되는 사례들은, 대부분 이전 세모녀 전세사기 사건 때, 국토부에서 경찰청에 자료 제공한 1만 3,000건 중에 포함되어 있고,

당시 전세사기 의심 보증액수가 1조 원, 의심 혐의자가 200명 가량으로 알려져 있는데,
통상 바지 명의자로 이용되는 사람들은 노숙자, 환자등을 이용하는데,
그 바지 중 일부가 사망하는 일은 그리 드물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피해자들은 저 명의자들이 아니라 배후에서 움직이는 분양업자들을 직접 만났기 때문에, 명의자가 사망했다고 해서 수사기관에서 찾아낼 연결 고리가 끊기는 것도 아니구요.

다만, 문제는... 명의자가 사망했든 아니든, 임차인들이 저 1조원 상당의 임차보증금을 전부 돌려받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보인다는 점입니다.

명의자 사망으로 임차인들이, 자신도 피해자라는 것을 뒤늦게 깨닫게 된 것일 뿐,
이미 2년 전 임차계약 체결 시점 또는 바지 앞으로 소유권 이전되는 순간, 벌써 피해자가 되었다는 것을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한 동안 유사사례가 계속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색사과
22/12/27 22:55
수정 아이콘
지지난 주 슈카에 나왔던 얘기를 적어보자면..

1. 빌라왕 (보유 빌라수) 1등과 2등의 주소가 같은 다세대주택이었고 (옆집)
2. 두 명 모두 대리인이 있고 그 대리인의 지화번호가 같았다는데..

궁금해지네요. 죽은 빌라왕 2,3 번은 어땠을 지…
하아아아암
22/12/27 22:35
수정 아이콘
알면 알수록 빌라에 전세 살면 안된다는 생각 뿐...
이쥴레이
22/12/27 22:52
수정 아이콘
뉴스 영상보시면 아시겠지만 2주동안 3명 사망은 아니라
한명은 지난해 7월 사망입니다. 제주도에서 직장 다니는 사람이라지만 사망하는날까지도 제주도 사람이 서울 영등포등에 빌라를 매입한거라.. 바지 사장이나 명의를 빌려준 정황이라..

확실히 뒤에 헤쳐먹는 조직적인 세력은 있는데
과연 잡을수 있을지..

그리고 현재 또 어떻게 새로운 수법으로 조직적으로 하고있을지 모르죠..
No.99 AaronJudge
22/12/27 22:53
수정 아이콘
허;;;;;
22/12/27 22:55
수정 아이콘
1번은 사고
2번은 우연
3번은 ???!
스웨트
22/12/27 23:26
수정 아이콘
근데 왜 전세사기 대부분은 빌라인걸까요..?
아파트는 전세사기 얘기를 못들은거같은데..

저희집도 빌라 전세라.. 이런 기사 볼때마다 무서워죽겠어요.. ㅠ
22/12/27 23:44
수정 아이콘
아파트라고 없는건 아닙니다 빌라쪽이 짜고치기 좋아서 그런거지
예전에 아파트 몇백채 가진 분이 집값떨어지니 자살하기도 했죠;;

짦은 지식이지만 아파트는 가격이 분명하게 나와서 대출금 한도가 있는데
빌라 신축같은 경우는 은행에서 집가격을 정확하게 책정을 못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신축빌라 업계약서 를 통해서 전세금 대출 100프로까지 마련해주기도 하다보니
부동산 업자 + 건설업자 + 은행업자 가 짜고치기 좋은 판 입니다
타츠야
22/12/27 23:45
수정 아이콘
아파트는 아무래도 금액이 커서 눈에 더 잘 띄기도 할 거고 전세 대출 잡을 때 금융권에서 쉽게 알아챌 것 같습니다.
우리가 모르는 뭔가 있겠죠.
그리고 이 건은 분명히 조직적으로 해먹는 것일 테니 경찰이나 금융당국에서 수사와 별도로 앞으로 이런 범죄를 막을 방법을 강구해야 된다고 봅니다.
22/12/27 23:48
수정 아이콘
개별건물이니 아파트보다 정확한 시세 비교가 어렵고 아파트보다 싸서 구입이 용이하기 때문이라 합니다. 또 수요도 어느정도 있구요.
22/12/28 00:32
수정 아이콘
아파트는 집값이 정확하게 나오지만
빌라는 집값을 아무도 모릅니다.

그리고 아파트는 집값이 예를들어서 6억이면. 전세 6억으로 안들어오고 보통 아파트가격보다 훨씬 싸게 들어오기 때문에
사기를 당해도 '폭락한게 아니면' 보통 세입자도 긴 시간 고통은 받지만 원금은 상당량 회수되는 편인데..
(물론 지금처럼 폭락장이 쎄면 다르긴 함)

빌라는 애초에 전세금이 빌라 가격보다 비싸기 때문에..
작은대바구니만두
22/12/28 00:00
수정 아이콘
건물 소유 많은 사람들 강제 신변보호조치라도 취해야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지르콘
22/12/28 00:21
수정 아이콘
바지사장들이 위험하군요
퀀텀리프
22/12/28 06:52
수정 아이콘
경찰이나 검찰이 수사에 착수 했나요 ?
22/12/28 07:04
수정 아이콘
전 몇천 떼이고 빌라왕에게서 탈출했는데 저당을 잡고 공증차용증을 쓰고 했지만 아무 소용없더군요. 떼인 돈 받아드립니다 업체도 소용없음... 피해자 단톡방에서는 매일매일 지옥을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뿐입니다
푸들은푸들푸들해
22/12/28 07:20
수정 아이콘
전세를안하면되요
StayAway
22/12/28 10:51
수정 아이콘
트와이스 빌라왕은 잘 계시려나..
탑클라우드
22/12/28 11:47
수정 아이콘
뒤에 뭔가 커다란 게 있을 듯 한 느낌인데...
22/12/28 16:18
수정 아이콘
전국적인 사기...전세제도가 사라질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9728 [방송] 학교 매점을 뺀 자리에…. [29] pecotek8323 24/05/11 8323
499225 [방송] 커맨더지코 결혼 발표 [30] 퍼블레인9881 24/04/30 9881
496189 [방송] 기안84가 42.195km 풀코스 마라톤를 뛰는 이유.jpg [26]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687 24/03/02 9687
492121 [방송] (후방주의) 요즘 논란이 뜨겁다는 엑셀 방송 [24] 물맛이좋아요15280 23/12/16 15280
491840 [방송] 고거전) 이 드라마에서 이상하게 이해가 가는 인물 [10] 된장까스9938 23/12/10 9938
491745 [방송] 어제자 BBC뉴스의 역대급 of 역대급 방송사고 [32] 파인트리15796 23/12/08 15796
491382 [방송] 논란의 청룡영화상 공연에 입장 밝힌 JYP 근황.JPG [5]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1924 23/12/02 11924
482327 [방송] 연습생 7년 데뷔 무산 2번 겪어서 불안했다는 피프티피프티 멤버.jpg [15]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872 23/07/05 9872
473877 [방송] 맨시티에 천만원 배팅해서 1500만원 벌었다는 해외토토하는 스트리머.jpg [5]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0223 23/02/16 10223
473730 [방송] 이말년의 버거킹 롯데리아 햄버거 평가.JPG [86]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2771 23/02/14 12771
472429 [방송] 지금 보니 좋은 드라마 '파리의 연인' 결말 [42] 시나브로11699 23/01/26 11699
471015 [방송] 신용등급10등급에 이자낮춰라. 거부하자 마트발령 [15] Avicii8970 23/01/07 8970
470583 [방송] 지금봐도 미친 외모였던 누나 리즈시절.JPG [27]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6567 23/01/01 16567
470279 [방송] 점입가경 빌라왕 사건 [39] Avicii16155 22/12/27 16155
469239 [방송]  K-드라마덕에 북한 교도소에서 5년간 살아남았다는 탈북민 [21] 오곡물티슈10925 22/12/13 10925
469184 [방송] [재벌집]아무도 주목하지 않지만 사실 능력자인 사람 [23] 카루오스11105 22/12/12 11105
468935 [방송] [루머] 디즈니 ‘인어공주’ 어제 테스트 시사 반응 [76] 시린비12496 22/12/09 12496
468678 [방송] 재벌집 막내아들 무서운 진짜 광기.jpg [29]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5420 22/12/05 15420
467597 [방송] 가요무대한테 밀리는 KBS 해설.jpg [11]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0467 22/11/21 10467
462919 [방송] 육군 대규모 기동 화력 시범 [50] Croove13640 22/09/20 13640
457638 [방송] 드라마 첫 흥행에 행복사해버린 방송사 [53] 이히리기우구추13840 22/07/07 13840
450543 [방송] 이웃집찰스 속 레전드 할아버지 [5] 한화생명우승하자5253 22/03/20 5253
436384 [방송] 제목으로 어그로 끄는 드라마 [20] DownTeamisDown9530 21/10/13 953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