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2/25 12:36:58
Name kien.
출처 https://naver.me/GSUQddNQ
Subject [방송] 월급 350에 숙식까지 가능…"그런데도 사람이 없어요" (수정됨)
https://naver.me/GSUQddNQ
근데 9to9 주6일 근무에 350이면 별로긴 하네요.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19389
원본기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2/25 12:40
수정 아이콘
양심없냐 크크
22/12/25 12:42
수정 아이콘
기사중에 "코로나로 인해 외국인 노동력이 급격히 줄어서다" -> 와 이 발언 진짜 어마무시한데요
22/12/25 12:43
수정 아이콘
이런 조건은

시급 다 따져보면 최저랑 거의 비슷하죠
아밀다
22/12/25 12:46
수정 아이콘
5인 이상이라 연장,야간 수당 붙는지는 모르겠지만 휴게 2시간 제대로 안 될 것은 뻔해서 주근로시간수 80시간 잡으면 대충 시급 만 원 나오네요. 근데 5인 이상일 가능성이 꽤 높아 보이는데...
22/12/25 12:45
수정 아이콘
저는 돈 적게 받아도 개인 생활 보장 되는 직장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겟타 엠페러
22/12/25 12:49
수정 아이콘
저래서 안된다면 돈주는게 부족해서라는 생각은 안드나??
저래서 안된다면 그만큼 대우가 부족해서라고는 생각이 안드나??
저래서 안된다면 왜 안되는가를 생각할 수는 없는것인가??
그것도 아니라면 알면서도 외면하는거겠죠?
22/12/25 12:51
수정 아이콘
레알 양심 어디? 그냥 식당도 아니고 줄서서 먹는 맛집이라면서 근무시간이랑 노동강도는 생각도 안함
역시 K 사장님 답네요
폰지사기
22/12/25 12:53
수정 아이콘
한 50 더써서 9to9 주3일 근무 200으로 2명 나눠쓰면 구해질거 같은데
톰슨가젤연탄구이
22/12/25 12:57
수정 아이콘
휴계(앉아서만두빗기)
무한도전의삶
22/12/25 12:57
수정 아이콘
시대에 마인드를 못 맞추면 망해야죠.
22/12/25 13:01
수정 아이콘
내부 고객(직원)을 대접 못하는 식당이 외부 고객(이용자)에게 제대로 서비스 하겠습니까. 망해야 정신 차리죠.
코우사카 호노카
22/12/25 13:06
수정 아이콘
이정도면 사람 둘 써야죠;
김유라
22/12/25 13:09
수정 아이콘
주72시간 350은 허허...

그런데 한편으로는 노동자들 싸게 후려친 대가를 지금부터 사화가 돌려받을 생각하니 무섭기도 하네요... 식당가격 얼마나 더 오를라나..
글로벌비즈니스센
22/12/25 19:58
수정 아이콘
문제는 외국은 식자재가 싼 대신 사람이 비싸서 해먹으면 싸고 외식이 비싼데
한국은 식자재가 비싸고 사람이 싸서 해먹나 사먹나 비슷한 구조인데
이대로가면 식자재도 비싸고 사람도 비싸질 판국이죠 크크
22/12/25 13:09
수정 아이콘
그냥 2명으로 나눠 구하면 쉽게 구할거 같은데?
NSpire CX II
22/12/25 13:13
수정 아이콘
쉬운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사장이 이것밖에 못 줄거면 망하라고 한다면, 능력이 이것밖에 없는 취준생들은 그냥 백수짓이나 더 하라고 할 수도 있는 거라 생각하거든요.

결과적으론 한국 중소기업이 너무 취약한 경제 구조가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22/12/25 13:16
수정 아이콘
급한 마음에 월급을 70만 원이나 올리고 숙식까지 제공하겠다 했지만, 사람은 구해지지 않았다.
이게 올린거였군요...
굿럭감사
22/12/25 13:17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 구조만을 탓하기엔 본인 능력이 안되는데 워라벨 따지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어느 한쪽만 욕할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통계청 조사로 현재 30대 절반가량이 백수인데 이들이 이 조건 이상의 대기업이나 공무원을 할수있냐고 누가 물어본다면 절대 아니죠. 눈이 너무 높아진 탓도 있어요.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2/1/index.board?bmode=read&bSeq=&aSeq=415541&pageNo=2&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호러아니
22/12/25 13:28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계약은 단지 상호 합의의 문제이고 고용자도 나름의 계산이나 한계가 있는걸텐데. 남의일이라고 쉽게 비난하는 사람들이 왜이렇게 많은지.
NSpire CX II
22/12/25 13:31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제가 한국 거시 경제의 취약점을 제시하고 그럴 수 있는 사람은 절대 아니지만, 중소기업 사장들에게도 나름의 사정이 있을텐데 망하면 되지 않냐는 말은 너무 가혹하지 않느냐는 말을 하고 싶었어요 흐흐
22/12/25 13:41
수정 아이콘
30대 절반이나요? 제가 본거랑 같은 자료면 통계 잘못보신거 같아요. 링크에 첫번째 파일 봤습니다.
22/12/25 13:45
수정 아이콘
93년생 남자는 48.8%가 일자리 없음으로 나오네요.여자도 39.9%(40%)는 일자리 없다고 나옵니다.
22/12/25 13:58
수정 아이콘
93년생 남자 통계작성일 기준 26세입니다. 당시 30대으로 보면 4대보험 가입한 취업자만 2/3 정도로 보여요.
구밀복검
22/12/25 13:58
수정 아이콘
저게 작성 기준 시점이 2019년 11월 11일입니다. 발표를 2021년에 한 거고..
그러니까 93년생이 27세이던 시점에 발표한 거니 절반은 말이 되지요.
Not0nHerb
22/12/25 16:11
수정 아이콘
링크된 자료를 보셔야 할 거 같은데요, [83년생기혼자의66.4%,미혼자의63.3%가경제활동을하였고,’88년생 기혼자의66.0%,미혼자의67.4%가경제활동을하는것으로나타남] 이라고 되어 있는거 같습니다.
22/12/25 13:59
수정 아이콘
첫번째파일 88년생 33.3%가 일자리 없는다는데
절반은 아니더라도 꽤 유의미하게 큰 수치가 아닐까싶네요
22/12/25 14:04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다른 세대의 4대보험 취업자 비율은 어때왔는지 모르겠지만, 83년생부터 30대 1/3정도가 4대보험 가입하는 직장을 못가지고 있네요.
22/12/25 14:40
수정 아이콘
나아지는 과정이라면 그나마 다행이네요
담배상품권
22/12/25 14: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워라벨이라는게 결국 궁극적으로 건강과 관계있는거라서, 구직자들에게 워라벨을 포기하라는건 40대쯤 성인병 두세개쯤 달고 50대쯤 악화되고 이후는 골골대다 뒤져라...라는 말과 똑같은거라서요. 단순히 예전처럼 쉬고싶다~ 때문에 워라벨을 원하는게 아닙니다.
IMF 이후 평생직장에 대한 신뢰가 깨졌고, 2008년, 이후 여러번의 위기가 있을때마다 회사가 직원을 어떻게 대우하는지 아버지를 보고 배운 세대에게 능력 안되는데 워라벨 따지는...운운은 의미없는이야기죠.
라라 안티포바
22/12/25 14:41
수정 아이콘
맞죠
능력없는데 괜히 태어나서 워라밸 따지고있네요
사람 더 줄어야합니다.
22/12/25 14:52
수정 아이콘
동의하는 면도 있는데 뭐 어쩌겠습니까, 외국인 노동자나 더 받아야죠
리얼월드
22/12/25 13:20
수정 아이콘
급여 올리고 음식값 올려야죠 뭐...
개인정보수정
22/12/25 13:22
수정 아이콘
차라리 시간을 쪼개서 파트타임 고용하면 같은 조건이라도 지원자가 있을거 같은데. 하루 12시간 주6일 근무는 진짜 사람을 갈아버리겠다는 거라서.
담배상품권
22/12/25 14:29
수정 아이콘
시간 쪼개서 파트쓰면 정말 일하러 안옵니다.
일본처럼 파트한테 식비랑 교통비 주는것도 아니잖아요.
한국 자영업자분들이 뭔가 잘못생각하고 계시는게 파트를 쓰고싶으면 저 두개를 해결해줘야합니다.
정공법
22/12/25 13:22
수정 아이콘
식당에서 쉬는시간은 본업인 주방보조 안하고 브레이크타임때 앉아서 야채를 손질한다던가 이런 잡일하는게 쉬는시간이죠 크크
마르키아르
22/12/25 13:28
수정 아이콘
지금도 이런 상황인데... 일할 사람 반토막 나는 10-20년뒤는 무슨일이 벌어질지 끔찍하네요 --;
shooooting
22/12/25 14:14
수정 아이콘
양심어디 ??
22/12/25 14:30
수정 아이콘
뭐 구직자들도 수요공급따라서 200따리 직장 들어가는게 아니라 차라리 백수를 택하듯이
중소기업은 몰라도 자영업도 그렇게해서 뽑느니 그냥 때려치울수도 있는거고..전 그냥 징징이라고 보이진 않네요
22/12/25 14:39
수정 아이콘
양심을 챙기면서 우는 소리를 해야 공감이 되지요
하메드
22/12/25 15:00
수정 아이콘
결국 안구해지면 자기가 조건을 바꿔야지 그대로 구하면 뭐가 달라진다고 버티고 있는지
Your Star
22/12/25 15:04
수정 아이콘
정말 이 나라가 구인난인가 정말로 구직난인가. 서로 죽는다는 기사와 각종 통계는 블러핑인가.
22/12/25 15:10
수정 아이콘
한쪽에선 취업난, 한쪽에선 구인난. 고용시장에 이런 불일치가 일어나는 가장 큰 이유는 코로나로 인해 외국인 노동력이 급격히 줄어서다.

업종 간 인력 불균형도 심각해졌다. 코로나 기간 동안 노동력이 플랫폼 산업으로 급격하게 이동했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음식점 종사자 수는 코로나 전에 비해 6.9% 감소한 반면, 택배와 배달업이 포함된 운수 및 창고업 종사자 수는 15.9%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SBS 뉴스
원본 링크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019389&plink=COPYPASTE&cooper=SBSNEWSMOBEND

라고 합니다.
안철수
22/12/25 15:31
수정 아이콘
앞서간 선진국처럼 중국 동남아 노동자들이 다 채울겁니다.
저인플레, 고임금, 저실업 으로 굴러갈수 있는 나라는 없죠.
라이엇
22/12/25 15:48
수정 아이콘
근로환경 개선할 돈은 없지만 사장 자가용 바꿀돈은 있고, 사람 더 고용할 돈은 없지만 내연녀 집사줄 돈은 있는게 제가 경험한 중소기업이라 별 공감이 안되는군요.
22/12/25 15:59
수정 아이콘
이거 리얼 저기에 직원 줄 돈은 없으면서 사돈에 팔촌까지 명함파주고 월급 따복따복 가져감
대장햄토리
22/12/25 15:59
수정 아이콘
다른 비용이 올라간만큼 사람값도 비싸졌는데..
그걸 부인하거나 인정을 못하는거죠..(라떼는..)
라이엇님 말씀처럼 사장이 자가용 바꾸거나 비싼 시계를 산다거나 명품 사거나 내연녀 집사줄 돈은 있지만
직원들 월급은 절대 올려줄 수 없고 줄 필요도 없다고 느끼는 분들도 많아서..
기사의 식당도 처음에는 280으로;; 퉁치려던거 지원자가 없으니 350으로 올린건데 그마저도 계산때려보면 최저임금정도라..
어라 70이나 올렸는데? 안 온다고? 사장님은 이해를 못 하시겠죠..
당근케익
22/12/25 16:07
수정 아이콘
얼마전에 고속도로 편의점 알바였나
400에 지원자 몰렸다고 하죠
아파트 비싸서 살 사람 없다지만 입지에 비해 가격만 좋으면 불패입니다
Not0nHerb
22/12/25 16:13
수정 아이콘
아마 돈을 더 주면 해결 될 것 같습니다 사장님. 식당도 물가 봐가면서 식대 올리시는거 처럼, 인건비도 물가 봐가면서 올리시면 되시지 않을까요?
쮸쀼쮸쀼쮸쀼
22/12/25 16:36
수정 아이콘
9to9 주6일 근무에 350

이분은 지금 최저임금 얼마인지는 알고 저렇게 인터뷰까지 한거겠죠?
22/12/25 17:15
수정 아이콘
650이었다면?
22/12/25 17:19
수정 아이콘
그 시간에 350을 주니까 아무도 안 오죠.
22/12/25 18:11
수정 아이콘
최저수준받는 공공기관 무기계약직 생각보다 경쟁률 쎈거보면 돈도돈이지만 환경이중요하죠.
22/12/25 18:12
수정 아이콘
사실 저런 데는 저기가 종착역이라.. 문제죠.
문어게임
22/12/25 18:28
수정 아이콘
안구해진다고 70올려서 350인게 문제지
2시간 휴식 보장에 숙식 제공에 5인미만업장에
무경력 가능이면 많이준다고 봅니다.
담배상품권
22/12/25 19:30
수정 아이콘
계산때려보면 최저임금인데 많이주긴요.
그냥 일한만큼받아가는거죠.
문어게임
22/12/25 20:0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넉넉하게 27x10x9200 만 때려도 250만인데
뭘 일한만큼 이에요.. 대체..
주휴수당 빠졌네요.
8만원이라 쳐도 300도 안됩니다.
무경력 2시간 휴식보장 휴가보장 업무강도 보통 숙식제공 까지 하면 적은건 아닙니다.
이게 전부 보장이 안된다는걸 전제로 적은거죠.
문어게임
22/12/25 20:06
수정 아이콘
시급으로 계산하니 13000원 정도 뜨는데요
미네르바
22/12/25 21:29
수정 아이콘
계산을 좀 잘 때려보셔야 합니다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2296 [방송] 베타 첫날 치지직 시청자수 [47] 아드리아나12730 23/12/19 12730
489429 [방송] 핑계고 근황.mp4 [17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6337 23/11/03 16337
484223 [방송] 편의점 하루에 100만원 팔면 얼마 남을까? [63] Avicii12154 23/08/04 12154
470109 [방송] 월급 350에 숙식까지 가능…"그런데도 사람이 없어요" [59] kien.16954 22/12/25 16954
468567 [방송] 많은 외국인들이 조금 할줄아는 한국어 [9] Croove12068 22/12/03 12068
432669 [방송] D.P 때문에 세븐일레븐이 분노한 이유 [41] 추천12288 21/09/08 12288
428692 [방송] 다음주 놀토 연반인 게스트.jpg [45] 147410413238 21/07/26 13238
422714 [방송] (혐) 재재 우연 [53] 도련15285 21/05/19 15285
368320 [방송] 하승진 키 체감.jpg [35] Star-Lord12162 19/11/06 12162
310781 [방송] 메갈이 알고 싶다.jpg [144] 앙큼 상큼 응큼18777 17/08/14 18777
301756 [방송] 뜻밖의 로드킬 [18] 한박10307 17/02/26 10307
263243 [방송] 서장훈의 짬뽕라면 평가.JPG [62] 요그사론12171 16/01/27 121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