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2/11 21:01:58
Name 시나브로
File #1 화면_캡처_2022_12_11_205718.jpg (42.2 KB), Download : 56
출처 켜라위키
Subject [기타] 2020년 세계 국방비 순위 의외의 3, 6, 10위.jpg


사우디 아라비아 3위??? 인도보다 더 쓴 사우디???

독일 조용한 거 아니었어요??

프랑스도 군사력에 심혈 기울이는 걸로 아는데 한국>프랑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한국화약주식회사
22/12/11 21:04
수정 아이콘
사우디는 돈을 물쓰듯 쓰고..
독일은 안쓰는건 아닌데 저게 다 유지비 (...) 조로 나가는 돈이 태반이라 그냥 갉아먹히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22/12/11 21:05
수정 아이콘
다 고만고만 흐흐
NT_rANDom
22/12/11 21:07
수정 아이콘
독일이 쓰기시작하면 무섭습니다
경제규모도 크고 제조업도 강하고 전과도 있죠
시나브로
22/12/11 21:15
수정 아이콘
진짜 산업이 다 강한 독일.. 독일이 많이 올라온 건지 일본이 많이 내려온 건지 둘 다인 건지 GDP 규모 되게 비슷해졌더라고요. 전과 얘기 흐흐;
22/12/11 21:37
수정 아이콘
??? : 나 진짜 무장해??? 나 무장한다??
Energy Poor
22/12/11 21:37
수정 아이콘
전과 크크크
티타임
22/12/11 21:07
수정 아이콘
22년 기준으로는 프랑스가 한국,독일보다 높긴 하네요

https://namu.wiki/w/%EC%84%B8%EA%B3%84%20%EA%B5%AD%EB%B0%A9%EB%B9%84%20%EC%88%9C%EC%9C%84#s-1.1
닉네임을바꾸다
22/12/11 21:08
수정 아이콘
독일은 일단 경제규모가 어마어마하니까요 크크
22/12/11 21:09
수정 아이콘
사우디는 무장도 무장인데 용병 고용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올 해꺼 보니까 유럽이 국방비 많이 올렸네요.
시나브로
22/12/11 21:21
수정 아이콘
아까 보면서 유럽도 많이 올린 거 같고 전체적으로 상승 폭이 크다는 인상 받았습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때 PGR 자유 게시판에서 '(세계 경제)힙을 합쳐도 모자랄 판에..'라는 댓글이 생각나는데 돈을 저런 데 쓰지 말고 경세제민, 복지에 써야 하는데 군사력으로 엄청 들어가니.. 우리나라 생각도 나고요. 의미 없는 생각이지만 서로 평화, 군축 분위기면 완전 꿀이거든요 최대 다수 행복하게 해 줄 수 있는..
방구차야
22/12/11 21:10
수정 아이콘
3위부턴 단위가 틀린데...그냥 미국이 후!불면 다 날라가겠는데요..
실제상황입니다
22/12/11 21:11
수정 아이콘
미국보단 많이 낮지만 중국이 그래도 중국이긴 하네요...
22/12/11 21:17
수정 아이콘
우크라이나 상황보니 1,2위 말고 다른 나라끼리 붙었을 때는 방어하는 국가가 그냥 이길 거나 최소 공멸은 할 것 같습니다. 어지간히 정당한 명분이 있지 않는 이상
앙겔루스 노부스
22/12/11 21:20
수정 아이콘
것두 전력비가 어느정도는 맞아야겠죠. 국력비가 3대1인데다 터키의 지원까지 받는 아제르바이잔은 공격전으로 아르메니아를 거의 무장해제수준까지 박살을 내 버렸으니
22/12/11 21:28
수정 아이콘
아 리스트에 있는 국가들 이야기였습니다. 다시 리스트보니 인도나 사우디는 아랍에미리트를 박살 낼 수 있을 것 같긴 하네요.
성야무인
22/12/11 21:32
수정 아이콘
군사비 대 가성비을 따졌을때

개인적으로는 중국, 한국, 러시아가 1, 2, 3위가 아닐까요?
NT_rANDom
22/12/11 22:00
수정 아이콘
아뇨. 한국은 징병제고 인건비가 너무 많이나가서 실질적으로 지금까지 때려박은 돈에 비해는안좋습니다.
인건비나 병영제 유지로 비용이 너무크고 남는돈으로 무장해야하니 빡빡합니다.
대충 맨날 나오는 수통이야기만 보면 알죠
닉네임을바꾸다
22/12/11 22:02
수정 아이콘
뭐 순수하게 돈으로만 계산하면 병력규모대비로는 인건비 꽤나 후려쳐서 유지하고 있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지나가는 나그네
22/12/12 00:10
수정 아이콘
징병제인데 인건비가 많이나간다니요. 반대 아닌가요? 징병제라 인건비가 다른나라에 비해 적어서 실질 국방비용이 꽤 높을거 같은데요..
NT_rANDom
22/12/12 11:02
수정 아이콘
아니요. 국방비 대비 군인숫자로 나눠보시면 답이 나옵니다.
우리군은 국방비에 비해 상비군 숫자가 과도합니다.
그에 대한 병영유지비, 개인장구류 이런 소모성 비용을 생각하면 실질적 투자는 같은 국방비에 비해 적을수 밖에 없어요
살려야한다
22/12/11 21:33
수정 아이콘
1>2+3+4+5+6+7+8+9+10+11+12+13
퀀텀리프
22/12/11 21:57
수정 아이콘
미쿡은 지구방위대니까
22/12/11 22:05
수정 아이콘
유럽은 국방비를 너무 뒤늦게 증액하는 감이 있긴 한데 러시아가 깽판부리니까 이제라도 증액하는 모양이네요. 빵꾸난 국방력 복원하려면 10년 이상은 걸릴겁니다. 그 동안 미국이 다 하는 동안 놀기만 했죠.
Valorant
22/12/11 22:10
수정 아이콘
일본도 올해 이후 방위예산 증액이라는데 한국은 점점 빡빡해지네요
인구는 줄고있는데 중국 일본은 군비경쟁하지 북한은 언제라도 잠수함에서 핵 날릴 수 있지..
에이치블루
22/12/11 22:26
수정 아이콘
저게 이미 자산이 있는 상태에서 계산한 거라 여전히 획득비가 무지 높은 우리랑은 좀 다르죠...
시나브로
22/12/11 22:37
수정 아이콘
안 그래도 라팔 생각이랑 그냥 전투기를 통째로 크나큰 돈 주고 사오는 우리랑 쓰는 돈 차이 생각 났었어요.
일모도원
22/12/11 22:30
수정 아이콘
2위부터 10위까지 다 합쳐도 미쿡한테 안되네요
카즈하
22/12/11 22:33
수정 아이콘
일본, 독일이 국방에 증액을 합...
선플러
22/12/11 22:35
수정 아이콘
GDP대비도 보였다면 더 좋았을텐데
시나브로
22/12/11 22:41
수정 아이콘
위에 2022년 링크 자료에는 있긴 해요.
확실히 더 풍성합니다. 중국이 의외로 1.7%인 것 등
다람쥐룰루
22/12/11 22:38
수정 아이콘
중국은 모든무기 자체생산이라 어쩔수가 없죠
22/12/11 23:05
수정 아이콘
많이 올라오긴했지만 독일 체급 생각하면 적고 워낙 박살이 나 있는 상태라서 쓴만큼 성과를 보기가 어렵습니다.
데이나 헤르찬
22/12/11 23:26
수정 아이콘
사우디는 자국군중에 믿을맨이 별로 없어서 용병 쓴다던...
티아라멘츠
22/12/12 10:29
수정 아이콘
독일은 시간도 필요할 겁니다. 예전 독일 생각하시면 안 되는게 생각보다 박살난 게 많아가지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501 [기타] 중동문제의 한 30%는 이 두 나라 탓? [18] 우주전쟁5927 24/05/26 5927
498565 [기타] 사우디 네옴시티 170km에서 2.4km로 대폭 축소 [62] Myoi Mina 8807 24/04/16 8807
497341 [기타] 사우디에 짓는다는 드래곤볼 테마파크 [27] 우주전쟁7390 24/03/23 7390
496271 [기타] 사우디 네옴시티(The Line) 근황 [29] 우주전쟁8702 24/03/04 8702
495802 [기타] 퍼거슨옹 근황 [15] 김티모10162 24/02/25 10162
493789 [기타] 예멘의 열병식 [17] Lord Be Goja11356 24/01/18 11356
493655 [기타] 료즘 후끈하다는 중동상황 [50] Lord Be Goja17240 24/01/15 17240
493429 [기타] 이번에 나온 사우디 금광의 위연 [37] Lord Be Goja13122 24/01/10 13122
477107 [기타] 애플을 능가하는 사우디 아람코의 2022년 실적 [16] Heretic11853 23/04/04 11853
475777 [기타] 경제) 크레디트 스위스 은행 사태를 araboza [17] 꿀깅이14542 23/03/16 14542
472595 [기타] 주식) 사우디 머니의 위엄 및 위험 [8] 꿀깅이10619 23/01/28 10619
469144 [기타] 2020년 세계 국방비 순위 의외의 3, 6, 10위.jpg [34] 시나브로10468 22/12/11 10468
467985 [기타] 사우디에서 구상 중이라는 수상도시 "판게오스" [58] 우주전쟁13999 22/11/26 13999
467829 [기타] 한국 경기를 지켜보는 일본과 사우디아라비아.MP4 [4]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0861 22/11/24 10861
467821 [기타] 사우디와 일본의 승리에 올인한 버튜버 [7] 물맛이좋아요9711 22/11/24 9711
466150 [기타] 진짜로 공사 시작한 The Line 프로젝트... [42] 우주전쟁13656 22/11/03 13656
464078 [기타] 최신과 근래 뉴스 몇가지(구글 또 탈중국, AI가 또, 기름값이 또) [3] 타카이8910 22/10/06 8910
462033 [기타] 대통령의 중요성 [9] 니시무라 호노카10497 22/09/08 10497
459039 [기타] 만수르 사촌 초대로 사우디에 간 근근웹 유저 [11] 퍼블레인12292 22/07/29 12292
458966 [기타] 미친 사우디 아라비아 도시 계획 [52] 우주전쟁10924 22/07/28 10924
457504 [기타] 누가 미국의 친구인가 [28] 판을흔들어라8905 22/07/05 8905
448286 [기타] 최근 독일이 욕 먹는 이유 [20] 판을흔들어라11556 22/02/14 11556
445795 [기타] 韓 패트리엇 '천궁-Ⅱ', UAE에 4조 원 규모 첫 ​수출, 단일 무기 역대최대 규모 [52] 아롱이다롱이7484 22/01/17 74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