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1/14 16:11:59
Name 핑크솔져
출처 펨코
Subject [유머] 트위치 스트리머 이적썰

1. 옥냥이

화질 720p 지켜보자는 입장이였는데 또다시 이런일이 벌어지니 미래가 불투명

저또한 준비를 하려고 한다.

일단 편하게 현재의 방송 즐겨주시면 된다.



2. 풍월량

이사갈수도 있으니 일단 가구(구독권)는 사지말고 있어라

유튜브라이브나 동출은 선호하지 않는다.



3. 침착맨

유튜브이적 선언

12월까지만 트위치송출



4. 매직박

동출선언

월드컵으로 할지 내년 야구시즌으로 할지 고민중



5. 동수칸

당연히 트위치에서 계속하고싶다.

하지만 상황이 안좋은것도 사실이다.

만약 이적하게된다면 난 아프리카다. 유튜브 라이브는 안간다.



6. 코뚱이

간보기 병행선언



7. 승우아빠

나도 트위치를 삭제해 버릴수도 있다.

라이브를 그만둘지 아프리카로 갈지 고민중

아프리카에서 컨텐츠 지원이 있다고 해서 미팅을 해볼것이다.

유튜브 라이브는 안한다. 유튜브 라이브는 해본적이 있는데 지옥이다.



8. 오킹

난 어떤곳에서 하던 상관없다. 아프리카가 오히려 컨텐츠 지원면에서는 좋다.

다만 태산들 따라갈생각이다. 유튜브 라이브 보다는 아프리카다.



9. 랄로

고름시티는 한몸이다. 고름들 가면 쓱 하고 따라간다.

아무데서나 해도 상관없다.






많이 떠나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2/11/14 16:14
수정 아이콘
유튜브 라이브는 침착맨 빼고는 하나같이 학을 떼네요 크크
다람쥐룰루
22/11/14 16:19
수정 아이콘
침착맨은 원래도 실시간 소통이 아니었죠 크크크크
블레싱
22/11/14 16:45
수정 아이콘
침착맨은 도네나 영도 같은게 방송 내용이나 수익과 관련이 낮은 편이라서 그나마 나은거 같습니다.
묻고 더블로 가!
22/11/14 16:14
수정 아이콘
가는 사람들은 대부분 아프리카겠네요
유튜브 라이브가 더 괜찮은 상태였다면 유튜브로 많이들 갔을텐데
한방에발할라
22/11/14 16:15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갈거면 종겜스들 모두 합쳐서 우르르 가면 정착이 훨씬 쉽지 않을까 하는데...
Valorant
22/11/14 16:16
수정 아이콘
시청자 입장으로서는 여러 플랫폼이 있는게 좋다고 생각하는데 상황이 여의치가 않으니...
다들 어쩔 수 없어서 가는걸 아니까 그냥 아쉽기만 하네요 지금의 상황이...
Lainworks
22/11/14 16:16
수정 아이콘
유튜브는 돈도 많은데 왜 생방 시스템이 그럴가요

아 돈 벌어오는 창구라 옆에서 뭐라 해라 마라 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개발이 어렵나...
한국화약주식회사
22/11/14 16:17
수정 아이콘
그냥 구글의 모든 서비스들이 다 유저 친화적이 아니라 개발하는 자신들 친화적이라 그렇습니다 (...)
22/11/14 16:19
수정 아이콘
적게볼수록 망사용료가 덜나가서(!?)
22/11/14 16:32
수정 아이콘
트위치나 아프리카보면 생방 플렛폼 자체가 그렇게 수익적으로 좋은거 같지 않아서 지금 정도 유지 하는게 이득일 수도
우자매순대국
22/11/14 16:53
수정 아이콘
유튜버들에게 제공되는 편의기능 구색메뉴 느낌이지
라이브 메뚜기떼들이 몰려드는건 원하지 않을겁니다
22/11/14 16:16
수정 아이콘
위에 계신 분들이 공식 선언 하신거도 아니고 지나가는 말로 하신분도 많은데 굳이 이런글이 필요할지는 모르겠네요
22/11/14 16:16
수정 아이콘
유튜브는 얼마나 불편하길래 크크크크
다람쥐룰루
22/11/14 16:20
수정 아이콘
아마도 실시간으로 쏘는게 아니라 코덱을 한번 거치는거같습니다. 버퍼링이 있는거죠
22/11/14 16:29
수정 아이콘
핑300느낌이려나요
트위치 초반 영업때 채팅창 딜레이 언급하던게 생각나네요
머나먼조상
22/11/14 16:53
수정 아이콘
심하면 30초씩 딜레이된다던데요 크크
22/11/14 20:07
수정 아이콘
30초면 롤방송은 훈수도 불가능 수준인데요 크크크크
귀환눌러서 라인복귀해도 시간이 뜨겠네
재미있지
22/11/15 01:37
수정 아이콘
30초씩이 스타트입니다.
30초 이하의 딜레이를 본 적이 없네요. 크크크.
기무라탈리야
22/11/14 16:28
수정 아이콘
채팅이 상상 이상으로 불편한 것 같습니다. 침착맨 첫 시험방송 봤는데 소통을 못하더군요.
22/11/14 16:42
수정 아이콘
채팅도 불편하고 방송중에 터지기도 하고요 슈카월드 라이브 어제 하는데 유투브 중간에 터지고 난리났어요
22/11/14 16:17
수정 아이콘
유투브 라이브나 카카오나 환경은 비슷한거 같습니다. 준비된건 없고 그냥 마당하나에 장판만 깔려있는 느낌..

시청자들 끌고간다면 아프리카에서 종겜도 해볼만할지도
메가트롤
22/11/14 16:17
수정 아이콘
유튜브엔 무슨 문제가 있나요? 이 쪽 생태계를 잘 몰라서...
인생은아름다워
22/11/14 16:34
수정 아이콘
어제 침착맨님 시험방송 때 구독자들의 피드백을 보면,
1.채팅창ui가 불편하다. 2.무한계정 생성이 가능하므로 채팅창 테러, 트롤링에 취약할 것 같다 3.실시간 방송임에도 시청자 개인별로 각각 다른 딜레이가 생긴다는 점(누구는 3초 딜레이, 누구는 10초 딜레이가 생겨서 각자 다른 채팅을 칠 확률이 높아집니다..)
메가트롤
22/11/14 16:4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WeakandPowerless
22/11/14 18:42
수정 아이콘
유튭(구글)이 무한계정 생성이 가능한가요? 그래도 10개 제한이라고 들은 거 같은데
22/11/15 10:15
수정 아이콘
밴되면 삭제하고 다시 만들면 될지도요?
강동원
22/11/14 16:17
수정 아이콘
침착맨은 사실 도네이션도, 시청자 채팅도 딱히 신경 안쓰고 지하고 싶은 대로 하니까...
유튜브 라이브 괜찮을지도?
22/11/14 18:35
수정 아이콘
침착맨은 채팅창 엄청 신경씁니다. 어제도 2시간 동안 유튜브 키면서 트위치 같은 경우는 배도라지 멤버들 채팅은 따로 볼 수 있게 설정 할 수 있어서 하나하나 보고 바로 반응도 하지만 유튜브는 그런게 없어서 너무 불편하다 라고 생방송에서 말했으며 유튜브는 트위치처럼 아이디 앞에 그림이 없으면 이상하다라고 하면서 유튜브 멤버쉽을 오픈해서 달 수 있는 아이콘도 새로 만드는 중이고 채팅에 자잘한 하나하나 다 신경쓰고 있습니다.

슈카월드는 아예 채팅창을 보지 않고 본인이 준비한 설명만 하니까 상관이 없는데 침착맨 방송은 숏츠만 봐도 채팅창을 캡쳐해서 올리고 침착맨 역시 채팅창에 내가 이렇게 말하면 이런식으로 적어주세요 등 시청자와 소통등을 하며 진행하기 떄문에 고민이 엄청 많이 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Sf_mk0hIAT4?feature=share (예시 영상)
22/11/14 16:17
수정 아이콘
유튜브는 분탕 관리가 불가능해서...

소통에 무게를 두면 둘수록 유튜브로 가기는 어려울거에요.
22/11/14 16:18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가 그래도 좀 더 지원도 구체적이고 좋지 않을까요?
이미지만 좀 좋아지면 우르르 몰려가서 아프리카도 떡상할텐데 아쉽네요 (덤으로 내 주식도)
할수있습니다
22/11/14 16:18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모르겠는데 연간망사용료 아프리카 150억 트위치 500억 썰은 진짜인가요? 진짜라면 트위치가 빨리 철수해야 할거 같은데요.
트위치 2차 조치 공지에는 망사용료 때문이 아니라고는 되어있지만 전 이것만으로도 충분히 철수각 봐야할거 같은데요.
유튜브까지 요즘 서명운동 참여 호소하는거 봐서는 지금 관건인 규제라는게 국외기업들 입장해서는 충분히 위협적인가보네요.
22/11/14 16:24
수정 아이콘
VOD 중단은 망사용료가 아니라 N번방 법안 이슈라서

A. 불법촬영물등 유통방지를 위한 기술적·관리적 조치 기준 中
사전조치의무사업자는 제1항에 따른 기술 적용 결과 이용자가 게재하려는 정보가 불법촬영물등으로 식별된 경우 해당 정보의 게재를 제한하는 조치를 하여야 한다.

---

2022년 7월부터 관련 업체 단속을 했고
미흡한 업체들에게 '기간 내 수정 통보가 진행.. 트위치는 그냥 수정 안하고 VOD 내리는 쪽을 택함'

펨코 같은곳들도 공지로 '해당 시스템 대응' 을 다 적용하느라 고생했다고 밝혔고
인스타/트위터/페이스북/유튜브 등도 해당 시스템 대응이 다 적용되어 있습니다.


VOD 철수는 N번방 이슈인데..
인스타/트위터/페북/유튜브랑 다르게 그냥 접어버린건 저 아이들은 돈이 되니깐 개발을 해서 지원을 하는거고
트위치는 적자인데 저런거까지 할려니 그냥 안하고 말지.. 가 된거니깐 간접적인 영향은 주긴 한..
할수있습니다
22/11/14 16:28
수정 아이콘
N번방 이슈라 쓰고 저는 규제아닌 규제라고 봅니다. 업체 자율에 맡기는게 아닌 지정한 특정시스템이 간섭을 한다는거니까요.
도대체 누구 배불리려고 하는지 모르겠어요. 독일이야 해당플랫폼에서 이슈가 있어서 그랬다치지만 한국은 아닌데.
크로플
22/11/14 17:50
수정 아이콘
규제 맞긴 한데 규제라고 다 누구 배불리는 흑막 같은건 아니라서요.
트위치 철수는 저도 아쉽긴 한데 수익성 안좋은 기업이었던게 더 큰 이슈였던겁니다.
할수있습니다
22/11/14 17:56
수정 아이콘
그렇기는 한데 스트리밍을 제외한하고도 이제 망사용료 감당못하는 IT관련 영세 스타트업들이 얼어붙게되겠죠.
그리고 가장 마지막으로 유튜브가 철수하고 판도라티비가 옷는 그림도 마냥 아닐거다라고는 생각못하는 상황이라서 무섭죠.
크로플
22/11/14 18:08
수정 아이콘
판도라 티비는 국내 영세 기업으로 보이는데요 .. 국내기업을 살리는 규제 처럼 보이는 면도 있죠.. 이번 일이 그렇게 쉽게 프레이밍이 안됩니다. 소비자만 손해다 가 차라리 가능..
ioi(아이오아이)
22/11/14 16:25
수정 아이콘
맞을 겁니다. 애초에 아프리카가 그 욕을 처먹으면서, 그리드를 하는 이유가 그거니까
할수있습니다
22/11/14 16:30
수정 아이콘
예전 웹하드 쓰던 시절 그리드에 치가 떨려서 아프리카 그리드 적용이후 거들떠도 안봤는데 안타깝네요.
로스트아크가 스트리밍 다시보기나 클립보던 유일한 이유였는데. 이젠 진짜 유튜브 뿐인가...
다레니안
22/11/14 16:19
수정 아이콘
와... 코뚱이도 이제 저 라인업(?)에 들어갈 정도가 됐군요. 크크크
성공했네요.
드레이븐 장인으로 나겜티비 출현해서 RP받아갈 때가 있었는데 크크크크크
22/11/14 19:28
수정 아이콘
물쥐가 없는데 뚱이가있는걸로봐서 글쓴이님 취향인걸로..크크
22/11/14 16:20
수정 아이콘
무슨 일이 있었나요?
강동원
22/11/14 16:21
수정 아이콘
1차 화질 720P 제한
2차 VOD 콘텐츠 중단
李昇玗
22/11/14 16:21
수정 아이콘
아마 720p제한 말고도 vod 서비스를 종료 했을걸요...?
다람쥐룰루
22/11/14 16:23
수정 아이콘
트위치 라이브 720 변경 이후 다시보기 시스템을 없앤다고 합니다.
22/11/14 16:45
수정 아이콘
화질제한 vod 중단 모두 사전에 어떤 말도 없이 일방적으로 통보하듯이 한거라 불만이 나오는것도 있죠
vod제한은 유투버도 같이 하고 있는 스트리머들에게 치명적이에요 편집용 소스를 자기가 따로 녹화하고 있다 하더라도 vod도 같이 있어야 만약의 사태에 방송이 안날라가게 할수 있는데 이제 그중에 하나가 아예 중지를 하는 상황이라
투전승불
22/11/14 16:20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가 반사이익을 보는건가
천혜향
22/11/14 16:24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스타판 끝나면 망한다고 했지만.. 우가돌 이후엔 트위치 대형 스트리머 이적이라니..
진짜 아프리카는 죽을때까지 안망하겠네요. 크크
기사조련가
22/11/15 04:16
수정 아이콘
일단 든든한 여캠눈나들이 캐쉬카우를 해주셔서 위기가 와도 버텨낼 힘이 있는게 큽니다.
정책이나 그런건 결국 개선하면 되니까 자금흐름만 좋으면 시간이 지나면 결국 개선되거든요
Just do it
22/11/14 16:24
수정 아이콘
유투브는 일단 구독안하면 보고픈 방송 찾는것도 힘들어요... 크크
그외에 방송딜레이, 채팅창 딜레이, UI불편, 일회성 아이디 생성 등등 많죠.
아프리카는 느낌이 자극적인건 있어도 컨텐츠 만들고 노력하는게 필사적이란 게 있는데
트위치 스트리머가 이사가면 어떤 흐름이 생길지 궁금하긴 합니다. 크크
22/11/14 16:25
수정 아이콘
유튜브라이브는 '소통' 얘기하는게 부끄러운 수준이기 때문에..딜레이에 어그로관리 안되는거에..방장은 방장대로 썰풀고 채팅은 채팅대로 놀고 그래야죠
22/11/14 16:26
수정 아이콘
내년에 아프리카 고인물들이랑 트위치 스트리머 합방 컨텐츠 많이 나오겠네요.
22/11/14 16:29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앞자리 6 찍힐 때 더 살걸....
22/11/14 16:29
수정 아이콘
트위치는 이제 끝인가...
달빛기사
22/11/14 16:30
수정 아이콘
망사용료야 이전부터 계속되던 문제(하지만 꾸준히 내고 있던 와중에)와..
결정타는 다시보기 필터링 적용 관련된 국내 규제 때문에 이번 조치사항이 나온거고..
아마도 또 다른 규제가 생기면 한국서버도 빠지겠죠.. 유튜브도 자체 필터링이 있어서 이번 대상에서 제외됐지만.. 또 모르니까...
22/11/14 16:34
수정 아이콘
랄로 크크크
이부키
22/11/14 16:35
수정 아이콘
침착맨 말고는 대부분 지켜보는 입장입니다. 문맥이 미묘하네요.
22/11/15 11:32
수정 아이콘
잡은 물고기보단 아직 양식장에 안 들어온 고기에 더 신경쓰기 마련이니 당연합니다
22/11/14 16:36
수정 아이콘
스트리머가 이사가면 장기 구독한 사람들은 환불 되나요?
인생은아름다워
22/11/14 18:00
수정 아이콘
환불문제를 피하기 위해 트위치 측에서 한 달 정도의 유예기간을 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vod중지는 한달 후 시행) 구독은 어차피 한달 단위로 결제되기 때문에 안하실 분들은 자발적으로 끊으면 될 듯 합니다.
웸반야마
22/11/14 16:36
수정 아이콘
릴카님은 다시돌아가나요...?
22/11/14 16:36
수정 아이콘
대기업들이야 어디든 옮기는거 한번 해볼만 하겠지만
중소급 종겜스트리머들은 어느쪽이든 다 지옥이라
이제는 트위치밖은 상상할수가 없는데 큰일이네요
시노자키 아이
22/11/14 16:37
수정 아이콘
슈카는 몇년째 유튜브 스트리밍하는데 슈카의 위엄이군요.
22/11/14 16:39
수정 아이콘
유튜브 다시보기가 본체인 사람들은 유튜브 스트리밍을 할 수 있긴 합니다.. (침착맨도 그래서 유튜브 해본다고 하는거라..)

그리고 슈카는 소통을 안하기 때문에 가능한것도 있..
22/11/14 16:49
수정 아이콘
슈카는 카카오팟도 아직 스트리밍하고있죠
천혜향
22/11/14 16:50
수정 아이콘
슈카는 일주일에 한번 방송.. 그것도 소통을 하는게 아니라 자기가 준비한 ppt 발표하는 시간 유툽찍는시간이라.. 차이가 있죠.
엄밀히 말하면 인방이 아니라 촬영이라고 봐야..
레드빠돌이
22/11/14 16:52
수정 아이콘
채팅창을 보지 않기 때문에....
R.Oswalt
22/11/14 17:05
수정 아이콘
어제 잠깐 봤는데, 라이브 방송이 터져도 채팅창 관심도 안 주던데요 크크
22/11/14 17:26
수정 아이콘
시작하기 전 몇 십분, 끝나고 1분 정도 제외하면 컨텐츠 진행하는 동안에는 채팅창 안 보니까요.
실시간 소통이 아니라 프레젠테이션이라서 문제없이 가능한거라 봅니다. 4-5년 전처럼 채팅창 보면서 하는거 였으면 어려웠을거에요.
22/11/14 18:40
수정 아이콘
침착맨이 어제 이야기 하였지만 슈카월드는 본인이 준비한 자료만 보고 이야기하고 채팅창을 아예 안 보니까 고민이 없는데
본인은 유튜브 아이콘 부터서 관리자들 전용채팅도 없는 점등 하나하나 다 신경 쓰고 있어서 유튜브가 너무나 구리다라고 이야기 했었지요.
진짜로 스트리밍하는 입장에서는 유튜브가 너무 구린 인터페이스와 가장 높은 후원 수수료를 받고 있으니까 다른 스트리머들도 쉽게 유튜브로 넘어갈 생각을 안 하지요.
22/11/14 16:38
수정 아이콘
트위치가 망한다 한들 내가보는 스트리머가 망하는거 아니니까
호들갑떨지 않을랍니다.
22/11/14 16: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금 한국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트위치가 여론이 많이 안 좋아서 유튜브가 정신만 차리면 스트리밍 플랫폼으로서 나름 입지를 굳힐 수 있는 타이밍인데 이 기회를 못 잡네요. 문외한인 제가 보기에 트위치의 사용자 경험과 유사한 서비스를 개발하는게 딱히 어렵다는 생각이 들진 않던데...
유료도로당
22/11/14 16:43
수정 아이콘
유튜브는 트위치에 비교해서 채팅창 딜레이가 너무 심하던데 이게 기술적으로 해결이 힘든건지...

침착맨이 뻘소리하면 채팅에 바로 ? 도배 돼야되는데 그게 한참 늦게 뜨다보니 채팅보면서 실시간으로 즐기는 재미가 덜하더라고요.
22/11/14 16:49
수정 아이콘
딜레이가 있는 이유가 '유튜브가 기술적인 작업'을 하기 때문이고
그 작업이 유튜브가 트래픽 관리하는 핵심이기도 해서...


딜레이가 심한게 '기술력이 부족해서 심한게' 아니라..
반대로 그 기술력을 트래픽 줄이는거에 써서 딜레이가 심해졌다고 보시면..
시라노 번스타인
22/11/14 16:43
수정 아이콘
둘 다 보는 입장에선 계속 둘다 흥했으면 좋았는데요...
아프리카를 많이 보지 않는 분들이 많은 PGR이긴 하지만
오킹이 이야기 했든 아프리카에서 컨텐츠 지원이 많고 빠른 편입니다.
파트너 비제이들은 평일, 주말, 시간 상관없이 담당자에게 연락 하면 당일 컨텐츠 비용도 소액이라도 몇십 몇백씩 지원받을 수 있을 정도니깐요,
아프리카는 그 감성적인 부분만 맞는다면 다양한 컨텐츠에 준비가 되어 있는 편이죠.
별풍선. 광고로 벌어들인 수익을 다른 분야에 쏟는 다는게 쉽지 않는 일이죠.
22/11/14 16:51
수정 아이콘
전 그게 트위치가 존재하기 때문에 경쟁하기위해 만들어지는 지원이라고 생각이 들어서
만약 트위치가 장사접거나 카카오팟처럼 유명무실해질때가 되어도 계속 그런 지원을 해줄까는 싶습니다
레드빠돌이
22/11/14 17:18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아프리카가 지원 시작한게 트위치가 뜨기 시작할때였던걸로 기억합니다 그전에는 bj들 자체 컨텐츠들 뿐이였죠
시라노 번스타인
22/11/14 17:49
수정 아이콘
네 저도 그래서 둘 다 흥했으면 좋았다 라는 입장입니다.
유튜브쪽은 사실상 라이브방송쪽과는 현재 같은 경쟁 업체는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예요.
서로의 생태계에서 꽤나 성장했던 플랫폼들이고, 각 플랫폼 성향, 문화를 방송인, 시청자 모두 느끼고 있으니깐요.
여덟글자뭘로하지
22/11/14 16:43
수정 아이콘
한국 인방같이 실시간 소통 + 도네, 영도 같은 게 중요한 타입에는 유튜브 라이브는 너무 안 맞죠.
유튜브 라이브 하는 채널들 보면 자기 컨텐츠 가져와서 채팅 올라오는거 간간히 읽으면서 소통하고, 슈퍼챗은 따로 날 잡아서 리딩하는 날 만드는 식이 대부분이니..

저같이 채팅도 별로 안치고 방송 화면만 보는 입장에서는 오히려 유튜브로 보기도 하지만요.
ioi(아이오아이)
22/11/14 16:51
수정 아이콘
애초에 선택지가 없어요.
아프리카 종겜은 이미 예전에 멸종했고, 유튜브 종겜은 천연기념물이죠
레드빠돌이
22/11/14 16:54
수정 아이콘
솔직히 전 아프리카 이미지고 뭐고 제일 싫은게 중계방시스템입니다..
마스터카드
22/11/14 17:40
수정 아이콘
그건 곧 없어질겁니다..
타카이
22/11/14 18:02
수정 아이콘
그건 없앤다고 했습니다
대구머짱이
22/11/14 16:54
수정 아이콘
케인인님은 어쩔려나..
22/11/14 16:55
수정 아이콘
트위치가 한국 철수 한다면 인터넷 생방송 보는건 그냥 접게 되겠네요
그리드 깔 일은 없으니까
22/11/14 16:58
수정 아이콘
게임 대회들도 다시보기가 없는건가요?
Valorant
22/11/14 17:48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서비스하는 게임채널들은 아마 그렇게 되겠죠.
초현실
22/11/14 17:01
수정 아이콘
영상도네까지 막으면 대기업도 이주 할수도
긴 하루의 끝에서
22/11/14 17:20
수정 아이콘
"본인이 트위치에서 보던 방송인이 아프리카로 옮겨갈 경우 본인은 해당 방송인을 따라 아프리카로 가서 해당 방송을 계속해서 시청하는 게 아니라 그냥 트위치에서 다른 방송인을 새로이 찾아 정착을 하거나 아예 인터넷 방송을 끊을 것이다."라는 입장을 가진 이들이 트위치 시청자 내에 꽤 존재하다 보니 트위치 방송인들도 아프리카로의 이동을 마냥 쉬이 생각을 하지 못하는 거라고 보는데 솔직히 그런 입장이라는 게 개인적으로는 전혀 이해가 되질 않네요.
할수있습니다
22/11/14 17: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게임만 놓고보면 아프리카는 3대전통놀이+철권 이외에는 전혀 관심이 없습니다.
당연히 콘솔게임이나 로스트아크등 종겜스트리머 입장에서는 유입이 없을 플랫폼에 가는게 망설여 질수밖에요.
트위치 평일 낮 로스트아크 카테고리만 놓고보면 전체 시청자수가 2만명은 무조건 넘는데 아프리카는 두자리에요.
이 문제로 아프리카 떠났던 종겜스트리머가 많은데 변한거 없는곳에 돌아가기 망설여지는건 이해가 됩니다.
긴 하루의 끝에서
22/11/14 17:49
수정 아이콘
관련 성향의 시청자들이 한 데 집결해 있는 트위치가 멀쩡히 살아있을 경우에야 아프리카로 옮길 이유가 전혀 없고, 특히나 그게 혼자서만 옮겨가는 거라면 더욱이 말이 안 되는 법이지만 지금은 상황이 전혀 다르죠. 향후 어찌될지는 또 모르는 거라고는 하지만 적어도 현재로서는 사실상 트위치가 죽은 것이나 다름이 없고, 분위기상 이러한 흐름이 쉬이 달라지기는 어려워 보이기도 하며, 다수가 아프리카로 옮겨 가는 것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고 또한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요. 즉, 별 방송적 변화나 부담 없이 단순히 아프리카에 트위치 성향으로 구성된 새로운 생태계가 조성되어 아프리카 독주 체제이던 기존의 아프리카와 같이 변화하는 것으로서 충분히 마무리될 수 있는 일입니다. 그게 잘 안 된다면 앞서 언급하였듯 시청자들 중 방송인들을 따라 아프리카로 이동하지 않고 그냥 트위치에 계속 남거나 인터넷 방송 시청을 아예 그만두는 이들이 상당수 존재함으로 인한 것일 텐데 저는 바로 이 점이 이해가 안 된다는 것이고요.
티아라멘츠
22/11/14 17:54
수정 아이콘
그게 아프리카는 트위치처럼 '내가 관심있는 게임' 위주로 새로 스트리머 찾아보거나 하기에 더 안 좋아서
트위치 시청자들에게 감성이 별로 안 맞을 겁니다. 이동하더라도 좀 더 드문드문 보게 되는 시청자들도 많을 거에요.
긴 하루의 끝에서
22/11/14 18:10
수정 아이콘
트위치가 게임별 카테고리가 더 세분화되어 있고 카테고리 준수에 전반적으로 더 엄격한 편이기 하나 아프리카도 기본적으로는 카테고리 구분이 웬만큼은 되어 있고, 아프리카와 달리 트위치의 경우 입맛따라 그때그때 시청하는 방송이 달라지는 유동 시청자보다는 컨텐츠에 관계없이 특정 방송을 고정적으로 찾는 시청자가 많다는 점에서 말씀하신 바가 크게 유의미할지는 모르겠습니다. 무엇보다도 아프리카를 방송인 따라 찾지 않을 이유와 관련하여 이리저리 언급되는 여러 사항들이라는 게 그로 인해 본인이 즐겨보던 방송을 더 이상 보지 못하는 것에 비해서는 결국 지극히 사소하다 볼 수 있지 않은가 개인적으로는 생각하고요. 트위치 성향과는 맞지 않는 아프리카의 보편적인 문화, 분위기, 감성 등이 걸림돌로서 자주 언급이 되는데 트위치에서 방송하고 시청하던 인원들 그대로 아프리카로 다 같이 이동하여 본인들끼리 기존과 같이 방송 진행하는 게 대체 뭐 그리 어렵고 고민되는 일인지 솔직히 잘 이해가 되질 않아요.
피죤투
22/11/14 18:43
수정 아이콘
저도 단체 이주해서 밀어버리면 융화 될거 같은데, 지금도 이적 원하지 않은 시청자가 많으니 계속 눈치볼거 같습니다.
사태가 장기화 되거나 더 나빠지면 그땐 정말로 우르르 빠질거 같은..
티아라멘츠
22/11/14 19:20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에서 결국 종겜은 비주류로 남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시청자든 스트리머든.
그래서 시청자도 안 옮길 거고 스트리머들도 잔류를 더 많이 선택할 거 같네요 특히 중소 종겜 스트리머는 절대 아프리카로 갈 수 없을 듯 합니다.
22/11/14 18:20
수정 아이콘
일단은 님께서도 트위치 스트리머 다수가 옮기는 걸 가정해서 얘기하고 계시잖아요 단순 내가 보던 방송 하나만 옮기는걸로는 시청자들이 전부 같이 따라와주진 않는다는건 아시겠고
그렇담 말씀하신대로 다수의 스트리머가 한꺼번에 옮기는게 가능하냐 그리고 옮겨서 트위치에서의 분위기를 이어갈수 있느냐의 문제인데
사실 상당수의 스트리머들은 이미 경험을 해봤어요 엑소더스 때 종겜 방송하는 사람들이 이주한 이유중에 화질이나 이런 문제도 있지만 당시 아프리카에서 방송하던 종겜방송들 대부분은 거기서 비주류 중에 비주류였어요 지금은 더 심해졌고요
아무리 트위치에서 크기를 키웠다해도 플랫폼 옮기면 당장은 시청자 반도 못따라올텐데 그 쪼그라든 상태에서 종겜은 크기 힘든 척박한 환경에서 다시 시작해야하는데 그렇게 쉽게 옮길수 있을까요?
어느정도냐면 종겜은 차라리 유튜브가 더 나을 정도에요 그런데 유튜브는 채팅 문제나 이런저런 라이브방송하기 좋은 환경이 아니라서 문제고
이래저래 종겜스트리머들은 다른데 가기는 좀 힘든 상황이에요
Valorant
22/11/14 17:47
수정 아이콘
발로란트가 6월 기준 한국 시청자가 그래도 3000명은 나오는 편이었는데 (프로게이머/리그 제외)
아프리카tv 가서 검색해보니 방송하는 사람이 하나도 없더군요.
그나마 DRX가 국제대회에서 선전하고 입소문 타니까 하나 둘 생기고 트위치에서 전프로가 넘어가기도 하고 했는데...

게임 방송으로는 쉽지않구나 싶더라구요.
22/11/14 17: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초기 트위치 다음팟 애들 넘어갈때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금 대기업인 얍얍이니 공혁준 같은애들도 다음팟때 천명넘게 봣는데 트위치 초기엔 별로 안봣죠
당시 트위치야 월급이라도 빵빵하게 줫으니

저도 다음팟에서 끝까지 안넘어 가다가 진짜 마지막까지 있던 랄로(저는 안봤지만) 같은 애들이 넘어가서 넘어간거라

그리고 트위치랑 아프리카는 크게 다른게 영도시스템이라
저작권 때문에 영도 못 트는 아프리카가서 영도 시청자들이 적응을 할 수 있을까 그 시청자가 엄청 크겟죠
긴 하루의 끝에서
22/11/14 18:16
수정 아이콘
영상 후원 시스템이 트위치도 앞으로는 VOD 서비스 중단 및 저작권 규제(VOD 서비스 중단의 이유가 저작권 때문이고도 하니) 등으로 제한이 많이 되거나 불가능해질 것이라는 얘기가 있으니 이제는 큰 차별점이 되지 못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제가 찾는 트위치 방송들의 경우 대부분 영상 후원 시스템을 사용합니다만 듣기로는 대기업일수록 오히려 방송 진행 방해 등의 이유로 영상 후원 기능을 꺼놓기도 한다던데 이러면 또 크게 상관이 없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이호철
22/11/14 17:25
수정 아이콘
무굴 아조씨는 트위치와의 으리로 남겠다는 식으로 이야기 하더군요
유투브는 따로 본인이 편집해서 올릴 생각인 듯
오직니콜
22/11/14 17:39
수정 아이콘
트위치는 사실 상황이 개선될 희망은 없는셈이고 대체제는 아프리카뿐이니 딱히 특별한 얘기 나오기는 힘들죠
코인언제올라요?
22/11/14 17:53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는 좀 불편한데...
응 아니야
22/11/14 17:55
수정 아이콘
이세돌의 운명은,,,
하우스
22/11/14 18:02
수정 아이콘
여기 언급된 사람들은 사실 어디 플랫폼을 가도 먹고 살수 있는 대기업들이라… 중소 스트리머들이 제일 고민이 많겠죠
22/11/14 18:03
수정 아이콘
생방 자체가 현재는 아프리카 말고는 없으니 고민이 되긴 할겁니다. 아예 새로운 플랫폼이 나와서 거기서 스트리머들을 적극 영입하는거 아니고서야..
개인정보수정
22/11/14 18:07
수정 아이콘
대부분 근데 안갈거 같아요. 플랫폼 옮겨서 시청자가 그대로 따라온다는 보장이 없으니..
티아라멘츠
22/11/14 18:09
수정 아이콘
보니까 일단 계속 관망하다 안가는 사람도 많을 거 같습니다. 차라리 시청자들을 우회 이민시켜버리는 수를 쓸 거라고 하는 스트리머도 봐서
forangel
22/11/14 18:57
수정 아이콘
정말 중소 게임 스트리머들은 고민이 많겠네요.
제가 가끔보던 와우 스트리머들은 어찌 될라나..
배고픈유학생
22/11/14 19:04
수정 아이콘
침착맨 빼고 확정은 없죠
22/11/14 19:43
수정 아이콘
저같이 아프리카는 절대 안가는 시청자들도 많아서 하꼬비제이들한테는 나름 기회인듯
이경규
22/11/14 20:25
수정 아이콘
페이커도 아프리카 가니까 시청자 많이 줄던데.....그래도 아프리카라는 대체재가 있긴 있어서 다행이네요 유튜브 다음팟만 있으면...
이경규
22/11/14 20:2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vod 풀버전 볼바에 유튭 편집본 보는입장이라 vod 중지가 720p보다 덜 빡쳤는데 이거때문에 터지네요.
라바니보
22/11/14 20:32
수정 아이콘
나의 스트리머는 도대체 어디로.....
22/11/14 21:12
수정 아이콘
저도 아프리카는 안갑니다.. 그냥 안맞아서..
아프리카 이주해서 스트리머들이 잘되어도
전 기존에 보던 스트리머들은 유튜브로만 볼 것 같네요.
순경나부랭이
22/11/15 02:18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철구
이거 하나로 트위치 망하면 인방 자체를 안볼듯 합니다.
황제의마린
22/11/15 07:50
수정 아이콘
유투브 소통이 지옥인게
제가 어떤 상황을 보고 채팅을 치면 그게 30초 뒤에 올라옵니다

이게 댓글이랑 뭐가 달라요 소통의 의미가 생방송의 재미인데
네~ 다음
22/11/15 09:20
수정 아이콘
태생이 다음팟이라 편한걸 좋아해서 아프리카는 절대 못볼듯.
참으로 어려운 시간입니다.
고물장수
22/11/15 14:59
수정 아이콘
그쵸... 티비팟이라고 개쩌는 플랫폼이 있었는데....

똥카오가 늘 하던것처럼 뿌숴버렸습니다.

쿠팡플레이 괜찮던데 쿠팡이든 티빙이든 다른 회사가 냄새맡고 하나 차리면 좋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7076 [유머] 트위치 스트리머 이적썰 [117] 핑크솔져17095 22/11/14 17095
466051 [유머] 김동현이 실험해본 야구선수가 배트들고 격투기 선수와 싸운다면? [125] Myoi Mina 17615 22/11/02 17615
465948 [유머] 한화이글스가 친구를 구한 썰 [17] Avicii13786 22/10/31 13786
465308 [유머] 인생 선배가 얘기해주는 살이 되고 살이 되는 조언 [14] 길갈14720 22/10/23 14720
465105 [유머] 초등학교 수학 난제 [37] Avicii11593 22/10/20 11593
464094 [유머] 야구 그까짓거 좀 못하면 어떻습니까 [66] 항즐이12841 22/10/06 12841
463533 [유머] 성당에서 고해성사한 어린이 야구팬.jpg [16] 핑크솔져9956 22/09/28 9956
462781 [유머] ‘한강 멍때리기’ 대회, 30대 야구팬 우승.jpg [21] 핑크솔져13071 22/09/18 13071
461165 [유머] 야구선수한테 고백받았는데 [31] 슬로10417 22/08/29 10417
460623 [유머] 깨달음을 얻은 야구팬 어린이 [15] 인간흑인대머리남캐7162 22/08/20 7162
460227 [유머] 야구장 키스타임으로 탄생한 커플.jpg [24] 핑크솔져11566 22/08/15 11566
459586 [유머] 아버지의 가르침 [5] 길갈5477 22/08/06 5477
459260 [유머] 최근 난리난 NC소프트 블라인드.jpg [32] 굿럭감사11597 22/08/02 11597
459210 [유머] "야구 빼고 다 잘한다"..주가 '홈런' 친 이 기업.jpg [33] 핑크솔져10991 22/08/01 10991
459061 [유머] 최근 야구장에서 대놓고 영업하는 사람.jpg [9] TWICE쯔위7796 22/07/29 7796
458986 [유머] 캬 이 얼굴로 야구하면 [30] 길갈8918 22/07/28 8918
458699 [유머] 어린이를 함부로 야구장에 데려가면 안 되는 이유 [21] 길갈10002 22/07/23 10002
458335 [유머] 외국인들이 보면 기겁할 어제 잠실상황.jpg [27] 핑크솔져13140 22/07/17 13140
457755 [유머] 대한민국 공식 재계서열 순위로 보는.. 사람들이 잘 모르는 기업 체급들 [39] Leeka11923 22/07/09 11923
457681 [유머] 야구만화를 본 한국 야빠 [17] 길갈7066 22/07/08 7066
453652 [유머] 어린이를 함부로 야구장에 데려가면 안 되는 이유 [22] 길갈7322 22/05/05 7322
453184 [유머] 취식 허용된 야구 [13] 아수날8199 22/04/27 8199
447194 [유머] 지금 우리 학교는... 러시아 버젼 [12] Rain#19039 22/01/29 90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