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1/14 03:36:14
Name Ambael
출처 유튜브
Link #2 https://www.youtube.com/watch?v=VCdeptS_4x8&ab_channel=%EC%B0%8D%EB%A8%B9%EC%95%A0%EB%8B%88
Subject [기타] 5억년 버튼 최신

켜무위키가서 보니까 5억년 버튼 첫 번역판이 올라온 곳이 10년전 PGR21이라네요?

많은 것을 알려주는 스토리라서 아주 좋아합니다.

버튼 누르실건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14 03:55
수정 아이콘
결국 이 문제의 쟁점은 기억을 잃은 사람이

나라고 볼 수 있는가? 였던....
양들의꿈
22/11/14 04:27
수정 아이콘
절대 못누르죠. 100년은 고사하고 10년 버튼도 못누릅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2/11/14 05: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자기가 5억년을 경험하는 거랑 자기를 복제한 AI가 5억년을 경험하는 거랑 무슨 차이죠? 그걸 구분할 수가 없어서 저게 문제인 건데. 5억년을 체험하고 사라질 내가 복제파일인지 아니면 기억이 삭제될 내가 백업파일인지 인간의 인지 능력으로 그 연속성을 구분할 수가 있나요? 사람도 실은 그냥 데이터 쪼가리에 불과한 게 아닌지.
마르키아르
22/11/14 05:52
수정 아이콘
저걸 사람이 누르는것도 말도 안되는 소리고 일어날 가능성이 0%라고 생각하니까 누를수 있는거지..

진짜 저게 100%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절대 못누르죠..크크...

5억년이 아니라 , 1년이라고 해도 못누를꺼 같네요 -_-;;
22/11/14 06:07
수정 아이콘
https://www.themoviedb.org/tv/205055-500-000-000-nen-button/season/1?language=ko-KR
11화 제목이 '5조년 버튼'인데 애니에서는 5조년이라도 잘만 누르나 봐요.
인생은아름다워
22/11/14 08:05
수정 아이콘
그런데 원조 만화책의 그 기괴(?)하면서 오묘한 감성은 따라올 수 없는 것 같네요.. 크크
kissandcry
22/11/14 08:05
수정 아이콘
일주일도 못할거같아요
미카엘
22/11/14 08:36
수정 아이콘
수천 수만 번이라도 누를 수 있습니다.
22/11/14 08:51
수정 아이콘
수면 내시경 같은거 아닌가요?
실제로 그 시간 동안 고통스럽지만 깨고 나면 아무 기억도 나지 않는.
심지어 이건 '현재의 나' 입장에서는 시간이 흐르지도 않는거고.

안 누를 이유가 없을 거 같은데...
모찌피치모찌피치
22/11/14 09:35
수정 아이콘
결국 그 고통을 인내하는 주체가 '나'냐는 질문이죠. 결국 버튼을 누르고 이 세계로 보내져서 고통을 겪는 사람이 있으니까요.
22/11/14 10:22
수정 아이콘
대장내시경 수면으로 하면서 똥꼬가 쑤셔지는 고통을 인내하는 주체가 '나'지만, 기억 안나니까 다들 수면으로 하잖아요.
쩌글링
22/11/14 11:28
수정 아이콘
비슷하긴 합니다. 5억년짜리 대장내시경...
오히려 좋아?
22/11/14 11:42
수정 아이콘
수면 내시경은 제 인생에서 찰나의 순간이고

5억년을 산다면 내 인생의 수천수만배의 경험이니까요.

과연 어느 쪽이 진짜 나일까요?

나를 정의하는건 몸뚱아리인가요? 아니면 내 기억일까요?
22/11/14 11: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수면내시경은 오히려 내 인생의 찰나라도 시간이 지나가지만 이건 버튼을 누른 그 시점으로 바로 이어지는거니까 더 좋지 않나요? 기억 안나는데 고통을 받건 안 받건 뭔 상관인가 싶어요.

반대로 생각해서 버튼을 누르면 대략 5분 정도 죽음의 고통을 받은 후 아무런 기억도 흔적도 남김없이 버튼을 누르던 시점으로 수십억을 받아서 돌아온다면 누를까요, 안누를까요? 어차피 기억이 안나고 흔적도 없는데 5분이건 5억년이건 뭐가 다른가요
Euthanasia
22/11/14 12:31
수정 아이콘
5억 년 동안 고통을 받는 게 자신이 아니라면 타인이라는 건데 자신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타인을 죽음보다 못한 고통으로 몰아 넣는데 거리낌이 없으시다니 어떤 의미에서 좀 대단하시네요.
22/11/14 13:08
수정 아이콘
고통을 받는건 자신이죠. 하지만 그 자신에 대한 기억을 잊고 살아가는 새로운 자신도 나인거구요. 나를 위해 나를 희생하는거죠.
22/11/14 12:52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지점이 예전에 5조년인가 5억년인가 올라왔을때의 쟁점이죠.

저 행위를 했을때 기억에 안남는다면, 상관없다? 그럼 5억년을 보낸 내 몸뚱아리(증거는 남지 않지만)는 누구인가?

그렇다면 치매걸려 과거는 물론 주변 가족 지인도 기억못하는 나는 이제 내가 아닌 것인가? 뭐 이런....

저는 님이 어떤 결정을 하든 별 상관없고 다 이해합니다. 단지 이 글 첫댓글에 달았던 것처럼 과연 나라는 걸 정의하는건 무엇인가? 하는 철학적 질문이 궁금할 뿐이죠.

마치 본 아이덴티티, 혹은 어벤져스의 윈터솔져 처럼 기억을 지워놓으면 그 지운 기간은 내가 아닌것인가? 분명 기억은 못하지만 내가 겪은일인데? (수면 내시경을 한 내가 나인 것처럼, 물론 영화에서는 주인공들이 기억을 하니까 문제고 그래서 영화가 진행될 수 있는 크크) 하는 이런 철학적인게 궁금하더군요. 내가 아니라면 그러면 기억만 지우면 그 사이에 벌어진 일은 나와 상관없는 것인가? 같은

치매걸린 나는 나인가?
22/11/14 13: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통을 받는 것도 나고, 고통의 기억을 잊고 살아가는 것도 나죠.
결국 남는건 고통의 기억을 잊고 살아가는 나니까, 그깟 고통이야 견뎌내면 그만인거구요.

애초에 이 문제를 과도하게 철학적으로 생각할 이유도 잘 모르겠는게, 전신마취를 하고 10시간 동안 수술을 받는다고 한다면, 10시간 후의 건강해진 나를 위해서 10시간 동안의 나는 생살을 찢고 온갖 고통을 견뎌내는거죠. 근데 그 상황에서 수술 받는걸 망설이는 사람도 없고 철학적인 성찰을 하는 사람도 없죠. 고통을 받는 것도 '나'고, 그 고통을 받고 난 후 건강해지는 것도 '나'죠.
22/11/14 08:53
수정 아이콘
영화 프레스티지의 마지막 마술 버튼과 같은 느낌이라 생각했는데 역시 검색해보니 비슷하게 느끼신 분들이 많네요.
시작버튼
22/11/14 09:06
수정 아이콘
사실은 5억년 버튼을 누르는 순간 차원이 갈라지는 개념이군요.
그런 개념이라면 현실 속의 내가 본체라는 개념도 착각인거겠죠.
22/11/14 09:08
수정 아이콘
좀만 생각해도 안눌러야 하는게 정답이죠.

저 조건에서 기간을 5000만년으로 줄이고 대신에 전신이 불에 타는 고통을 계속 느낀다

이 조건이면 누를 사람이 있을까요? 지금 당장 고통을 겪는건 나인데 말이죠.
도들도들
22/11/14 09:24
수정 아이콘
이게 맞다고 봅니다. 기억을 잃은 후의 나는 다른 사람이고 내가 신경 쓸 건 기억을 잃기 전까지의 나죠.
닉바꾸기힘들다
22/11/14 11:44
수정 아이콘
영상을 보셨는지 모르겠는데 이건 본인이 5억년을 견뎌야하는게 아닌거같습니다.
그냥 자기의 뇌에있는 데이터를 디지털화해서 가상세계에 새로운 복제AI를 만든다는 겁니다. 알파고가 아무리 바둑을 잘둔다 한들 알파고 PC 전원 내린다고 슬퍼하는사람이 없듯이 나랑 똑같이 생긴 AI가 고통을 받는다고 해서 거기에 연민을 느끼는 사람은 거의 없을겁니다.
많은 분들이 말씀하시는 프레스티지에서 처럼 죽을사람과 살사람... 고통받을사람과 돈을 받을사람이 누가될지 모르는 그런 랜덤의 세계라고 볼 순 없다는거죠. 뇌의 데이터를 읽어서 AI를 만든다고했지 다른 부연설명은 없었으니까요.
Euthanasia
22/11/14 12:34
수정 아이콘
알파고는 고통에 대한 감수성이 없어요. 저건 기억을 이어 받은 아일랜드에서의 복제인간에 오히려 가깝죠.
기무라탈리야
22/11/14 10:22
수정 아이콘
원작에는 앞에 샘플케이스가 있어서가 클 것 같습니다.
친구가 진짜로 5억년을 보내고 왔는지는 친구 본인도 기억을 못하는 상태고, 실제로 눈앞에서 본 건 친구가 버튼을 누른 순간 돈이 나왔다는 사실이라. 처음엔 불안해하던 주인공도 눈이 돌아가버려서 버튼을 눌렀으니까요.
22/11/14 10:33
수정 아이콘
다 기억함+인류의 모든 컨텐츠 이용 가능 조건으로 천만년 버튼이라면?
이선화
22/11/14 13:29
수정 아이콘
인류가 문명을 세운지 이제 2만년 됐는데 그 500배를 견디라니 모든 컨텐츠가 미래의 컨텐츠도 포함하는 게 아니라면 버티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 같습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2/11/14 22:15
수정 아이콘
무료함이 핵심인지라, 그런 조건이면 무효죠. 일단 이선화님 말씀대로 컨텐츠 양도 택도없이 부족하고.
22/11/14 22:25
수정 아이콘
사실 컨텐츠 양이 부족한 게 핵심이라...
율리우스 카이사르
22/11/14 12:51
수정 아이콘
시험삼아 1년이면 한번 눌러볼듯.
앙겔루스 노부스
22/11/14 22:14
수정 아이콘
제가 생각하는,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사후세계가 저거인지라, 전 이거 볼 때마다 몸서리가 쳐 집니다. 저 근처에 저런 기계 나타난다면 옷깃스치는 것도 무서워서 바로 도망갈 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2156 [서브컬쳐] 건담) 설인데 제가 뭐 드릴건 없고... [3] 공기청정기8277 23/01/22 8277
472037 [스타1] 스타크래프트에서 시작된 여러 인터넷 밈 [68] 김재규열사17566 23/01/20 17566
471953 [서브컬쳐] 드래곤볼 오역 레전드.jpg [22] 이탐화10448 23/01/19 10448
471947 [서브컬쳐] 실제론 오역이었던 슬램덩크 명장면 [72] Karolin13116 23/01/19 13116
471821 [유머] [번역] 미국발 한 문단 소설들.jpg [23] 삭제됨8793 23/01/17 8793
471785 [기타] 챗GPT, 대학 커리큘럼을 바꾼다 [16] 타카이7810 23/01/17 7810
471593 [기타] 슬램덩크 인간관계 : 원작의 호칭으로 알아보는 친밀도 [39] 톰슨가젤연탄구이10368 23/01/14 10368
471245 [유머] 블라인드 셀프 소개글 번역.blind [39] 삭제됨11685 23/01/10 11685
471183 [서브컬쳐] (스포)수성의마녀 12화 내용유출사건 [9] 기무라탈리야5876 23/01/09 5876
470957 [스포츠] WBC 대한민국 국대 일본 야덕들 반응 [51] 흰긴수염돌고래14026 23/01/06 14026
470720 [서브컬쳐] 역습의 샤아를 일반인의 말로 번역해보자 [29] 길갈8601 23/01/03 8601
470098 [유머] 트위터로 배우는 영어회화.jpgif [26] apothecary11385 22/12/25 11385
469899 [유머] 한국인은 오지말라는 일본 가게 [17] Myoi Mina 11167 22/12/22 11167
469739 [서브컬쳐] 리디북스 만화책 e북 할인이 돈지갑을 흔드는 이유 [26] 드라고나11089 22/12/20 11089
469686 [유머] 실시간 참수당한 음바페.jpg [15] 김유라14272 22/12/19 14272
469233 [게임] 빌리빌리 이번엔 진짜 다르다?! [12] 묻고 더블로 가!9117 22/12/13 9117
469197 [기타] 핵스압)AI인 CHAT GPT를 '잘' 다뤄서 써낸 소설 [22] 문문문무12798 22/12/12 12798
469014 [LOL] T1 공식 홈페이지 근황 [44] 조미운10649 22/12/10 10649
468675 [게임] 퍼블리셔 운영으로 망했던 게임 근황 [10] 우스타10514 22/12/05 10514
467849 [서브컬쳐] 뭔가 일어나는 눈마새 [40] roqur10733 22/11/24 10733
467566 [유머] 요즘 세대는 모르는 그것 [37] Nacht14821 22/11/21 14821
467278 [유머] [트위터] 트위터 블루 사칭으로 벌어졌던 일들 [26] 타카이9936 22/11/17 9936
467085 [동물&귀욤] 세상의 종말에 시바견과 - 깜짝 [1] 공기청정기6148 22/11/14 61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