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1/13 01:01:03
Name Eva010
File #1 digitalkingss010363.jpg (333.8 KB), Download : 222
출처 침착맨 유튜브
Subject [유머] 침착맨 트위치에서 유튜브로 이적 예정!(유튜브 생방송 진행중) (수정됨)


어제 침착맨이 트위치에서 트위치에 대한 신뢰를 잃어서 12월말까지만 트위치에서 방송하고 유튜브로 이적할 것 같다.

여러분들의 의견을 게시판에 남겨달라 이야기후 바로 다음날 유튜브로 생방송을 켰습니다.

다음은 방송중에 나온 주요질문들

--------------------------------------------------------------

Q. 카카오 이적은 생각 안 해보았나?

카카오는 플랫폼이 아니다. 아프리카나 트위치 유튜브는 놀이터를 만들어주고 거기서 사람들을 보고 놀게 만드는 시스템인데
카카오는 놀이터가 아니라 그냥 공터다 도라에몽에 나오는 공터에 배수구 3개 놓고 거기서 노는 기분이라 카카오는 절대 안 간다.
굳이 놀이터가 만들어 져있는 곳이 많은데 공터에서 놀 필요가 있나? 이거란 말이야.
그리고 카카오는 너무 관리도 안한다 하지만 카카오 자체의 마이너한 감성은 존중하고 좋아한다.

Q. 유튜브와 트위치 동시송출은 생각하지 않았는가?

트위치에 정내미가 떨어져서 유튜브와 트위치 동시송출은 안 할것이다.

Q. 유튜브로 넘어가면 트위치 스트리머등과 합방은 어떻게 할 예정인가?

유튜브에 오면 스트리머들과 합방등은 조금 힘들 수도 있을 것 같다. 생방송은 그냥 노는 곳으로 쓰고 싶다. 후원도 그렇게 많이 필요없고 외부활동으로 충분히 벌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이 너무 많은 것도 좋아하지 않다. 하지만 대화할 사람이 너무 적으면 그것도 문제다. 500명정도만 있어도 적적하지 않게 놀 수 있을 것 같아 유튜브 라이브도 좋을 것 같다.

Q. 채팅창이 유튜브는 3초 딜레이와 너무 안 좋은데 유튜브 채팅은 어떤가?

채팅창이 보기 힘들다. 불편하다. 영화관모드로 하면 채팅이 아래로 가는게 너무 빡돈다.
구글 세계 천재들만 다니는 회사 아니야? 왜 이렇게 둔재같이 만들었지?

왜? 그리고 실시간 채팅중 테러가 없지? 원래 이상한 테러가 있다며?
뭐? 채팅 테러 이미 하고 있다고? 그래도 테러 비중이 3%도 안 되는 것 같은데??
유튜브는 계정을 계속 만들 수 있다고 하고 일회용품처럼 계정을 계속 만들 수 있고 그래서 일회용품 쓰듯이 계정을 쓰는 사람들이 많다고 들었다. 그래서 좀 안 좋다 들었는데 좀 더 지켜봐야겠다.

-----------------------------------------------------------

잠깐 테스트하려고 킨건데 후원하지 말라고 했는데 킹 받으라고 계속 후원하는 시청자들...

시청자들이 계속 후원해서 방송을 끄려다가 그냥 끄는건 실례인 것 같아서 약간의 Q&A진행중

앞으로도 몇 번씩 유튜브에서 생방송을 테스트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13 01:02
수정 아이콘
하지만 유튜브도 720p 제한을 한다면?
22/11/13 0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화질제한 때문에 가는 게 아니라 자기네 맘대로 공지도 제대로 안 하고 자꾸 이것저것 바꿔버리니까 트위치에 신뢰를 잃어서 간다고 합니다.
실제 화질이 바뀌었을 떄도 이적 이야기를 안 했고 VOD서비스를 중단한다고 하니까 이런건 최소한 파트너 스트리머한테는 먼저 말해줘야되는 게 아닌가 이런 식으로 이야기 했습니다.
아케이드
22/11/13 01:09
수정 아이콘
유튜브는 자기들이 굳이 화질제한 할 필요가 없을 겁니다
구글이 한국 캐시서버 내려버리면 접속료 내야 하는 통신사들이 알아서 할 일이죠
Just do it
22/11/13 01:07
수정 아이콘
역시 영원한건 없네요.
집방인데 되게 주변 분위기가 친근하네요
22/11/13 01:08
수정 아이콘
큰 틀에서 보면 통신사가 망사용료를 말도 안되게 뜯어서지만

작은 틀에서 보면 유튜브 / 아프리카는 돈을 벌고 있는데 트위치는 적자라는게...
아무리봐도 전부 서드파티 쓰는 문화가 스노우볼에 어느정도 기여했다는 생각이..
아케이드
22/11/13 01:10
수정 아이콘
유튜브는 망사용료를 안내고 있고 트위치는 내고 있는 건데 비교가 적절치 않죠
아프리카는 별풍선이라는 강력한 수익 모델이 있는데 비해 그런 모델을 정립하지 못한 건 트위치 쪽 문제지만요
파워크런치
22/11/13 08:02
수정 아이콘
영도, 음도, TTS같은 기능들이나 스티키밤 이런게 서드파티들이 먼저 개발했고 트위치 공식 비트는 아직도 지원 안 하는 경우가 있지 않나요? 사실 저게 수수료 낮추려고 플랫폼 우회한다고 봐도 되지만, 트위치에서 공식 서비스를 제대로 갖춰주지 않아서 유저들이 옮겨간 부분도 큰 것 같아서요. 비트후원은 지금도 글씨가 너무 작아보이고 뭔가 투네/트윕보다 스트리머랑 대화하는게 불편한 것 같더라구요
작은대바구니만두
22/11/13 01:10
수정 아이콘
카카오는 저것도 엄청 순화해서 말한거죠
슈카, 침착맨 등등 앵간치 유명한 스트리머들 다음팟에서 시작한 사람 제법 많은데 그걸 다 엎어버린 놈들이니 누가 돌아가려 하겠음..
앓아누워
22/11/13 03:10
수정 아이콘
이게 좀 애매한게 다음팟만의 그 마이너한 감성때문에 또 사람들이 엄청 봤던거긴해서, 아이러니하게도 담팟시절이 인방 등용문으로써는 최고의 플랫폼이였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쿠키까지 없앤 시점부터는 그마저도 못하게돼서 공터비유가 찰떡같긴하네요 크크
22/11/13 03:20
수정 아이콘
공터 비유 진짜 찰떡같아요. 딱히 방송 준비없이 그냥 하는데 웃긴 사람들이 있으면 시청자가 몰리는 곳.
공터에서 누가 장기 자랑하면 지나가다 보는 느낌이죠 크크
개인정보수정
22/11/13 01:11
수정 아이콘
유튜브 라이브 진짜.. 그 긴시간동안 개선 된게 거의 없단 게 신기하죠. 침착맨 말마따나 세계 최고의 it인재들 모인 곳 아닌가.
유료도로당
22/11/13 09:35
수정 아이콘
메타에도 세계 최고 인재들이 모였지만 페이스북, 인스타 안드로이드 앱이 아직도 개떡같은거 보면 그런거랑 별개인것같기도 합니다... 크크 서비스 UI의 디테일한 부분을 챙기는게 그만큼 어려운건가 싶기도 하고요.
22/11/13 14:57
수정 아이콘
빅테크라고 과대평가하는게 의미없는 이유죠
마소도 그규모갖고 아직도 b2c는 유기수준인데요 뭐
아케이드
22/11/13 01:12
수정 아이콘
카카오는 스트리머들 다 나간 후에도 개선을 안하고 방치해서 이런 좋은 찬스가 와도 못 받아 먹네요
앓아누워
22/11/13 03:12
수정 아이콘
사실 받아먹고 뭐고 할것도 없이 애초에 카카오는 처음부터 끝까지 인방쪽엔 관심도 없었는데 시청자, 스트리머들이 쉐도우복싱한거라고 생각해요 크크크. 다음팟 시절이면 그나마 생각이 있었던거같기도한디 기업 자체가 너무 힘을 잃은 상태였고..

물론 진짜 아이러니하게도 인방플랫폼으로써 가장 간편하고 가벼우면거 시청자 친화적인 프로그램이란거;;
우자매순대국
22/11/13 05:50
수정 아이콘
그냥 이런저런 이유로 서비스 자체를 유지는 하는데 (구색메뉴)
트래픽이 몰리는건 원하지 않는거죠. 어차피 돈도 안되고 관리도 힘들고
마스터카드
22/11/13 01: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유툽라이브는 진짜 먼가...먼가입니다..
다음팟, 아프리카, 트위치 다 침방장따라서 옮겼는데
유툽라이브는 진짜..
22/11/13 01:14
수정 아이콘
침착맨은 사실상 유튜버고 스트리밍은 유튜브 녹화용, 취미용이라 빠르게 결단 내릴 수 있었다고 생각하는데 다른 스트리머들은 앞으로 어떨지 모르겠네요.
아케이드
22/11/13 01:17
수정 아이콘
오히려 고화질이 필요한 게임을 별로 안하고 트위치 VOD도 그닥 필요없는 침착맨이야 말로 트위치에 남아도 별 상관 없었을 듯 한데
트위치가 운영을 정말 못하네요
22/11/13 01:20
수정 아이콘
트위치 스트리머 매직박씨도 야구중계를 마음껏 틀 수 있는 아프리카TV로 이적을 생각하고 있다라고 이야기했고 다른 스트리머들도 다른 플랫폼 이적을 준비하고 있는 것 같더군요. 배도라지 멤버들이 이제는 뿔뿔히 흩어져서 함께 하지 못한다는 게 아쉬울뿐...
ioi(아이오아이)
22/11/13 02:06
수정 아이콘
어려울 겁니다. 애초에 종겜은 유튜브 알고리즘 타기 엄청 어려운 덕분에 트위치 시청자 대비 구독자가 많지 않는 사람들이 많으니까요
파워크런치
22/11/13 08:06
수정 아이콘
크던 작던 모든 스트리머들이 장기적으로 일정레벨의 타격이 있지 않을까 하네요. 어느 방송이나 유입/유출이 있기 마련인데 옮겨버리면 유출은 시간이 지나며 지속되는데, 신규유입은 어려운 환경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트위치의 경우 트위치 느낌의 방송을 좋아하던 사람들이 다른 방송도 들어가보고 할 수 있는데, 유튜브를 플랫폼으로 쓰면 스트리머 -> 스트리머가 아니고 스트리머 -> 다른 유튜브 영상으로 유출이 많아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스트리머들 앞으로 어떻게 움직일지가 궁금해지네요. 아프리카 이적은 생각보다 많진 않아보이는데, 지금의 트위치 운영상태는 계속해서 "이래도 방송할럐?" 로 보여서요. VOD가 없어진 상황에서 다들 어떻게 대처할지...
엔타이어
22/11/13 01:20
수정 아이콘
침착맨님처럼 구독자 많은 분들은 유튜브 라이브가는게 그렇게까지 걱정되는 상황은 아닙니다.
오히려 트위치때보다 실시간 시청자는 더 많을수도 있어요.
진짜 힘든 사람들은 유튜브 구독자도 별로 없고 채널도 갖추지 않은 새로 시작하는 사람들이죠.
실시간 방송을 켜도 홍보가 될만한 실시간 방송 목록 같은게 관리되는게 없다시피하니까요.
앓아누워
22/11/13 03:17
수정 아이콘
이게 생각보다 풍월량같은 사람도 라이브 뷰어십 대비 유튭 구독자가 적었던지라 어찌될지 가늠이 안가네요. 침착맨처럼 유튜브,트위치 1:1비중 느낌인 사람이 정말 드문 케이스인데. 말그대로 춘추전국시대가 될거같음
Just do it
22/11/13 01:20
수정 아이콘
카카오는 잘 모르는 분들이 오히려 언급하는거 같은데
쿠키라는 PD이익 창출 시스템이 사라진지 오래입니다. 한마디로 이익을 못내요.
라이브라는 이미지는 거의 사라진지 오래고, 라이브 방 정보에 인원수가 아니라 재생수라고 표기됩니다;

트코는 업글 없다가 최근에 하나 업글한게 맞춤추천이라고 팔로우 한 채널에서 시청자순으로 정리됐던게
추천순(시청시간순) 선택가능 한거 하나 업글했습니다 크크... 트코는 진짜 뭐하는 회사인가 싶어요.
22/11/13 12:16
수정 아이콘
그런건 트코가 하는게 아니라 트위치 본사가 하는 거니..
22/11/13 01:21
수정 아이콘
트위치가 하는 소통의 백분의 일도 안하는 곳이 유튭인데…
아케이드
22/11/13 01:23
수정 아이콘
하지만 VOD는 남죠
타츠야
22/11/13 10:05
수정 아이콘
과거의 자기 컨텐츠가 날아가는게 훨씬 큰 문제라.
...And justice
22/11/13 01:24
수정 아이콘
개인 방송 줄이려는 의향을 보이던 참에 트위치가 좋은 구실을 줬네요
실제상황입니다
22/11/13 01:29
수정 아이콘
평상시 분탕이야 채팅 화력에 쉽게 묻히겠지만 저번처럼 제대로 한번 분탕 나면 관리하기 어렵지 않을까요? 유튜브는 고소도 거의 불가능하지 싶은데...
헛스윙어
22/11/13 01:44
수정 아이콘
와 해외사는 입장에서 감사합니다!
-안군-
22/11/13 02:10
수정 아이콘
구글은 IT 천재들이 모인곳은 맞는데, 그게... 너무 [IT 천재]들만 있는 느낌.. 크크크...
구글에서 하는 서비스들을 많이 사용하는 편인데 얘네는 너무 엔지니어 감성이에요. 갬성이.없어요 갬성이...
22/11/13 02:11
수정 아이콘
지금은 시작단계라 그런데 관리가 될려나 모르겠네요 유튜브 근데 침착맨은 뭐 크게 상관없겠다 싶기도 하고…
결국 여자 스트리머들이 제일 크게 고민하고있지 싶습니다
22/11/13 14:30
수정 아이콘
채팅창 관리가 불가능한게 문제인게 침착맨한테 악질 안티들이 워낙 많아서...
22/11/13 02:13
수정 아이콘
방송 봤는데 유튜브 라이브는.. 별로긴 하네요. 인터페이스도 별로고 생방 카테고리화도 잘 안되있는거 같고.
이것도 뭐 계산기 두드려보고 개선 해도 이득이 없는거 같으니 안하는거 겠죠?;
우자매순대국
22/11/13 05:57
수정 아이콘
유튜브라이브는 생방송이라기보단 공개녹화 느낌이죠. vod도 남는게 아니라, vod 남기는 과정을 생방으로 보는 개념이라 선후관계가 반대...
Janzisuka
22/11/13 02:13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는 고려사항이 아닌가보네용
반니스텔루이
22/11/13 02:17
수정 아이콘
퀵뷰랑 중계방 시스템 때문에 불호라고 하더라구요
나무위키
22/11/13 02:29
수정 아이콘
침착맨 간만에 배씬맨으로 돌아왔군요 크크
22/11/13 02:57
수정 아이콘
배도라지 멤버가 한 플랫폼에 없다면 아마 합방같은게 지금처럼 잘되진 않겠죠?
이번에는 진짜 많이 스트리머들 옮길것 같습니다 vod제한 되면 영도를 많이보는 스트리머면 타격일테니
22/11/13 12:15
수정 아이콘
정작 스트리머들은 720이 훨씬 커서 이번은 생각보다 버틸만하다고.. 클립이 아쉽기는 한데..
다들 여기서 라이브 환경이 더 안 좋아지면 진짜 떠날거다 하는데 더 안 좋아질 방법이 없어서..
머랭이
22/11/13 04:23
수정 아이콘
예전 다음팟 시절에 방송을 꽤 했었는데, 철저히 몰락한 카카오팟을 볼 때마다 어떻게 그렇게 좋은 플랫폼을 이렇게 말아먹을 수 있나 싶습니다.
다음팟 시절에 제대로만 관리했어도 아프리카에 이은 2위 플랫폼은 충분히 되었을 텐데......

카카오팟이 방송인이 방송을 시작하고 관리하기에는 최적화되어있는데다가 보는 입장에서도 기본적으로 돌려볼 수 있기 때문에 장점이 진짜 컸거든요. 참 아쉽긴 하네요...
22/11/13 05:06
수정 아이콘
원본박물관 조회수 몇십만씩 찍히는데 스트리밍이 이제 주가 아니죠.
별빛정원
22/11/13 05:20
수정 아이콘
유튜브 pc버전, 앱
유튜브 라이브 탭 추가, 카테고리별로 표시
라이브 볼때 관련 라이브 같은걸 보여주기 등등
라이브 친화적인&대대적인 개선이 있어야 할 것 같네요..
일모도원
22/11/13 06:04
수정 아이콘
침착맨이야 뭐 배신맨해도 아무 상관이 없죠 생방보는 사람들 충성도도 높고 사실상 유투브가 본진이니
ChojjAReacH
22/11/13 08:11
수정 아이콘
침원박 채널에서 방송했는데 방송 말미에 들어가니 8천명 가뿐하게 찍더라구요.
써드 채널+급방송인데 그만큼 보는건 대단하긴 하더라구요
트리플에스
22/11/13 09:10
수정 아이콘
원래 유튭으로만 침착맨 즐기는 사람으로써 별 감흥은 없네요 크크.
중이 나가야죠 뭐.
22/11/13 09:31
수정 아이콘
이봐

킹프리카는 왜 q&a에 가볼까 라는 언급 조차 안되는건가 ㅜ ㅜ
코인언제올라요?
22/11/13 09:38
수정 아이콘
이제 실시간보다 다른 활동이 더 커졌나보네요.
과연 이번에도 선구적인 결단일지
22/11/13 10:01
수정 아이콘
침착맨은 처음엔 이말년이 재미로 갠방하는거였고, 연재종료하고 얼마안돼서 침펄토론 빵터지면서 유튜브 엄청커진거라 생방 수익은 큰 비중이 없었을겁니다.
이경규
22/11/13 09:45
수정 아이콘
트위치하다가 아프리카 갔다가 다시 트위치 온 스트리머 생각이
조말론
22/11/13 10:36
수정 아이콘
[유튜브는 놀이터를 만들어주고 거기서 사람들을 보고 놀게 만드는 시스템]
아닌거같아
신동엽
22/11/13 10:52
수정 아이콘
저같이 트위치에서 하는거였는지 몰랐던 사람도 있습니다..
맨날 유튜브에서 다시보기로 보다보니
22/11/13 12:59
수정 아이콘
정리된 거 보면 옮기는 거 확정이라기보단 옮기는 쪽에 많은 비중을 두고 이런저런 테스트나 카페에 올라온 의견들을 참고하고 결정하겠다 정도인 것 같네요.
22/11/13 14:40
수정 아이콘
사실 유튜브 채팅창에 가장 큰 문제가 시도때도 없이 정치랑 엮는 사람이 많다는건데 그걸 한번 경험해봐야 확실히 갈지말지 판단이 서겠죠. 슈카처럼 채팅창은 그냥 자기들 노는 공간으로 놓고 본인 준비한 방송 하기 바쁜 사람도 채팅창 보면 어지러워서 유튜브에는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편집하는데 과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6843 [유머] 카카오톡 근황 [37]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592 24/03/14 10592
493681 [유머] 상표권 소송에서 패배한 카카오 [36] Leeka14639 24/01/16 14639
491175 [유머] 카카오 임원 근황 [50] 메롱약오르징까꿍18609 23/11/28 18609
489484 [유머] 한국 초콜렛들이 카카오 함량이 낮은 이유 [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214 23/11/04 12214
488289 [유머] 카카오톡을 안한다는 여자 연예인 [27] Myoi Mina 13893 23/10/13 13893
487113 [유머] [펌]미국 10대들이 아이폰 안쓰면 왕따되는이유 [34] 여기13467 23/09/20 13467
486166 [유머] 카카오 CFO가 정직 3개월을 당한 이유 [62] Leeka12569 23/09/04 12569
485071 [유머] 23년 상반기 상장 게임사 급여랭킹 [19] Leeka8381 23/08/16 8381
481051 [유머] 카카오의 놀라운 떡상과 떡락 [2] 길갈11357 23/06/14 11357
480396 [유머] 여자들이 카카오팬티를 사면 안되는 이유.jpg [10] Myoi Mina 12604 23/06/02 12604
479073 [유머] 카카오톡 ....터짐 [25] 윤석열14281 23/05/08 14281
478463 [유머] 단톡방에 올라온 "비읍시옷"…법원 "욕설 아닌 부정적 감정" 판단 [46] 톤업선크림12447 23/04/26 12447
475316 [유머] 대학교의 흔한 공격과 방어 풍경을 담은 카카오톡 이모티콘 [7] 판을흔들어라9484 23/03/09 9484
475196 [유머] 카카오의 SM 공개매수를 본 직원.blind [8] 김유라11000 23/03/07 11000
470391 [유머] 카카오 먹통 사태 보상안 [36] 전자수도승14465 22/12/29 14465
469881 [유머] 세대별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바일 앱 TOP 10 [41] Leeka11615 22/12/22 11615
466971 [유머] 침착맨 트위치에서 유튜브로 이적 예정!(유튜브 생방송 진행중) [56] Eva01017318 22/11/13 17318
465040 [유머] 카카오 남궁훈 대표 사퇴... [40] 헤세드8314346 22/10/19 14346
464904 [유머] [주식]카뱅이 드디어 해냈습니다 100%! [45] 헤세드8315938 22/10/17 15938
464894 [유머] 카카오 주식 보면서 떠오르는 슈카 짤 [12] NSpire CX II12164 22/10/17 12164
464889 [유머] 카카오 무급 근황 [52] 메롱약오르징까꿍20621 22/10/17 20621
464869 [유머] 카카오 장애 대응 근황.blind [81] 삭제됨18187 22/10/16 18187
464864 [유머] ???: 누가 상장 철회라고 그랬어!! [22] 김유라15182 22/10/16 151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