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1/10 22:40:32
Name 김유라
File #1 1.JPG (52.5 KB), Download : 54
File #2 2.JPG (196.2 KB), Download : 33
출처
Subject [유머] [미국] CPI 해치웠다?






물가지표가 역대급 서프라이즈를 내는데 성공했습니다.

에너지가 약폭 반등했으나, 주거비/에너지 외 물가들이 모조리 꺾이면서 모든 증권사들의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치가 나왔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감전주의
22/11/10 22:42
수정 아이콘
오늘 플5 가나요
신사동사신
22/11/10 22:43
수정 아이콘
본장 열리고 조금 밀리지 않을까요?
플5 가면 솔직히 더 불안할듯요 크크
22/11/10 22:45
수정 아이콘
7.7도 근데 되게 높아 보이는 거 같은데 크크
22/11/10 22:46
수정 아이콘
올해 7월 랠리(?) 때처럼 일단 인플레가 피크 찍은 느낌을 주는 게 크죠. 그땐 페이크였는데 이번엔 과연..
동년배
22/11/10 22:49
수정 아이콘
통계적으로 2.1을 예상했는데 1.7이 나온 것도 아니고 8.1 예상에 7.7 이면 그게 그거다 싶은데 이코노미스트들은 다르다고 하니...
호러아니
22/11/10 23:38
수정 아이콘
살짝 일찍 (마법의) 선반영하나보죠.
다록알
22/11/11 07:22
수정 아이콘
동감합니다 (근데 7.9 예상에 7.7 아니었나요?).
마찬가지로 전에 8.1예상했는데 8.3 나오고 시장 폭락 했던것도 같은 이유로 이해 불가였습니다. 핀포인트로 맞추길 기대했던건지. 그냥 지금 시장참여자들이 하락 상승의 명분 찾는 사람들이 많아져서 그런듯 합니다. 시장이 비효율적이라는 대표적인 예가 아닌가 싶습니다.
와일드튀르키예
22/11/10 22:53
수정 아이콘
몇달째 꺽일줄 알았는데 안꺽이다가 이번달에야 꺽인거라... 환호할만하죠
22/11/10 22:54
수정 아이콘
비트코인 +5% 상승빔!!!
아케이드
22/11/10 22:55
수정 아이콘
달러 떡락중이네요 오늘 나스닥 폭등 예약이네요
22/11/10 23:06
수정 아이콘
이게 정말 말장난인게 불과 지난달까지만 해도 cpi지수 나올 때 시장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면 전부다 악재라고 해놓고 시장 예상치보다 높게 나오니까 갑자기 "예상보다 강한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곧 물가 인상이 정점을 찍을 것이라는 것을 예고하는 것"이라며 9월 cpi발표후 오히려 나스닥과 다우는 폭등했고 그 다음날 하루를 제외하고 쭉 올라갔지요. 그렇다면 이번에는 시장예상치를 하회했으나 하루 반등 크게주고 그냥 반대로 조정을 줄 것인가 아닌가를 지켜봐야겠지요 어차피 다음주가 미국 옵션 만기일이니까 이것저것 말장난으로 왔다리 갔다리 할텐데 (예를 들면 중간선거 우편투표 집계결과 발표로 하락이라던가)지난달에 cpi로 당한게 있어서 역시나 오늘 공매도 포지션 청산하고 나왔는데 cpi가 예상치를 하회했어도 지난달처럼 상승이 나왔을 수도 있었을 겁니다.
아케이드
22/11/10 23:12
수정 아이콘
후행적 해석 같은 건 말장난이 많지만
인플레이션만 잡으면 불황이 와도 FED가 돈을 풀어줄 수 있어서, 물가지수는 무조건 낮게 나오는게 좋죠
22/11/10 23:23
수정 아이콘
물가지표는 원래 코로나 이전에는 주식시장에서 시장영향력이 적은 지표라서 고용지표보다 시장영향력이 적었는데 금리인상이후로 이걸로 인플레이션을 평가할수 있다라고 말하면서 이야기 하지만 어차피 bj파월이 다음달 fomc회의에서 어떻게 생각하느냐 마느냐 차이기 때문에(지난달에도 시장에서는 고용지표와 cpi등을 이야기하며 파월이 금리인상 속도조절을 할 거라 이야기 했지만 반대로 나왔지요) fomc회의때 어떻게 나올지는 이번에도 까봐야 알겠지요.
아케이드
22/11/10 23:29
수정 아이콘
코로나 이전에는 굳이 신경 안 써도 될 정도의 물가수준이었으니 영향력이 없었지만 지금은 금융정책을 제한할 정도로 강력한 인플레이션이 우려되니 그만큼 영향력이 커진건 당연한 거죠
지금 주식 시장에서 최악은 경기침체가 닥쳐서 작살나는데 인플레이션 때문에 FED가 높은 금리를 유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오는 건데
인플레이션이 잡히면 FED가 부양책을 쓸 수 있는 여유가 생기기 때문이구요
인플레이션 그 자체가 주식시장에 영향을 주는 건 아니지만, FED가 금융정책에 선택권을 가질수 있게 해서 중장기적으로 호재라는 겁니다
건설안전기사
22/11/10 23:21
수정 아이콘
내일 기대해도 좋겠죠? 흐흐
아이군
22/11/10 23:27
수정 아이콘
해치웠나?
22/11/10 23:47
수정 아이콘
선녀니?
메가트롤
22/11/11 00:11
수정 아이콘
가즈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악
헤세드83
22/11/11 02:14
수정 아이콘
자다 일어났는데 나스닥이 6프로상승...
22/11/11 02:15
수정 아이콘
한번은 더 봐야할 것 같습니다. CPI랑 코어CPI 둘다 예측치 하회하긴 했는데 코어 CPI 는 올해 내내 yoy 6퍼센트 전후에서 놀았는데 이게
6.00%
6.40%
6.50%
6.20%
6.00%
5.90%
5.90%
6.30%
6.60%
6.30%
요런 식이라서 진짜 해치운 게 맞는 건지 그냥 에너지값 내려서 CPI가 꺾인건지.. 아무튼 인플레의 체급은 코어 CPI 라서 안심할 상황은 아닌 거 같아요.
Peter Pan
22/11/11 02:30
수정 아이콘
빅스 슬슬 튈거같아서 무섭긴 한데 포모가 너무 크다악ㅜㅜ
일모도원
22/11/11 06:28
수정 아이콘
오늘 국장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7065 [유머] 일본과 한국의 간판 차이 [22] OneCircleEast13908 22/11/14 13908
467064 [LOL] 류칭쑹 근황.jpg [4] insane7937 22/11/14 7937
467063 [기타] 충전이 필요없는 이어폰.jpg [27] insane10980 22/11/14 10980
467062 [유머] 심슨 k pop 짤막.. [2] Valorant8490 22/11/14 8490
467061 [LOL] 현직코치가 이야기하는 롤판의 문제점 [70] OneCircleEast17047 22/11/14 17047
467060 [기타] [주식] 올해 하락장에서도 수익을 내는 어느 주식투자의 신의 계좌(레버레지없음) [20] 보리야밥먹자11777 22/11/14 11777
467059 [LOL] [흉폭한 포로] 결승전 만화 Janzisuka8368 22/11/14 8368
467058 [LOL] 페이커 메운디가 뭐야 ??? 메운디가 얼마나 매운디.mp4 [5] insane9405 22/11/14 9405
467057 [LOL] 파산한 FTX 창립자 근황.jpg [11] insane8716 22/11/14 8716
467056 [게임] 10월 전세계 활성 이용자 수 순위 [8] 이호철8817 22/11/14 8817
467055 [유머] 요즘 레이싱 게임 근황 [2] NSpire CX II9095 22/11/14 9095
467054 [기타] 누가 진짜 사람일까? [33] 타카이13676 22/11/14 13676
467053 [유머] 누나는 엄마가 되어도 여전히 누나다.jpg [8] Starlord11469 22/11/14 11469
467052 [유머] 에에잇 비겁한 항우놈이 오랑캐를 데려오다니 [13] 길갈8624 22/11/14 8624
467051 [LOL] 전직 여돌의 롤 티어 그님티? [20] SAS Tony Parker 8824 22/11/14 8824
467050 [서브컬쳐] 일본 현지에 와보니 스파이패밀리 아냐 이거 완전 거품임 [18] 요하네8966 22/11/14 8966
467049 [게임] FM) 잉글랜드 월드컵 우승.JPG [9] 비타에듀7025 22/11/14 7025
467048 [서브컬쳐] (약후) 업계평균 퀄이 초상향된 업계.jpg [44] 캬라16713 22/11/14 16713
467047 [기타] FTX사태로 가장 손해볼수 있는 계층을 알아보자 [31] Lord Be Goja11156 22/11/14 11156
467046 [기타] 이동권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되는 브이로그 [72] 로즈마리14308 22/11/14 14308
467045 [유머] [코인] FTX가 망한 과정 [47] 김유라13567 22/11/14 13567
467044 [기타] [트위터] 지난 일요일 추가 감원 [14] 타카이10094 22/11/14 10094
467043 [기타] 올해도 어김 없이 찾아온 중앙일보 대학평가... [72] 우주전쟁15769 22/11/14 157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