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1/10 11:30:00
Name 짐승
File #1 6262ffc458cad30c720aeb520a9a836e.jpeg (11.9 KB), Download : 51
File #2 7c3c97dc97fbbdd5478a13c568373480.jpeg (248.2 KB), Download : 42
출처 https://blog.twitch.tv/ko-kr/2022/11/09/vod-%EC%BD%98%ED%85%90%EC%B8%A0%EC%97%90-%EA%B4%80%ED%95%9C-twitch-%EC%BD%94%EB%A6%AC%EC%95%84-%EC%97%85%EB%8D%B0%EC%9D%B4%ED%8A%B8-%EB%B0%8F-%EC%95%BD%EA%B4%80
Subject [기타] 트위치, 한국 유저 VOD 기능 중단 (수정됨)




트위치의 사실상 한국 철수 선언이고, 결국 아프리카의 천하통일이 이루어지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ainworks
22/11/10 11:30
수정 아이콘
와 이건 좀 에반데
22/11/10 11:31
수정 아이콘
한국 통신업계가 훨씬 에바쎄바라;;;
22/11/10 11:30
수정 아이콘
이제 트위치는 한국에서는 끝났네요
NSpire CX II
22/11/10 11:31
수정 아이콘
이번에는 한달 전에 공지하네요

트위치는 완전 방 뺀다고 봐도 되겠습니다
22/11/10 11:31
수정 아이콘
타카이
22/11/10 11:31
수정 아이콘
뭔가 슈퍼파워에서 아프리카에 있는 국가로 세계정복으로 하고 싶어지는 뉴스네요
타시터스킬고어
22/11/10 11:31
수정 아이콘
헐... 이건 너무 큰데요?
티아라멘츠
22/11/10 11:31
수정 아이콘
와 vod 생성이 안된다고??
티아라멘츠
22/11/10 11:32
수정 아이콘
시청 불가야 우회로 하면 되는데 생성 불가는;;;;
22/11/10 11:31
수정 아이콘
720은 시간 때문에 생방 못 봐서 그려러니 했은데
다시보기 막히는 건 크네요
22/11/10 11:31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돈 못벌면 지들이 아쉽지 않을까요
Valorant
22/11/10 11:32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벌리는 것보다 유지하는 돈이 훨씬 많아서 망사용료 이슈가 나온거니까 트위치는 아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고래싸움에 새우등(시청자)만 터지는중..
죠르디
22/11/10 11:32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쓰는돈 >>> 한국에서 버는 돈
지금 상황이 이러니 아쉽지는 않겠죠..
22/11/10 11:35
수정 아이콘
뭐가 아쉬워요 돈이 안벌리는 악성파티인데
22/11/10 11:38
수정 아이콘
지금까지 적자라서 벌어본적이 없어서 괜찮습니다
22/11/10 11:46
수정 아이콘
한국이 IT 테스트의 요람... 한국에서 성공하면 세계에서도 성공 같은 쩌는 표현으로 인지되던 시절도 있기야 한데

전세계 인구수 고려해볼때 매력이 있는 시장이냐고 말하면 크흠....
애플이 그나마 스토어 내주고 있긴 한데, 한참때까지도 1차출시국 취급조차 안해줬던 그 자체가 그냥 글로벌한 서비스들이 한국을 보는 시선입니다.
22/11/10 11:47
수정 아이콘
많은 글로벌 기업들에게 한국은 계륵일 거라 생각합니다. 시장은 작은데 요구수준은 높으니까요.
22/11/10 16:03
수정 아이콘
계륵 수준도 안될듯요
묵리이장
22/11/10 11:54
수정 아이콘
적잔데 아쉬울리가
카바라스
22/11/10 14:59
수정 아이콘
지금 트위치는 시청자가 많아지면 적자가 더 심해지는 상황이라..
Valorant
22/11/10 11:31
수정 아이콘
한국 서비스 종료는 아니다... 종료는...
수준이네요.
22/11/10 11:32
수정 아이콘
(대충 우리식당 정상영업 합니다.jpg 짤)
디쿠아스점안액
22/11/10 11:49
수정 아이콘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유저분께: 유로 컨텐츠 업데이트 종료를 알립니다. 그러나 스타크래프트 2처럼 밸런스 패치는 계속될 것입니다.
22/11/10 11:32
수정 아이콘
어차피 생방 못 보고 집에서 전장 VOD나 보면서 자기 때문에 트위치 터보를 계속 써온건데...
이건 너무 크네요.
22/11/10 11:34
수정 아이콘
뽀르띠아 바이..
츠라빈스카야
22/11/10 11:32
수정 아이콘
이야....
스위치 메이커
22/11/10 11:33
수정 아이콘
이거는 진짜 다 나가라는 거네요

720p에도 안 나가니까 그냥 나가라고 몰아세우는...
StayAway
22/11/10 11:33
수정 아이콘
유튜브가 이런거 하면 망사용료 이슈 그냥 한방에 정리인데..
아케이드
22/11/10 11:36
수정 아이콘
유튜브가 캐시서버 빼버리면 진짜....
포프의대모험
22/11/10 11:40
수정 아이콘
한국회사 티어가 딸리는 문제는 해결안될건데
3사 담합해서 배째버리면 걍 한국 유튜브 시청 자체가 나락가버리는거 아닌가요?
StayAway
22/11/10 11:43
수정 아이콘
결국 3사가 못 버틸거라 봅니다.
극좌 극우 국뽕 유튜브 중독자 등등이 가만 있지 않을걸요..
대통령도 힘 좀 써주실거 같고..
22/11/10 11:59
수정 아이콘
앗.. 아앗..
포프의대모험
22/11/10 12:09
수정 아이콘
뭐 지금상황은 구글이나 넷플처럼 대형사들은 자기들이 서버 꾸려서 "해주는"거라..
이런거 일체 없다하면 1티어에 주는 통신요금을 어케 만들죠? 정치인들이 패서 해결될게 아닌거같던데요
소독용 에탄올
22/11/10 13:30
수정 아이콘
통신요금 인상과 인터넷 종량제로요....
아케이드
22/11/10 12:04
수정 아이콘
이게 재밌는게 구글은 글로벌 전용선 있어서 서비스에 문제는 없을 것이고 오히려 국내 통신사의 접속료 부담이 커질 겁니다
포프의대모험
22/11/10 12:07
수정 아이콘
그니까요. 스피드를 뭐같이 만들겠죠.. 해외서버에 있는 영상 틀면 240p로 나온다던지..
소독용 에탄올
22/11/10 13:31
수정 아이콘
???:이용하지 않는 시민들이 요금부담을 같이하는 문제 해결을 위해 이용량에 따라 요금 차등 둬야.
22/11/10 13: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망사용료 때문이 아니라 법문제일거라 생각합니다
유투브 겜방 생방하는거 보면 저작권 때문에 노래도 못 틀어요
No.99 AaronJudge
22/11/10 15:03
수정 아이콘
일단 높은분이 가만있지 않을거기때문에…
L'OCCITANE
22/11/10 11:33
수정 아이콘
외국 lol대회는 나중에 vod로 외국인들 채팅과 같이 보는 맛이 있었는데 그것도 못하겠네요
참 아쉽습니다
아케이드
22/11/10 11:33
수정 아이콘
슬슬 서비스 종료 준비하는 분위기네요
적자운영이라니 딱히 할 말은 없네요...
예니치카
22/11/10 11:34
수정 아이콘
걍 통신사 때문에 못해먹겠다고 솔직히 말이나 하지 뭔 한국 커뮤니티를 특별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어쩌고 이런 말은 왜 넣었는지 모르겠네요.
타르튀프
22/11/10 12:28
수정 아이콘
중요한 공지에 함부로 타인에게 귀책을 묻는 문구 썼다가는 법적 책임을 지거나 다른 재판에 불리한 증거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공지에는 당연히 아무런 의미 없더라도 듣기 좋은 공허한 문구를 쓰는 게 맞습니다. 단적으로 당장 방통위가 눈에 불을 켜고 지켜보고 있기 때문에 '특정 사업자와의 갈등으로 이용자들에게 불편을 초래했다' 이런 식으로 프레임 잡히면 빼도박도 못하게 됩니다. 컴플라이언스나 리스크 컨트롤 관점에서는 지극히 당연한 업계 관행이죠. 오히려 솔직하게 쓰면 바보.
22/11/10 11:34
수정 아이콘
철수 준비 하나보군요 안타깝네요 트위치가 취향인데
유료도로당
22/11/10 11:35
수정 아이콘
이거는 그래도 1개월 유예기간 주네요. 이거를 당장 내일부터 안해주는건 진짜 소송각이라..
전지현
22/11/10 11:35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주가 떨여졌다는 글을 얼마전에 pgr에서 봤는데
산밑의왕
22/11/10 13:20
수정 아이콘
지금 보니 오늘 17% 올랐네요 크크
22/11/10 11:37
수정 아이콘
인공호흡기 떼버렸네요 헤헤...
22/11/10 11:37
수정 아이콘
LCK 이제 어디서 봐야 하죠 ㅠㅠ
22/11/10 11:37
수정 아이콘
좀기다려보겠다던 스트리머들 많았는데
이제 엑소더스 시작되겠네요
22/11/10 11:37
수정 아이콘
다시보기 보려고 구독도 하는데 유로서비스도 이용하지말고 정말 나가란거네요.
jjohny=쿠마
22/11/10 11:37
수정 아이콘
트위치 스트리머들 난리났네요.
단체로 아프리카 이적해야 되나...
이적하면 아프리카에서 받아들일 파이가 되기는 할까...
22/11/10 11:38
수정 아이콘
걍 돈 안 되는 거 다 빼는듯
아마존 주가도 이미 코로나 빔 맞았을 때로 돌아갔고
raindraw
22/11/10 11:38
수정 아이콘
법률 준수라면서 어떤 법률 때문인지 한마디도 없네요. 그냥 하기 싫어서 하는데 핑계 대는 것 같습니다.
아쉽지만 철수로 가는 분위기 같습니다. 돈이 안되는데 어쩔 수 없는 거죠.
22/11/10 11:41
수정 아이콘
하기 싫어서 라니 망 이용료 사태가 법률 하나 때문에
난리 인건데 조금 알아보시는것도 나쁘지 않을 듯 합니다

유튜브도 방빼지 않으라는법 없어요
raindraw
22/11/10 11:4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망이용료 때문에 규제가 생기는 건 아니잖아요.
망이용료 문제는 "돈이 안되는데 어쩔 수 없는 거죠."라고 적어두었습니다.
망이용료 문제는 트위치 측에 동의하는데 규제관련 이야기는 그냥 핑계로 보인다는 댓글이었습니다.

추가) 덤으로 저는 망이용료 비싸고 문제 있어서 낮춰야 한다고 생각하고, 통신사 측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jjohny=쿠마
22/11/10 11:45
수정 아이콘
'트래픽에 따른 망이용료 부과' 자체가 '규제'의 개념에 해당하는 것 같습니다.
'규제를 준수하려면(현재의 트래픽에 따라 망이용료를 납부하려면) 돈이 안된다' = '트래픽량을 줄이겠다' = 즉, 같은 이야기를 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raindraw
22/11/10 11:47
수정 아이콘
개념을 넓혀서 보자면 그걸 규제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예를 들어 전기요금이 두배 뛰었다고 가정했을 그게 비싸다고 전기이용 규제라고는 아무도 안하잖습니까?
jjohny=쿠마
22/11/10 11:52
수정 아이콘
'넓게 보면'이 아니고, 그 조항 자체가 대형서비스업체에 대한 규제의 개념(사이즈가 크거나 트래픽이 많으면, 트래픽에 따라서 돈을 내라)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raindraw
22/11/10 11: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걸 규제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저는 그냥 이용요금이 과다하다고 보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글을 이상하게 써서 댓글들이 괜히 많아졌네요. 글쓰기 좀 잘해야 할텐데 항상 엉망이네요. ㅠㅠ
jjohny=쿠마
22/11/10 12:46
수정 아이콘
그런데 아닐 수도 있다는 얘기도 있는 것 같네요. 아래쪽 댓글타래 참고해주셔요.
22/11/10 11:46
수정 아이콘
방통위가 1080 이슈때문에 트위치 규제한다고 하고 있죠..
22/11/10 11:47
수정 아이콘
반드시 망 사용료 관련 계약을 해야 한다
가 규제가 아니면 머죠?

지금 법 통과되면 통신사가 지마음대로 요금 부과하고
계약에서 깽판치면 계약못한 cp는 다 범법자 됩니다
그게 규제가 아니면 머죠?

통신사 한테 허가 받고 사업해야되는 수준의 규제에요
22/11/10 11:54
수정 아이콘
표준 계약서도 없고 지금도 주먹구구식 수의계약인데
칼자루를 통신사에 준다?
게임물 관리위원회의 심의 같은걸
통신사한테 양도한다고 봐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니까 통신사가 목숨걸고 통과시키려고 하는거구요
이제 통신사 심기 거스르면 끝장나는거에요
22/11/10 11:57
수정 아이콘
심플하게 설명하면 통신 3사가 국내에서 쭉 왕이었는데
유튜브니 넷플릭스니 양키들이 자기 권위를 무시하니까
싸그리 잡아다가 발밑에 꿇리겠다는 법입니다

이게 규제가 아니라구요?
raindraw
22/11/10 11:58
수정 아이콘
네 저도 통신사 주장에 대해서 전혀 동의하지 않습니다.
트위치 쪽의 주장에 더 동의하구요.
규제 표현이 좀 이상하다고 썼을 뿐인데 잘못 받아들여졌으니 제 잘못이네요.
앙몬드
22/11/10 12:23
수정 아이콘
님 잘못 아닙니다
저도 이걸 왜 규제라고 표현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처음 보자마자 아니 무슨 법령이 다시보기 올리지 말라는 법이 생겼나? 라는 생각 했습니다
단비아빠
22/11/10 14: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www.fnnews.com/news/202210061713006927
720p로 해상도 낮춘게 제재 대상으로 검토되던걸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런게 규제가 아니면 뭐겠습니까?
동영상 다시보기도 무리하게 유지할려고 해상도 낮추면 괜히 덤태기 쓸 수 있죠.
22/11/10 11:50
수정 아이콘
사기업이 돈이 안되서 셔터 내리겠다는데 무슨 이유가 더 필요한가요?
raindraw
22/11/10 11:51
수정 아이콘
[돈이 안되는데 어쩔 수 없는 거죠.] 단지 규제라는 표현이 이상하다고 이야기했을 뿐입니다.
22/11/10 12:19
수정 아이콘
추측이지만 저작권 문제인 것 같습니다. 다시보기에 나오는 음악 이런류...
22/11/10 12:36
수정 아이콘
그런건 컷해요..
22/11/10 12:38
수정 아이콘
그래도 현실적으로 다 막진 못하니까요
기본적으론 핑계겠지만 망사용료 이슈가 아니라고 한 이상 명분으로 생각나는게 그거밖에 없네요
22/11/10 16:14
수정 아이콘
유독 "한국만" 그러는데 완전 핑계죠
지니쏠
22/11/10 11:38
수정 아이콘
와 진짜 심하네요…
데몬헌터
22/11/10 11: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진성 트수인데 이건 치명타인데요;;스2는 아프리카로 옮기면 되지만 소규모 방송은 정말 유튜브 다시보기 편집 잘하는 침착맨 풍월량 김도 따효니 이런 대기업들 아니면 완전 버틸수가 없다 수준입니다
22/11/10 11:39
수정 아이콘
결국 '한국 법률 규제 때문에' 이렇게 결정되었고 그게 돈 때문은 아니야~ 라는데 무슨 규제 때문에 VOD를 남기면 안된다는 건지 모르겠네요.
전세계에서 한국사람들만 시청이 불가?.. 무슨 맥락과 이유인지 상세한 설명이 없네요. 법과 규제 때문이면 무슨 법과 규제인지 설명해야 하지 않나요?
핵심 기능인데 ..
머나먼조상
22/11/10 11:45
수정 아이콘
어차피 한국시장 버릴건데 고객도 아닌 사람들한테 시간낭비 안하겠다는거죠
22/11/10 11:45
수정 아이콘
망 사용료 계약을 반드시 해야 한다라는 법이 통과되기 직전이죠
이거 통과되면 cp들 앵간하면 한국사업 축소 할꺼에요
트위치 탓 하기전에 정신 똑바로 차리고 행동 안하면
통신사 덕에 재밌는 결말 보실겁니다
담배상품권
22/11/10 11:46
수정 아이콘
근데 저희가 뭘 어떻게 해야하죠.
통신사 엿같은것들 뭐 어떻게 할 방법이 없네요.
알빠노
22/11/10 11:41
수정 아이콘
한국 서비스 종료 수순으로 가네요. 내년 하반기쯤 예상합니다
한국 통신망 카르텔 손 보긴 해야합니다
22/11/10 11:41
수정 아이콘
집나간 팟수들... 돌아와야겠지??
데몬헌터
22/11/10 11:4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카카오 TV: 이걸 우리한테?
다만 카카오가 하도 관리를 못해서 트위치로 다들 넘어온거라 트위치에 남거나 아프리카로 가면 갔지 카카오로 돌아가지는 않을거같습니다 카카오 망하는게 더 빠를듯 크
환상회랑
22/11/10 11:43
수정 아이콘
진짜 카카오팟 다시 돌아가야되나 크크! 거기 완전 공동묘지 분위기던데요. 아프리카는 진짜 감성이 안 맞는데...
EurobeatMIX
22/11/10 11:56
수정 아이콘
다음팟 시절이면 이미 그렇게 되었을텐데
이놈의 카카오는 진짜...
겟타 엠페러
22/11/10 11:42
수정 아이콘
이거 진짜 트위치는 끝난듯
22/11/10 11:43
수정 아이콘
K-갈라파고스가 멀지 않았네요
교자만두
22/11/10 11:44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오르네
개인정보수정
22/11/10 11:44
수정 아이콘
다시보기는 유튜브 업로드로 대체한다도 해도 클립까지 막는건 으마무시하군요. 720p가 생각보다 약빨 안먹히니 간보는거 같기도 하고.
OcularImplants
22/11/10 11:44
수정 아이콘
이럴때 믹서가 살아있었다면... 크흑
22/11/10 11:51
수정 아이콘
믹서는 한국 시장에 굉장히 무성의했기 때문에 트위치가 이러기 한참 전에 손 뗐을 거라 생각합니다. 한국어 채팅 버그도 몇 년씩 방치하던 자들이죠.
22/11/10 15:46
수정 아이콘
믹서는 가뜩이나 b2c 더 문제있는 마소였는데요
22/11/10 11:44
수정 아이콘
다시 보기를 구독자 전용으로 설정해 놓은 스트리머들도 많던데, 이러면 구독의 이점이 더 떨어지겠네요. 비디오 저작물의 배포와 동영상쪽 설명도 쎄한게...나중에 영도도 막힐 수 있다는건지
jjohny=쿠마
22/11/10 11:45
수정 아이콘
[규제]가 뭐냐고 물으시는 분들이 많은데...
- 본문에서 말하는 '규제'는 '트래픽에 따른 망사용료 부과'이고
- '규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최적의 방안'은 '트래픽 감축' 아닐까 싶습니다.
jjohny=쿠마
22/11/10 12:46
수정 아이콘
그런데 망사용료 때문이 아닐 수도 있다는 얘기도 있는 것 같네요. 아래쪽 댓글타래 참고해주셔요.
피우피우
22/11/10 11:46
수정 아이콘
LCK 다시보기 해야된다구ㅠㅠ
22/11/10 11:46
수정 아이콘
'방통위, 트위치 한국 VOD 기능 중단 실태조사 돌입'

곧 기사 나오겠네요 크
22/11/10 11:49
수정 아이콘
참 웃긴놈들이에요 사기업이 돈 안되서 순차적으로 방 빼겠다는데

720p 부터 시작해서 무슨 조사를 하는거고, 조사하면 뭐 어쩔건지 크크
Emas Parker
22/11/10 11:52
수정 아이콘
아마존 : 알빠노..
담배상품권
22/11/10 11:57
수정 아이콘
하면 어쩔건지
라바니보
22/11/10 12:07
수정 아이콘
트위치 한국이 이미 없을 것같네요... 후우 BTS님 한마디 해주세요.
Paranormal
22/11/10 12:11
수정 아이콘
통신사 앞잡이죠 방통위 크크
22/11/10 11:46
수정 아이콘
??? : 다음팟 아직 장사합니다^^
데몬헌터
22/11/10 11:47
수정 아이콘
카카오 너넨 나가있어..
플라스틱
22/11/10 11:47
수정 아이콘
참 이게 무슨 소리죠... 이러면 한국 방송 뿐만 아니라 해외 방송의 경우에도 한국에선 VOD를 못 본다는 의미인가요?
jjohny=쿠마
22/11/10 11:49
수정 아이콘
창작자가 한국인이냐 아니냐보다는 한국에서 트래픽이 발생하느냐 아니냐가 중요한 거니까,
한국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감축시키기 위하여 한국 시청자는 VOD 시청을 제한한다는 얘기 같습니다.
티아라멘츠
22/11/10 11:49
수정 아이콘
생성이 막히면 그렇게 될 듯 합니다
플라스틱
22/11/10 11:49
수정 아이콘
직접 들어가서 보니까 국적 상관없이 한국에서는 VOD를 못본다고 써있네요........ 아니 해외 컨텐츠까지 막는게 정말로 저작권이랑 상관있어서 막는거 맞나요?
jjohny=쿠마
22/11/10 11:53
수정 아이콘
저작권이랑 상관 있어서 막는다는 얘기가 있나요?
플라스틱
22/11/10 11:54
수정 아이콘
다시 차근차근 읽어보니까 규제라고만 되어있지 저작권때문이라는 이야기는 없네요...그래도 개인적으로는 이해가 안가긴 합니다.
jjohny=쿠마
22/11/10 11:55
수정 아이콘
네 위에도 썼지만, 그 '규제'는 아마 트래픽에 따른 망사용료 부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jjohny=쿠마
22/11/10 12:46
수정 아이콘
그런데 망사용료 때문이 아닐 수도 있다는 얘기도 있는 것 같네요. 아래쪽 댓글타래 참고해주셔요.
Valorant
22/11/10 11:51
수정 아이콘
실제상황입니다
22/11/10 12:34
수정 아이콘
뭐 그건 우회하면 되긴 하지 않을까요
붕어싸만코
22/11/10 11:47
수정 아이콘
트위치 떼!!!!!!운!!!!!!!
동수칸 구독 30개월까지 두달남았는데ㅠㅠㅠ
앞날이 불투명하네요.
이제 내 인방시청 역사도 끝이구나
랜슬롯
22/11/10 11:48
수정 아이콘
이건 진짜 철수 선언이긴하네요….
낭만서생
22/11/10 11:49
수정 아이콘
궁금한대 트위치 같은 플래폼 대기업에서 진출하기에는 별로인가보죠? 저도 아프리카 보다는 트위치 취향인지라
데몬헌터
22/11/10 11:52
수정 아이콘
카카오TV 사례를 보면 유능한 관리자가 있어야합니다.(라 쓰고 일은 많고 칭찬들을일은 별로 없는 욕받이에 가까운느낌?)
방송판이 운영하다보면 일종의 마굴(코갤-인방갤의 막장성은 일모 사이트에 비견될정도로 악명높죠) 비슷한게 되기도 하는데, 이점의 스트레스도 장난 아닐꺼구요
EurobeatMIX
22/11/10 11:58
수정 아이콘
트위치도 아마존 빽인데 500억적자라 감당안되는 모양새입니다.
국내기업이 통신사랑 싸바싸바 해서 네이버같은데는 시도해볼지도 모르겠네요.
22/11/10 14:02
수정 아이콘
그리드 쓰는 아프리카가 1년에 200억씩 망사용료로 낸다고 합니다
저작볼 생각으로 들어오는거 이상 안되요
겟타 엠페러
22/11/10 11:50
수정 아이콘
이게 정치쪽이 징하게 얽혀있다고 들어서 딥하게 말하기도 뭐하네요
환상회랑
22/11/10 11:50
수정 아이콘
이럴때 누가 새 인방 플랫폼 만들어서 다 끌고가면 크크 솔까 트수들이 아프리카로 옮겨가느니 인방 접는거 선택하는 사람이 많을겁니다. 그쪽 감성이랑 많이 안 맞아서.
jjohny=쿠마
22/11/10 11:57
수정 아이콘
근데 스트리머들이랑 시청자들이 통째로 옮겨가면, 그냥 아프리카 내에 새로운 그룹이 생길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22/11/10 12:02
수정 아이콘
그 인방 플랫폼도 망 이용료 폭탄 맞고 죽겠죠
판도라니 네이버니 하기 싫어서 안해온게 아니죠
작은대바구니만두
22/11/10 12:44
수정 아이콘
만들어봐야 트래픽 비용 감당 못해서 성공하기 힘듭니다. 신규는 더더욱 힘에 부치죠.
레드벨벳 아이린
22/11/10 11:50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주가 상승하네요 크크
22/11/10 11:53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주식 의문(?)의 불기둥 생성중
22/11/10 11:55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문화가 너무 다르던데 어떻게 될지 궁금하네요
Valorant
22/11/10 11:58
수정 아이콘
카카오티비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을까?
한국 인방계에 이런 일이 발생하네요. 완전 시청자와 개인방송인들만 손해보는 중
EurobeatMIX
22/11/10 12:00
수정 아이콘
유튜브가 안나서면 트위치 선에선 방빼고 끝날거같긴한데
22/11/10 12:01
수정 아이콘
720P 볼만한데? 혹은 알음알음 외부프로그램으로 1080P 보니까 괜찮은데? 하고 끝날 일이 아닌건데 말이죠.

여튼 즐거웠다 빠이빠이..
22/11/10 12:01
수정 아이콘
트위치 철수로 트래픽을 유발하는 해외 서비스는
더이상 국내에 들어올 필요없이 해외에서 서비스를 하겠네요.
해외에서 서비스 : 망사용료 기타 서비스 비용 지출 없음
국내에서 서비스 : 망사용료 지불 국내 서비스 지출 발생

결국 등터지는건 한국 소비자들 뿐이네요.
반니스텔루이
22/11/10 12:03
수정 아이콘
갓오브워가 나왔는데도 딱히 변화가 없어 보이니까 또 초강수 수단 뒀군요
장기적으론 철수하겠다 이 소리인듯..
겟타 엠페러
22/11/10 12:04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 전일대비 10프로 이상 올랐네요 크크
라바니보
22/11/10 12:08
수정 아이콘
하이고야.... 스트리머들 어찌합니까 트수들 어찌합니까... 흑흑
22/11/10 12:08
수정 아이콘
안타깝네요...
지니쏠
22/11/10 12:13
수정 아이콘
공지에 따르면 망사용료 때문은 아니라네요.
https://blog.twitch.tv/ko-kr/2022/11/09/vod-콘텐츠에-관한-twitch-코리아-업데이트-및-약관-변경의-건/?ios-app-redirect=true
비용 절감을 위한 조치인가요?

한국 내 VOD 콘텐츠 중단은 네트워크 요금 및 시장의 비용 증가와 관련이 없습니다. 저희는 이전부터 한국 법률 준수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으며, 진화하는 규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최적의 방안을 구현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 시청자에 대한 VOD 콘텐츠 중단을 오늘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아케이드
22/11/10 12:17
수정 아이콘
그게 그 소리 같은데 말을 빙빙 돌려서 썼네요
모종의 협박이라도 있나...
22/11/10 12:17
수정 아이콘
음.. 돈 없어서 기능을 빼버린다고 공지할수 있는 회사가 있을지..
지니쏠
22/11/10 12:22
수정 아이콘
화질저하때는 비용문제때문이라고 어느정도 명확히 썼던걸로 기억합니다. 그리고 다시보기의 경우, 시청할때마다 광고를 넣을 수 있는 수익산업이기때문에, 비용문제라면, 화질을 낮춘다든가 광고를 더 많이 넣는다든가 하는 방식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야지, 아예 서비스를 종료하는건 좀 이해가 가지 않기도 합니다.
아케이드
22/11/10 12:31
수정 아이콘
수익성 개선이 될만 하다는 타산이 나오면 하겠죠... 기업인데...
굳이 있는 서비스를 막는 건 답이 안 나온다는 거죠
죠르디
22/11/10 13:01
수정 아이콘
그랬다가 방통위에서 720p로 계속 때리니까.. 이번에는 대놓고 말할수는 없는거 아닐까요
manbolot
22/11/10 12:33
수정 아이콘
걍 아무리 봐도 영도 이슈가 가장 클듯요
영도를 다시보기로 트위치 서버에 남기면 저작권 이슈로 걸리는데
뭐 굳이 그걸 일일히 찾아서 지워서 하는 작업을 하느니 싸그리 막는게 낫죠

트래픽 이슈라면 VOD도 720 으로 낮추면 되는거지 굳이 날릴 필요는 없는거니까요
지니쏠
22/11/10 12:37
수정 아이콘
저도 추측일 뿐이지만 저작권 이슈라면 영도보다는 음악때문일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음악때문에 다시보기 등을 삭제하라고 한 이슈가 이전에도 한번 있었고, 그뒤로 저작권 위반 음악이 재생되는 부분을 다시보기에서 음소거 시키는 기능이 생기기도 했고요. 영도로 비슷한 문제가 생겼다는 얘긴 못들어봤네요.
manbolot
22/11/10 13:10
수정 아이콘
영도도 뮤직비디오 같은거는 저작권이슈가 있으니까요
22/11/10 14:07
수정 아이콘
저도 그 문제일거라 생각합니다
영도 보면 진짜 저작권 신경안쓰고 막틀던데
22/11/10 12:35
수정 아이콘
방통위가 저작권으로 물고 늘어졌을 수도 있죠
다리기
22/11/10 12:14
수정 아이콘
돈 안내놓을 거면 방빼라니까 진짜 방빼네요 핫..
유투브가 진짜 핵폭탄인데 한국 통신사들 대가리 좀 깨버렸으면 좋겠습니다
점프슛
22/11/10 12:15
수정 아이콘
한국시장에 학을 뗄만도 하죠.
추가비용 부과해서 어쩔 수 없이 720p로 제한한걸 정치인들이 추궁까지 해버리니..
22/11/10 12:16
수정 아이콘
결국 터지는건 중간에 낀 소비자들.. 트위치 위주로 보는데 짜증이...
문문문무
22/11/10 12:18
수정 아이콘
허허허 이거이거 잘하면 나조차도 다음투표때 이악물고 다른곳 찍을지도 모르겠는걸?
사나아
22/11/10 12:22
수정 아이콘
기존 한국 기득권들은 아니꼽죠
외국애들이 자꾸 와서 내 밥그릇을 건드니까
만만한애들부터 쳐내는거죠
22/11/10 12:24
수정 아이콘
트수라는 신조어도 팟수의 운명으로...
하종화
22/11/10 12:25
수정 아이콘
통신사와 아마존의 이윤싸움에 스트리머와 트수만 피보는 형국이네요.
망사용료 때문이 아니라면 왜 유독 한국에만 이런 제한을 두는지도 이해할 수 없구요.
아케이드
22/11/10 12:39
수정 아이콘
망 사용료 때문 맞을 겁니다
아래 댓글에도 있지만 소송 같은거 대비해서 일부러 애매한 이유를 대는 거 같구요
타르튀프
22/11/10 12: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위에도 댓글 썼지만 사업상 중요한 결정(특히 사업을 축소해서 이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결정)을 할 때 공지문에 솔직히 내 본심 드러내면서 구구절절 설명하는 건 아마추어나 하는 짓입니다. 이미 사업이 트위치 정도 규모가 되면은 여기에 이해관계자가 수천 수만 단위로 얽혀 있기 때문에 각종 분쟁이나 소송, 방통위 조사 같은 법적 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공지문에다가 대놓고 '통신사 때문에 못해먹겠다'라는 식으로 쓰게 되면 바로 정당한 이유 없이 제3자에게 불편 초래했다고 하면서 법적 책임질 일 생깁니다. 정당한 이유가 있는지 여부를 어떻게 아나요? 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애초에 그런 빌미를 제공해서 법적 분쟁 시작하면 3-5년은 허송세월 하게 되고, 법원이 어떻게 판단 내릴지도 모르는데 그거 자체가 비즈니스 관점에서 엄청난 비용 리스크입니다.

글로벌 IT회사들이 괜히 회사 공식 입장문에다가 별 의미도 없어 보이는 뜬구름 잡는 미사여구 쓰는게 아닙니다. 회사 공식 입장문에 쓰는 모든 문구는 전문가(변호사)들이 문장 하나하나 단어 하나하나 물고 씹고 뜯고 할 수 있는 재료가 되기 때문에, 회사 차원에서도 법률 자문을 받거나 내부 전문가를 통해 문구를 다듬은 후 내보내는 것이 상식입니다. 그리고 공지문에 모호하게 써 두어야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 때 자기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한 긍정적인 내용으로, 추상적이고 애매하게 쓰는 것입니다.
22/11/10 12:51
수정 아이콘
왜 외교적(?) 수사를 이해 못하는 분들이 많은지 참...
22/11/10 13:28
수정 아이콘
트위치 코리아는 솔까 아마추어라고 보면 되지않나요?
타르튀프
22/11/10 13:38
수정 아이콘
트위치 코리아는 그렇지만 글로벌까지 그렇지는 않죠. 저런 사업상 큰 결정은 본사에서 내려오는 거라고 봐야 합니다.
유료도로당
22/11/10 13:48
수정 아이콘
그렇긴한데 전에 720p 낮출때는, 공지문에 네트워크 관련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서 어쩔수없다고 솔직하게 얘기하긴 했습니다. 당시 공지문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Twitch는 한국의 현지 규정과 요건을 지속적으로 준수하는 한편, 모든 네트워크 요금 및 기타 관련 비용을 성실하게 지불해 왔습니다. 그러나 한국에서 Twitch 서비스를 운영하는 비용은 계속 증가해왔으며, 이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한국 내 서비스 운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타르튀프
22/11/10 14:22
수정 아이콘
당시에도 구체적으로 '망사용료'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 요금 및 기타 관련 비용'이라고 우회적으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 누구나 읽으면 알 수는 있지만 어쨌든 표현을 추상적으로 하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는 걸 설명드리고 싶었습니다.
유료도로당
22/11/10 14:28
수정 아이콘
네 무슨 말씀이신지는 잘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비용'얘기는 단 한번도 등장하지 않고 '법률 준수' '규제' 얘기만 나오는 상황이라 혹시나 망사용료와는 다른 이슈가 아닐까 사람들이 의심하는 상황인듯합니다.
Just do it
22/11/10 12:38
수정 아이콘
예견된 결과죠
트코가 삽질하고 트코대표가 튀튀하고 했을 때부터... 오히려 생각보다 오래버텼네?
생각이 들뿐
아쉽긴 하지만 아마존이 무상급식도 아니고...
타르튀프
22/11/10 12:40
수정 아이콘
그것과는 별개로 망사용료 사태가 여기까지 오네요. 애당초 트위치는 적자가 너무 심해서 사업구조 재편이 불가피하다고 봤는데, 철수 쪽으로 방향을 튼걸 보니 한국 시장이 그닥 매력 없다고 판단 끝낸 것 같습니다. 이렇게 되면 아프리카 독점 시대가 당분간 이어질 것 같은데 국내나 해외 스트리밍 플랫폼 중 경쟁자가 나와줘야지 안 그러면 아프리카도 독점 기업으로서 기존보다 더 많은 이윤을 빨아들이기 시작할 겁니다. 솔직히 플랫폼으로서 아프리카보다는 트위치를 조금 더 선호하는 입장이어서 지금 상황이 매우 안타깝네요.
22/11/10 12:41
수정 아이콘
제 경우에도 유튜브로 가면 갔지 트위치 멸망하면 인방 쪽은 접을듯..
긴 하루의 끝에서
22/11/10 12:44
수정 아이콘
기존 시청자들과 다 같이 아프리카로 이동하여 아프리카의 보편적인 문화나 감성이 어떠하든 자기 방송 그냥 기존처럼 묵묵히 해나가면 그만이고, 대규모로 트위치에서 아프리카로의 이동이 일어나면 그 영향을 받아 아프리카 내에도 변화의 바람이 이는 건 불가피한 일이라서 혼자 이동하는 때와 같이 걱정할 필요는 전혀 없을 듯한데 무엇 때문에 그리 주저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마텐자이트
22/11/10 12:53
수정 아이콘
조만간 트위치 코리아 직원들도 다 정리해고 당할듯요
그럴때마다
22/11/10 12:55
수정 아이콘
다시한번 카카오티비가 힘을 내준다면....
우리아들뭐하니
22/11/10 13:04
수정 아이콘
유튜브 트위치 고화질 방송이나 시청이안된다면 기가회선 유지할 이유가 없죠.
작은대바구니만두
22/11/10 13:09
수정 아이콘
이쯤되면 카카오가 인방 좀 제대로 할려나 싶다가 내팽겨친게 일베출신 스트리머들이 아니라 망사용료 때문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22/11/10 13:11
수정 아이콘
유튜브 동시송출해야하나..
카바라스
22/11/10 14:57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해서 스트리밍 플랫폼으로서 유튜브는 메이저중엔 제일 구려서..
22/11/10 13:20
수정 아이콘
내년쯤엔 인방 시청도 접겠네요
그리드같은걸 깔 이유가 없죠

그리고 통신사 횡포는 과연 어디까지 갈지...
기무라탈리야
22/11/10 13:44
수정 아이콘
망사용료 문제로 720 제한 때리니 방통위에서 과징금을 때려서 아마존이 fta관련 소송을 준비한다고 하는 소문이...
22/11/10 14:0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건 법 문제가 맞을겁니다
유투브로 겜방 생방하는 사람들 노래 못틀어요 노래 틀면 저작권 문제료 종료당해서
아프리카가 영도 시스템이 있는데 왜 아프리카에 올라와있는거만 가능하게 할까요?
트위치가 작았으면 몰라도 클만큼 컸으면 저작권도 슬슬 지켜야 하는 문제가 생겼을거라 생각합니다
트위치 보면 진자 영도 막 아무거나 틀던데
담배피는거만 봐도 아프리카 같은 국내쪽 보면 19금 걸고 피거나 담배필땐 캠 끄고 하는데 트위치는 걍 상관없이 피죠
Just do it
22/11/10 14:34
수정 아이콘
이게 맞죠. 불편한 현실이랄까
긴 하루의 끝에서
22/11/10 14:38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와 다음팟 모두 자유라는 신세계적 환상 아래 무법지대나 다름 없던 야생의 시절이 성장하는 데에 큰 발판으로 작용을 했었죠. 트위치도 실상은 비슷한 배경이 있었고, 그 결과 똑같은 수순을 밟고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플랫폼 고유의 특징이나 매력이 나름 있기는 했지만 별다른 수익 구조도 없고 운영진의 노력과 의지도 부족했던 다음팟은 아프리카와 달리 정상화 이후 크게 무너졌는데 트위치도 어쩌면 비슷한 길을 걷겠다 싶네요.
단비아빠
22/11/10 15:03
수정 아이콘
저작권같은게 문제면 구지 한국에서만 철수할 이유가... 저작권 제대로 관리되는 나라에서는 전부 철수해야죠.
한국보다 저작권 훨씬 더 엄격한 일본에서도 방안빼는데요...
22/11/10 15: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게 철수 한다는건 아니죠 독일도 저거랑 비슷하다는데
일본 방송 몇개 넘기면서 봣는데 한국마냥 저챗하면서 영도 보는 사람이 없어서 뭐라고 못하겟는데(영도 이전에 도네가 한국마냥 안터지니)
일본은 이미 법 신경쓰면서 하는지도 모르죠
카바라스
22/11/10 14:56
수정 아이콘
넌 나가라 패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1125 [서브컬쳐] (501111글 관련) 지금 봐도 감탄 나왔던 월레스&그로밋 기차씬.youtube [13] Thirsha2009 24/06/07 2009
501124 [기타] Alt + F-4 [2] 겨울삼각형2577 24/06/07 2577
501123 [유머] 100메가 쇼크 이세계전생 [16] lemma3430 24/06/07 3430
501122 [유머] 후방아님) 코인 사면 여동생 가슴 보여줌 [2] 일신6370 24/06/07 6370
501121 [게임] 5월 모바일게임 한국 매출 순위.jpg [22] 굿럭감사3538 24/06/07 3538
501120 [유머] 월급 실수령별 하지말아야 할 것.jpg [54] 핑크솔져7111 24/06/07 7111
501119 [유머] 여러분의 학창시절 수학여행 장소는?.jpg [36] 北海道2411 24/06/07 2411
501117 [기타] 유튜버에게 저격당한 밀키트업자,강경대응 [17] Lord Be Goja5800 24/06/07 5800
501116 [기타] 파텍 필립보다 더 럭셔리하다는 시계 브랜드 [28] 우주전쟁4943 24/06/07 4943
501115 [서브컬쳐] 가이낙스 파산 [14] 롤격발매기원4795 24/06/07 4795
501113 [기타] 다이소형 코스프레 [13] Lord Be Goja5205 24/06/07 5205
501112 [유머] 엄마가 머리속이 새하얗게 변한 이유 [17] 꿈꾸는드래곤5751 24/06/07 5751
501111 [서브컬쳐] 월레스와 그로밋 근황 [8] 꿈꾸는드래곤2905 24/06/07 2905
501110 [게임] 추억의 바람의 나라 정액제.jpg [39] 핑크솔져4738 24/06/07 4738
501109 [기타] 새 모니터 맞출 때 은근 고민된다는 부분 [27] 묻고 더블로 가!4794 24/06/07 4794
501108 [기타] 오늘 테스트 발사 성공한 스페이스X 스타쉽의 제일 간지나는 영상 [9] 매번같은3683 24/06/07 3683
501107 [유머] 요즘 아파트에 있는거 [35] EnergyFlow7023 24/06/07 7023
501106 [기타] 포항 석유 탐사 유정 이름 공개 [41] 쎌라비5338 24/06/07 5338
501105 [유머] 의외로 K-무협에서 나온 무협설정들. [44] 캬라4095 24/06/07 4095
501104 [스타1] 임요환 감동의 골마를 지켜본 홍진호 반응.jpg [35]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5031 24/06/07 5031
501103 [유머] 솔직히 초중고 현장에서 필요없다는 직책.jpg [71] 北海道8064 24/06/07 8064
501102 [유머] 조선시대 검색엔진 양대산맥.jpg [36] Myoi Mina 6125 24/06/07 6125
501100 [유머] 일본 다이소의 "애완동물" 번역이 초월번역인듯 하지만, 한편으로는 훌륭하다. [8] 마네4565 24/06/07 456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