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1/08 18:30:08
Name 물맛이좋아요
File #1 3d59b798115723a4e21bbfc7b440cddb.png (338.2 KB), Download : 58
출처 나무위키
Subject [기타] [바둑] 한국기사 타이틀 현황과 6대 메이저 국제대회 진행 현황


- 뭔가 한 명만 칸을 벗어난 것 같지만 기분탓이다.






바둑의 6대 메이저 국제 대회는

응씨배, 삼성화재배, LG배, 춘란배, 난가배, 몽백합배의 6개 대회를 말한다.




1. 응씨배

4년 마다 한 번 개최되는 가장 큰 메이저 대회이다. 바둑의 월드컵

2020년 시작된 제 9회 응씨배 대회가 아직 진행중이며

한국의 신진서와 중국의 셰커가 결승전에 진출해 있는 있는 상황이다.






2. 삼성화재배

제 27회 삼성화재배가 오늘 끝났으며

신진서와 최정이 결승전에서 대결하여 신진서의 우승으로 끝났다.

최정은 메이저 세계대회에 최초로 결승에 오른 여자기사가 되었다.

최정 이외의 기록은 루이나이웨이 9단의 92~93년 응씨배 4강이 유일한 여자기사의 국제 메이저 대회 4강 진출 기록이었다.







3. LG배

지금 제 27회 LG배가 진행중이며 11월 13일 부터 8강전이 진행된다.

지난 LG배의 우승자는 신진서로 이번 대회에서도 8강에 진출해있는 상황이다.






4. 춘란배

지금 제 14회 춘란배가 진행중이며 12월 19일 부터 8강전이 진행된다.

지난 춘란배의 우승자는 신진서로 이번 대회에서도 8강에 진출해있는 상황이다.







5. 난가배

원래 중국의 국내기전이었으나 2022년 부터 국제기전으로 바뀌어

제 1회 난가배가 지금 진행중이다.

12월 24일 부터 32강전이 진행될 예정이며

32강 중 한국 기원 소속의 기사는

신진서, 박정환, 변상일, 박건호, 원성진, 한승주, 안성준, 강동윤







6. 몽백합배

2019년 이후 대회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폐지될 예정으로 보인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VictoryFood
22/11/08 18:34
수정 아이콘
이제 일본의 바둑대회는 메이저 대회가 아닌건가요?
일본 대회가 하나도 없네요.
물맛이좋아요
22/11/08 18:36
수정 아이콘
일본은 메이저 국제 기전이 없습니다.
22/11/08 18:45
수정 아이콘
얼핏 알기로는 메이저 국제기전은 본선이 16명 이상일 때로 알고있습니다.
그나마 월드바둑챔피언십이 AI딥젠고 홍보대회(3명+딥젠고), 초청대회(6명)를 거쳐 확대해가며 3회에서는 무려 통합예선(본선 8명)까지 치르며 가능성을 보였는데
코로나로 2020년 4회대회가 취소된 이후로 소식이 없습니다.
수리검
22/11/08 18:56
수정 아이콘
과거에는 일본 주최의 세계 메이저기전이 있었는데 워낙 일본이 힘을 못쓰니 폐지되버렸죠
후원사의 재정등 이유도 있습니다만

여튼 과거 후지쯔배 같은건 이창호 9단의 등장 시기 이후로는 일본기사의 우승은 없었고

아니 애초에 일본 기사의 세계대회 우승이 21세기에는 없을겁니다
22/11/08 21:13
수정 아이콘
좀 다르지만, 농심배 최종국서 한국이 일본에 진적이 있었던걸로.. 이게 언제였더라?
RedDragon
22/11/08 18:58
수정 아이콘
일본도 한창 잘나갈땐 메이저 대회 있었는데 십수년전부터 국제대회가 한중 잔치 되면서 없앴습니다.. 크크
닉네임을바꾸다
22/11/08 19:29
수정 아이콘
근데 사실 일본기사는 돈벌려면 국내기전만 하면 된다는 크크
물맛이좋아요
22/11/08 19:5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이야마 유타, 이치리키 료 두 기사는 리스펙해야죠. 국제 대회에도 꾸준히 참석하는 국제 경쟁력을 가진 유이한 일본 기사인데 사실 돈벌려면 일본 국내 기전에만 집중하는 것이 나으니까요.
22/11/08 19:32
수정 아이콘
일본은 국내대회 상금도 충분히 쎄서 국제전에 열정적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다보니 실력도 점점 뒤쳐지게 되었다고 하더라고요.
퀀텀리프
22/11/08 23:24
수정 아이콘
일본은 역시 갈라파고스를 좋아해
탑클라우드
22/11/08 18:37
수정 아이콘
역시나 한국은 삼성, 엘지의 나라인가... 현대차도 하나 해야겠는데요 흐흐흐
아케이드
22/11/08 18: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전에 후지쓰배라고 있었는데 본선에 일본기사들이 없다시피하니 스폰서 끊기고 사라졌죠
22/11/08 21:12
수정 아이콘
도요타덴소배도 있어요...!
22/11/08 18:53
수정 아이콘
6대기전 중에서 신진서 현재 세계기전3관왕에 나머지 응씨배는 결승,
난가배는 12월 첫 시작하는 대회, 몽백합배는 폐지예정이니.... 거의 천하통일 직전의 상황이네요.
응씨배만 제 때 결승 열려서 우승 했다면 제대로 열리고 있는 세계기전 동시에 타이틀 가지고 있는 거 였는데 아쉽네요.
더치커피
22/11/08 18:55
수정 아이콘
신진서만 사진 배경색이 다르네요 크크
타츠야
22/11/08 19:34
수정 아이콘
골드 뱃지 달아준거라고 치시죠 크크
22/11/08 19:40
수정 아이콘
바알못인데 대략 우승 상금이 얼마나 될까요?
신진서 9단 지금 성적이 어마어마한데 전성기가 과거 레전드 (조훈현, 이창호, 이세돌 9단)과 비견할만 하나요?
물맛이좋아요
22/11/08 19:52
수정 아이콘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 기록은
이창호 17회
이세돌 10회
조훈현 9회 입니다.

박정환 4회
신진서 4회
로 신진서는 00년생이니 이대로 쭈욱 간다고 치면 이세돌, 조훈현 라인까지는 갈 것 같습니다만...
22/11/08 19:56
수정 아이콘
와.... 이창호 선수는 레전드중에서도 튀는 성적이네요.. 감사합니다.
더치커피
22/11/08 21:22
수정 아이콘
이창호는 진짜 GOAT네요
모나크모나크
22/11/08 21:39
수정 아이콘
국내 대비 세계기전에서 약한게 흠이었다는 글을 본 것 같은데... 뭐지...
물맛이좋아요
22/11/08 21:48
수정 아이콘
그건 커리어 초반의 이창호가 그랬습니다. 국내를 싹 쓸고 있을 때도 국제대회에 약하다는 평이 있었죠. 그런데 한 번 우승하기 시작하더니...
22/11/08 21:52
수정 아이콘
성인이 되기전에 어릴땐 국내기전 성적에 비해 세계대회에선 조금 부진했었습니다.

그때 얘기인듯
코비코비
22/11/08 21:19
수정 아이콘
조훈현9회, 이창호17회, 이세돌 14회, 박정환5회, 커제, 구리가 8회고 신진서는 현재 4회달성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커제 구리는 넘을것 같습니다
물맛이좋아요
22/11/08 21:39
수정 아이콘
이세돌을 14회로 보면 이창호는 21회로 봐야 한다고 하더군요. 물론 정확히 확인한 건 아닙니다.
코비코비
22/11/08 21:56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이창호는 메이저 17회 마이너4회이고 이세돌은 메이저14회 마이너 3회입니다
분쇄기
22/11/08 21:31
수정 아이콘
상금은 응씨배가 89년부터 쭉 40만달러고 나머지 대회들은 2-3억원 가량입니다.
나이키
22/11/09 05:55
수정 아이콘
와 89년부터 40만달러면 그때 물가 생각하면 진짜 어마어마했네요.. 지금 한 30억 가치 하려나
분쇄기
22/11/09 12:26
수정 아이콘
당시 환율로 3억 정도였네요.
패트와매트
22/11/08 19:42
수정 아이콘
타국개최 국제기전이 응씨배 빼고 다 근본이 좀 부족한것 같네요. 진짜 삼성화재배가 세계최고 대회인 느낌
22/11/08 20:04
수정 아이콘
~대회: 신진서가 x강에 진출해 있다.
이거는 그냥 패시브군요
엑세리온
22/11/08 20:36
수정 아이콘
맨 끝에 유창혁은 이창호 한창 활약할때도 계시던 분인데 후덜덜
22/11/08 20:47
수정 아이콘
근데 시니어 바둑대회라고 써 있네요 음... 그래도 후덜덜
모나크모나크
22/11/08 21:28
수정 아이콘
최철한 박정환 다 날리던 기사인 것 같은데 생각보다 세대교체가 빠르네요. 불세출의 기사가 쉬지 않고 나오는 것도 참 신기하네요.
22/11/08 22:17
수정 아이콘
유창혁 박영훈 최철환 꽤 오래전부터 한걸로 기억하는데..
퀀텀리프
22/11/08 23:28
수정 아이콘
신진서, 박정환, 변상일으로 다시 세계 정상을 회복한 한국 ~ 뽕이 차오릅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2/11/10 04:16
수정 아이콘
저 소시적엔 응창기배라고도 불렀는데, 이젠 그냥 응씨배라고만 부르는 모양이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6841 [유머] 한국 2022 피파 카타르 월드컵 준우승!!! [14] 우주전쟁10441 22/11/11 10441
466840 [LOL] 포항해양과학고의 자랑.jpg [6] insane8341 22/11/11 8341
466839 [서브컬쳐] 3D를 혐오하는 2D [9] denar8957 22/11/11 8957
466838 [스포츠] 엘파마의 새 로드바이크, 판타지아 [10] 물맛이좋아요5406 22/11/11 5406
466837 [서브컬쳐] 버거킹재팬- 스파이x패밀리 콜라보 [19] 안아주기9247 22/11/11 9247
466836 [게임] 마블스냅 하는 유저들은 공감하는 순간들 [11] 라임즙8869 22/11/11 8869
466835 [게임] 드래곤볼 제노버스2 전세계 900만 장 돌파기념 이벤트 [3] 고쿠10135 22/11/11 10135
466834 [기타] 카카오 3형제 주가 근황.jpg [26] 깐프11787 22/11/11 11787
466832 [기타] 환율 근황.jpg [57] 치타11508 22/11/11 11508
466831 [동물&귀욤] 드라이브스루의 올바른 사용법 [2] 흰긴수염돌고래8970 22/11/11 8970
466830 [서브컬쳐] [후방] 순진한 소년을 유혹해서 이용하려는 누님 [13] 아케이드13338 22/11/11 13338
466828 [유머] 테세우스의 자동차 [13] 주먹쥐고휘둘러10430 22/11/11 10430
466827 [LOL] 제카 현수막 [13] Leeka8247 22/11/11 8247
466826 [기타] 머스크가 한국지사에 대규모 구조조정을 했다는 트위터 근황 [41] Lord Be Goja12541 22/11/11 12541
466825 [유머] 성균관대 예비군 훈련 결말 [39] 이호철13687 22/11/11 13687
466824 [연예인] 개그우먼 김민경, 예능서 사격재능 보이더니 결국 국대발탁 [25] Mindow11224 22/11/11 11224
466823 [서브컬쳐] 2B는 게으르고 납작한 디자인 [46] 아케이드11459 22/11/11 11459
466822 [기타] 아이폰에서는 쓸수 없는 타입의 배경화면 (약후) [19] Lord Be Goja10888 22/11/11 10888
466820 [유머] 어느 일본인이 안락사 도입을 반대하는 이유.jpg [69] 삭제됨17523 22/11/11 17523
466818 [기타] 산소 호흡기 떼고 오늘 퇴원한 회사... [40] 우주전쟁16291 22/11/11 16291
466817 [기타] 우마랑 만난 김계란.jpg [13] insane13091 22/11/11 13091
466816 [LOL] 담원의 비밀은 덕우빌딩 지하에 있다 [6] Leeka9094 22/11/11 9094
466815 [게임] 말딸 그거 유저들 돌아오겠어? [23] 우스타9779 22/11/11 97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