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18 14:36:52
Name 만찐두빵
File #1 TI_2022_1920x1080_cc03b01ffde44bfd4b4d9435edbc4600.jpg (152.0 KB), Download : 13
출처 https://escharts.com/news/the-international-2022-day-1-results
Subject [게임] 롤드컵과 비슷한 폭의 시청자 감소를 겪는 도타 TI


도타 TI 역시 전년대비 최고시청자, 평균 시청자 전부 40% 떨어지면서 롤드컵과 비슷한 수준의 시청자 감소를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전년도 TI가 코로나로 인해 취소된 후에 열린 TI라 뻥튀기가 큰건 맞지만 40% 감소는 엄청난거 같네요...

크라우드 펀딩으로 인한 상금역시 전년대비 많이 하락했다고 하네요.(물론 그럼에도 엄청난 상금이지만)

북미 유럽쪽 E스포츠 패권이 FPS 쪽으로 완전히 넘어가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CS GO나 발로란트는 명백하게 전년대비 상승했거든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바꾸기힘들다
22/10/18 14:46
수정 아이콘
도티가 무슨 대회연줄...
22/10/18 14:46
수정 아이콘
북미는 원래 fps가 aos류의 moba보다는 강세였습니다...
글옵 발로 옵치 포나 말고도 콘솔쪽도 (대표적으로 콜옵이라던지...) 신이 엄청 크더라구요
묻고 더블로 가!
22/10/18 14:48
수정 아이콘
aos 장르는 결국 중국 코인 탈 수 밖에 없겠네요
우주소녀 보나
22/10/18 14:48
수정 아이콘
fps가 핑 더 중요할거 같은데 북미 롤처럼 핑 문제가 없나보네요
22/10/18 14:53
수정 아이콘
놀랍게도 35~45핑이면 그러려니하고 겜합니다.
22/10/18 15:07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면 카스 1.5, 1.6 시절에는 50핑 아래만 들어가고 좋아했는데
22/10/18 15:41
수정 아이콘
맞아요 크크 45핑 기준으로 적은 것도 50 넘어가면 밀리는게 확 느껴지죠.
30~40이면 핑차이 있는 건 알지만 의식적으로 감안하면 평범한 플레이가 가능한데 50 넘어가면 핑 차이 나는 것 생각하고 겜해야하죠 ㅠ
표팔이
22/10/18 16:01
수정 아이콘
카오스시절도 보통 딜듀 dr45 치고 하고 않았었나 싶은걸 보면…
버거킹맘터
22/10/18 14:49
수정 아이콘
사실 aos장르도 많이 해먹긴 했으니까요...
22/10/18 14:51
수정 아이콘
도타나 롤이나 10년 넘게 해먹었으니..
22/10/18 14:53
수정 아이콘
발로란트 성장률이 미친 수준이던데 유럽은 그렇다치고 북미쪽 롤자본은 싹 다 빨아들일 듯
22/10/18 15:01
수정 아이콘
발로란트가 보는 맛이 너무 좋아요
카스는 특수도구가 다 똑같아서 양상이 한정적인데 발로란트는 연막/플래시뱅/인포스킬들 캐릭터마다 개성있게 뽑아냈으니 양상이 더 다양함
22/10/18 15:02
수정 아이콘
배그 포나 발로란트가 보는맛이 너무 좋아서 다 잡아먹음
인센스
22/10/18 15:08
수정 아이콘
이기지 못하는 게임에 인기가 있을리가요.
1등급 저지방 우유
22/10/18 15:13
수정 아이콘
이것이 정답
22/10/18 15:14
수정 아이콘
롤드컵은 '영어권' 기준으론 5% 감소고

아시아가 한국 기준 63% 감소등...
'시차 문제로 인한 급격한 시청자수 감소'가 메인 원인인데


도타는 좀 결이 다른거 같네요.. 펀딩 자금 자체가 달라졌다는걸 생각해보면..
22/10/18 15:27
수정 아이콘
이러면 옵치 말아먹은 블쟈의 위엄 아닌가...
22/10/18 16:03
수정 아이콘
오버워치는 이스포츠 흥행으로 보면 저기 낄 수가 없죠. 피크뷰가 40만대인 걸로 아는데 크흠...
문문문무
22/10/18 16:04
수정 아이콘
가장 잘나갔을때가 40만대인가요?
22/10/18 16:06
수정 아이콘
43만인가 그런 걸로 압니다 롤같은 괴물은 물론이고 발로란트랑도 차이가 크죠
만찐두빵
22/10/18 16: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155만이 피크입니다. 40만은 스트리밍 시청자만이고 옵치리그 전성기는 케이블tv 시청자가 대부분이었어요.
https://archive.esportsobserver.com/owl-grand-finals-viewership-2020/
물론 닐슨이나 이런 곳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건 없고 블리자드 피셜이라 뻥튀기가 있을수 있긴 합니다만 설마 이런거로 그러진 않았겠죠
레드불
22/10/18 16:32
수정 아이콘
우러전쟁 영향도 있을까요. 도타2가 인기있는 두 나라끼리 전쟁이라...
EurobeatMIX
22/10/18 17:27
수정 아이콘
쟤들 왜 총쏘는것만해...
22/10/18 20:39
수정 아이콘
유럽은 근본 fps ..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9760 [LOL] 2023시즌 북미 LCS에서 뛰는 선수들의 국적 비율 [9] 아롱이다롱이8171 22/12/20 8171
469398 [LOL] tl 밥.jpg [32]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625 22/12/15 9625
469257 [LOL] 롤드컵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하면 안되는 이유 [22] Leeka8907 22/12/13 8907
468270 [게임] 스크림이 잘되어서 신난듯한 발로란트 T1 선수 [7] Valorant7214 22/11/30 7214
467290 [기타] 21년 전 오늘 있었던 일... [14] 우주전쟁7559 22/11/17 7559
466902 [LOL] 간밤에 서양권 스토브리그소식 몇가지 (한국선수 얘기도 있음) [21] 아롱이다롱이9192 22/11/12 9192
466481 [LOL] DRX의 결승전 스크림을 도와준것은 코어장전 [19] Leeka9981 22/11/07 9981
466271 [LOL] 롤 FM 설문조사에 있는 선수목록 [8] Leeka7578 22/11/04 7578
465813 [기타] 4경기 페이커의 슈퍼토스 모음 북미 해설 [62] 물맛이좋아요12650 22/10/30 12650
465460 [LOL] 5셋 제카 4연속 솔로킬 북미해설버전 [12] 이직신8024 22/10/25 8024
465459 [LOL] DRX vs EDG 5경기 마지막 전투 북미 해설 자막 버전 [34] 물맛이좋아요11450 22/10/25 11450
464968 [게임] 롤드컵과 비슷한 폭의 시청자 감소를 겪는 도타 TI [24] 만찐두빵13483 22/10/18 13483
464959 [LOL] 베릴 : 북미가 더 잘하기 위해선 [3] 트럭7262 22/10/18 7262
464939 [LOL] 전년대비 역대급 폭락해버린 월즈 시청자수 [64] 만찐두빵10955 22/10/18 10955
464919 [LOL] ??? : 너무 많이 응원은 하지 마세요. 다음에 또 올꺼니까요 [5] Leeka10046 22/10/17 10046
464884 [LOL] 소스) 내년부터 LCS 주말이 아니라 주중으로 바뀔수도 있음 [14] 아롱이다롱이8159 22/10/17 8159
464447 [게임] 버그 폭주하는 오버워치 2, 바스티온과 토르비욘도 잠겼다 [41] NSpire CX II9869 22/10/11 9869
464417 [LOL] LEC가 저평가 받은 이유 [7] Leeka9330 22/10/11 9330
463688 [기타] 애플 비공개 릴레이와 사파리 조합의 의외의 순기능(?) [7] 하루빨리8088 22/09/30 8088
463682 [유머] 10년전에 현재 트위치 사태를 예고한 만화 [37] 소믈리에9873 22/09/30 9873
463060 [LOL] 롤드컵 주제곡 역대 주인공들 [8] Leeka5825 22/09/22 5825
462968 [유머] 아이폰 역대 출시 시점 가격 변화 [10] Leeka7572 22/09/21 7572
462465 [기타] 수리남 가는 가장 싸고 빠른 방법 [20] BTS10468 22/09/14 104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