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17 10:16:36
Name 메롱약오르징까꿍
File #1 e19927870f211d62ebe97afc9b1579b5.jpeg.jpg (137.4 KB), Download : 28
출처 https://m.fmkorea.com/best/5116289750
Subject [유머] 카카오 무급 근황 (수정됨)



격주로 놀금이라고 금요일 쉼=주32시간

나... 나도 놀금 주면 주말 무급 가능 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2/10/17 10:18
수정 아이콘
계약서 봐야죠. 합의가 되어 있는 내용이고, 근로기준법에 어긋나지 않으면 계약서대로 하면 됨...
raindraw
22/10/17 10:18
수정 아이콘
놀금 자체는 매우 부럽네요.
츠라빈스카야
22/10/17 10:19
수정 아이콘
공짜로 매주 4시간씩 돈 주던걸 이번엔 일하라고 하니 무급노동이라 한건가 싶고...
22/10/17 10:22
수정 아이콘
처음에 듣고 저도 이거 떠올랐어요. 법정근로 시간이 40시간인데 격주로 놀금하니 한달에 16시간은 그냥 유급으로 쉬게 해준거겟죠. 까봐야 알겠지만 아마 16시간 더 일해도 한달 최저 근무시간이라 비포괄임금제라고 하더라도 수당이 발생 안하는게 아닌가 싶어요.
모나크모나크
22/10/17 10:22
수정 아이콘
헉.. 놀금이란게 뭔가요 -_-... 금요일 근무를 안 하는건가??
nm막장
22/10/17 10:36
수정 아이콘
네 2주에 한번씩 금요일엔 출근을 안하는…
모나크모나크
22/10/17 12:05
수정 아이콘
와.. 근무조건 완전 좋네요.
22/10/17 10:24
수정 아이콘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 같은데?

놀금이야 상대적으로 연봉 떨어지는 차이를 메꾸기위한 방법이고
초과로 일하면 돈 더주는게 맞는거죠.

딴 회사 다니면서 뭔 사측입장을 저리 대변하는지..
아구스티너헬
22/10/17 16: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포괄임금제에선 야근비 안줘도 됩니다.
야근이 이미 포함되어 있는거라

다만 휴일특근은 줘야합니다.
아마 주 40시간내에선 특근비 지급을 안하도록 되어있을 듯요..
평시엔 놀금활용 전시(?)엔 40시간까지 무상근로가 원칙이 아닐까 하는데..
도라지
22/10/17 10:24
수정 아이콘
놀금하고 무급이 상관이 있나요?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으면 몰라도…
닉바꾸기힘들다
22/10/17 12:04
수정 아이콘
놀금으로 일하는 시간이 매달 16시간이 비게되는데 이시간을 채워야 추가시간이 발생됨.
이로인해 추가수당을 받으려면 17시간부터 발생해서 주말에 토일 8x8 풀 근무를 해도 결국 무급으로 16시간 일하게 된다는말...17시간 부터는 추가수당 발생..
도라지
22/10/17 12:06
수정 아이콘
주52시간이라는게 추가임금을 안주고 일을 시킬 수 있는 시간을 이야기하는건가요?
그럼 말씀하신게 맞겠네요.
지니팅커벨여행
22/10/17 12:21
수정 아이콘
주 52시간은 주 40시간에서 초과 12시간에 대해 추가 수당을 줘야 하는 거고, 카카오는 놀금에 그냥 빼주니 주 40시간이 아닌 주 36시간 근무인 것 같습니다.
그럼 월 기준 16시간이 비니까 이만큼 추가 근무를 해도 주 40시간 기준으로 맞춰진 임금을 받게 되는 거겠죠.
이렇게 되면 당연히 추가 수당은 안 받는 게 되고요.
도라지
22/10/17 12:23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계약서 내용과 관계없이 4시간 정도는 추가수당을 안줘도 된다는 말씀이시네요.
어떤 말씀이신지 알겠습니다.
MissNothing
22/10/17 10:27
수정 아이콘
놀금은 그냥 쉬게해주고 일한걸로 쳐서 돈을 준다고요? 그사이에 시간 안매꾸면 초과수당은 없고? 그리고 연봉은 주 5일을 기준으로 나간다?
이거 완전 포괄임금제 변형판 아닌지 크크크
생색은 생색대로 내고, 일터지면 초과수당은 안줘도 되고, 그러니 저딴 쉴더들이 등판하지
트레비
22/10/17 10: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뭔가 웃긴게 나름 누릴거 누리면 포기하는것도 좀 생각하긴 해야하는데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지? 라고 생각하면 복지도 주고싶지 않죠... 뭐 이번처럼 장애가 자주일어나는일도 아닌데...
사실 제대로 따지면 "그건그거고 이건이거지" 라는 논리가 정상이긴합니다. 계약을 그렇게했는데 주말 추가수당도 줘야하구요 혼란하네요
유료도로당
22/10/17 10:29
수정 아이콘
카카오가 포괄임금제인지 아닌지도 모르지만... (포괄임금제면 진짜 억지부리는거고) 아무튼 놀금제도를 통해 계약서는 주 40시간 근무로 되어있는데 실제로는 격주로 주32시간 근무시키고있는거니까 4주 기준으로 16시간 정도는 초과근무시킬수있는 여력이 발생하는거죠. 그러니까 카카오에서는 포괄임금제가 없더라도 놀금을 통해 일종의 변형된 형태의 포괄임금제를 시행하는 셈이고, 회사 입장에서 기본 근무시간을 희생해주는거니까 노동자입장에서 손해보는것도 아닙니다. 왜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건지 모르겠는데...

제도적으로 칼같이 적용 안되더라도 도의상 놀금제도 즐기다가 회사 위기때 한번 토요일근무했다고 뭐라그러는건 당연히 욕먹을만하죠. (물론 블라가 어그로 천국이라 그런거긴하지만...)
22/10/17 10:34
수정 아이콘
평소에 놀금이란 제도가 있었다는 건가요? 그런 게 있는데도 위기상황때 돈 안준다고 일 안한다는 마인드가 도무지 이해가 안 되는데요. 카카오 직원들이나 댓글들 반응보면 회사들이 직원복지에 소극적인 이유가 있네요.
호리병
22/10/17 10:35
수정 아이콘
그건 그거라도 카카오의 대응이 아쉽긴하죠..

예를들면 포스코는 이번 여름태풍때 포항제철 일당 125만원 인력 구해서 조기 조치했는데
서쪽으로가자
22/10/17 10:55
수정 아이콘
그 때, 포스코 내부 직원들 여론도 딱히 좋지 않았을걸요. (이것도 블라인드 얘기지만;)
22/10/17 13:48
수정 아이콘
포스코 내부 인력 이야기도 들어 보셔야..제조업 문화랑 비교하면 카카오는 천상계에요.
스카이
22/10/17 10:37
수정 아이콘
놀금이 제 생각에는 복지차원의 일 같습니다. 실 근무시간으로 계산해서 업종 평균대비 시급으로비슷하거나 적다면 총임금이 너무 적을 것이니 그렇진 않을 것 같고, 시급이 높다면 복지죠.

그리고 자신이 다니는 회사에도, 많은 곳이 놀금이 도입되기를 바란다면 주말무급에 반발하는 모습에 다른 사람들이 짜증을 낼 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사측 입장에서 복지를 다른 곳보다 좋게 한다는 것은 그만큼 비용을 지출하되 대신 직원들이 애사심을 갖고 더 열심히 성심성의껏 일하기를 기대하는 것인데, 저런 사례가 나오면 역시 복지 같은건 최소로 해야돼 라는 인식을 갖게 만드니까요.
22/10/17 10:40
수정 아이콘
이건 계약서의 항목을 봐야지
놀금이 있냐 없냐랑은 상관이 없죠
헤이즐넛커피
22/10/17 10:41
수정 아이콘
명목상 주80시간 일하면서 실제로는 더 일하는 인턴 입장에선 넘 부러워유...
레드빠돌이
22/10/17 10:43
수정 아이콘
임원이나 직원이나 회사에는 관심이 없나보네요
22/10/17 10:45
수정 아이콘
놀금이 있었어???
22/10/17 10:48
수정 아이콘
헐 머야 이건 크크크
22/10/17 10:50
수정 아이콘
놀금이 있다면 재해급 사태가 일어날 때 무급으로 일할 수도 있다고 보는데 그건 회사가 잘나갈 때 얘기지 지금처럼 우리사주로 근로의욕 바닥찍는 때엔 무급으로 일하라면 열불만 터지겠죠.
22/10/17 10:50
수정 아이콘
돈많이주는 회사가 장땡이긴합니다만,
안그래도 사고 전/후 대처가 엉망이었던게 보도되고있는 상황에
최소한의 애사심도 없는 직원들이 판치는 회사의 서비스를(심지어 대체재가 넘쳐나는) 이용자들이 고까운시선으로 볼게 뻔하고 이러다 시장판도가 뒤집어지면 허허허
22/10/17 10:52
수정 아이콘
카카오 복지야 국내탑급인건 이미 유명하니..
복지랑 동기랑은 또 다른이야기인거 같네요
22/10/17 10:53
수정 아이콘
블라인드 글에 따르면 추가근무 수당(160시간 초과분)은 있다고 합니다.

결국 놀금이라는 새로운 제도로 인해 주 40시간을 채워야 하지만 놀금으로 32시간만 일해도 되는 상황이고,
문제는 추가근무를 하면 격주로 +8시간은 무료봉사(놀금에서 빠진 -8시간으로 인해) 라고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죠.

그럼에도 주말 출근은 특근비(혹은 대체근무)를 줘야 하지 않나 생각이 들지만 돈 안준다는 표현은 부적절하지 않나 싶어요.
가만히 손을 잡으
22/10/17 10:54
수정 아이콘
이건 근로자측도 문제가 있는게 비슷한걸 봤습니다. 금요일에 유동적으로 단축근무하고 일이 없으면 시간 때우지 말고 집에 일찍들 가자를 했습니다.
처음에는 잘 운영이 되요. 일이 있으면 하고, 없으면 좀 일찍 가고...그러다 이제 다 오후에 가고 없습니다.
괜찮습니다. 업무에 지장만 없으면...그런데 비상상황이 발생하고 금요일 오후에 근무를 하니 연장근로수당을 요구합니다.
아니 토요일이면 당연히 주지만 금요일인데?? 결국 없어질거 같습니다. 노사 양측이 다 불만이고요.
금요일 단축근무는 주4일제도 가는 디딤돌인데 안타깝습니다.
모나크모나크
22/10/17 12:08
수정 아이콘
안타깝네요 이 케이스는 정말.. 편의를 봐주면 그걸 고맙게 생각해야 되는데 시간이 지나면 그게 당연한 게 되어버리죠.
닉을대체왜바꿈
22/10/17 10:57
수정 아이콘
누칼놀?
22/10/17 11:00
수정 아이콘
결국 저기서 얘기하는 무급근무라는게

16시간 주중에 노니까 16시간까지는 연장근무해도 돈 안줘 잖아요??

근데 저기 나오는 삼성전자의 케이스는 주 40시간 다 채우고 나서의 추가 20시간동안 수당을 안 주는 거거든요?

그래서 당연히 카카오도 그런 건 줄 알았는데 저기서의 16시간을 다 채워야 주 40시간이 되는거라구요??
22/10/17 11:01
수정 아이콘
아마 카카오는 주40시간 기준으로 포괄임금을 세팅하고, 놀금으로 실 근무시간을 32시간에 준하게 만들었지 않나 생각됩니다..

그러니 기존상태라면 32시간 일하고 40시간 돈 받았는데라는 논리가 나오는듯 합니다.
22/10/17 11:05
수정 아이콘
네. 물론 이번 케이스는 결국 주말 출근이니까 특근비를 안 주는 것에 대해 불만을 가지는 건 이해가 가지만, 그동안 주 40시간 근무를 안 했는데 40시간 기준으로 돈을 줬다고 하니 신기해서요.

삼성전자는 똑같은 포괄임금제를 얘기하면서 사실상 주 45시간까지는 주40시간이랑 같은 금액을 주고 있는데 말이죠.
22/10/17 11: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포괄임금 계약서따라 다릅니다.
저희는 52시간으로 기준잡고, 평일에 +1시간 근무를 해서 일9x5로 45시간 채우고, 토요일 7시간을 보너스 형태로 지급합니다.

세팅따라 다르지만 포괄임금제 자체가 개인별로 들쭉날쭉한 급여계산법을 획일화 하기 위해 맞춰둔 부분이라, 초과되는 부분을 Max로 잡아두고 실제 근무시간 컨트롤을 하는 부분은 나쁘지 않습니다. 그리고도 초과가 되는 경우가 있다면 수당은 지급해야 합니다.

카카오의 경우 만약 복구작업으로 인하여 주당 근로시간이 오바가 되었다면 상황에 따라 수당지급을 해야 할 수도 있고, 아니 그 이전에 경영진이 포스코 사태때 봤으면 알겠지만 일단 빠른 복구만 하면 어떻게든 인센티브 형태로 지급을 할 생각을 하고 당근으로 유인부터 했어야 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그리고 16시간은 다르게 볼 수 있는게 지금처럼 토요일, 혹은 공휴일의 초과근무는 가산배율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하게 16시간 휴무보장으로 처리되진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2/10/17 11:04
수정 아이콘
엘지도 거의 동일합니다.
40시간 * 4 = 160시간인데 22시간은 무료봉사이고 그 이후에 초과근무 수당이 발생해요. 최대 208시간 이니까 약 26시간 정도 더 벌 수 있는 구조입니다.
22/10/17 11:06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보통 케이스인줄 알았는데 역시 IT 전문 기업은 복지가 좀 다르긴 하구나 싶네요..
하아아아암
22/10/17 11:26
수정 아이콘
뭐 삼전은 주말은 그래도 별도로 쳐주긴하지 않나요.
22/10/17 11:06
수정 아이콘
누가 카카오 다니라고 협박했나?
개인의 선택이지
이민들레
22/10/17 11:06
수정 아이콘
그건그거고 이건이거지.
후랄라랄
22/10/17 11:11
수정 아이콘
어차피 경영진이 판단할일
내가 이렇게 해줬는데
넌 안해줌???
그럼 법 안에서 굴러봐
22/10/17 11:20
수정 아이콘
누칼협이 이렇게 되돌아옵니다
22/10/17 11:22
수정 아이콘
카카오는 연봉이랑 복지가 최고 대우라던데... 진짜 FM대로 가면 피곤해지는건 직원들 아닐까요? 주말출근 그거 10년에 한번 있을까 말까한 화재 사고로 나온건데 카카오 정도 기업에서 추가근무에 대한것도 내규로 협의가 다 되어있을거고. 주말 출근 수당 줘버리고 복지 줄어들면 그게 더 아플거 같은데.
22/10/17 11:23
수정 아이콘
결국 수요공급인데 아직은 개발자가 갑이라...
요즘 경기침체고 하니 슬슬 하향곡선 탈거같기도..
22/10/17 11:30
수정 아이콘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면 그거 뭐하러 유지하지 크크
22/10/17 11:31
수정 아이콘
별개의 문제는 맞는데, 칼같이 별개로 놓기 시작하면 회사도 복지를 별개 취급하기 시작하겠죠. 서로 적당한 선에서 협의하는 것이 필요하죠..

이런 비상사태땐 정도이상이 아니라면 유급무급 따지지말고 대응하고 잘 극복하면 회사도 그 노력에 화답을 해줘야 하구요.
22/10/17 11:43
수정 아이콘
저희도 놀금있는데 (한달 한번)
놀금이 있는 주에도 주40시간 채워야합니다. 모자라면 다른 주에서 시간 땡겨오는 방식으로
옥동이
22/10/17 12:38
수정 아이콘
크크 법 좋아하니까 놀금인지 뭔지 철회하고 법대로 하면 될거같은데
무냐고
22/10/17 13:10
수정 아이콘
알아하십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6843 [유머] 카카오톡 근황 [37]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593 24/03/14 10593
493681 [유머] 상표권 소송에서 패배한 카카오 [36] Leeka14640 24/01/16 14640
491175 [유머] 카카오 임원 근황 [50] 메롱약오르징까꿍18609 23/11/28 18609
489484 [유머] 한국 초콜렛들이 카카오 함량이 낮은 이유 [9] 인간흑인대머리남캐12214 23/11/04 12214
488289 [유머] 카카오톡을 안한다는 여자 연예인 [27] Myoi Mina 13894 23/10/13 13894
487113 [유머] [펌]미국 10대들이 아이폰 안쓰면 왕따되는이유 [34] 여기13467 23/09/20 13467
486166 [유머] 카카오 CFO가 정직 3개월을 당한 이유 [62] Leeka12569 23/09/04 12569
485071 [유머] 23년 상반기 상장 게임사 급여랭킹 [19] Leeka8382 23/08/16 8382
481051 [유머] 카카오의 놀라운 떡상과 떡락 [2] 길갈11358 23/06/14 11358
480396 [유머] 여자들이 카카오팬티를 사면 안되는 이유.jpg [10] Myoi Mina 12604 23/06/02 12604
479073 [유머] 카카오톡 ....터짐 [25] 윤석열14281 23/05/08 14281
478463 [유머] 단톡방에 올라온 "비읍시옷"…법원 "욕설 아닌 부정적 감정" 판단 [46] 톤업선크림12447 23/04/26 12447
475316 [유머] 대학교의 흔한 공격과 방어 풍경을 담은 카카오톡 이모티콘 [7] 판을흔들어라9484 23/03/09 9484
475196 [유머] 카카오의 SM 공개매수를 본 직원.blind [8] 김유라11002 23/03/07 11002
470391 [유머] 카카오 먹통 사태 보상안 [36] 전자수도승14465 22/12/29 14465
469881 [유머] 세대별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모바일 앱 TOP 10 [41] Leeka11616 22/12/22 11616
466971 [유머] 침착맨 트위치에서 유튜브로 이적 예정!(유튜브 생방송 진행중) [56] Eva01017318 22/11/13 17318
465040 [유머] 카카오 남궁훈 대표 사퇴... [40] 헤세드8314346 22/10/19 14346
464904 [유머] [주식]카뱅이 드디어 해냈습니다 100%! [45] 헤세드8315938 22/10/17 15938
464894 [유머] 카카오 주식 보면서 떠오르는 슈카 짤 [12] NSpire CX II12164 22/10/17 12164
464889 [유머] 카카오 무급 근황 [52] 메롱약오르징까꿍20622 22/10/17 20622
464869 [유머] 카카오 장애 대응 근황.blind [81] 삭제됨18187 22/10/16 18187
464864 [유머] ???: 누가 상장 철회라고 그랬어!! [22] 김유라15182 22/10/16 151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