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15 19:06:46
Name 아수날
출처 Mlbpark
Subject [연예인] 대한민국 역대 드라마 시청률 1위 ~ 10위 (수정됨)
10위.대장금(MBC 이영애) 57.8%

9위. 여명의 눈동자(MBC 최재성,채시라) 58.4%

8위. 태조왕건(KBS 최수종,김영철) 60.2%

7위. 아들과 딸(MBC 최수종,김희애) 61.1%

6위. 그대그리고 나(MBC 박상원,최진실) 62.4%

5위. 젊은이의 양지(KBS 배용준,하희라) 62.7%

4위. 허준(MBC 전광렬 63.7%

3위. 모래시계(SBS 최민수,고현정) 64.5%

2위. 사랑이 뭐길래(MBC 최민수,하희라)64.9%

1위. 첫사랑(KBS 최수종,이승연,배용준)65.7%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생은에너지
22/10/15 19:09
수정 아이콘
허준 MBC 아닌가요?
valewalker
22/10/15 19:13
수정 아이콘
엠비씨 맞을겁니다.
22/10/15 19:10
수정 아이콘
최수종 하희라 부부가 상위권에 많이 포진되있네요
똥진국
22/10/15 19:13
수정 아이콘
허준은 mbc니 정정 부탁합니다
전부 다 1990년대에서 2000년대까지군요
22/10/15 19:15
수정 아이콘
시청률 분자 분모가

해당 드라마 /그 시간대에 켜진 모든 tv 인거죠?
22/10/15 19:15
수정 아이콘
시청률 조사하는 표본이 되는 가정이 있습니다

신청해서 기기 설치해야해요
22/10/15 20:02
수정 아이콘
해당 드라마 / 시청률 조사대상 모든 TV 일겁니다.
해당 드라마 / 시청률 조사대상 가운데 켜져있는 모든 TV 는 시청 점유율이라는 별도 지표가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저런 드라마들을 점유율로 얘기하면 7~80% 쯤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곧미남
22/10/15 19:16
수정 아이콘
체감으론 모래시계가..
똥진국
22/10/15 19:26
수정 아이콘
모래시계 방영할 당시 sbs가 전국 송출되던 시절이 아니었다는거죠
만약에 전국 송출되던 시절이었다면 정말 모든 부분에서 파급효과가 어마어마했을겁니다
곧미남
22/10/15 19:28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서울방송 시절이었죠
고등어자반
22/10/15 19:44
수정 아이콘
모래시계 때 전국 송출 아니었나요? 예전 지방에 근무했을 때 모래시계를 봤던 기억이 있는데요.
똥진국
22/10/15 19:47
수정 아이콘
검색해보니까 유료로 어떻게 결제하면 볼수있었다는 내용이 있네요
사울 굿맨
22/10/15 20:02
수정 아이콘
지역 유선방송에서 송출해줬죠. TV 안테나 설치하던 집들은 못봤고요.
22/10/15 19:26
수정 아이콘
여명의 눈동자 같은 드라마는 다시 안나올까요…초딩때 봤었는데 아직까지도 기억나는 no1 드라마입니다.
22/10/15 19:27
수정 아이콘
이제는 역대 시청률보단 넷플릭스 전후로 시청률을 나눠서 순위를 매기는게 어떨까 싶네요.
지금 시대에 시청률 20%도 초대박이라고 하는데, 저 숫자는 현재와 거리감이 너무 심하네요.
도라지
22/10/15 19:37
수정 아이콘
그땐 볼 채널이 몇개 없었고, 지금은 수십개라…
스팅어
22/10/16 00:27
수정 아이콘
그 당시는 그냥 정말 저 수치에 근접한 비율로 시청했습니다.
현재는 말씀하신 OTT 등으로 인해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수치죠.
우주소녀 보나
22/10/15 19:42
수정 아이콘
저당시 채널이 몇개였나요?
대장금 시절은 스타리그 본 기억이나는데 케이블 있는데도 저정도 시청률이라니
22/10/15 19:45
수정 아이콘
모래시계가 대박인듯 그시절에 sbs전국방송 아니었던거 같은데
옥동이
22/10/15 20:31
수정 아이콘
어렸을때 부모님께서 첫사랑이랑 젊은이들의 양지 보려고 엄청 서둘러 집에갔던 기억이 나네요 크크
AquaMarine
22/10/15 21:38
수정 아이콘
저는 지방 살아서 모래시계에 대한 인기 체감은 0입니다. 당시 저의 기준에서는, 조금 잘 사는 집에서만 보는 소위 '유선방송' 도 보지 않았었기 때문에 뉴스로 새로운 채널이 생겼다는 것만 알았었고요. 그래서 지금도 모래시계에 대한 인기를 대중매체에서 다룰 때는 전혀 와닿지 않습니다. 단지 KBS에서 잘 나가는 코메디언들이 SBS로 이적하는 바람에 그 코메디언들 못봐서 SBS가 싫었던 기억만 있어요.

'첫사랑'은 재방송 할 때마다 봐서 20번 가까이 봤습니다. 볼 때는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재미있어서 봤는데, 돌아보면 출생의 비밀 정도를 제외하고 우리나라 드라마에서 다룰 수 있는 대부분의 주제들이 잘 버무려져 있어서 재미있었던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방영할 때도 시대극이었기 때문에 2022년인 지금 봐도 저는 어색한 것 별로 없이 재미있게 봐지더라고요. 아무 근심 걱정 없이 드라마에 빠져서 볼 수 있었던 그 시절이 갑자기 그리워지네요.
나이도프
22/10/15 21:49
수정 아이콘
모래시계 받고 피구왕 통키 추가요.
AquaMarine
22/10/15 23:01
수정 아이콘
저랑 비슷하신가보네요. 저도 그 시절 애니메이션(만화영화?) 보던 세대이지만 피구왕 통키 전혀 알지 못합니다.
22/10/15 21:41
수정 아이콘
응? 젊은이의 양지는 '이종원'이죠...
배용준은 서브남주였는데...(물론 인기는 많았지만)
세피롱
22/10/26 15:59
수정 아이콘
태조 왕건에서 궁예 죽는 회차 방영때는
길거리에 차도 안다니더라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5016 [연예인] 태어난김에 세계여행 남미로 떠나는 기안84의 캐리어.jpg [17] insane11916 22/10/19 11916
465015 [기타] 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제목을 짓는데 영감이 되었다는 윌리엄 예이츠의 시 '비잔티움으로의 항해 [10] insane7503 22/10/19 7503
465014 [LOL] 래퍼드 개인방송 간단 월즈 썰.txt [20] Silver Scrapes18123 22/10/19 18123
465013 [기타] 현직 푸르밀 직원인 개붕이글 [25] Avicii14416 22/10/19 14416
465012 [기타] 몇 째주 일요일일까? [22] 꿀깅이12796 22/10/19 12796
465011 [기타] 대륙의 테이블 세팅 [16] 꿀깅이11904 22/10/19 11904
465010 [유머] 고물가에 고통 받는 주민들을 위한 미국의 대책 [46] 길갈14909 22/10/19 14909
465009 [기타] 일본 교토인에게 커피를 권유 받으면 [23] 꿀깅이14367 22/10/19 14367
465008 [유머] 아이패드 프로 신형에 들어간 신규 기능 [26] Leeka11299 22/10/19 11299
465007 [기타] 수요일 아침 기온... [3] 우주전쟁8818 22/10/19 8818
465005 [유머] 애플TV 4k 신형 공개 [12] Leeka9571 22/10/19 9571
465004 [유머] 아이패드 신형 공개 [29] Leeka10970 22/10/19 10970
465003 [음식] 노르웨이의 무시무시한 고등어의 비밀 [17] Lord Be Goja16622 22/10/18 16622
465002 [기타] 미국의 무시무시한 농업 생산성의 비밀 [40] Lord Be Goja15033 22/10/18 15033
465001 [유머] 똥은 상사가 싸고 치우는 건 부하직원이 함... [6] 우주전쟁12015 22/10/18 12015
465000 [유머] 소곱창, 술안주로 창렬이다 vs 아니다 [38] 푸끆이10020 22/10/18 10020
464999 [방송] 부동산에 대한 한 언론사의 보도 [1] 아수날9263 22/10/18 9263
464998 [유머] ?? : 형 혹시 헤어졌어요? [9] 한화생명우승하자11050 22/10/18 11050
464996 [기타] 신형 그랜저 앞모습 유출 [49] 누칼협13711 22/10/18 13711
464995 [유머] 문콕 당했지만 호의로 넘어가줌 [18] Valorant11633 22/10/18 11633
464994 [유머] 아이패드 신형 발표 직전 [9] Leeka8881 22/10/18 8881
464993 [기타] 술안주 창렬 ??? 혜자 ??? [20] insane9887 22/10/18 9887
464992 [스포츠] 환상적인 볼터치 이후 레드카드.gif [13] AGRS11593 22/10/18 115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