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13 22:32:58
Name VictoryFood
File #1 1.jpg (136.8 KB), Download : 56
출처 더쿠
Subject [기타] 한은 총재 금리인상 관련 발언 커뮤식 요약


실제 기자회견보다 훨씬 이해하기 쉽네요.

이래서 눈높이 해석이 필요한가 봅니다. 크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퍼펙트게임
22/10/13 22:35
수정 아이콘
한줄요약 : 뭐 하려고 하지마
도라지
22/10/13 22:35
수정 아이콘
그럼 진작 올렸어야지… 이제와서 이런 발언이 무슨 소용이 있나요… ㅠㅠ
22/10/13 22:54
수정 아이콘
타 국가 상황 감안하면 한국이 느리게 올린편은 아니라고 봅니다

미국이 너무 미친듯이 달리는걸 따라갈 나라가 없는게 문제죠
도라지
22/10/13 23:01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미리 올려놔서 다행인거지, 이번 대응은 너무 느리긴 했습니다.
그래도 어쩔 수 없었다는건 공감해요.
발빠르게 대응했으면 대출받았던 사람들 전부 사지로 내모는 일이었을테니까요.
근데 이제와서 저런 발언을 하니 뭔가…
22/10/13 23:21
수정 아이콘
안느리고 올해 한은 총재 취임하고 영끌족 우려하는 말은 지속적으로 하셨어요..
도라지
22/10/13 23:27
수정 아이콘
다들 그렇게 말씀하시니 제가 뭔가 잘못 알고있는 부분이 있나보네요 ㅠㅠ
22/10/13 23:28
수정 아이콘
느리고 빠르고는 상대적 개념인데 한국보다 금리인상 빠르게 한 주요국가가 얼마나 되죠?
도라지
22/10/13 23:35
수정 아이콘
일본이야 체급이 되니 마이웨이로 간다고 쳐도, 영국이나 유럽 호주쪽은 느리고, 중국 인도는 좀 빨라 보이고 그러네요.
22/10/13 23:59
수정 아이콘
중국도 마이웨이입니다.올해 들어서 오히려 내렸어요.
도라지
22/10/14 00:09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거긴 오히려 부동산 부양책을 써야 할 상황이네요.
제가 얼마나 무지한지를 깨닫는 중입니다.
22/10/14 00:31
수정 아이콘
넷상의 걱정보다는 한은이 잘 해나가고 엤으니 걱정 좀 덜으셔도 됩니다.
곡소리가 나오긴하지만 고려해야할 지표가 환율만 있는게 아니거든요
SG워너비
22/10/14 00:01
수정 아이콘
급하게 올려서 당한게 지금 영국 아닌가요?
도라지
22/10/14 00: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영국은 금리인상과 국채매입을 동시에 진행했는데, 국채매입으로 시장에 돈이 풀리면서, 금리인상 효과를 못 보고 꼬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만 왠지 제가 잘못 알고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ㅠㅠ
SoLovelyHye
22/10/14 00:38
수정 아이콘
저번 슈카 영상을 보니 금리 인상을 너무 급격하게 하면서 채권 파생상품들 마진콜 맞게 생겨서 불 끄려고 국채매입을 진행했다더라고요 거기도 생각없이 국채 매입 한게 아니라 너무 급격한 금리 인상의 부작용으로 어쩔 수 없이 돈 더 풀었다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덴드로븀
22/10/14 00:04
수정 아이콘
한은이 딱히 기조를 크게 바꾼것도 아니고 올해 기준으론
해외/국내 경제상황 분석해가며 국내 경제에 최대한 천천히 + 부드럽게 충격을 주려고 했다고 보긴 해야합니다.

어차피 우리나라는 미국이 아니거든요. 미국처럼 할순 없습니다.
도라지
22/10/14 00:10
수정 아이콘
넵 제가 무지했던것 같습니다.
대청마루
22/10/14 00:45
수정 아이콘
https://pgr21.com/humor/464636#7297210

이 댓글 정독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겨울삼각형
22/10/14 05:44
수정 아이콘
팩트) 한은은 작년부터 꾸준히 기회될때마다 환율을 올리는 중입니다.

그것도 역대 빅스탭을 처음, 그리고 이번에 두번째 단행하면서.. 길게 보면 정말 급격히 올리는 추세입니다(..)

이게 느리게 보이는건.. 그저 DJ파월이 더 미친듯이 금리를 올려서죠.
그런거없어
22/10/13 22:37
수정 아이콘
투자한다고 깝치지 말고 예금이나 들어라.
22/10/13 22:37
수정 아이콘
그냥 존버하라고
알빠노
22/10/13 22:37
수정 아이콘
반년 정도는 위험자산이 안 좋을 수밖에 없는데 그렇다고 지금 숏 들어가긴 애매한 시점이라... 결론은 예적금으로 이자나 먹읍시다
No.99 AaronJudge
22/10/13 22:38
수정 아이콘
정말..
No.99 AaronJudge
22/10/13 22:38
수정 아이콘
달러는 좀 나중에 바꿔도 될것같아요..
22/10/13 22:39
수정 아이콘
미장 추매하고 물타고 싶은거 꾹 참고 있습니다. 당분간은 은행에 저축만 해야겠습니다..
22/10/13 22:40
수정 아이콘
진짜 미장 추매마려운데 8번때문에 환전을 못해요
22/10/13 22:41
수정 아이콘
평소에 달러자산으로 분산좀 해놓을걸
이건 뭐 들어가기도 애매하고 손놓고있기도 애매하고
덴드로븀
22/10/13 22:41
수정 아이콘
어디 투자안하고 가만히 예적금 하는게 최선인 시기입니다.
Janzisuka
22/10/13 22:44
수정 아이콘
어쩔수 없는 상황이고..맞말이라고 생각하는 중
안철수
22/10/13 22:59
수정 아이콘
빚내는것도 능력이라고 했던 지난 5년은 무엇이었나
사당동커리
22/10/13 23:10
수정 아이콘
5년이 아니라 바로 작년 이 맘때
“대출 받을일이 있는 분들은 '하루라도 빨리 받는게 가장 싸게, 많이 빌릴수 있습니다”
“마통 한도를 조였습니다”
이런류 글들이 우후죽순 올라왔었습니다
알이굵은남자
22/10/14 02:37
수정 아이콘
정부에서는 부동산 투자하지 말라고 했는데 빚내는 것도 능력이라고 말했다고 하시면 어느나라에서 살 다 오셨는지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보고싶으신 것만 보시는 게 이유일 수도 있겠죠

솔직히 부동산도 미국 금리 최저에 돈 최고로 풀어서 유동성이 최고조였기 때문인게 큰 이유중 하나인데 무조건 정부잘못 100프로다 라고 보는 사람 많죠
그당시 코로나 유동성 말하면 이상한 사람 취급받고 정부옹호한다고 역풍 맞았는데 지금와서는 또 코로나 유동성이 엄청나서 이 상황이다고 하니 정부따라 판단을 달리하는게 좀 어이가 없긴 합니다
문정부의 부동산버블에 대한 잘 못은 정책의 잘잘못은 차치하고 시기와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마이웨이한 결과라고 생각하고 버블의 30프로정도는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합니다만 더 중요한게 미국이고 미국때문에 50프로는 더 상승했다고 보거든요
미국이 유동성 걷어들이기 시작했으니 떨어지는 칼날은 잡을 수 없으니까 아마 내년 말까지해서 19년 수준까지는 떨어질것 같습니다 그 후 반등 하겠죠 개인적으로 상급지도 30프로는 떨어진다고 생각하는데 부동산 투자하시는 분들은 버틸 수 있는지 자금계획 잘 세우셔야 할꺼에요
내년엔아마독수리
22/10/13 23:00
수정 아이콘
니가 투자의 신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닥치고 적금이나 들어라.
wish buRn
22/10/13 23:03
수정 아이콘
꾸준히 빚갚았던 나 자신. 칭찬합니다.
알라딘
22/10/13 23:06
수정 아이콘
선견지명 칭찬드립니다
-안군-
22/10/13 23:23
수정 아이콘
올해 제일 잘한일이 전세자금 대출을 갚고, 현금으로 전세 갱신 한겁니다. 크크크...
에어버스
22/10/13 23:04
수정 아이콘
IMF 이전 환율이 700~800원 했는데 그 이후로 환율 1100~1200이 됐죠. 과연 환율 1200이 돌아올까요. 알 순 없지만 무조건 1200으로 돌아 간다고 장담은 못할 것 같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2/10/13 23: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IMF 이전의 시절이면 애초에 완전한 변동환율이 아닐...
현재와 같은 변동환율이 도입된게 IMF 관리받으면서일거라...
한방에발할라
22/10/13 23:48
수정 아이콘
애초에 imf와는 다르게 우리 경제의 펀더멘탈 문제가 아니라 미국이 싼 똥에 휩쓸리고 있는 거라 이야기가 많이 다르긴 합니다....
22/10/13 23:15
수정 아이콘
오 쉽게 정리했네요
interconnect
22/10/13 23:22
수정 아이콘
전 한은총재 괜찮은 사람 같습니다.
22/10/13 23:41
수정 아이콘
능력자십니다. IMF 국장 출신으로 코로나로 건강에 문제가 생기지 않으셨으면 더욱 활약할 가능성이 있었던 분으로 압니다.
국제기구에서 활동할 한국인이 귀한 상황에서 안타까운 일이죠.
22/10/13 23:49
수정 아이콘
래리 서머스 제자이기도 하고, 실력도 좋습니다.
NSpire CX II
22/10/13 23:49
수정 아이콘
그래도 이런 상황에서 괜찮은 분이 한은의 수장을 맡고 계서서 일말의 안도감이 드네요.
덴드로븀
22/10/14 00:10
수정 아이콘
말하는거 들어보면 이시국에 정말 다행이다 싶더라구요.
SG워너비
22/10/14 00:19
수정 아이콘
저런 요약본만 봐도 신뢰가 가는 것 보면 보통 사람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다행이에요
탈리스만
22/10/14 06:52
수정 아이콘
유튜브나 뉴스 댓글에선 욕밖에 없어서 안타깝더라구요. 저도 이렇게 생각합니다.
메가트롤
22/10/13 23:24
수정 아이콘
사 람 살 려
아이슬란드직관러
22/10/13 23:29
수정 아이콘
뭐야 왜 정상적이지
22/10/13 23:35
수정 아이콘
뭐야? 정상이잖아요
커피소년
22/10/13 23:42
수정 아이콘
커뮤느낌의 말투만 있지 너무 정상적이네요??
22/10/13 23:50
수정 아이콘
파월보다 낫네요.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다는 희대의 x소리였죠..
22/10/14 00:22
수정 아이콘
미국 금리가 성층권 뚫는데 큰 역활을 했죠

작년부터 인플레이션을 미리 대비했으면 충격이 좀 덜했을수도 있는데, 뒤늦게 인플레이션 잡겠다고 역사적인 금리 상향런을 달려서 세계 경제를 같이 무저갱으로 박아버린...
뒹굴뒹굴
22/10/14 09:29
수정 아이콘
저는 금리가 더 높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파월은 지금도 믿음이 안갑니다.
조금만 기회 있으면 다시 바로 금리 내릴것 같은 이미지죠 크크크
전자수도승
22/10/14 00:45
수정 아이콘
영웅은 위기에서 난다고
러시아 경제의 마지막 기둥이라던 나비올리나도 그렇고 이 양반도 위기 덕분에 능력이 증명되는 사례일까요
phenomena
22/10/14 00:59
수정 아이콘
노동이 가치있는 시대가 다시 오겠네요
감전주의
22/10/14 01:32
수정 아이콘
요약을 참 쉽게 해줬네요
닉넴바꾸기좋은날
22/10/14 01:40
수정 아이콘
아무리 생각해도 파월보다 훨 낫네요.
화법만 봐도...... 크크크크크
22/10/14 03:32
수정 아이콘
한은 총재 저정도 되야 하는군요...멋있네요.
다람쥐룰루
22/10/14 08:10
수정 아이콘
미국도 제가보기에는 마이웨이인데 달러가 힘이 쎄니까 우리가 끌려가는 느낌이네요 주요국가들이 남 신경 안쓰고 마이웨이로 달리는거 보면 신기하긴 합니다.
22/10/14 09:28
수정 아이콘
애초에 20-21년 상승장도 미국이 양적완화를 통해 달러를 풀면서 발생한 현상이라 크크
다람쥐룰루
22/10/14 11:40
수정 아이콘
돈을 저렇게 풀어?? 금리를 저렇게 올려?? 뭔가 할때마다 띠용 소리가 절로 나오더군요
셀월드
22/10/14 08:51
수정 아이콘
저에겐 부족한 대응이라 생각하지만(매파임)
이렇게 신호를 주는건 잘 한거라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4954 [기타] 아이폰 14 프로, 아이폰 13 프로 및 갤럭시 22보다 인터넷이 훨씬 빠르다 [16] Leeka13258 22/10/18 13258
464953 [유머] SF 무협 [17] 길갈10553 22/10/18 10553
464952 [기타] 위스키 종류별 특징 [86] Aqours13177 22/10/18 13177
464951 [유머] 최신 스마트폰 유튜브 재생시간 테스트 [32] Leeka13818 22/10/18 13818
464950 [유머] 하이브 주가 근황 [52] Leeka15285 22/10/18 15285
464949 [유머] 박명수가 육군에 끼친 영향 [16] Aqours12866 22/10/18 12866
464948 [기타] 32살 노가다로 빚 청산한 디씨인 [41] Aqours13783 22/10/18 13783
464947 [유머] 트와이스팬 건물주 근황 [13] Aqours11193 22/10/18 11193
464946 [기타] spc 사태를 보며 느끼는 같은 죽음 다른 대우.jpg [96] 삭제됨16078 22/10/18 16078
464945 [기타] 개천절에 출근 안 해 혼난 신입 [170] 누칼협14336 22/10/18 14336
464944 [스포츠] 한국 vs 카타르 AFC 아시안컵 유치 조건 비교 [33] 우주전쟁8321 22/10/18 8321
464943 [유머]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기. [9] 꿈꾸는드래곤9485 22/10/18 9485
464942 [유머] 짹!!!짹짹!!째애액짹짹!!!!쨕짹짹 [11] 누칼협10898 22/10/18 10898
464941 [게임] 페르소나 5 로열 pc 게임 최고점 달성 [57] 누칼협11041 22/10/18 11041
464940 [유머] 인간이 만든 가장 창의적인 무기는? [20] 누칼협14769 22/10/18 14769
464939 [LOL] 전년대비 역대급 폭락해버린 월즈 시청자수 [64] 만찐두빵11369 22/10/18 11369
464938 [LOL] 이번 월드컵의 우승팀은 당연히 이팀이지요. [11] 펠릭스10851 22/10/18 10851
464937 [유머] 드래곤볼) 드래곤볼 브레이커즈 간단 요약 [4] 고쿠10526 22/10/18 10526
464935 [LOL] 젠지 8강 조추첨 리액션 [10] 피죤투12163 22/10/17 12163
464934 [서브컬쳐] 사이버펑크 엣지러너 한국 일요일 공개 [24] 김티모9215 22/10/17 9215
464933 [기타] 취업률 거의 100%라는 대학교... [27] 우주전쟁19415 22/10/17 19415
464932 [LOL] 지금 시작하는 이번주 찍어x3 생방 [10] Silver Scrapes11073 22/10/17 11073
464931 [게임] 발로란트 내년 팀 티어 찌라시? [20] Valorant10384 22/10/17 1038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