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12 15:09:24
Name 실제상황입니다
출처 펨코
Subject [기타] 이세돌이 은퇴를 하는 진짜 이유.JPG (수정됨)
6f84ea9da4a42fbfa342fa884f534217.jpg

피지컬 요소가 적을수록, 마인드 스포츠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더 그런 경향이 있는 것 같네요.

스타2만 하더라도 김준호 점멸컨은 경이롭지만 알파스타 점멸컨은 잠깐 신기하기만 할 뿐 전혀 경이로움이 안 느껴지고

카스나 도타만 해도 ai 헤드샷이나 스킬샷에 경이로움이 안 느껴지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응 아니야
22/10/12 15:12
수정 아이콘
아 그 이세돌이 아니구나... 다행이다
22/10/12 16:04
수정 아이콘
앗... 저도... 킹아
류지나
22/10/12 15:13
수정 아이콘
음... 물론 AI의 등장이 크지만 이세돌 사범 은퇴의 진짜 이유는 협회와의 불화 때문 아닌가...
22/10/12 15:15
수정 아이콘
패배한 걸 볼 때는 별다른 감정 없다가 혼자 복기하는 모습에서 울컥했는데 비슷한 감정이었습니다.
22/10/12 15:16
수정 아이콘
여러분 아시겠습니까 답은 망치입니다
티나한
22/10/12 15:20
수정 아이콘
그건 세돌이도..
지탄다 에루
22/10/12 19:59
수정 아이콘
쇠돌이라면 괜찮을겁니자!
지니팅커벨여행
22/10/12 15:33
수정 아이콘
답은 정전입니다!
안 되면 코드를 뽑아 버릴...
아브렐슈드
22/10/12 15:46
수정 아이콘
그 전기를 사람쪽에 흘리면 더블 KO...
22/10/12 15:54
수정 아이콘
ai는 인간의 몸에서 전기를 뽑는 방법을 강구해내고..
사람들은 네오를 기다리게 되겠네요.
22/10/12 21:02
수정 아이콘
전기가 필요없는 인공지능 발명..
마음에평화를
22/10/12 15:17
수정 아이콘
예술의 장막이 아득한 숫자였다는 걸 맞닥드린거죠..
레스토랑스
22/10/12 15:19
수정 아이콘
인류가 이긴게 아니다, 내가 이긴거다
앨마봄미뽕와
22/10/12 15:20
수정 아이콘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내가 이걸 열심히 해서 얻는게 뭐가 있을까 싶겠죠. "어차피 AI한테 지는데 왜 함?" 이런 조롱도 듣게 될 것이고..
승승장구
22/10/12 15:21
수정 아이콘
ai가 쓴 시나 소설의 완성도가 문득 궁금하네요
Misaki Mei
22/10/12 15:23
수정 아이콘
지금 그림 만들어주는 NovelAI가 원래 ai 소설 써 주는 사이트로 문 열었던 곳이었거든요. 지금도 소설 AI로 돌릴 수 있고...

그런 곳 완성도 기준으로 말씀드리자면 문장 하나하나 계속 사람이 보고 의도적으로 건드려주고 하지 않으면 몇 줄 가다가 바로 스토리가 산으로 갑니다.
한방에발할라
22/10/12 15:36
수정 아이콘
냉정하게 말해서 개판입니다. 그림은 사실 디테일적인 부분이 조금 떨어져도 전체적으로 볼 때 이상하단 걸 눈치채기가 한참 걸리지만 글은 조사 하나만 삑나도 티가 엄청 나니까요. 당장 번역 ai가 좋은 예인데 처음 번역 ai 들어왔을 때 와 번역가들 다 망했다 했지만 지금 몇년이 지나도 일정 수준에서 나아지지 못하고 있죠....소설은 더 심합니다.
누칼협
22/10/12 15:53
수정 아이콘
ai 텍스트는 결국 번역이 제대로 선행되어야 볼만한 결과물이 나올 것 같습니다. 번역도 제대로 못한다면 텍스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거니까요. 영어로는 제대로 돼도 한국어로는 어려운 등의 문제도 있을거고.
kartagra
22/10/12 17:32
수정 아이콘
제가 소설 쓰기도 해서 NovelAI 결제하는 김에 소설 쪽도 좀 돌려봤는데, 그냥 개판입니다. '문장'은 잘 만드는데, 문제는 문장'만' 잘 만들어요.

조금만 길어지면 바로 치매 옵니다. 지금은 그냥 소설판 심심이라는 생각밖에 안 들더라고요. 단편까진 어떻게 써먹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는데, 장편은 심각할 정도로 똥입니다. 참고로 써먹기조차 안 돼서 그냥 바로 접고 일러나 돌렸습니다 크크.
승승장구
22/10/12 18:06
수정 아이콘
오호 이쪽은 다행히? 아직 멀었군요
퀀텀리프
22/10/12 19:59
수정 아이콘
문장으로 학습시키는 모델의 한계이겠죠.
맥락, 떡밥, 기승전결, 호흡 등 개념을 모델화 시켜서 학습시키면 다른 차원이 나올겁니다.
문문문무
22/10/12 15:22
수정 아이콘
글쎄요 체스는 지금도 예술의 영역이라고 생각하는데요
인공지능으로인해 무너진건 대상의 종교성이지 예술성이라고 생각치 않습니다.
ioi(아이오아이)
22/10/12 15:22
수정 아이콘
예전 바둑 기사일 수록, 승패만큼 중요한 게 기보다. 좋은 기보를 남기는 게 중요하다 라는 인식이 강했죠.
Bronx Bombers
22/10/12 15:24
수정 아이콘
바둑책에서 정석 소개하면서 단골로 나오던 어구가 '아름다운 모양'이라는 말이었죠. 지금은 그저 가소로운 수준.....(서명인도 비슷한 말을 했고)
22/10/12 15:24
수정 아이콘
제가 몰라서 그런건가...
전멸컨은 다 죽는 컨트롤인가요? 흐흐
실제상황입니다
22/10/12 15:25
수정 아이콘
아 점멸컨이요 크크... 오타네요..
카마인
22/10/12 15:26
수정 아이콘
이러다 다~ 죽어~!!
다시마두장
22/10/13 03:39
수정 아이콘
제가 특기로 하는 그 컨트롤이군요! 크크
22/10/12 15:26
수정 아이콘
여전히 Art 맞는데..
고세구
22/10/12 15:26
수정 아이콘
Ai... 어려운 문제네요
외쳐22
22/10/12 15:26
수정 아이콘
이창호, 조훈현, 서봉수 이런분들이 둘때의 바둑 기사는 뭔가 인간의 범주를 벗어난 것 같았거든요
고스트 바둑왕 보면 프로기사는 4면 대국도 가능하고, 같은돌 바둑도 가능하고, 일부러 비기는 것도 가능하다고 하고

암튼 뭔가 정말 정말 대단한 사람들이다. 이런 느낌이 있었는데
이제 AI에게 정복 당해 버리니 "아무리 잘 둬 봤자 AI 아래" 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인터넷 바둑에서도 AI를 악용한 플레이를 한다고 하고..
바둑 인기도 계속해서 줄어들지 않을까 싶어요. 바둑 학원이나 기원도 계속 없어지지 않을까 ㅜㅜ
크레토스
22/10/12 15:59
수정 아이콘
그것도 한순간이죠 앞으로 모든 분야서 ai가 앞설테니 다시 대단하다고 생각하게 될겁니다. 컴퓨터한테 정복된지 한참된 사칙연산 암산으로 엄청 잘하는 사람한테 그래봐야 계산기나 컴퓨터 아래라고 하던가요 그래도 대단하다고 하죠..
22/10/12 16:33
수정 아이콘
근데 그런분야가 이제 잡기 취급당한것도 사실이죠
No.99 AaronJudge
22/10/12 18:46
수정 아이콘
바둑 학원은 애초에 유소년층 인구가 격감하고 유소년층에서 바둑 인기도 격감한 이상 ㅠㅠ
22/10/12 15:27
수정 아이콘
AI : ???? 나 이제 예술도해~
레드빠돌이
22/10/12 15:28
수정 아이콘
현대 미술이 다 이런이유에서....
그렇구만
22/10/12 15:28
수정 아이콘
이래서 ai가 좋긴 하지만 모든 시장을 파괴할순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 닉네임
22/10/12 15:29
수정 아이콘
예전에 온라인 포커 많이 했었는데 여기도 좀만 높은 방가면 죄다 AI 카피 GTO 구사하더라구요.
플레이 스타일을 파악하고 카운터치는게 많이 사라져서 재미가 없습니다.
마리오30년
22/10/12 15:30
수정 아이콘
확실히 명확한 정답지가 생기고, 해설자들도 ai를 통해 승률분석을 하고 . 초반에 삼삼파는게 당연한 정석처럼 되버린 지금 바둑 보는 재미가 많이 사라진 거 같긴합니다. 누가 ai 흉내를 최대한 잘내냐가 된거 같아요.
22/10/12 15:30
수정 아이콘
뭐 본인의 생각이고 본인이 그렇게 생각해서 은퇴했으면
그게 맞는거겠죠
다른생각을 하는사람이 있으면 그사람말도 맞는걸테고
저는 이세돌씨의 의견에 동의하는편입니다
인간이 했던 일이기에 경이롭고 대단했었거든요
저게 사람인가!? 라는생각을 롤같은거보면서 느끼는거랑 비슷한 감정이었죠
근데 그걸 PC가 했다? 그럼 진짜 사람이 아니니까 뭐
22/10/12 15:30
수정 아이콘
소셜미디어가 오히려 인간의 외로움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AI가 만든 것들은 기술과 예술이 차이를 도드라지게 할 거라 예상합니다.
지금은 우리한테도 고급기술과 예술 사이가 명료하지 않아서 AI가 예술할 것처럼 느껴지는 거라 생각하고요.
及時雨
22/10/12 15:33
수정 아이콘
옛날 스타크래프트 양산형, 스타일리스트의 멸종 이야기가 불현듯 떠오르네요.
최적화의 끝은 누가 정답을 잘 베껴쓰나 싸움...
22/10/12 15:34
수정 아이콘
다른 스포츠들 특히나 힘쓰는 스포츠들은 기계가 인간을 월등히 앞서는게 당연한 수준인데 바둑도 인간이 인공지능을 못이기는 시대가 오는것도 받아들여야겠죠. 하지만 그런 스포츠들이 인간대 인간으로서 의의를 가지듯 바둑도 바둑나름대로의 길을 갈거라 봅니다.
부스트 글라이드
22/10/12 15:34
수정 아이콘
현대미술도 그런점에서 맥락을 같이하죠. 똑같이, 더 사실적으로 그리는건 더이상 예술이 아니도 낡은것이다.
그렇게 인류는 발전했죠. 근데 바둑은 그걸 뛰어넘을 이상이 있을까... 고민해봐야 할 시점인거 같습니다.
아이군
22/10/12 15:42
수정 아이콘
바둑은 잘 모르지만, 얻어듣기로는 바둑은 심오해서 오히려 문제가 되는 상황.... 이라고 하더라구요.
마치,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의 "42" 같은 느낌이라고 할까요?

인공지능이 바둑의 난제들을 해결해 줄거라는 희망이 있었고, 실제로도 해결을 해 줬는데, [이게 무슨 의미인지]모르는 상황이라고 하더군요.
ex. 바둑에서 흑이 유리한가 백이 유리한가?는 오래된 떡밥인데, 인공지능에 의하면 백이 7:3 정도로 유리함. [왜 그런지는 모름]....
첫 수를 가운데에 두는게 좋은가 구석에 두는 게 좋은가? 도 나름 난제인데, 인공지능에 의하면 구석이 좋음. [왜 그런지는 모름]...

급기야는 인공지능이 이렇게 두는 게 좋다고 한다. 그러므로 옮다. 이런 식으로 해석하는 상황이라서......
류지나
22/10/12 15:45
수정 아이콘
알파고와 이세돌 사범이 대결할 땐 한 때 그런 소리가 나왔지만 지금은 아닙니다. 프로기사들이 AI 수를 보며 해석해주고 그래요.
아이군
22/10/12 16:01
수정 아이콘
해석이 가능한가요? AI가 여기에 수를 둔 이유는 이러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이런 식의 설명이 가능할 정도가 되었나요?

https://brunch.co.kr/@ioojoo/60

저는 여기까지 들었습니다.
한방에발할라
22/10/12 16:05
수정 아이콘
그 해석이 왜 이게 유리하냐 수준까지는 왔는데 사람은 ai를 절대 완벽히 이해 못합니다. 왜냐하면 머릿속으로 집을 계산하고 수를 읽는 방식 자체가 사람과 ai가 달라요.
류지나
22/10/12 16:11
수정 아이콘
결국 바둑도 정답찾기 게임이 되었기 때문에, 그 수가 '왜 정답인지' 정도는 프로기사들이 어렵지 않게 설명해 줍니다. 안 그러면 진짜 알파고 때 대국 처럼 "왜 여기 뒀는지 모르겠네요" 이런 소릴 남발하고 있겠죠.

다만 인공지능의 바둑이 '완벽'한 바둑이 아니기 때문에, 인간의 기준으로 의미없는 떡수를 둘 때도 종종 있고,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오히려 인간이 더 뛰어난 부분도 분명히 있습니다. 상상하시는 것처럼 AI의 바둑이 완벽하진 않아요.
아이군
22/10/12 16:16
수정 아이콘
링크글은 사실 엄청나게 암울한 이야기라서, 저는 그것 때문에 이세돌이 그만뒀다고 생각했습니다.

"여기에 두면 승률이 80퍼센트인데 여기 두면 승률이 70퍼센트 입니다. 그러므로 여기 두는게 옳습니다." 이러면 이건 바둑이라기 보다는 AI바둑 해석이죠...

오히려, 님 말씀대로 이번에 AI가 둔 이 수는 의미없는 떡수다. 라고 말 할 수 있는게 훨씬 낫다고 봅니다.

그런데, 님 말씀대로 라면, 이세돌이 은퇴한 이유는 바둑에 일종의 '정답'이 생겨버려서 인 면이 있나 보네요... 그것도 그것대로 약간 씁쓸....
한방에발할라
22/10/12 16:19
수정 아이콘
사실 이세돌의 말도 지금 바둑계랑은 좀 안맞는 게 저때 알파고의 수준이라 해봐야 그렇게 엄청 넘사벽이 아닙니다. 이후 나온 알파 제로도 최근 ai들보다 성능 후지고요. ai들도 자기들끼리 계속 반복대국하면서 기력이 올라가고 있어서 ai의 정석이라는 것도 초창기랑 지금이랑 미묘하게 다른 부분이 많거든요. 삼삼정석도 처음에는 하다가 그다음에는 안하다가 다시 또 하다가 이런 식입니다. ai도 완벽한 게 아니고 지금은 ai가 이게 최선이라고 하지만 또 다음에는 바뀌기도 하거든요.
포프의대모험
22/10/12 16:05
수정 아이콘
인공신경망이라는게 알고리즘을 알고 만들면 그게 인공신경망이 아니죠.. ai의 판단근거를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류지나
22/10/12 16:12
수정 아이콘
어차피 좁은 바둑판에서 기상천외한 수를 찾아야 얼마나 찾겠습니까. 많은 프로들이 연구를 상당히 진행한 지금은 AI가 그렇게 기묘하다고 아무도 생각 안합니다. 물론 사람들이 AI를 닮아가긴 했지만요.
구밀복검
22/10/12 15:44
수정 아이콘
우사인 볼트가 치타보다 느려도 100M 스프린트는 여전히 의미 있겠지요.
22/10/12 15:57
수정 아이콘
하지만 인간의 스프린트는 인간의 기술을 발전시켜나가는거지 치타나 기계를 따라가지는 않잖아요
인간자체의 능력을 발달시키는거지
근데 바둑계는 아예 AI가 신이고 AI가 진리인거처럼 되가고있으니
저런 생각이 드는것도 충분히 가능해보입니다
22/10/12 16:09
수정 아이콘
인간은 한번도 지구상에서 100M 스프린트의 정점에 서있었던 적이 없었고, 신체적 능력이 인간을 만물의 영장이라고 칭해지게 만든 것도 아니었죠. 고도의 두뇌 능력과 정신적, 형이상학적인 사유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들며 다른 종들과 차별화하는 인간만의 고유한 능력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믿어왔고, 바둑은 인간의 그런 능력을 구현화한 상징중의 하나였죠.
실제상황입니다
22/10/12 16:11
수정 아이콘
피지컬적인 요소가 있을수록 인간이 하는 행위에 뭔가 더 의미가 있어 보이잖아요?
본문에도 썼지만 알파스타가 점멸컨으로 프로들 다 때려부수는 건 처음 볼 때만 신기하고 별로 경이롭지 않지만
김준호 같은 토스 프로들이 하는 점멸컨은 여전히 경이롭죠.
근데 알파스타도 전략전술로 인간 이기는 단계까지 나아가면 인간이 쓰는 전략전술이나 빌드는 무의미해질까봐 걱정했었거든요.
물론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알파스타 프로젝트는 끝나고 말았지만...
웸반야마
22/10/12 17:07
수정 아이콘
인간보다 똑똑한 영장류가 나오면 그래도 인간의 학습이 의미가있을까요?
22/10/12 15:45
수정 아이콘
스타크래프트로 치면, 수십년간 개발된 빌드오더나 컨트롤, 상성 등이 AI가 만든 인간미없는 무언가에 무너져버리는 느낌이려나요..
22/10/12 17:18
수정 아이콘
저두요 탱크없이 4배럭으로 마메진출해서 러커가시 마린하나하나 전부 스팀빨고 옆으로 피하며 본진미는기분일듯
이번시즌
22/10/12 15:50
수정 아이콘
여전히 프로정신을 가지고 경기에 임하는 바둑기사들은 많아요. 좁게 보면 은퇴 시기가 다가오고 있었던 이세돌 개인의 생각일 뿐입니다.
Just do it
22/10/12 15:53
수정 아이콘
어디서 보니 남성 프로들 시청률이 떨어졌다고 하더군요.
여성 바둑 프로가 시청률 더 잘나온다 그랬나 전보다 올랐다고 그랬나...
이젠 바둑의 입지가 줄어들었다고 보이네요...
지금의 축구나 야구 다른 스포츠도 따지고 보면 공놀이에 불과하죠.
풍문으로들었소
22/10/12 15:5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바둑의 세계에 대해 잘은 모르겟지만...
...바둑과 그것을 넘어서서 인간이 하는 스포츠를 보면
혹은 롤이나 스타나 그런 이스포츠만 보더라도

사람(선수)의 플레이에서 우리같은 관중은 감동을 느끼곤 하는데
ai의 플레이에서 우리는 감동을 느낄 수 있을지
그리고 생각해보면 (제가 잘은 모르겟지만...) 인간이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조건 중 인식하지 못하는 대 전제가
사람이 그런 플레이를 할 수 있을까? 에 대한 해답같은걸 다른 사람(선수)가 주기 때문에 그런거 같단 생각을 해보는데
AI는 그런 것을 할 수 있을까요? ai는 감동과 그런 놀라운 감정이나 영감을 우리들에게 줄 수 있을까요?
사람만이 만들 수 있는, 사람이 있기에 가능한 배경과 스토리가 ai도 가능할 수 있을까요?
100년 후의 이스포츠는 예를 들어 선수가 플레이하는게 아닌, ai가 서로 싸우는 이스포츠 리그로 변하고 , 어느 쪽이 더 좋은 프로그램을 발전시키느냐 싸움으로 갈려나요?

뭐 그런 망상을 잠시 해봤습니다. 바라기는 이세돌 기사님께서 느끼신 감정과 제가 잠시 했던 망상이 뭔가 맥락이 비슷한 것이였기를 한번 바래봅니다 흐흐
22/10/12 15:59
수정 아이콘
보컬로이드 모창하는 사람들도 있던데요 크크
22/10/12 16:05
수정 아이콘
구글이 잘못했네
알빠노
22/10/12 16:40
수정 아이콘
사실 냉정히 말하면 알파고와 대결하기 전에도 최고의 자리에서는 내려왔었긴 한데
22/10/12 17:18
수정 아이콘
이것도 먼 훗날에는 예전에 인간은 이랬었다 하는 자료로 쓰이지 않을까 싶네요. 그게 인간일지 ai 일지는 모르겠지만
다람쥐룰루
22/10/12 17:35
수정 아이콘
바둑돌이 아니라 짱돌을 들어야 알파고를 이길 수 있다는데서 오는 안타까움
작은대바구니만두
22/10/12 17:57
수정 아이콘
이런 류는 어찌되었든 감성과 판타지의 영역 아니겠습니까. 기계가 더 뛰어나다면 그것들은 사라지는게 당연한 수순이죠.
게임, 운동 잘 해봐야 감성 빼놓고 나면 뭐가 남겠어요. 다 그런거죠.
22/10/12 18:59
수정 아이콘
체스처럼 속기로 가야죠
오피셜
22/10/12 19:12
수정 아이콘
무협의 세계관에서 총이 등장해서 세계관이 무너지는 것 같은 충격일 듯. 내공 10갑자도 총 한방이면..
라이엇
22/10/12 19: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바둑과 체스의 처지가 다른건 아무래도 진입장벽의 문제같습니다.
꿈에서도 따라하기 힘든 플레이는 동경의 대상일뿐이지만 개쩔지만 나도 할수 있을지도? 같은 생각이 들면 동기부여가 되죠.

방금 내가 한 플레이가 최선인지 나는 몰라도 ai가 설명한걸 이해할수있다면 그걸 실력향상의 도구로 쓸수있지만
ai가 설명해줘도 이해가 안되면 그냥 GG칠수밖에 없는것도 있구요.
cruithne
22/10/12 19:14
수정 아이콘
로망이 사라졌죠
마르키아르
22/10/12 19:54
수정 아이콘
시간이 많이 지나서, ai가 더 완벽해지고 잘해진다고 한들..

자동차가 있어도, 달리기 대회가 있고

로봇이 더 빠르고 정확하게 공을 던지고 차도, 사람이 던지고 차는 것처럼...

ai가 잘하는건 잘하는거대로 따로 인정해주고,

인간끼리의 대결도 꾸준히 의미가 있지 않을까요? ^^;;
응~아니야
22/10/12 21:42
수정 아이콘
이거랑 비슷한게 그 4색문제? 였나 수학계 난제를 컴퓨터로 증명하고 까였던 게 생각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1620 [기타] 은퇴를 윤허하지 아니 하였다 [56] 퀀텀리프10589 24/06/17 10589
499735 [기타] 30년간 군복무후 은퇴한 부사관이 실망한 이유 [34] pecotek7831 24/05/11 7831
498378 [기타] 비디오 유출로 인한 성추문으로 은퇴각이라는 스페인정치인 [69] Lord Be Goja10766 24/04/12 10766
498029 [기타] 미국 20대 기술직 선택 증가 [46] 주말11499 24/04/05 11499
497565 [기타] "65세 은퇴, 미친 생각…전 세계 은퇴대란 온다" 블랙록 회장의 경고 [31] 주말8348 24/03/27 8348
496821 [기타] 누구의 정자로 시술한건가, 잠적한 의사 [30] 시린비8573 24/03/14 8573
495510 [기타] 지금 지구로 다시 진입하고 있는 것 [20] 우주전쟁10766 24/02/20 10766
495354 [기타] 미카미 유아와 사귈수 있는 최소연봉은 [25] 아롱이다롱이13482 24/02/17 13482
494745 [기타] 유명 유튜버로 이어지고 있다는 장사의 신 사건 [62] 퍼블레인16309 24/02/05 16309
492778 [기타] 은퇴한 그쪽 배우 근황 [24] 묻고 더블로 가!20138 23/12/28 20138
485170 [기타] 엇그제 은퇴식을 치루고 업계를 떠나신 분 [15] 아롱이다롱이11630 23/08/18 11630
484569 [기타] 인텔) 신규 멜트다운 취약점 Downfall 공격... [7] 타카이7505 23/08/09 7505
481151 [기타] 38만원짜리 국산 식칼 [27] Lord Be Goja12149 23/06/16 12149
480317 [기타] 시대를 묘하게 비껴나간 재능의 40대 [25] Lord Be Goja14267 23/05/31 14267
479111 [기타] 한국 보디빌딩 최고 유망주가 보디빌더를 은퇴한 이유 [43] Myoi Mina 16713 23/05/09 16713
477845 [기타] 10년간 유튜브 운영하고 은퇴한 크리에이터 [30] 꿀깅이13205 23/04/16 13205
476716 [기타] 분재.. [3] Valorant7199 23/03/29 7199
471375 [기타] [슈카] 일반적인 대한민국 사람들의 인생 페이즈 [22] VictoryFood17435 23/01/11 17435
470841 [기타] 테슬라에 10억투자해 은퇴하기 [49] 꿀깅이12706 23/01/05 12706
468339 [기타]  일자리.. 그거 만들어야 함? [2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0466 22/12/01 10466
467555 [기타] 디즈니 이사회 CEO 전격 교체 [34] 타카이15338 22/11/21 15338
464528 [기타] 이세돌이 은퇴를 하는 진짜 이유.JPG [75] 실제상황입니다16046 22/10/12 16046
461771 [기타] 우수한 치어리더 복귀 [17] 묻고 더블로 가!12263 22/09/05 1226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