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11 14:24:24
Name 꿀깅이
File #1 Screenshot_20220923_080945.jpg (57.7 KB), Download : 43
출처 nh투자증권
Subject [기타] 대한민국 중산층 기준


중산층을 나누는 기준으로는 소득(70.6%)에 이어 부동산(16.0%)이 꼽혔다.

​중산층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부동산 자산 규모는 8억4천만원으로, 실제 중산층 수준인 3억9천만원보다 4억5천만원 많았다.


600벌어서 400을 쓰나요? 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2/10/11 14:27
수정 아이콘
자산은 30/40/50/60대 기준이 다 다를 수 밖에 없죠.
30대 자산 5억과 60대 자산 5억의 의미가 완전히 달라요...
개발괴발
22/10/11 14:27
수정 아이콘
그래서 요새 세상에 중산층+전업주부가 성립하기가 너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혼자서 세후 686만원을 벌어오는건 너무 빡세니까요...
위원장
22/10/11 14:29
수정 아이콘
쓰다보면 400은 써야합니다
돈 모으기 힘들어요
Mephisto
22/10/11 15:00
수정 아이콘
쓸거 다쓰면서 사람답게 사시면 400인거죠.
진짜 포기할 수 있는거 죄다 포기하고 작정하고 모으려는 사람들 혹은 그럴 수 밖에 없는 사람들은 한달에 100미만으로 버티기도 합니다.
위원장
22/10/11 15:25
수정 아이콘
중산층이고 가구당이면 주거관련대출 등을 포함했을때 400이 큰돈은 아닐 수 있습니다
1인 가구여야 한달 100이 가능한거죠.
Mephisto
22/10/11 15:39
수정 아이콘
자녀,부모 없으면 2인 가구도 충분히 가능해요.
수입이 없어서도 그렇지만 수입이 있어도 진짜 허리띠 졸라매고 모으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리고 주거관련대출도 비용이고 지출인거죠. 자기 여유에 안 맞게 대출받은거면 그것도 과소비 인거에요.
모찌피치모찌피치
22/10/11 14:30
수정 아이콘
세전 686이면 부부맞벌이면 중산층 할만하다 싶은데 세후?
푸틴사망
22/10/11 14:31
수정 아이콘
한달 100원 이하 소비하는 나는 거지
설레발
22/10/11 15:38
수정 아이콘
한달 100원 이하 소비면.. 거지보다 덜 쓰시는듯....
푸틴사망
22/10/11 15:45
수정 아이콘
[만]이 빠졋네요...
꿀꽈배기
22/10/11 16:40
수정 아이콘
한 달 100원 이하[만]
덜덜
아이유_밤편지
22/10/11 18:06
수정 아이콘
역시 거지 클라스
VictoryFood
22/10/11 14:32
수정 아이콘
많이 벌면 많이 써야죠
유자농원
22/10/11 14:33
수정 아이콘
저걸 조건을 교집합을 하면할수록 상위5%에 부합할텐데 저게 '중산'층이면 대체
개발괴발
22/10/11 14:36
수정 아이콘
원래 중산층의 어원인 영국의 미들클래스라는 개념이 의외로 급이 되게 높은 위치지요.
정원딸린 작은 2층집에 번듯한 직장 다니며 아들딸 낳고 오순도순 화목하게 잘살기...
닉바꾸기힘들다
22/10/11 14:45
수정 아이콘
그럼 왜 이름이 '중'산 층일까요?
상류층이라 하긴 그러니 그냥 준상류층이나 중상류층 이라고 하지..
중산층이면 정말 4인 가구 기준 50% 정도로 잡아야 하는거 아닌가...
개발괴발
22/10/11 14:45
수정 아이콘
번역이 잘못됐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미들클래스를 중산층으로 번역한 사람을 불러와야 크크크
사실 원래 미들클래스급은 거의 은수저죠.
유자농원
22/10/11 14:52
수정 아이콘
근데 은수저급이면 어느정도냐고 설문하면 본문짤보다는 더 높은 클래스의 대답이 나올 것 같아요. 자산50억에... 연봉1억에... 금수저, 어퍼클래스가 그냥 재벌가 정도로 맞춰진 것 같아서요.
번역이 잘못되긴 했는데 설문도 대답도 그 잘못된 의미로 진행되지 않았을까 싶네요. 실제 중간계층보다 상위개념이지만 우리나라는 중간정도 산다고 하면 저정도는 되어야지라고 인식하는 느낌. 그냥딱 가장이 대기업/전문직 다니는 가정이 저정도일 것 같아요.
개발괴발
22/10/11 14:5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영국에는 요새 자산 보유량 등에 따라 로워미들클래스니 어퍼미들클래스니 하는 식으로 또 세분화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너무 오래된 [중산층]이라는 개념을 붙잡고 있는 거 같아요.
유자농원
22/10/11 14:55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오래사용한 느낌을 받습니다.
cruithne
22/10/11 14:53
수정 아이콘
중산층(中産層, 영어: middle class) 또는 중산 계급(中産階級)은 고전적인 마르크스주의 이론에 의할 때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속한다고 보기에는 사유재산을 가지고 있지만, 자본가에는 끼지 못하는 계층을 의미한다.

프롤레타리아보다는 윗급이라...사실 사회 전체로는 중간은 아니긴 하죠. 대충 재산 가진 사람들 중 중간 정도 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산밑의왕
22/10/11 15:57
수정 아이콘
100년전만해도 절대다수의 농부 & 노비를 빼면 자산이란게 있을만한 존재자체가 적었을테니 이해가 되네요..
22/10/11 14:37
수정 아이콘
키 175 이상 적정체중에 대머리가 아닌데다 중견기업 또는 공공기관 재직 중인 남성.. 같은 느낌이네요.
라바니보
22/10/11 14:41
수정 아이콘
짱구 아버지정도 혹은 둘리네 아버지 정도가 쉽지않죠...
Life's Too Short
22/10/11 14:59
수정 아이콘
나이들고 보니 신형만,고길동님 처럼 되는게 얼마나 힘든건지 알게됐죠
The)UnderTaker
22/10/11 15:05
수정 아이콘
미들클래스란 말자체가 귀족과 서민계급 사이에 있는 중간계급들을 지칭하던거여서 재산여부랑 크게 상관없었을건데 한국에 넘어오면서 변질된거라 봐야죠.
계층방정
22/10/11 14:34
수정 아이콘
소득이나 자산보다도 소비에서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가장 크네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22/10/11 14:35
수정 아이콘
4인가족 기준 상위 20%로 통일해서 기준을 보는게 맞지 않을까요? 이건 머 들쭉날쭉..
22/10/11 14:37
수정 아이콘
와 400....
상위10% 부럽다
OneCircleEast
22/10/11 14:42
수정 아이콘
199X년에 모 대학교 경제학과 모 교수님이 말씀하시길 '중산층의 기준은 옛날과 지금이 다르고, 지금과 나중이 또 다를게 분명한데 지금 내가 이걸 구분하는 기준을 여러분에게 가르쳐주는 이유는 우리가 학자의 길을 걷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냥 학술적인 통계적인 분류가 이런 기준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그걸 알아먹기 위해 중산층의 기준이 무엇인지를 여러분이 배워야 하는 것이고, 일반인들 기준에서 말할 때 중산층의 기준이 무엇이냐 말하라고 하면 내 생각으로는 [예정에 없던 외식을 하게 되었을 때 경제적인 압박감을 느끼지 않는다]면 그게 중산층이라고 봅니다' 라고 하셨던것이 2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머리속에 남아있습니다
Mephisto
22/10/11 14:46
수정 아이콘
저 외식에 드는 비용이 얼마냐에 따라 또 틀려지는.......
미카엘
22/10/11 14:56
수정 아이콘
예정에 없던 외식이 김밥천국이냐 파인다이닝이냐의 차이 크크
개발괴발
22/10/11 15:03
수정 아이콘
???: 집에 밥이 한 솥이 남았는데 뭐 자꾸 밖에서 사묵자 카노?
22/10/11 23:27
수정 아이콘
외식.. 아웃백 정도로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요
22/10/11 14:42
수정 아이콘
중산층이 될꺼란 믿음을 못가질거같네요...
순자산이 10억?...
허어...
22/10/11 14:42
수정 아이콘
400 금방씁니다..
전세대출이자만 150나오는데 ㅠㅠ 관리비까지하면 사는데만 200가까이.. ㅠㅠ
-안군-
22/10/11 14:49
수정 아이콘
보통 소비라 함은... 세금, 월세, 보험금, 적금, 이자... 등의 고정지출을 빼고 나머지를 얘기하는거 아닌가요?
22/10/11 14:54
수정 아이콘
아 그런가요.. 생활비.. 로 생각해버려서..
22/10/11 16:29
수정 아이콘
근데 생활비로 생각해도 400이 준수한 소비인가요? 덜덜...
그리고 저기에 나온게 솔로기준인건지 3~4인 가구 기준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부부에 외벌이에 자식 좋은 곳 교육 시키고 하면 400 나가려나요...
푸틴사망
22/10/11 14:55
수정 아이콘
저는 일단 나중에 원금이상으로 돌려 받을 수 있는 지출은 소비로 안봅니다.
우울한구름
22/10/11 15:07
수정 아이콘
저게 설문결과라 명확하지는 않은데, 원문에 가장 많이 지출하는 생활비 리스트에 주거비가 들어가는 걸로 봐서는 포함일 거 같습니다.
무냐고
22/10/11 15:48
수정 아이콘
저축이랑 대출상환은 보통 소비에서 제합니다.
닉바꾸기힘들다
22/10/11 14:42
수정 아이콘
근데 어떻게 수도권에서 전용 60이상인 아파트가 8억바껭 안함? @.@;;
개발괴발
22/10/11 14:44
수정 아이콘
수원에는 2015년 이후 신축 중에 그런 집 많아영... 33평에 6억대가 많음.
서울 말고 수도권이요.
22/10/11 14:47
수정 아이콘
수도권이 모두 광교같은 신도시 및 신 시가지로 구성되어있는건 아니죠

광교, 일산등에서 1키로도 안떨어진 구 시가지 집값은 5억도 안합니다
푸헐헐
22/10/11 15:07
수정 아이콘
서울에도 대중교통 접근성 떨어지는(버스 타고 지하철 역 가는 관악구 산동네에 있는 제 집) 곳은 전용 25평도 8억 안되는 곳 있습니다
무냐고
22/10/11 15:45
수정 아이콘
경기도권은 못사는지역이 더 드문데요
페로몬아돌
22/10/11 14:43
수정 아이콘
월소득이야 세전이면 40 언저리에 맞추기야 해도 소비랑 자산은 택도 없네 크크크
22/10/11 14:43
수정 아이콘
중산층이 아니라 중상층 기준이네요
22/10/11 15:49
수정 아이콘
원래 한국에선 중산층이라 쓰고 중상층이라고 읽는게 국룰이란 말입니다 ㅠ
박보검
22/10/11 14:52
수정 아이콘
월 700벌고 순자산 10억이 되어야 중산층이군요
22/10/11 14:57
수정 아이콘
애들 있으면 생활비 400이 여유있진 않죠..
하.. 사교육 다 망했으면
22/10/11 15:01
수정 아이콘
4인가족인데 애들 교육비만 200가까이 드는듯
TWICE NC
22/10/11 15:02
수정 아이콘
저게 여론조사로 중산층이면 이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조사 통계 아닌가요?
실제 가구 조사로 진행된 중산층 평균이 아니고
고향만두
22/10/11 15:03
수정 아이콘
월세가 800이란말입니다 젠장할
항즐이
22/10/11 15:20
수정 아이콘
네?
22/10/11 15:08
수정 아이콘
월 소비가 427만이 되려면 진짜 세후 700~800은 벌어야겠네요
마르키아르
22/10/11 15:14
수정 아이콘
언제부터 상위 10-20%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했는지 궁금하네요 -_-;;;;
o o (175.223)
22/10/11 15:14
수정 아이콘
어퍼미들클래스 콘
탑클라우드
22/10/11 15:16
수정 아이콘
출퇴근 택시(그랩) 2만원*20일과 점심, 저녁 식사(그랩 주문) 2만원*30일만 해도 100만원을 쓰고 있네요.
100만원이면 우리 직원들 평균 급여를 상회하는 금액인데... 그런데 그랩 너희는 나에게 왜 이리 불친절한거냐!!
우주소녀 보나
22/10/11 15:19
수정 아이콘
class 중에서 중간이라 중산층.. 그 아래는 노동자...
22/10/11 15:30
수정 아이콘
이 댓글이 가장 이해하기 쉽네요. 내가 일을 해야하면 일단 중신층 아닌걸로
개발괴발
22/10/11 15: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통적 미들 클래스는 이른바 어퍼 클래스인, 자본수입에 의해 생활을 영위하는 클래스 바로 밑입니다.
아직 안정적인 백수 짓은 못하고, 일을 해야하는 클래스 중에서는 잘 나가는 직업(전문직/의사/변호사/대기업 등)에 종사하는 클래스죠 =_=
요새는 의사변호사와 대기업직원은 클래스 차이가 나니까 솔직히 이걸 다 싸잡는 중산층은 좀 올드한 개념이긴 합니다.
22/10/11 15:20
수정 아이콘
근데 기준이 개인이 아니라 4인가족 기준이라면 요즘 물가에 수도권에서 저정도는 써야 생활이 됩니다. 대출 이자, 할부금 빼고 진짜 저정도 나가요.
저희 가족이 엄청 졸라매서 아껴쓴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그래도 낭비를 하거나 펑펑 쓰는 스타일은 아닌데 애둘키우는 생활비가 저정도 들더라고요...
인간실격
22/10/11 15:23
수정 아이콘
제가 딱 저 기준에 들어맞는 수준 같은데 딱히 중산층 이상으로 뭐가 여유롭다는 느낌이 안 드네요.
주거비등의 고정지출 포함하면 1인가구 혼자서도 200넘게 쓰는분들 많지 않나요?
꿈트리
22/10/11 15:24
수정 아이콘
대기업 부장 수준이네요.
대략 대출 거의 없는 아파트 한채에 연봉 1억 정도이네요.
근데, 자녀 교육비 생각하면 소비가 너무 적어요.
22/10/11 15:31
수정 아이콘
흑흑.. 답은 딩크족이다
개발괴발
22/10/11 15:32
수정 아이콘
https://www.bbc.co.uk/news/special/2013/newsspec_5093/index.stm

2013년 기준 BBC피셜 클래스 측정기입니다.
2013년 기준이라 지금 수준으로 입력하면 상당히 높게 나오니까 =_= 적당히 걸러 들으면 되지 않을까 싶기는 합니다 크크크.
22/10/11 15:35
수정 아이콘
세후 686이면 세전 연봉 1억 훌쩍 넘지않나요 덜덜
무냐고
22/10/11 15:51
수정 아이콘
자료에서 세후로 말하는 경우는 거의 없지 않나요
22/10/11 15:59
수정 아이콘
훌쩍까진 아니고 대략 1.1억 정도면 가능합니다. 맞벌이로 둘이 합쳐 1억이라고 생각하면 세후 700은 될테니 난이도가 확 떨어지기도 하고요. 다만 이 자료가 세전인지 세후인지는 잘 모르겠고 세후로 통계 내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22/10/11 15:53
수정 아이콘
이게 600버는사람이 400쓴다는 의미는 아니죠 크크크
일반상대성이론
22/10/11 16:27
수정 아이콘
얼마를 벌든 맞춰서 크게쓰니 남아날 리가 없죠…
백수아닙니다
22/10/11 16:40
수정 아이콘
: show me the money
상록일기
22/10/11 16:44
수정 아이콘
중산층의 기준이 워낙 자의적이라 논란이 많은 것 같습니다. 나름 권위있는 정의로, OECD에서 규정하는 중산층이 중위소득의 75~200%이고, 한국에 적용할 경우 1인가구 기준으론 145만8600~388만9600원이라고 합니다. 월소득 680만원대면 upper class라기엔 애매하고 middle upper class라고 해야하지 않나합니다.
아스날
22/10/11 16:52
수정 아이콘
애있고 사교육 좀 쓰면 가구당 4백은 써야됩니다...
퀀텀리프
22/10/11 16:55
수정 아이콘
맞벌이 연봉 5~6천씩
옥동이
22/10/11 17:31
수정 아이콘
진짜 편하게 쓰면 300 400 나오죠 좀 신경쓰면 250정도 나오는듯 순수하게 혼자 쓰는돈입니다
그래서 결혼못하는듯
우리아들뭐하니
22/10/11 17:37
수정 아이콘
소비를 못따라 가겠다...
22/10/11 17:57
수정 아이콘
듀오랭으론 가능한데 솔랭으론 힘들죠.
고물장수
22/10/11 18:06
수정 아이콘
한국인이 얼마나 눈이 높고 인지부조화가 심한지 알만한 지표네요.
고물장수
22/10/11 18:08
수정 아이콘
소득대비 지출 비중 많은거에 놀랄 거 있나요.

이미 자산이 10억이 있는데 저축을 악착같이 할 필요가 없죠.
터치터치
22/10/11 18:10
수정 아이콘
여기에 주식으로 -몇 억은 되어야..크크크
LuckyPop
22/10/11 19:10
수정 아이콘
소득 소비는 더 많은데 자산이 안 되네 에잉
22/10/12 13:46
수정 아이콘
세전 600쯤 버는데 월세랑 이거저거 다 해도 250쯤 쓰면 넉넉하고 여유있게 소비했단 느낌인데... 300이상 쓰면 얼마나 널널할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74720 [기타] 2021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보수) 결과 [36] 덴드로븀11979 23/02/28 11979
474415 [기타] "월 483만원 버셨나요? 평균 가구입니다" [40] 꿀깅이14249 23/02/23 14249
472209 [유머] [슈카] 정말 특이한 남녀 결혼 소득 분위 통계 [42] 흑태자11797 23/01/23 11797
471375 [기타] [슈카] 일반적인 대한민국 사람들의 인생 페이즈 [22] VictoryFood17102 23/01/11 17102
471124 [유머] ??: 복권 당첨을 축하합니다!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8105 23/01/08 8105
470716 [기타] 뽐뿌 커플의 데이트 통장 문제 [32] 꿀깅이12789 23/01/03 12789
468569 [기타] 현기차 로드탁송 알바 근황 [12] 꿀깅이13991 22/12/03 13991
468346 [유머] 2020년 평균 소득 분포와 중위값.jpg [41] 삭제됨11868 22/12/01 11868
468025 [기타] "5만원이면 오지 마세요"…결혼식 축의금 내고도 욕먹는다? [117] 꿀깅이17826 22/11/27 17826
465839 [기타] 커뮤니티별 평균연봉을 아라보자 [35] 꿀깅이13444 22/10/30 13444
464442 [기타] 대한민국 중산층 기준 [86] 꿀깅이13897 22/10/11 13897
462977 [유머] 2020년 임금근로일자리 소득 [38] Pika4810454 22/09/21 10454
461192 [유머] [포브스 코리아] 2022 셀럽 유튜버 순위 발표 [59] CastorPollux8919 22/08/29 8919
455889 [기타] 애플,무이자 대출 Pay Later 서비스?! 게시 [22] Lord Be Goja5533 22/06/10 5533
454661 [유머] 소득수준별 합리적인 자동차.jpg [19] 김치찌개6780 22/05/22 6780
452939 [기타] 포브스 선정 내집마련 어려운 나라(도시) [35] 니시무라 호노카7791 22/04/23 7791
452625 [유머] 용인시 3개 구의 소득 현황 [86] Leeka9444 22/04/19 9444
452507 [기타] 국내 소득 양극화 정도 비교 [29] 니시무라 호노카8200 22/04/17 8200
447726 [기타] 청년을 위한 9.3% 적금.jpg [81] VictoryFood14092 22/02/07 14092
446959 [유머] 평균의 함정.jpg [5] VictoryFood10343 22/01/27 10343
446325 [게임] 조택과 말레이시아 회사가 협업한 게이밍 상품 [6] Lord Be Goja5985 22/01/21 5985
444921 [기타] 중국의 역사를 바꾼 38개의 대전투 [23] EpicSide11860 22/01/08 11860
442076 [기타] 남자는 소득이 높을수록, 여자는 소득이 낮을수록 더 뚱뚱 [28] 10799 21/12/06 1079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