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10/07 15:35:51
Name Lord Be Goja
File #1 480xx.jpg (340.2 KB), Download : 42
출처 직찍/테크파워업/기글하드웨아
Link #2 https://gigglehd.com/gg/hard/13043985
Subject [기타] 요즘 그래픽카드 체감 (수정됨)


---------------------------------------------


발매당시 엄청난 덩치와 전력소모(로인한 열)로 이목을 끌었던 페르미 GTX480



그시절의 구형 케이스나 그래픽카드랑 비교하면 확실히 압도적인 체급입니다



현재

JYxi1V5.jpg

3080ti와의 덩치비교
초박형 그래픽카드행..


4080/90은 여기에서 조금 더 커진다던데..
윗사진의 3080ti대비 이정도 커진답니다

wc5x6oA.png

케플러시절만해도 가로길이 300으로, 대형브가도 넣을수 있는 게이머 케이스..라는 광고도 있었는데..

OEwULWr.png
음.. 케플러시절 케이스가 아니라 근래에 팔던 케이스들도 자칫하면 위태하겠군요
3080ti나 6800xt 간신히 들어간 케이스들은 흠..

한편 전력

xbKiKRs.png

gtx590은 거의 480급의 성능을 내는 개선판 페르미인 gtx570의 gpu를 [두개] 넣은 제품,6990도 [듀얼 gpu]라는걸 생각해보면 480의 전력소모는 보통 미친 전력소모가 아니였습니다.

그리고 이제 곧 나올 제품,...


VFNW1or.png

은  600w를 소모합니다.
(들리는 이야기로는 이것도 개발중에 적절히 다이어트한 결과물이라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담배상품권
22/10/07 15:40
수정 아이콘
600w면 이제 벽걸이 에어컨수준의 전력소모 아닙니까
나랑드
22/10/07 16:50
수정 아이콘
원룸용 전자레인지 정도....?
도라지
22/10/07 15:41
수정 아이콘
왠지 성능도 성능이지만, 광산에서 구를껄 고려해서 만든 것 같은데요 크크크
개발괴발
22/10/07 15:43
수정 아이콘
아줌마~ 여기 RTX 대짜로 2인분 같은 1인분이요~
요슈아
22/10/07 15:43
수정 아이콘
600W면....파워 1000W 가지고도 힘들겠네 후덜덜.
눈물이뚝뚝
22/10/07 15:48
수정 아이콘
이젠 카드가 아니라 블럭이라고 불러야
유자농원
22/10/07 15:49
수정 아이콘
이게 카드냐! 이게 카드냐!!
AaronJudge99
22/10/07 15:56
수정 아이콘
아니 저러면 휘둘러서 맞으면 죽겟는데요?
handrake
22/10/07 15:58
수정 아이콘
벽걸이 에어컨정도의 전력소모인데 겨울에는 진짜 히터대신 틀어도 되겠습니다.
환경오염의 주범소리 들어도 할말이 없을듯....
비오는월요일
22/10/07 15:59
수정 아이콘
이럴거면 외부장치로 만들라고...
22/10/07 16:00
수정 아이콘
전기를 사발째로 들이키는 놈이 나타났다!
12년째도피중
22/10/07 16:09
수정 아이콘
여기는 저탄소정책 안해요? 일정 와트 이상의 전력을 소모하는 그래픽카드를 생산하는 기업에게 별도의 세금을 물...
...그래픽 카드값에 포함시키겠구나.
샤르미에티미
22/10/07 16:17
수정 아이콘
게임 돌리려고 쓰기에는 너무 부담되는 전력 소모량입니다. 가격 자체가 이거 사는 사람은 그 정도 전기세는 낼 수 있으시겠죠? 수준이지만 그래도 최신 게임 4K 풀옵 좀 돌려보겠다고 저 전기를 쓰는 건 허용 범위 이상인 것 같네요. 다음 세대에서 정말 이것보다 더 커지고 전력 소모량도 늘어난다면 그때는 외장 그래픽으로 나와야 된다 어쩐다 이런 게 아니라 문제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나 싶은 수준이네요. 코인 채굴 붐과 겹쳐서 이런 식으로 만든 게 아닌가 싶은데 다음 세대가 이것보다 성능이 확실히 좋으려면 크기가 더 커질 수밖에 없을 것 같긴 합니다. 근데 감당할 수 있는 한계에 거의 오지 않았나 싶기도 합니다.
자연스러운
22/10/07 16:20
수정 아이콘
시대의 흐름을 생각하면
기술이전혀 발전하지 않는것같네요.
작아지고 전기도 적게 먹고 빨라져야하는데

키우면 누구나 빠르게 만들지?!
22/10/07 16:31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이럴꺼면 2060 이런 조그맣고 귀여운거 만들고 있을때 amd에서 저 사이즈로 크고 우람한거 만들어서 냈으면 2060 정도는 물리적으로나 성능적으로나 개압살 가능했지 않을까요?
비온날흙비린내
22/10/07 17:06
수정 아이콘
빅칩 만드는 것도 막 쉬운 일은 아니라서요.. 오히려 다이 사이즈가 커질 수록 수율, 즉 생산성이 떨어져버리는지라
블래스트 도저
22/10/07 17:47
수정 아이콘
근데 따지면 기술 발전은 엄청나게 되고 있죠
4090도 전기를 많이 먹어서 그런거지 전성비는 계속 좋아졌습니다
만약 4090 클럭 낮춰서 2060 정도로 성능 제한하면 전기는 훨씬 덜 먹고 발열도 낮을거에요
22/10/07 16:21
수정 아이콘
휴대의 편의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니 이후에도 경량화, 효율화는 후순위겠죠?
크기 줄고 전력소모 줄이고 성능 90프로 뽑아낸다고하면 그럴꺼면 아래급 산다이려나..
갑의횡포
22/10/07 16:23
수정 아이콘
무슨 의미가 있나
League of Legend
22/10/07 16:24
수정 아이콘
기술 발전이 멈춘듯?
마감은 지키자
22/10/07 16:47
수정 아이콘
이번 건 뭐랄까, 역치를 넘어선 느낌입니다.
이전에는 성능 좋아지면 크기 커지고 전기 먹고 하는 거 어쩔 수 없지 이런 느낌이었는데, 이번에는 그냥 랴… 리건…이라는 반응이 바로 나와요.
22/10/07 16:53
수정 아이콘
요즘 전기세 진짜 엄청난데 미국에선 못 쓰겠는데
HA클러스터
22/10/07 16:54
수정 아이콘
이제 난로가 하나 더 생겼다 밈을 넘어서서 게임하게 되면 계절에 상관없이 에어컨은 필수다 라는 밈이 등장하게 될지도
나랑드
22/10/07 16:58
수정 아이콘
이제 보드들도 가로 보드 밖에 못쓸 것같아요. vga 스탠드 혹은 가이드 필수느낌입니다.
트레비
22/10/07 17:04
수정 아이콘
사실 발열을 못잡는다고 봐야죠... 그래픽카드의 보드가 커진것도 있지만 발열을 못잡아서 히트싱크나 팬을 큰걸 달아야하니... 발열부터 해결한 성능좋은 칩셋이 나와야할텐데요
성야무인
22/10/07 17:11
수정 아이콘
뭐 Ryzen 7 4800HS 정도의 온보드 그래픽이라면

Passmark 기준으로 GTX 1060 정도 RTX 3050에 10% 모자라는 성능이긴 합니다.

(믿을만한 밴치테스트인지는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 봤을때 하이엔드 라이업빼고 로우앤드 라인업은 저렇게 크게 만들지 않아도 될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들고

그냥 재고 칩이 많이 남아서 그거나 팔아먹어 보자라는 심보로 보입니다.
Lord Be Goja
22/10/07 17:28
수정 아이콘
패스마크는 자체툴로 재는데,7600gt가 7800gt보다 좋다고 한이래.. 여전히 이상해서 도무지 믿을수가 없겠더군요

https://gigglehd.com/gg/hard/6843265
여기에 타임스파이 스코어가 천점정도인데

https://www.guru3d.com/articles-pages/msi-geforce-gtx-1660-gaming-x-review,25.html
1660은 물론 꽤 구세대카드들도 그거보다 많이 높습니다
스타본지7년
22/10/07 19:22
수정 아이콘
그냥 노트북체크에서 보는게 나을거 같다는..
동굴곰
22/10/07 17:13
수정 아이콘
슬슬 가로형 피시의 시대가 돌아오나...?
22/10/07 17:14
수정 아이콘
그래픽 카드 경량화 혁명 같은 것 좀 일어났으면 좋겠어요 그러니까 연구원님들 제발...
너구리만두
22/10/07 17:15
수정 아이콘
gpu뿐만 아니라 지금 cpu도 온도 전력 먹는거 보면...
22/10/07 18:22
수정 아이콘
오죽하면 메인보드 휠까봐 그래픽카드 거치대까지 나옵니까...크크;;
22/10/07 18:39
수정 아이콘
그때 페르미는 경쟁사의 5870이 워낙 잘나와서 절대적 성능이 앞서긴 했지만 그걸 뛰어넘는 전력 발열로 불판드립 당할수밖에 없었는데 이제는 잘나가든 말든 둘다 불판메타입니다!
22/10/07 18:48
수정 아이콘
그래픽카드 달린 데탑은 2012년에 스타2한다고 산 이후로 없었는데,
저렇게 고성능의 그래픽카드가 필요할 정도로 게임그래픽이 발전했나요?
Lord Be Goja
22/10/07 19:08
수정 아이콘
몇몇 aaa급 게임들 기준으로 그렇긴한데
그 게임들이 대중성이나 리플레이성이 대단한가는 좀 의문이죠
(기준: 미드레인지브가나 콘솔말고 최신 하이엔드급 브가들로 즐기고 싶다! 라는 욕망이 들정도로)
22/10/07 19:23
수정 아이콘
뭣보다 모니터 해상도와 주사율이 올라간게 크다고 봅니다
지켜보고있다
22/10/07 21:37
수정 아이콘
제가 큰맘먹고 산 85인치 QLED TV가 261w 먹네요

소비전력 5등급인데 600w는 좀..엄청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97502 [기타] 돈버는 다이어트 [9] 퀀텀리프5776 24/03/26 5776
496910 [기타] 검증하면 할수록 신의 약물이 되고있는 약 [57] Myoi Mina 10290 24/03/15 10290
496413 [기타] 은근히 여러분이 방심하기 쉬운 음식 [15] Lord Be Goja7133 24/03/07 7133
494312 [기타] 짝에 출연했었던 존잘남 근황 [18] 호시노 아이14256 24/01/28 14256
492521 [기타] 예전에 쓰던 위험한 다이어트 [15] Lord Be Goja12714 23/12/23 12714
492467 [기타] 할리우드에서 유행하는 다이어트 방법 [30] 아롱이다롱이13396 23/12/22 13396
486849 [기타] 의사가 시도하고 싶은 다이어트 방법.gisa [31] VictoryFood12373 23/09/15 12373
485823 [기타] 복숭아 한조각의 무서움 [13] 쎌라비12382 23/08/29 12382
485472 [기타] 124kg에서 49KG로 감량한 이쁜 눈나 [32] 아롱이다롱이11711 23/08/23 11711
484566 [기타] 다이어트하는데 도저히 살이안빠져서 피티쌤한테 물어봤더니.jpg [25]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570 23/08/09 9570
482203 [기타] 아스파탐 '발암 물질' 논란에.. 식약처 "콜라 매일 55캔 마셔야 위험 수준" [92]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1307 23/07/03 11307
481772 [기타] 다이어트할때 최악의 음식.jpg [19]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9783 23/06/27 9783
480133 [기타] 방시혁 근황 [12] 아롱이다롱이10685 23/05/28 10685
478783 [기타] 모든 헬스 커뮤니티에서 욕먹고있다는 헬스 유튜버.JPG [22]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3655 23/05/02 13655
474677 [기타] 남자들의 다이어트 [8] 꿀깅이9746 23/02/27 9746
473011 [기타] 다이어트한다고 제로콜라를 물처럼 마시면.jpg [51] Pika4813069 23/02/04 13069
472343 [기타] 운동 안 해도 살 빠지는 다이어트 [111] Aqours13289 23/01/25 13289
471504 [기타] 다이어트 과자 호불호.jpg [22] Pika489746 23/01/13 9746
464195 [기타] 요즘 그래픽카드 체감 [37] Lord Be Goja12672 22/10/07 12672
462840 [기타] 의외로 애플와치에서 여태 미지원한 기능 [42] Lord Be Goja12480 22/09/19 12480
458426 [기타] 두유의 함정 [58] Lord Be Goja9089 22/07/19 9089
457011 [기타] 인방) 공혁준 몸무게 근황 [37] 유성의인연9891 22/06/28 9891
453448 [기타] 커피는 다이어트에 도움이 될까 [26] Lord Be Goja7113 22/05/02 711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