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13 15:28:24
Name 이호철
File #1 1.png (7.0 KB), Download : 28
출처 루리웹
Subject [게임] 귀큰놈 "게임 정가 70달러 시대"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263/?n=157775

유비소프트가 자사의 향후 게임 가격 정책을 밝혔다. 일부 트리플A 타이틀의 경우 70달러에 판매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는 이브 기예모 유비소프트 CEO가 경제지 악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 직접 밝힌 내용이다. PS5와 Xbox 시리즈 X/S용으로 출시하는 고사양 게임들을 기존 통용되던 60달러(약 8만 2,000원)가 아닌 70달러(약 9만 6,000원)에 판매하겠다는 것.
-----

응 가격 올려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
22/09/13 15:30
수정 아이콘
환율대문에 몇배로 쳐맞네
조말론
22/09/13 15:31
수정 아이콘
이래야 할인해서 팔 때 원래대로 받아먹으니 그런가
누가 너네껄 제값에 사겠니..
Lord Be Goja
22/09/13 15:32
수정 아이콘
유비소프트가 직원들도 탈주 많이했는데(액블과 유사한 이유), 신사업들도(NFT라던지) 영 x망해서 어렵긴하죠
비뢰신
22/09/13 15:33
수정 아이콘
응 탈주야
及時雨
22/09/13 15:33
수정 아이콘
모바일 게임 버는 거 보면 10만원까지는 참을 수 있습니다... DLC 쬐끔만 내라...
22/09/13 15:33
수정 아이콘
모바일 게임보면 몇백씩 지르기도 하니까요
마카롱
22/09/13 15:34
수정 아이콘
파판7 리메이크가 이미 70달러 시대를 열었으니 따라가는 거죠.
김태발
22/09/13 15:34
수정 아이콘
참..예전 90년대 슈퍼패미콤 팩 기본 가격이 9800엔이었고 후반기 끝물에는 12000엔 언저리까지 갔었던게 정말 비싸긴 했었던 것 같습니다.
(90년대 초반은 엔화 환율이 500~600원대 였지만 97년 IMF를 계기로 1000원을 넘어버렸죠)

요즘은 대부분 데이터 다운로드 방식이니 기존 카트리지 팩에 들어갈 재료값(?) 빠진다 치더라도 그때와 비교했을 때, 30년이 지났는데 말이죠.
그때가 너무 비쌌던걸까요? 지금이 너무 싼걸까요?
22/09/13 15:36
수정 아이콘
그때는 일본 버블때긴 하지만 지금이 말도 안되게 싼겁니다. AAA타이틀 기본 천억씩 드는 시대에서 대부분의 게임 개발사가 캐시카우 갖고있지않으면 AAA게임 개발 시도조차 못해요.

지금 소니가 라이브서비스 게임 개발에 눈뒤집혀서 환장했고 캡콤도 지속적으로 트라이하는데 족족 망해서 외주를 계속 줘버리는 추세고...
김태발
22/09/13 15:39
수정 아이콘
나이가 나이인지라 저도 예전 생각을 해보면 지금이 굉장히 싼거라는 쪽에 한표를 주고 싶지만 또 2000년대생이나 그 시대를 겪지 않은 세대에서는 이미 가격이 내려간 상태를 기준으로 할테니 지금 가격을 볼때 뭐????? 이리 가격을 올려????? 라는 생각이 들법도 하겠더라고요.
22/09/13 15:45
수정 아이콘
아시아는 가챠게임이 점령해버렸고 북미 유럽도 스포츠 게임 카드깡 하는 라이브서비스 게임이 주축이 된거 보면 지금 소니프라이스 기준 78000원은 젊은층한테 크게 비싸게 와닿지 않을걸요.

비유하신 일본만 하더라도 가정용 콘솔대신 모바일,스위치로 다 넘어가버린 동네라 애초에 비싸다는 인식이 딱히 없을겁니다. 20년간 10달러 올랐어요. 엄청 오른게 아닙니다.
기무라탈리야
22/09/13 16:15
수정 아이콘
사실 슈패미 시기면 버블 꺼져서 망해가는 시기이긴 합니다...
TWICE쯔위
22/09/13 15:39
수정 아이콘
소니와 세가가 소프트 가격 낮춘 큰 공신이었죠..(새턴VS플스1 시절)..
메가드라이브,슈패미 시절 소프트 가격은 뭐...(그 시절에도 코에이 프라이스는 악명이 높았습니다. 1,4800엔....)
김태발
22/09/13 15:47
수정 아이콘
하지만 닌텐도는 카트리지팩 스타일을 고수하고.........결과는.....(애도)
마감은 지키자
22/09/13 16:01
수정 아이콘
그런데 당시는 카트리지가 확실히 쾌적하긴 했습니다. 덕분에 실황야구도 로딩 없이 즐겁게 했고, 시간의 오카리나도 로딩 있었으면 인상이 꽤 달라졌을 겁니다.
덕분에 포기해야 하는 게 용량이라는 것이 문제였습니다만...
개발괴발
22/09/13 15: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때 물가 체감수준으로 지금 게임 한편 가격을 측정하면 대략 30~40만원 정도가 됩니다. (백반 가격 상승치 기준)
확실한건 이 가격수준이면 게임불감증 같은 건 없습니다. =_=
(당근마켓이니 중고나라 같은 것도 없던 시절이라 어지간하면 안고 죽어야 하던 시절...)

치타맨 같은걸 샀어도 무조건 토할 때까지 끝을 보고 말았던 시절이라 공략 공유도 활발하고 깬 사람들에 대한 리스펙도 장난 아니었었죠...
이런 시절이 다시 왔으면 싶다가도 지읒같은 게임 걸릴 거 생각하면 다시 안왔으면 싶은 시절이기도 하고 그래요.
AaronJudge99
22/09/13 15:52
수정 아이콘
세상에 뭔 게임 하나가 플스급….
김태발
22/09/13 15:5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친구끼리 서로 팩을 바꿔가며 플레이하기도 하고 아님 친구네 가서 직접 플레이해보는 맛이 있었드랬죠 크..
마감은 지키자
22/09/13 16:03
수정 아이콘
뭐 그래서 복사팩 복사CD가 판을 친 것도 사실이죠. 안 그래도 정식판이 없는데 수입 정품을 사려면 비싸도 너무 비싸...ㅠㅠ
네이버후드
22/09/13 17:38
수정 아이콘
그때도 앵간하면 다 교환해서 했죠 게임샵에서 5천원정도 받고 교환해주거나 매입했어요
좌종당
22/09/13 16:30
수정 아이콘
뭐 원래 유통 함 거치고 나면 천정부지로 오르는거 아닌가 합니다

디지털시대인 거 생각하면 별로 싼건 아닌거같아요
만약 싼게 맞았으면 게임만드는 회사들이 대기업들로 성장을 못했어야죠
BlueTypoon
22/09/13 18:12
수정 아이콘
지금이 저렴하다고 생각하지만 판매 모델이 개선이 필요해보입니다. 만족도 높고 저렴한 게임이 많고 게임도 많이 나오는 시대라서 일단 비싸게 산다음에 풀 패키지를 즐기는 방식이 단점이 많아보입니다.
제 생각에 가격은 일본이 90년대부터 현재까지 인건비가 거의 오르지 않은 사실과 관련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DLC가 판을 친다고 해도 닌텐도 시리즈나 엘든링 같은 게임들은 DLC 무리도 없이 정가에 게임 퀄리티도 좋은데 일본과 다른 나라의 회사 차이가 아닐까 싶어요.
Blooming
22/09/13 15:36
수정 아이콘
유비가 거의 적자만 면하는 수준이라..
덴드로븀
22/09/13 15:36
수정 아이콘
가챠에 비하면 6~70달러가 아직 그렇게 비싸게 느껴지진 않는 가격이긴 한데 환율 덕분에 심리적 저항이 상당해지네요.

기본판이 10만원!
아이군
22/09/13 15:37
수정 아이콘
그래 맞다... 7만 몇천원 정도는 내줄만 하지..... 하고 봤는데 9만6천원..... 아놔 환율 진짜 ㅠㅠ
22/09/13 15:38
수정 아이콘
말딸 천장 한번 찍을 돈이면 트리플A 타이틀이 여섯개!
22/09/13 15:38
수정 아이콘
소니가 PS5부터 시행한건데 반발이 만만치않죠. 모든 개발사가 다 올려도 상관없다고 봅니다. 근데 소니도 어설프게 무슨 PS4랑 PS5랑 가격측정을 다르게하고 업그레이드 비용을 10달러 따로 받아서 더 반발이 심한거 같기도 하고

지금 게임 개발에 드는 비용대비 게임값이 너무 싸긴 하죠. 개발비가 너무 세니까 AAA타이틀 만드는 회사가 가면 갈수록 줄어들고...
Lich_King
22/09/13 15:41
수정 아이콘
게임이 재미만 있다면 충분히 낼 수 있습니다. 제발 재미있는 게임을 많이 내주세요.
Asterios
22/09/13 15:41
수정 아이콘
AAA급 게임이 너무 싸다는 생각은 했지만 환율까지 올라서 저렇게 비싸지면 좀 곤란한데요...
22/09/13 15:42
수정 아이콘
5년 전에 풀프라이스 게임이 6만3천원인가 했으니 납득은 됩니다만 크흑 손이 안가는건 어쩔수가...
그놈헬스크림
22/09/13 15:42
수정 아이콘
예전 sfc 롬팩 생각하면 가격이 오르는게 이해는 갑니다만... 환률로 직격탄 맞는게 너무 세네요...
게임이 너무 저평가 받는다고 생각하는게 가격이 너무 안오르긴 했습니다.
모든 물가가 오르는데 ps1 시절부터 거의 동결 비슷하게 가격이 책정되었으니...
어서오고
22/09/13 15: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바보들인가? 가챠를 넣어~(사실 있음)

유비가 가격을 올려도 믿고 사는 이미지를 만들려면 그 밋밋한 캐릭터성부터 어떻게 좀 해야된다고 보는데 PC 끝판왕이 얘네들이라 좀 힘들듯. 아마 10년후를 장담 못하는 게임 대기업 하면 유비가 순위권으로 꼽히지 싶어요.
22/09/13 15:58
수정 아이콘
이미 유비는 오늘 내일 하고 있어서 텐센트가 사려고 계속 매입하면서 각재고 있고 언제 유비 이름 사라져도 안이상한 상황입니다.
어서오고
22/09/13 16:31
수정 아이콘
조만간 망할듯 이라고 적었다가 너무 저주하는거 같아서...
Easyname
22/09/13 15:50
수정 아이콘
20년 전이랑 비교하면 게임 가격은 아직도 혜자임
마감은 지키자
22/09/13 15:56
수정 아이콘
소비자로서 아쉽기는 하지만, 그동안 너무 안 올랐던 것도 맞고 모바일게임 생각하면 뭐 딱히 할 말은 없네요. 얘네도 돈 벌어야 게임 만들죠.
그런데 너흰 게임 좀 잘 만들자... 매번 오픈월드 게임들이 그게 뭐니...
아이폰텐
22/09/13 16:01
수정 아이콘
10만원까진 용인 가능함 저는
겨울삼각형
22/09/13 16:03
수정 아이콘
코에이 프라이스가 선녀로 보일지도(아님)
여덟글자뭘로하지
22/09/13 16:03
수정 아이콘
다 올리는것도 아니고 뭐 트리플A급이면 그래도 되죠.
모바일게임 신캐 나오면 천장 치느라 100~200도 쓰는데 DLC 다 포함해도 천장 한번 칠 가격도 안되는게 현 상황이고..

근데 유비는 구작 다운로드도 막고 서버 다 내리고 하지 않던가... 지금 지르기엔 영 상태가 메롱이었을텐데
삼화야젠지야
22/09/13 16:05
수정 아이콘
유비겜 안한지 너무 오래됨
옥동이
22/09/13 16:06
수정 아이콘
응 히마매3하면 그만이야
머나먼조상
22/09/13 16:07
수정 아이콘
가격을 못올리니 요즘 패키지는 컨텐츠 억지로 쪼개서 dlc 만들어서 해당 dlc 포함한 10만원짜리가 사실상 기본 구성인 기형적인 시장이죠
기본가격 올리면서 저딴짓 줄이면 올려도 상관없는데 과연 돈맛본 회사들이 그럴지는...
사탄이랑 마라가 dlc악마인게 말이되냐 아틀러스놈들아
마감은 지키자
22/09/13 16:12
수정 아이콘
차라리 처음부터 올렸어야 했는데, 이제 와서 올린다고 쪼개 팔기를 안 할 리가 없으니 뭐 꼬인 거죠...
22/09/13 18:43
수정 아이콘
그 처음부터 올리려고 했는데 겜덕너드들이 난리치니 못올린겁니다
마감은 지키자
22/09/13 19:04
수정 아이콘
그걸 전제로 깔고 한 이야기였습니다. 다 아는 이야기라...
22/09/13 16:09
수정 아이콘
인플레이션이나 인건비 생각하면 올리는건 어쩔 수 없죠. 아니면 가챠게임 만드는 수 밖에..
22/09/13 16:11
수정 아이콘
온라인게임이나 모바일게임 현질에 들어가는거 비하면 정말 적은편이긴 한데...
22/09/13 16:21
수정 아이콘
30년전에도 5만원대였으니, 게임 가격이 안 오르긴 했죠.
다만 다른 회사도 안 따라가길 바랄뿐 ㅠ
데스티니차일드
22/09/13 16:31
수정 아이콘
코에이겜과 슈로대 생각하면 양반...
총뀨율
22/09/13 16:33
수정 아이콘
모바일 가챠 캐릭터 게임에 비교하면 이해할만 합니다
초현실
22/09/13 16:43
수정 아이콘
올리긴 올려야죠. 이정도도 안되면 걍 다같이 리니지 만들어야...
22/09/13 17:15
수정 아이콘
솔직히 패키지게임이 살아있는것도 이상함. 와카모 뽑는다고 쓴 돈이면 게임 3개는 사는데.
김유라
22/09/13 17:25
수정 아이콘
올직히 패키지게임은 좀 올라도 됩니다... 몇년째 동결이냐 크크크크
Two Cities
22/09/13 17:54
수정 아이콘
비싸죠. 기본판으로 모든 컨텐츠를 다 즐길 수 있으면 반대 안 합니다.
스카야
22/09/13 18: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패키지게임이 살려면 nba2k, fifa처럼 카드게임 만들거나
Gta처럼 온라인 경쟁요소 집어넣거나
심즈처럼 dlc 30조각내서 팔아야죠.

어크정도면 3개 다 가능은 할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위쳐나 젤다급 명작 내지 않는 한
온라인 요소 거의 없이 수익내려면 심즈모델밖에 없다고 보긴합니다
암드맨
22/09/13 21:54
수정 아이콘
90년대에도 삼국지 레드얼럿1 4만원대로 주고 샀는데 잘만든 aaa 는 10만원대 초반까지 용인가능합니다
앙겔루스 노부스
22/09/14 01:53
수정 아이콘
솔까 더 받긴 해야죠... 게임값 안 오른거를 봐서도 그렇고, 모바일이 터무니없이 쳐 긁어먹는거하고 비교해봐도 그렇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2722 [스포츠] 천조국의 포토존 자판기.GIF [8] 니시무라 호노카9750 22/09/17 9750
462344 [게임] 귀큰놈 "게임 정가 70달러 시대" [57] 이호철12262 22/09/13 12262
462120 [서브컬쳐] 새로 나온 슬램덩크 밸런스 게임 [51] 닭강정10450 22/09/10 10450
461648 [스포츠] 미남 축구선수에 관심이 생긴 에타녀.jpg [19] Starlord12545 22/09/03 12545
460762 [게임] FM) 축구협회 뒷통수때려도 되나요.JPG [15] 비타에듀7504 22/08/22 7504
460543 [LOL] 황금올리브 실버 스크레입스 [89] 수퍼카10508 22/08/19 10508
460226 [기타] 실시간으로 터져나가는 익스트림무비.jpg [45] 오곡물티슈12911 22/08/15 12911
460134 [LOL] 플옵 1라운드 담원 vs KT 배당 [47] 카트만두에서만두7508 22/08/13 7508
460038 [유머] 어른들은 왜 채널을 "돌린다"고 할까요? [80] 길갈11126 22/08/12 11126
459343 [LOL] 아놀드 허 "LCK도 자체파워랭킹 만들면 안됨?' [93] EpicSide8919 22/08/03 8919
458633 [게임] 피파23,여성리그 구현 [20] Lord Be Goja7070 22/07/22 7070
457350 [기타] 슬램덩크 극장판 개봉 12월 3일 확정 [30] RENTON6281 22/07/02 6281
457349 [스포츠] 슬램덩크 등장인물 순수실력 투톱 [24] 인민 프로듀서8123 22/07/02 8123
456160 [스포츠] [NBA] 뉴욕 닉스 우승 [15] 아줌마너무좋아6414 22/06/15 6414
456089 [게임] ???:남자들은 게임하는 것만 보여줘도 돈 잘버네요 [59] 오곡물티슈11337 22/06/13 11337
455909 [유머] 요즘 유튜버가 고개 숙여서 사과하는 방법 [45] 종이고지서14827 22/06/10 14827
455556 [유머] [NBA]파이널 기념 작년 여름에 논란됐었던 엠팍 nba vs글 [50] Rain#16421 22/06/05 6421
455535 [스포츠] 남초 커뮤에서 잊을만하면 올라오는 논쟁거리 [64] 인민 프로듀서14171 22/06/04 14171
455289 [유머] 100년 동안 나오기 힘든 대한민국 5대 짱.jpg [36] 김치찌개8206 22/06/01 8206
455219 [스포츠] ??? : 네이마르 때문에 평생 처음 롤러코스터 타본 썰 푼다 [22] 손금불산입10605 22/05/30 10605
455030 [유머] 요즘 유게 근황 [62] 눈물고기10748 22/05/27 10748
454967 [LOL] 롤드컵에서 플인시작하면 힘든 이유 [38] Leeka7078 22/05/26 7078
454896 [서브컬쳐] (스포주의) 프로야구생존기 근황 [187] roqur7914 22/05/25 791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