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13 13:15:08
Name 니시무라 호노카
출처 네이버 블로그
Subject [기타] 2년전으로 돌아간 아파트 가격
1663037294896-1
1663037294896-2
1663037294896-4
1663037294896-0
1663037294896-3

이제 시작인데 왜 이렇게 빨리 떨어지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TWICE NC
22/09/13 13:18
수정 아이콘
5년전으로 갑시다
그럼 살 만 한가?
네이버후드
22/09/13 13:27
수정 아이콘
엄청 살만하죠
22/09/13 13:53
수정 아이콘
제발.. 10년은 바라지도 않으니..
Equalright
22/09/13 13:19
수정 아이콘
시작인가요? 이미 많이 진행된거 같은데
도라지
22/09/13 13:21
수정 아이콘
아뇨 아직 멀었습니다.
안떨어진곳도 엄청 많아요.
이혜리
22/09/13 13:21
수정 아이콘
시작은 17년 7월 1일에 발표한 부동산 7.1 대책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에.
근데 지금이라면 80% 다시 열어줘도 괜찮을 것 같은데.
부대찌개
22/09/13 13:22
수정 아이콘
그래도 고점매수는 안해서 다행이네요 ㅠㅠ
MissNothing
22/09/13 13:24
수정 아이콘
지금 고점을 봐서 그렇지 2년전에도 솔찍히 말 안되는 가격이여서...
EpicSide
22/09/13 13:24
수정 아이콘
이 정도면 그냥 어? 정도지 곡소리이야기는 꺼내기도 민망한....
22/09/13 13:25
수정 아이콘
결혼으로 고점에 물린 사람은 웁니다
자존감
22/09/13 13:42
수정 아이콘
(2)
환경미화
22/09/13 14:24
수정 아이콘
1채라면 그냥 투자라 생각 안하면 살만 하지 않나요?
22/09/13 16:06
수정 아이콘
실거주 1채라 크게 상관없지만 30년동안 갚을 대출금은 크흡.. 눈물이 앞을 가립니다.
유부남0년차
22/09/13 19:23
수정 아이콘
그래도행복하시죠?
지니팅커벨여행
22/09/13 20:00
수정 아이콘
아파트가 아닌 여자친구 고점에 물리셨...??
묵리이장
22/09/13 13:25
수정 아이콘
하지만 아직도 너무 높다고는 봅니다.
22/09/13 13:26
수정 아이콘
전세 쫒겨나서 에라이!!! 드럽고 치사해서 산다.... ㅠㅠ
썬업주세요
22/09/13 13:26
수정 아이콘
여기 나온곳들이 각 지역 대장아파트들인가요?
22/09/13 13:27
수정 아이콘
여기까지가 딱 코로나 버블(저금리+유동성)인 것 같긴해요.
이후 내려갈 것은 지난 정책의 힘으로 어거지로 올라온 것들이 아닐까.
정책의 향방(공급 및 대출,세금)에 달린 것 같네요.
excelsior
22/09/13 13:27
수정 아이콘
거품 좀 빠져야죠
22/09/13 13: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저 그래프들 보면 아시겠지만 2년 전 가격도 이미 하늘 뚫고 있었던 상황이었죠. 코로나 버블 언급하기도 민망한 수준.
22/09/13 13:29
수정 아이콘
사실 2년전 가격으로 돌아가도
1~2년전에 고정금리로 샀으면 이득이 어마어마한데…

진짜 요즘 금리 살벌합니다..

이자 차이가 1~2년전하곤 너무다름
라떼는말아야
22/09/13 13:29
수정 아이콘
월세는 2년전 가격이 아니죠.
22/09/13 13:30
수정 아이콘
개인적 경험으로 단기간 폭등한 가격은 폭락하기 마련이다. 그럼에도 폭등전 가격까지 떨어지진 않는다. 였습니다. 뭐 알 수 없지만 5년전 가격으로는 무리고 19년 언저리까진 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2/09/13 13:32
수정 아이콘
2016년 한번 갑시다.
2016년 결혼해서 집 사준다는데 안사고 뻐팅기다가 인생 조진 사람입니다.
신의주찹쌀두뇌
22/09/13 14:03
수정 아이콘
사준다는데 왜요...ㅠㅠㅠ
22/09/13 14:38
수정 아이콘
돈 더 모아서 잠실에 살 수 있을 줄 알았습니다.
리센츠 살고싶었는뎅... 현실은 무주택 7년차 ㅜㅜ
개념은?
22/09/13 13:32
수정 아이콘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자 시절때 공약으로 아파트 집값 잡겠다고 했으면 대박인데...
그 어떤 정권도 못한 집값을 잡겠습니다!!

물론 보수에서 나온 대통령이 그런말을 하긴 힘들긴하죠.
빼사스
22/09/13 13:40
수정 아이콘
몇몇 떨어지는 곳만 그럴 뿐인 느낌이;;
아이군
22/09/13 13:47
수정 아이콘
진짜 시작은 올해 말부터 있을 예정인 역전세난.... 이쪽은 진짜 사람들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일이라서 글자 그대로 곡소리가 나죠....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immovables&no=5135966

지금 이미 전세가가 고점대비 억이상 떨어진 곳이 많은데, 고점 만기가 이제 몇달 남았습니다. 집 주인 입장에서는 억단위 금액을 만들어야 되는데, 만들 수 있는 사람이 그렇게 많을까요..... 그것도 지금 금리로?
그렇구만
22/09/13 14:00
수정 아이콘
링크대로 3개월남았으면 지금부터 난리났을겁니다. 투기세력이 얼마나 많았냐에 따라 다를텐데 그동안 투기세력잡는다고 정책을 펼치고 결과를 봤을 때 투기세력이 그 정도로 많은진 모르겠네요. 개인적으론 지금처럼 종종 뉴스에 뜨는 급매 수준으로 예상되네요
아이군
22/09/13 14:05
수정 아이콘
링크는 사실 극단적인 예라서 진짜로 3억 차이가 나지는 않습니다.(다른 전세는 대부분 7억대)

역전세난 우려는 이미 뉴스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https://www.google.com/search?q=%EC%97%AD%EC%A0%84%EC%84%B8&sxsrf=ALiCzsYAapzgTYuecMSua36qbz5YFi_mXA:1663045332829&source=lnms&tbm=nws&sa=X&ved=2ahUKEwiS1rvS_pD6AhVUhMYKHfxxDo4Q_AUoAXoECAEQAw&biw=1920&bih=937&dpr=1
그렇구만
22/09/13 14:18
수정 아이콘
시세가 꺽이니 당연히 역전세 우려도 커지겠죠.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투기세력(정확히는 현 상황을 버틸수 없는)이 많을까 아닐까로 그 정도가 달라질텐데 생각보다는 많지 않을 것 같다가 제 생각입니다. 근데 제가 이렇게 얘기했지만서도 앞으로 어떻게 될지 매우 궁금하긴 합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2/09/13 13:52
수정 아이콘
아가리 쩌억(돈없음)
22/09/13 13:57
수정 아이콘
19년도 가격이 적정이라는 교수님 글을 피지알에서 본거같은데 나름 일리가 있다고 봐요

서울 수요 이런거 고려하면 19년도 선에서 자리잡지 않을까요? 그 전으로 가기엔 너무 폭락해도 문제니 그 전에 정부가 어떻게든 막을거같고…
이탐화
22/09/13 14:03
수정 아이콘
자전거래 증여 드립이 나올때가 됐는데..
지구돌기
22/09/13 14:14
수정 아이콘
그런데 거래량을 같이 보면 20년 6월 이후 거래가 확 줄었기 때문에, 막상 2년전 시세로 가도 물린 사람은 거의 없을겁니다.
4년전 시세로 가면 곡소리가 좀 나올거고요.
22/09/13 16:54
수정 아이콘
대출규제 빡빡하게 해놔서 주담대는 그렇게 걱정이 안되네요. 이번에 푸는 것도 그래서 반대구요.
김다미
22/09/13 14:30
수정 아이콘
그동안 집값이 너무 오른것도 있고 금리인상이 큰 원인이 된것도 많고 부동산에도 사이클이 있듯이 바닥찍고 다시 올라간다고 보는데 과거랑 다른게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가 너무 심해서 그게 어떤 변수로 작용할지 예상을 못하겠어서 매수가 힘들더라고요. 흐암.
신류진
22/09/13 14:34
수정 아이콘
2년전에 샀는데 본전 됐어요 ㅠㅠㅠㅠㅠㅠㅠ
김유라
22/09/13 18:01
수정 아이콘
저도... 그래도 전세 수요 좀 있는 동네라 그런지, 그 본전 구간에서 반년째 영혼의 사투 중입니다 크크크
李昇玗
22/09/13 14:42
수정 아이콘
33으로 옮겨야 하는데........
리얼월드
22/09/13 14:42
수정 아이콘
그대로 저긴 금액대가 낮으니 (?) 거래라도 있네요
더 큰곳들은 거래 자체가 사라져서...
안철수
22/09/13 14:57
수정 아이콘
미국 금리인상 와중에도
8월 전세대란 -> 매매 상승 시나리오를 여러곳에서 봤는데
조용히 지나갔네요.
김유라
22/09/13 17:59
수정 아이콘
사실 지금도 전세 수요받치는 집은 잘버티고 있기는 합니다. 그런데 그게 왜 매매 상승으로 이어지는건지는 저도 잘 모르겠네요 크크크크크

전세 못들어갈 바에야 웃돈주고 사는건가...?
블루sky
22/09/13 14:57
수정 아이콘
아직 높다 개떡락 가즈아
총뀨율
22/09/13 14:58
수정 아이콘
좀 떨어져야죠.. 그래야지 출산율이 올라가죠...
라떼는말아야
22/09/13 16:19
수정 아이콘
정말 부동산 가격이 폭락하면 올라갈까요..?
탑클라우드
22/09/13 15:13
수정 아이콘
솔직히 2년 전에도 너무 비싸다고 생각했던지라...
태공망
22/09/13 15:20
수정 아이콘
물가상승률을 고려했을 때 18년 2사분기 가격까지 내려와야 적정가격이 되지 않나 하는 극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22/09/13 17:06
수정 아이콘
거품 좀 더 빠져도 되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2427 [게임] 이것이 진짜 크킹 세계관이다!! [18] 통피7968 22/09/14 7968
462426 [LOL] LEC 해설 베디우스 근황 [3] League of Legend5449 22/09/14 5449
462425 [기타] 결혼식장에서 여자친구인척 해주겟다는 후배.jpg [73] insane12134 22/09/14 12134
462424 [유머] 인어공주 예고편 유튜브 댓글 근황 [22] TWICE쯔위8690 22/09/14 8690
462423 [유머] 딸에게 남자친구 사귀라는 엄마 [15] TWICE쯔위10253 22/09/14 10253
462422 [게임] 갓 오브 워 라그나로크 스토리 트레일러 공개 [8] 오곡물티슈9338 22/09/14 9338
462421 [LOL] 21담원 선수중 유일한 유관.jpg [6] insane7429 22/09/14 7429
462420 [LOL] 본인 징크스 깨고 우승했다는 도란.jpg [12] insane8598 22/09/14 8598
462419 [유머] 크킹 세계관은 실존한다 [15] 비온날흙비린내8906 22/09/14 8906
462418 [유머] 쇼핑을 좋아하는 동물은? [9] 안초비8617 22/09/14 8617
462417 [기타] 글 조회수가 수천이건 1만이건 상관없다 [45] Lord Be Goja11054 22/09/14 11054
462415 [기타] 곽민선 아나운서 아버지.JPG [16] insane11667 22/09/14 11667
462414 [유머] ??? : 광복 70주년 얘기를 하시면서 친일파 역할을 주시더라 [23] TWICE쯔위10701 22/09/14 10701
462412 [스포츠] 엘지팬과 롯데팬만 공유하는 정서.jpg [65] 핑크솔져14248 22/09/14 14248
462411 [연예인] 장뤽 고다르의 91세 사망은 안락사에 의해서였다 [14] 빼사스11088 22/09/14 11088
462410 [유머] 꿈에서 만난 노인 [6] 길갈7344 22/09/14 7344
462409 [기타] SUV 같지만 SUV 는 아닌 FUV 페라리 푸로산게 [18] 덴드로븀10646 22/09/14 10646
462408 [기타] 한 디씨인의 이혼사유에 대한 의문 [75] 카루오스13492 22/09/14 13492
462407 [유머] 만년필 덕후가 본 찰스3세 짜증의 원인 [51] TWICE쯔위12258 22/09/14 12258
462406 [기타] 위례신도시에서 난다는 냄새 [29] 니시무라 호노카13068 22/09/14 13068
462405 [기타] 수면 패턴의 중요성 [25] 니시무라 호노카13166 22/09/14 13166
462404 [유머] 디즈니도 블랙워싱을 포기할 캐릭터 [31] 레드빠돌이9895 22/09/14 9895
462403 [기타] 중국에서 10층 아파트 28시간만에 완공 [66] 니시무라 호노카12297 22/09/14 122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