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07 20:04:58
Name 아수날
File #1 Screenshot_20220907_200330.jpg (423.4 KB), Download : 41
출처 mlbpark
Subject [유머] 출시 당시 가장 혁명적이었던 윈도우 시리즈는? jpg


9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9/07 20:06
수정 아이콘
[비스타]
마늘농장
22/09/07 20:07
수정 아이콘
기술적으로는 잘 모르지만 체감상 가장 혁명이라 느낀건 역시 3.1이였습니다
마우스라는 기구를 처음 쓰게 만들어 준거라...
엔타이어
22/09/07 20:07
수정 아이콘
95
오늘처럼만
22/09/07 20:08
수정 아이콘
[8]
모바일시대에 맞춘 혁명 그 자체
Lord Be Goja
22/09/07 20:20
수정 아이콘
반동이오 동무
TWICE NC
22/09/07 20:08
수정 아이콘
전 95
22/09/07 20:08
수정 아이콘
윈도우 3.0 3.1 95 98 me 2000 xp 7 8 8.1 10 써봤는데

95가 가장 충격적이었습니다.

그전까지 윈도우는 그냥 도스용 보기만 좋은 툴이었죠.

성능적으로 감동을 느낀 건 7이었습니다.
larrabee
22/09/07 20:08
수정 아이콘
저중에선 윈도우95가 제일 혁명적이였습니다 도스를 안거치고 바로 펼쳐지는 gui는 신세계 그자체였었죠
유아린
22/09/07 21:16
수정 아이콘
gui도 완전 오래되서 사장된 단어중에 하나네요 크크
MegaDrive
22/09/07 20:09
수정 아이콘
me~
닉언급금지
22/09/07 20:09
수정 아이콘
윈미죠. 이건 반론의 여지가 없습니다.
한 세대를 통으로 건너뛸 수도 있음을 보여줬으니까요.

근데 저는 한 5년 잘썼....
Dark Swarm
22/09/08 00:08
수정 아이콘
저도 상당히 잘 써서 인터넷에서의 반응은 이해가 잘 안 가지만, 아마 제가 운이 좋았던 거겠거니 합니다
22/09/07 20:09
수정 아이콘
95
22/09/07 20:10
수정 아이콘
제 개인적 체감은 xp요
송운화
22/09/07 20:10
수정 아이콘
95의 저 화면은 가슴을 두근거리게 만드는 그런 느낌이었습니다. 부팅할때마다 즐거웠죠.
22/09/07 20:11
수정 아이콘
두루루 뚜르- 딴딴딴- 이었던가요?
아엠포유
22/09/07 20:10
수정 아이콘
98 me xp 7 10 테크인데 me가 다른 의미로 혁명이었죠
22/09/07 20:11
수정 아이콘
3.1은 도스랑 같이 사용해서 무언가 일종의 플랫폼이나 프로그램 기분이었고
95에서 이제는 시대가 바뀌었구나 도스게임은 못하네..

그리고 느꼈던게 플러그앤플레이요. 완벽하진 않지만 그래도 그냥 꽂았는데 인식이되네? 했던 기억이 납니다
웃어른공격
22/09/07 20:11
수정 아이콘
95..
이호철
22/09/07 20:11
수정 아이콘
95
Anabolic_Syn
22/09/07 20:12
수정 아이콘
95
22/09/07 20:13
수정 아이콘
95.
부산헹
22/09/07 20:13
수정 아이콘
일단 모른다고 해야겠다
22/09/07 20:13
수정 아이콘
95죠 이건
클로우해머
22/09/07 20:13
수정 아이콘
95죠.
22/09/07 20:14
수정 아이콘
전 윈도우10.....
혁명적으로 싹다 갈아 엎어서...
재혁명이 마려움....
22/09/07 20:14
수정 아이콘
당연 95죠,, me는 또다른 의미의 레전드구요.
22/09/07 20:14
수정 아이콘
95
동굴곰
22/09/07 20:14
수정 아이콘
95에 한 표.
TWICE쯔위
22/09/07 20:15
수정 아이콘
이건 95죠

그냥 도스로 실행하던 윈도우3시리즈랑은 차원이 다른 본격 GUI 환경 OS의 시작이었으니..
키르히아이스
22/09/07 20:16
수정 아이콘
95… 그치만 개인적으론 7뽑고 싶습니다
메가트롤
22/09/07 21:23
수정 아이콘
제가 쓴 댓글인 줄
Janzisuka
22/09/07 20:16
수정 아이콘
95죠....완전 다른 세상인데...
DownTeamisDown
22/09/07 20:17
수정 아이콘
혁신은 95
똥은 me요
22/09/07 20:19
수정 아이콘
95부터 컴퓨터가 누구나 쓸수있는 시대가 된거 같아요. 그전에는 컴퓨터는 학원 다니면서 배워야 사용 할수 있는 다루기 어려운 악기같은 느낌이였는데 그걸 그냥 가전용품 수준으로 바꿔놨죠.
22/09/07 23:39
수정 아이콘
그쵸 도스에서 copy 이거 치는거 벽을 못넘어서 동급생 디스크로 받아오질 못했었는데
22/09/07 20:20
수정 아이콘
95이긴 한데..
프로그래밍 공부을 하고 있었서 2000이 가장 안정성(?) 있었던...
Lord Be Goja
22/09/07 20:20
수정 아이콘
2k/vista
22/09/07 20:22
수정 아이콘
95....
22/09/07 20:23
수정 아이콘
저는 95 한 표입니다.
3.1 : 일반사용자 입장에서는 DOS 위에서 돌아가는 GUI 툴 정도의 느낌이었네요. 굳이 윈도우를 써야 할 이유를 별로 못 느낀 것으로 기억합니다.
95 : 여기서부터는 표면적으로나마 자립적인 OS로 느껴졌고 DOS 모르는 사람도 사용할 수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현재까지 이어진 윈도우즈 인터페이스의 많은 바탕이 95에서 이루어졌을 거고요. 윈도우95 전용 소프트웨어도 점차 충실해져서 윈도우를 쓸 이유가 확실해졌죠.
98 : 95의 완성판 정도의 인상입니다. 95와 정확히 뭐가 달라진 건지 기억나지 않네요. 플러스팩인가부터 테마가 잘 정리된 기억은 납니다.
XP : 외적으로는 상당한 변화가 있었지만 윈도우 설치 끝나자마자 시스템 설정 - 최대 성능부터 바꾸놓던 입장에서는 좀 더 예뻐보이느라 무겁게 느껴진 인상이네요. 뭔가 'XP는 초보들이나 쓰는 거고 파워유저라면 2000이지!'하는 생각도 했던 거 같군요.
22/09/07 20:23
수정 아이콘
95/ xp/ 10 3개요
valewalker
22/09/07 20:24
수정 아이콘
3.1 하다가 95 처음 접해봤을때 충격이 커서
Q=(-_-Q)
22/09/07 20:24
수정 아이콘
95죠 아이폰 이전 최고의 혁명
22/09/07 20:26
수정 아이콘
3.1은 사실 도스랑 크게 다른게 없었어요 그다음버전이 95였는데 이게 대박이었죠
Polkadot
22/09/07 20:28
수정 아이콘
이제 컴퓨터를 끄셔도 됩니다.
22/09/07 20:2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윈 xp 라고 봅니다. 윈도우 xp부터는 정말 안정적이라는 느낌이 들었죠
Locked_In
22/09/07 20:29
수정 아이콘
진짜 도스부터 겪어온 사람들만 알 수 있는 3.1에서 넘어간 95의 위엄
을 체감한 사람들은 아재도 넘고 이젠 할배 수준...
22/09/07 20:31
수정 아이콘
이건 95죠.
말 그대로 그냥 새 시대를 열어제꼈습니다.
이탐화
22/09/07 20:33
수정 아이콘
무조건 95
대체공휴일
22/09/07 20:33
수정 아이콘
이거 그냥 아재 감별하는 글 아닙니까?크크
제발존중좀
22/09/07 20:33
수정 아이콘
컴터를 오래써도 재부팅할 필요가 없게 느껴졌던 xp에서 안정감을 많이 받았네요.
22/09/07 20:34
수정 아이콘
에휴.

mdir이 필요 없어진 95
라고 기억하는 내 나이를 원망해야지...

정말 신세경이었습니다.
맥스훼인
22/09/07 20:37
수정 아이콘
여기 95라고 쓰시는 분들 연령대가 크크
(저도 그렇습니다)
우스타
22/09/07 20:42
수정 아이콘
95에 비빌 수 있는 버전이 없네요
크로스로드
22/09/07 20:47
수정 아이콘
혹시 ME 꼽는 분 안 계십니까? 드라이버 혼자 싹 잡아줘서 좋았는데(도망)
취급주의
22/09/07 20:48
수정 아이콘
95
프란츠베켄바우어
22/09/07 20:51
수정 아이콘
도스같은 3.1을 넘어 창문띠용 뜨던 윈도우95!!
반니스텔루이
22/09/07 20:55
수정 아이콘
95죠. 누가나가 쓸수있는 컴퓨터는 딱 저때부터였던 크크
22/09/07 20:55
수정 아이콘
3.1 -> 옴니아
95 -> 아이폰
98 -> 아이폰4
10 -> 카메라 기능이 디카를 넘어가려는 요새 아이폰
55만루홈런
22/09/07 20:56
수정 아이콘
초딩때 도스만 하다가 95할때 우와했죠 바탕화면 시작의 인터페이스는 지금까지 쭉 가고있는거라 그거 이상의 변화가 없는이상 95혁명 이길 윈도우는 없다봐야 크크
물맛이좋아요
22/09/07 21:01
수정 아이콘
95
바람의바람
22/09/07 21:02
수정 아이콘
95
도스시절부터 쓰신 분들이면 이견 없을듯요
22/09/07 21:05
수정 아이콘
혁명이라고 할 건 95뿐이고 XP는 서비스 팩 나오고 쓸만해졌죠.
엑세리온
22/09/07 21:06
수정 아이콘
95이긴 한데 98로 너무 금방 넘어가서...
화면빨은 XP로 넘어갔을때가 가장 좋았던거같네요.
트레비
22/09/07 21:06
수정 아이콘
혁신은 전 두가지 봅니다 95는 제대로된 지금의 윈도우의 시작 그리고 윈도우7인가요 8때 모든 드라이버를 다잡고 따로설치할필요없이
포맷만해도 웬만한기능은 다 그냥 되는 단계가 두번째 혁명같아요
이오니
22/09/07 21:06
수정 아이콘
그래도 가벼웠던 윈도우 me가 최고죠.
xp sp3 나오기전까지 잘 썼습니다
22/09/07 21:06
수정 아이콘
95일 수밖에 없죠.
95부터 우리가 아는 윈도우 모습과 모든 익숙한 프로그램들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으니...
그 뒤 버전들부터는 다 비슷비슷한 데다가 하위 호환성도 계속 지켜지면서 나아갔기 때문에 뭐가 나와도 별 감흥 없었어요.
22/09/07 21:07
수정 아이콘
무조건 95죠. 혁명 그 자체였습니다.
-안군-
22/09/07 21:07
수정 아이콘
me요. 마소가 이런 쓰레기를 만들수도 있다는걸 깨닫게 해준 진정한 혁신
Meridian
22/09/07 21:10
수정 아이콘
92년생....98 xp 우열을 가리기 힘듭니다 크크
유아린
22/09/07 21:19
수정 아이콘
윈도우95-한글97-넷스케이프-바람의나라로 이어지는 컴터교육은 초딩에겐 혁명이었죠
영양만점치킨
22/09/07 21:19
수정 아이콘
95죠 개인pc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봅니다.
미숙한 S씨
22/09/07 21:23
수정 아이콘
제가 느낀건 3.1이었네요. 그 전까지는 그냥 도스에 m 깔아서 하는지라 gui(맞나요?)라는 개념이 없었어서...
블래스트 도저
22/09/07 21:23
수정 아이콘
95 XP 7 10 순이죠
아이지스
22/09/07 21:29
수정 아이콘
95는 아이폰만큼의 충격이죠
빠커의유머노트
22/09/07 21:30
수정 아이콘
갓5
라방백
22/09/07 21:30
수정 아이콘
3.0 / 3.1 GUI개념도 그렇지만 마우스로 하는 게임들 처음 접해본게 저 시기라서 꽤 신선했습니다.
모나크모나크
22/09/07 21:30
수정 아이콘
98이후부터썼는데 xp같아요. 뭐가 확 바끤 느낌...
이웃집개발자
22/09/07 21:31
수정 아이콘
95는 평생 겜돌이로 살게되는 계기가 되었으므로 제겐 95인듯
최강한화
22/09/07 21:31
수정 아이콘
윈도우ME요.
윈두우로 인한 스트레스를 달관 할 수 있었죠,
스덕선생
22/09/07 21:33
수정 아이콘
윈도우 ME가 역사상 최초로 다운그레이드를 찾는 버전 아니었나요 크크
다들 ME에 세게 데여서 XP라는 명작이 나왔는데도 한동안 98만 썼죠
태바리
22/09/07 21:34
수정 아이콘
95... 도스가 필요 없다고!?!?!?!?
약설가
22/09/07 21:34
수정 아이콘
혁명은 95, 쿠데타는 윈미
지니팅커벨여행
22/09/07 21:36
수정 아이콘
XP죠.
이쯤 되면 뻑날텐데 안 나네?
복구 기능이 있어서 잘못 되면 복구하면 되잖아!
22/09/07 21:38
수정 아이콘
95... 아이폰급 충격
여덟글자뭘로하지
22/09/07 21:41
수정 아이콘
3.1이 마우스를 활용한 최초의 os라는 의미가 있긴 하지만
95는 혁명이죠.
에우도시우스
22/09/07 21:42
수정 아이콘
집에선 도스 쓰다가 친척집에서 95를 처음 해봤을때는 충격적이었죠.
22/09/07 21:44
수정 아이콘
도스에서 95로 바로 넘어와서 95
Jedi Woon
22/09/07 21:49
수정 아이콘
95의 충격이 가장 컸습니다.
도스 화면에서 넘어간 95는 정말 꿈에 그리던 컴퓨터 환경처럼 느껴졌죠
대박났네
22/09/07 21:49
수정 아이콘
3.1 PDA
95 아이폰3gs
XP 갤6
7 갤S7엣지
10 노트9
저한텐 첫 이미지가 이런 느낌
카페알파
22/09/07 21:50
수정 아이콘
95.

매킨토시에서 되는 걸 할 수 있다고??!! (DOS 쓰면서 엄청 부러웠음. 물론 윈도우 3.1 이 있긴 한데, 일단 도스로 부팅시키고 명령어를 입력해 실행해야 하는 거라 약간 진짜 GUI 같지 않다는 느낌이 들었었음. 여전히 DOS 용 프로그램들이 건재하기도 했고.)
카페알파
22/09/07 22:12
수정 아이콘
그리고 DOS 시절부터 써오신 분들 중 '마이크로소프트의 OS 는 ○○ 전과 그 후로 나뉜다.' 라는 문장을 쓴다면 '○○' 부분에 '95' 가 가장 잘 어울리고 어색하지 않다는 것에 큰 이견이 있으신 분들은 많지 않을 겁니다.
헤나투
22/09/07 21:53
수정 아이콘
도스를 별로 안써서 그런가 전 98요. 95는 98의 베타버전 느낌이 너무 나서요
Grateful Days~
22/09/07 22:09
수정 아이콘
이건 95죠.
쓸때없이힘만듬
22/09/07 22:13
수정 아이콘
Me 안계십니까 몰컴, 장시간을 못하게 하던 그!!
人在江湖身不由己
22/09/07 22:23
수정 아이콘
xp죠. 경험치 대박 증가!
22/09/07 22:35
수정 아이콘
이건 95죠

3.1은 도스로 다 되는거
굳이 컴퓨터 학원에서 윈도우로 해보라 시켜서 억지로 들어감

근데 95부터는 생활이됨
DOS는 EMM386 설정할때 들어가는 것.
HA클러스터
22/09/07 22:40
수정 아이콘
저는 2000
이때부터 윈도우가 매일 재부팅을 안해도 되는 쓸만한 OS가 됬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22/09/07 23:03
수정 아이콘
95가 역시 검은화면을 벗어나서 우리가 윈도우다 싶은 화면을 본게 크긴하죠..
다시마두장
22/09/07 23:12
수정 아이콘
저도 95요.
숯불족발
22/09/07 23:37
수정 아이콘
충격으로 치자면 95>3.1 이하 의미없음
22/09/07 23:42
수정 아이콘
95가 얼마나 충격적이면 개발자들이 그런 춤을 췄겠습니까?
Cafe_Seokguram
22/09/07 23:46
수정 아이콘
3.1과 95를 다 써본 사람들이라면 반드시 95를 고르게 되어 있다고 봅니다...

그야말로...상전벽해...죠...
단비아빠
22/09/07 23: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윈 3.1은.. 분명히 첨 접했을때는 신기하긴 했는데... 출시 시점에서 이걸로 할 수 있는게 너무 없었죠...
혁명적이라고 하기엔 뭐 활용을 할 수가 있어야 말이죠. 마우스 쓰는 GUI라는 점에서는 지오웍스 앙상블이 훨씬 더 일찍 충격을 줘서...
윈 3.1을 통해서 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도 아무런 장점이 없고.. 윈 3.1에서 돌려야만 하는 프로그램이 있는 것도 아니고..
나중에 한글 윈도우 3.1 나오고 엑셀 워드도 나오면서 사용성이 좀 생기긴 하는데... 윈95 출시 직전 한 1년 정도라서... 이미 끝물...
윈95은 도스 프로그램을 주력으로 쓰더라도 상당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우선 도스 프로그램을 풀스크린이 아니라 자그마한 창으로 실행시킬 수가 있었고
그래서 도스 프로그램 여러개를 동시에 실행/관리하는 제대로 된 멀티태스킹이 가능했습니다. 이게 압도적이었죠.
그것 말고도 OS차원에서 지원되는 네트웍 기능도 있고 해서 윈95는 첨부터 사무실 활용도가 압도적으로 높았죠.
새롬 데이터맨이 제 생각엔 윈95 킬러 어플이었던듯...
2000/XP가 그 다음일겁니다... 2000을 미리 접한 분이나 ME를 통해서 2000 건너뛰고 XP 접한 분이나
충격은 비슷할거에요. 압도적인 안전성이 큰 장점이었으니...
그 다음이 윈7 또는 윈3.1 정도 자리가 될 것 같군요.
스타본지7년
22/09/08 00:01
수정 아이콘
무조건 95죠.
설레발
22/09/08 00:23
수정 아이콘
윈도우는 95 이전과 이후로 나뉘죠
정회원
22/09/08 00:25
수정 아이콘
OS계의 스파2, 윈95!
호머심슨
22/09/08 00:28
수정 아이콘
삼촌들, 95는 모르겠고 10이 짱입니다
22/09/08 00:37
수정 아이콘
95에서 나온게 지금까지 쓰고 있으니 뭐
22/09/08 00:40
수정 아이콘
95
22/09/08 00:41
수정 아이콘
도스를 갈아치운 95가 혁명이죠. 3.1은 신기하게 마우스를 쓰기는 하는데 m같이 더 효율적으로 빠르게 쓸 수 있는 다른 툴들이 있어서 거의 안 썼고, 옛날 컴퓨터에 마우스 없는 경우도 많았었죠. 개인적으로는 2000 서버에서 윈도우를 서버로 쓰는거 보고 충격 크크
22/09/08 00:43
수정 아이콘
3.0
깻잎튀김
22/09/08 00:43
수정 아이콘
더이상 기억나지 않습니다 이젠 그냥 체신 11이 체고야!
22/09/08 01:45
수정 아이콘
95입니다.
눈팅전문가
22/09/08 02:48
수정 아이콘
윈도우95 이후 삼국지5 음원 듣고 와..
개발괴발
22/09/08 03:1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일반인 사용자 관점에서는 95
개발자 관점에서는 7

7이 인사이드 파면 팔수록 정말 대혁신입니다.
7이전과 7이후는 코드 호환도 잘 안돼요.
x64, 가상화기능, UAC, 멀티코어 지원, 커널레벨 보안정책 혁신, 완전히 뒤집은 오디오 스택, 3D Aero UI 등...

p.s: vista는 개인적으로 7 beta라고 생각합니다 ㅡ.ㅡ
raindraw
22/09/08 06:47
수정 아이콘
95가 혁신이죠
22/09/08 06:49
수정 아이콘
Win 95 (코드명: 시카고)
한화이글스
22/09/08 07:02
수정 아이콘
95 -> 10 입니다
95야 다들 아시다시피 mdir을 벗어나게 했고...
10은 wsl 지원으로 맥북이 생각나지않게 해서 2위입니다
마음속의빛
22/09/08 07:06
수정 아이콘
95가 아닐까요? 도스 플로피 디스크도 필요없이 부팅이 되는 신세계...
민간인
22/09/08 07:46
수정 아이콘
95..신세계인 줄 알았습니다.
22/09/08 08:12
수정 아이콘
95같은 것이 진정한 혁신이라고 할 수 있죠. 나머지는 다 그 연장선상일뿐..
켈로그김
22/09/08 08:16
수정 아이콘
95 멀티테스킹 이게 거의 바퀴나 종이의 발명급은 되는거 같습니다
데이나 헤르찬
22/09/08 08:27
수정 아이콘
xp 이전을 써본적이 없...
비알레띠
22/09/08 08:36
수정 아이콘
윈도우즈 me요...
전작보다 혁명적으로 안좋았던 기억이...
Promise.all
22/09/08 09:27
수정 아이콘
윈도 8이요. 메트로 UI는 실패작이긴 하나 혁명이라 봅니다.
옛날거는 안써봣슴다 크크크
몽쉘군
22/09/08 09:46
수정 아이콘
95 발표만봐도 아직도 두근두근... 크크
항구의토끼
22/09/08 11:07
수정 아이콘
다들 95를 써보신거 자체가 여기 나이대가...크크크
전 98 이요. 95 때는 집에 컴이 없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2123 [유머] 라이온스 파크 만두집 이름 [30] SAS Tony Parker 11060 22/09/10 11060
462122 [유머] 13분만에 벌어진 오싹하고 끔찍한 일.jpg [3] 한화생명우승하자10355 22/09/10 10355
462120 [서브컬쳐] 새로 나온 슬램덩크 밸런스 게임 [51] 닭강정11516 22/09/10 11516
462119 [기타] 입주민을 검열하는 관리사무소 [9] 니시무라 호노카11196 22/09/10 11196
462118 [기타] 블랙 아담 - 메인 예고편 [19] 그10번11171 22/09/10 11171
462117 [기타] 디즈니 피노키오 근황 [12] 카미트리아8458 22/09/10 8458
462116 [서브컬쳐] 디즈니 인어공주 실사화 티저 [61] 껌정9453 22/09/10 9453
462115 [유머] [추석특집] 코리안 미드 소마 feat 조상신 [8] 삭제됨7872 22/09/10 7872
462114 [서브컬쳐] 소녀전선) 성우로 인해 자기 딸을 버리겠다는 작가 [15] 닭강정7902 22/09/10 7902
462113 [스포츠] 시프트를 없앤다니 생각나는 전설의 시프트 [15] 닉넴길이제한8자10669 22/09/10 10669
462112 [유머] 이제 찰스가 왕위를 이어 [13] 가명남9758 22/09/10 9758
462111 [유머] 재산세를 대신 내달라는 건물주 [16] 소믈리에12007 22/09/10 12007
462110 [유머] 디자인부서가 법무부서에 패배했을 때 벌어지는 일 [3] TWICE쯔위10505 22/09/10 10505
462109 [기타] 점점 가독성이 안좋아지는 듯한 게임... [19] 닉넴길이제한8자11344 22/09/10 11344
462107 [유머] 현시각 영국 근황.JPG [33] 실제상황입니다16724 22/09/10 16724
462106 [게임] DRX 경기 도중 발로란트 마우스 세레모니 [3] League of Legend9899 22/09/10 9899
462105 [LOL] 우지 근황.jpg [10] insane9433 22/09/10 9433
462104 [LOL] XXX : 젠지가 우승하면 챌린저 가도록 하겠습니다.jpg [11] insane8245 22/09/10 8245
462103 [기타] '1+1 증정품' 빼돌려 12억 꿀꺽…식품회사 직원들 집유.gisa [12] VictoryFood14063 22/09/10 14063
462102 [게임] (약후) 오래되어 인기가 떨어진 RPG 게임이 살아남기 위한 생존방법 [20] 묻고 더블로 가!14687 22/09/10 14687
462101 [기타] 히히 이젠 나지롱 [8] BTS11492 22/09/10 11492
462100 [유머] 네오 암스트롱 사이클론 제트 암스트롱 포 [11] 어서오고8283 22/09/10 8283
462098 [기타] 찰스3세 즉위 기념 각 유럽 국가들이 '찰스'를 어떻게 부르는가 [11] 로사11635 22/09/09 1163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