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03 13:42:02
Name 어서오고
출처 https://www.fnnews.com/news/202209021040404242
Subject [유머] 삼성, 아이폰14 출시 앞서 애플 저격.. "아이폰에 혁신은 오지 않는다"



각오하라는 놈 특) 무섭지않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비온날흙비린내
22/09/03 13:43
수정 아이콘
어째 갤럭시 브랜드 이미지가 옴니아 2 시절로 점점 추락하는 거 같은데..
시린비
22/09/03 13:43
수정 아이콘
어차피 애플이 이긴판
찌질하더라도 애플과 싸우는건 우리다!라며 포지션을지키고싶은걸지도
SG워너비
22/09/03 13:44
수정 아이콘
틀린 말은 아니긴한데 2등이 뭐든 하려고 하는거죠 뭐
스웨이드
22/09/03 13:47
수정 아이콘
혁신적인 GOS?
유튜브 프리미엄
22/09/03 13:47
수정 아이콘
아이폰에 혁신이 안 와도 지잖아 ㅠㅜ
22/09/03 13:49
수정 아이콘
2위의 흔한 전략입니다.
무조건 1위 공격하기. 펨시가 옛날에 자주 하던거죠.
목표는 1위 빼앗기기 아닙니다.
경쟁자가 많을때는 2위를 확실히 하기 위함이고, 사람들에게 1위 말고 우리도 있다고 알리고 싶은거죠.
Euthanasia
22/09/03 13:54
수정 아이콘
사실 삼성은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에서 2011년 이후로 계속 연간기준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여기서야 뭐 1위 애플에 비교도 못하는 이미지지만.
22/09/03 14:10
수정 아이콘
어찌됬건 전세계에서 삼성폰 쓰는사람이 제일 많단건데 신기하긴하네요 중국폰일줄..
22/09/03 14:20
수정 아이콘
문제는 아이폰과 직접적으로 경쟁하는 플래그쉽의 점유율이 계속 떨어진다는 거죠. a라인이 캐리중이고..
Euthanasia
22/09/03 15:08
수정 아이콘
그건 그거고 1위는 1위인 거죠. 애플 판매량이 1위라고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아서요.
22/09/03 22:08
수정 아이콘
저가모델 팔아서 점유율도르는 별 의미가 없죠
게다가 그 점유율로 생태계확장해서 수익창출이라도 크게되면 의미라도 있지 구글꺼 os빌려쓰는입장서 그것도 해당안되구요
22/09/03 14:38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단가 떨어져도 점유율 많이 앞선다고 정신승리 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점유율도 고만고만해서 그닥 안쳐주죠
22/09/03 13:54
수정 아이콘
못 이겨도 좋으니까 통화녹음만 지켜줘 재용이형..
제주삼다수
22/09/03 13:55
수정 아이콘
2위자리가 위험한가?
니시무라 호노카
22/09/03 13:58
수정 아이콘
핸드폰에 나올 혁신이 뭐가 있을까 하긴하네요
모바일 게임을 안해서 기기성능 좋아지는건 별 관심이 안가고
22/09/03 14:07
수정 아이콘
광고 보고, 이젠 2등도 위험한가? 이런생각 드네요
pzfusiler
22/09/03 14:10
수정 아이콘
달은 모르겠고 샐럽들은 다 아이폰쓰던데 삼성은 비싼돈주고 연예인 광고 왜하는지 모르겠어요. 걔네 계악기간 끝나면 다 아이폰 쓰던데.
22/09/03 14:11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진짜 이해 안 감 차라리 여태 쭉 갤럭시 써온 충성심 높은 연예인 쓰던가;; 아이돌들 모델로 쓰는데 아이폰 쓰는거보면 크
인증됨
22/09/03 14:18
수정 아이콘
그 의견받아서 플립3 때는 갤럭시 유저로알려진 연예인들로 섭외해서 광고했습니다
이번 4는 연예인광고를 딱히안하는듯 싶구요
及時雨
22/09/03 16:10
수정 아이콘
엥 하는거 아닌가요?
웨이브 틀어놓으면 중간에 오마이걸 나오는 광고 계속 뜨던데
요기요
22/09/03 15:21
수정 아이콘
지코나 전소연처럼 갤럭시 첨부터 쓰던 양반들을 적극 광고 모델로 써야지
아이폰러버들을 광고모델로 씀 크크크. 계약 기간때는 억지로 갤럭시 쓰겠지만, 계약 종료후 바로 아이폰으로 바꾸던데
점프슛
22/09/03 14:14
수정 아이콘
팬택이나 LG폰이 망하기 직전에 지나치게 경쟁사 의식하는 모습을 보여줬던게 생각나네요..
삼성도 옴니아2 시절 아이폰보다 낫다고 광고하더니 크게 망했었고..
그 이후엔 갤럭시 마케팅에 한동안 애플을 거론하는걸 못봤는데 다시 이런 모습을 보이는게 느낌이 안좋네요.
트윈스
22/09/03 15:03
수정 아이콘
원래 애플 삼성 서로 치고박는 마케팅 계속 해왔..
인증됨
22/09/03 14:18
수정 아이콘
노하다추태문
22/09/03 14:22
수정 아이콘
바람소리와 스산한 빗소리가 사무실 창밖을 때린다
22/09/03 14:24
수정 아이콘
GOS도 제대로 해명 안하는 놈들이
후랄라랄
22/09/03 14:27
수정 아이콘
삼성아 좀 잘해라
AP를 작년이랑 똑같은거 쓴단다
제로콜라
22/09/03 14:30
수정 아이콘
킹섯거라
Grateful Days~
22/09/03 14:37
수정 아이콘
삼성폰 개발하는 사람이 이제 삼성폰에 혁신은 없다고 하던데..
별빛정원
22/09/03 19:03
수정 아이콘
라고 하기엔 폴더블은 너무 혁신을 잘 하고 있어요..
z폴드, 플립4가 틱톡 전략처럼 3에서 끌어올린 후 4에서 안정화 하는 느낌이어서, 올해는 혁신이 좀 덜해보이긴 하지만요..
폴드 기준, 1은 존재 자체로 혁신
2는 이것저것 많이(힌지, 내&외부 디스플레이 등등) 개선되면서 안정화
3은 S펜 지원, ipx8방수 지원, UPC(UDC)지원 등등으로 혁신
4는 이것저것 보강하면서 안정화 위주로 개선했죠..
이제 배터리 부피대비 효율이 좋아진다면, 내장 S펜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배고픈유학생
22/09/03 14:42
수정 아이콘
따지고보면 폴더블폰 상용화는 혁신맞긴하죠. 지금 망원카메라는 확실한 강점이구요. api스펙이 2년전 아이폰이랑 비교되어서 그렇지
제3지대
22/09/03 14:43
수정 아이콘
혁신하지 못한 이재용을 감방보내라!
마텐자이트
22/09/03 14:57
수정 아이콘
게 섯거라
22/09/03 15:14
수정 아이콘
하드웨어적으로 보면 애플이 딱히 혁신이 없긴 하죠 씨퓨 정도나 압도적이니 그게 혁신이면 혁신이긴 하겠으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이제 안드나 애플이나 큰 차이 있다고 보기도 어렵고..오히려 어떤 면에서는 안드쪽이 더 낫고요.
삼성 입장에선 저런 말 충분히 할 수도 있음..
폴더블 자체가 모험하는거고 혁신이긴 함. 영화에서나 상상하던 기술을 상용화한거니...
우리는 하나의 빛
22/09/03 15:43
수정 아이콘
굳이 혁신 없어도 애플 입장에서 삼성 정도는..
모그리
22/09/03 15:56
수정 아이콘
지니팅커벨여행
22/09/03 16:01
수정 아이콘
맞는 말이죠.
접히는 폰이 나오더라도 후발주자이니 혁신은 아니고.
아이폰은 그냥 아이돌 같은 느낌입니다.
혁신 없는 아이폰이 지금의 2배 가격으로 올려서 나오면 애플 매출이 2배 늘어나는 거고, 3배로 올리면 매출액도 3배가 되겠죠.
메가트롤
22/09/03 16:06
수정 아이콘
??? : 제 발 긴 장 하 게 해 줘 (하품)
22/09/03 16:08
수정 아이콘
혁신은 나오지 않았지만 혁신을 내세운 회사도 못 이기고있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1684 [스포츠] 한 때 세련된 도시인의 상징이었던 스포츠.jpg [42] 아스라이13735 22/09/04 13735
461683 [유머] 오늘은 대명제국 고려천자 만력제 황제폐하의 생신입니다 [32] TWICE쯔위11341 22/09/04 11341
461682 [유머] 남은 음식은 택배로 부쳐라.jpg [2] TWICE쯔위10740 22/09/04 10740
461681 [LOL] 역대 롤드컵 아웃라이어 지표 [29] 니시노 나나세9890 22/09/04 9890
461680 [유머] 여러분들이 5초 안에 못 찾으면 죽는 이유 [22] 어서오고11979 22/09/04 11979
461679 [유머] 9월 2일 베트남 방문 [11] 메롱약오르징까꿍10982 22/09/04 10982
461678 [게임] 오싹오싹 베데스다 미담 [1] 어서오고7357 22/09/04 7357
461677 [LOL] 킹겐 >>>>스맵.JPG [2] insane8388 22/09/04 8388
461676 [유머] 특이점이 온 백댄서 안무 [14] 어서오고13413 22/09/04 13413
461675 [기타] 한국인이 해외로 가면 생기는 음식 [12] 퍼블레인11367 22/09/04 11367
461674 [기타] 아버지 유산 아파트 코인으로 날려먹은 23살 청년.jpg [51] 핑크솔져15552 22/09/04 15552
461673 [유머] 근래 명절에 대한 인식을 가장 많이 바꾼 한 마디 [22] 마스터충달10948 22/09/04 10948
461672 [유머] 유럽/미국에서 영어 못 하는 사람들 비율 [26] Pika4811195 22/09/04 11195
461671 [기타] 실존하는 Skynet [22] 퀀텀리프11842 22/09/04 11842
461670 [기타] 무주식 상팔자 [13] 퀀텀리프10774 22/09/04 10774
461669 [게임] 국제대회에서 활약중인 100도둑의 뱅 [4] League of Legend9605 22/09/04 9605
461668 [게임] 우마무스메 간담회 긍정 검토 [18] o o10591 22/09/04 10591
461667 [유머]  염색 잘됐네요.jpg [1] TWICE쯔위11315 22/09/04 11315
461666 [LOL] 아러의 롤서운 이야기 [2] Leeka9314 22/09/04 9314
461665 [텍스트] 두줄로... [16] 메롱약오르징까꿍11609 22/09/03 11609
461664 [LOL] 도인비 마지막 경기 세레머니 [12] 함바집12016 22/09/03 12016
461663 [유머] 소원을 비는데 3가지 금지 사항이 있어. [12] pzfusiler13357 22/09/03 13357
461662 [LOL] 도인비의 마지막 포틱 슈퍼토스 [5] Leeka8221 22/09/03 82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