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8/23 09:50:11
Name 츠라빈스카야
File #1 jupiter.png (1.21 MB), Download : 21
File #2 JWST_2022_07_27_Jupiter_2color_labels_1_1024x882.png (744.2 KB), Download : 19
출처 나사 블로그
Link #2 https://blogs.nasa.gov/webb/2022/08/22/webbs-jupiter-images-showcase-auroras-hazes/
Subject [기타] 제임스 웹이 각잡고 찍은 목성과 목성 오로라




발표한 지 하루도 되지 않은(2022.8.22) 따끈따끈한 목성 사진입니다.
예전에 웹으로 찍었다고 떴던 목성 사진에 비하면 해상도가 비교가 안 될 정도네요. 크으...

가시광선 사진이 아니라  NIRCam(근적외선 카메라)로 찍은거라 색상이 우리가 익숙하게 알던 색 배치가 아니네요.
대적반이 새하얗게 보입니다. 그 말은 목성 대기 중에서 비교적 고온이라는 거겠죠? 하긴 태풍이라는게 뜨거운 공기가 상승하는 열대성 저기압이니까....

오로라 찍힌 사진에는 목성 위성들도 몇 개 같이 찍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굴곰
22/08/23 09:51
수정 아이콘
목성 고리가 근접 안하고도 찍히는거에서 놀랐습니다.
22/08/23 09:51
수정 아이콘
목성 오리는 어디갔죠
티나한
22/08/23 09:55
수정 아이콘
하지만 목성만큼은 제임스웹보다 가까이 가서 찍은 사진들의 승리..?
22/08/23 09:56
수정 아이콘
구구콘 어디갔어...

그나저나 저 대적반은 도대체 무슨 원리인지 너무나 궁금...
록타이트
22/08/23 10:10
수정 아이콘
지형 때문이 아닐까요? 분화구나 크레이터 같은
葡萄美酒月光杯
22/08/23 10:14
수정 아이콘
목성은 가스행성이라 지형이라고 할만한게 없죠. 구체적인 매커니즘은 아직 모를겁니다.
어느 과학자 말마따나 지구가 사과라면 대기층은 사과껍질정도 밖에 안되는데도 1주일이상 유지되는 거대한 폭풍이 발생하는데, 크기는 지구의 천배가 넘고 애초에 행성 자체가 가스로 돼있고 자전스피드가 지구의 수배가 되는 목성에서 수백년 유지되는 폭풍이 생기는건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라고.....
확실한건 점점 작아지고 있고 21세기 중반쯤에 소멸될것이라고 추정한다네요.
록타이트
22/08/23 10:18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신기하네요. 저정도 크기의 가스를 잡아둘 수 있을 만큼 센 중력을 가진 코어라니.
葡萄美酒月光杯
22/08/23 10:36
수정 아이콘
코어가 중력이 세서 가슬 잡아두는게 아니라 가스의 무게도 그 중력에 기여하는거죠.
태양도 중심에 코어가 당겨서 태양이 된게 아니잖아요. 그냥 가스들이 모여서 그 무게가 다 합쳐져서 중력을 형성할뿐.
티나한
22/08/23 10:41
수정 아이콘
오 어쩐지 전에 보던것보다 좀 작은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21세기 중반이면 살아있을 때 소멸을 볼 수 있겠군요? 목성의 가장 큰 시그니처가 사라지는건가..
葡萄美酒月光杯
22/08/23 10:49
수정 아이콘
새것이 생겨날지도요. 더 큰놈으로다가.
츠라빈스카야
22/08/23 10:16
수정 아이콘
일단 목성은 대기권 아래 표면 전체가 수소 바다일거라 크레이터나 산 같은 지형은 없을 겁니다.
22/08/23 09:57
수정 아이콘
이야 영롱하군요.
22/08/23 10:02
수정 아이콘
이제 예전에 쓰던 사진은 목성
럭키가이
22/08/23 10:05
수정 아이콘
다들 그렇게 해왕성
터치터치
22/08/23 10:26
수정 아이콘
이래가 지구
부장님이 될 태양?
닭강정
22/08/23 10:53
수정 아이콘
죄송화성
의문의남자
22/08/23 11:05
수정 아이콘
이건좀 억지스럽네요
葡萄美酒月光杯
22/08/23 11:14
수정 아이콘
에휴 이런 화성....이라고 댓글 달려고 하다가 괜히 시비날까봐 자제했어요.
새벽목장
22/08/23 12:17
수정 아이콘
이건 너무 억 지구 요
기술적트레이더
22/08/23 12:34
수정 아이콘
부장님 일은 안하시고 어찌 댓글을..
씹빠정
22/08/23 12:36
수정 아이콘
젠장 피식했어 ㅠㅠ
이웃집개발자
22/08/23 10:12
수정 아이콘
와.... 왜 무섭지..
고등어자반
22/08/23 10:13
수정 아이콘
그런데 사진이 좀 이상해보이지 않나요? 구의 형태니까 극쪽으로 가면서 곡률이 생길텐데 가로무늬가 휘는 모습이 안 보이네요.
jjohny=쿠마
22/08/23 10: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생각해보지 못한 부분인데, 아마 원거리에서 찍어서 그런 게 아닐까요?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757135
(이 기사의 삽화는 상상도이지만) 근거리일수록 이 삽화에서처럼 곡률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원거리일수록 곡률이 드러나지 않을 것 같아요.
葡萄美酒月光杯
22/08/23 10:17
수정 아이콘
거리가 멀어서 무시할수 있어서 그런거죠. 태양광을 평행광선이라고 보는것과 마찬가지로요.
이브이
22/08/23 10:16
수정 아이콘
프라이팬 탄거 찍었네
안속음
꿈트리
22/08/23 10:24
수정 아이콘
목성 위성이 거의 60개쯤 된다고 하더군요. 웹아 다 찍었어야지.
츠라빈스카야
22/08/23 10:45
수정 아이콘
2018년 기준 79개...라고 나무위키가 말하네요.
하지만 가장 유명한 가니메데, 유로파, 칼리스토, 이오 네 개 합친 질량이 저 79개 전체 질량의 99.997%...
꿈트리
22/08/23 10:46
수정 아이콘
예전 책자에서 봤던 기억이었는데, 그새 또 늘었네요.
츠라빈스카야
22/08/23 10:49
수정 아이콘
사실상 제일 유명한 거 네 개 빼곤 그냥 목성 고리 위에 있는 돌 중에 좀 큰 거 아무거나 다 위성이라고 붙이는 느낌이긴 합니다. 흐흐..
22/08/23 10:33
수정 아이콘
뜬금없이 선명해서 타버린 돈까스같네요 크크크
이리세
22/08/23 10:34
수정 아이콘
저기가 우리가 이주해서 살아야 하는 곳인가요?
무적전설
22/08/23 10:38
수정 아이콘
이주한 모두를 파.괘. 한다!
22/08/23 10:39
수정 아이콘
더파워는 언제 발견하나
닉언급금지
22/08/23 10:40
수정 아이콘
아서 클라크의 상상처럼 목성의 핵이 탄소가 고온고압에서 압축된 형태의 다이아몬드였다면....
葡萄美酒月光杯
22/08/23 10:49
수정 아이콘
이미 다이아몬드로 구성됐을것이다라고 추정하는 별이 발견됐죠.
물론 행성이 아닌 백색왜성이지만.
https://www.sci.news/astronomy/science-white-dwarf-made-diamond-02016.html#:~:text=A%20newly%20discovered%20white%20dwarf,of%20the%20PSR%20J2222%20system.
VictoryFood
22/08/23 11:16
수정 아이콘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
집으로돌아가야해
22/08/23 10:58
수정 아이콘
원문을 보니 이미지 상에서 밝은 부분은 태양빛을 더 많이 반사하기 때문이고, 비교적 높은 구름층을 뜻한다고 하네요.
레이븐
22/08/23 11:03
수정 아이콘
구구콘이 상한거 같네요
의문의남자
22/08/23 11:06
수정 아이콘
목성으로 여행가서 서핑하고싶네요. 파도가 높다던데
nm막장
22/08/23 11:11
수정 아이콘
이제 이런것 보면 먼저 후라이팬 따위가 아닌가 확인하는 루틴이 생겼습니다
키모이맨
22/08/23 11:13
수정 아이콘
내 머리속에서 나가 후라이팬!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2/08/23 11:29
수정 아이콘
먼가 강가의 돌맹이 확대한거 같음 크크
22/08/23 11:56
수정 아이콘
솔직히 몇년전에 주노가 찍은 목성 극지방 사진이 더 신기... 천알못이라 잘 모르긴합니다.
카루오스
22/08/23 12:19
수정 아이콘
그럼 목성
22/08/23 12:19
수정 아이콘
목성에는 착륙할수가없나요?
가스로 되어있으면
jjohny=쿠마
22/08/23 12:33
수정 아이콘
핵은 고체로 되어 있고, 그 겉에 고밀도 액체수소 층이 있다고 합니다. 거대한 가스층을 뚫고 내려가면 액체수소 층에 착륙...보다는 착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멀쩡히 뚫고 내려갈 수 있다면요. 아마 안될 것 같습니다.
22/08/23 12:5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목성 이녀석 크기 거품빨이네요
츠라빈스카야
22/08/23 12:53
수정 아이콘
끓는점이 절대영도에 가까운 수소가 냉각은 커녕 목성 내 자체 열 때문에 수천 도로 아주 뜨끈한 상황에서도 자체 압력으로 액체가 되는 그 온도와 압력을 버티면 되는데...안되겠죠 아마...흐흐
하프늄
22/08/23 13:05
수정 아이콘
깊디 깊은, 지구가 몇개나 들어갈지 알 수 없는 미지의 액체수소 바다를 마주하게 될겁니다
그 끝에는 고체로 된 핵이 있긴 합니다만 핵에 내려 앉는걸 착륙(?)이라고 볼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흐흐
ㅡ던ㅡ
22/08/23 14:17
수정 아이콘
밑에 사진보고 우정보너스 생각나면 심각한 중독인가요?
세인트
22/08/25 11:21
수정 아이콘
삐빅 아직 정상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3940 [기타] 몸에서 채취한 박테리아로 만든 보석으로 유명한 틱톡커 [2] 타카이9402 22/10/04 9402
463939 [기타] 요즘 폰카로 은근히 쉽지 않은것... (12MB) [16] Lord Be Goja11567 22/10/04 11567
463674 [기타] 옛날 PC방... [26] 우주전쟁8778 22/09/30 8778
463362 [기타] 19년전 사진으로 157억 횡재 [22] 비타에듀14811 22/09/26 14811
463269 [기타] 사진사이트에서 극찬받은 웨딩사진 [78] 니시무라 호노카13836 22/09/25 13836
463248 [기타] 어떤 합성 사진 [47] 마스터충달10898 22/09/25 10898
463103 [기타] 아이폰14vs갤럭시z폴드4vs픽셀6의 사진을 구별해보자 [72] 니시무라 호노카8845 22/09/22 8845
463080 [기타] 잠실 애플스토어 공개된 내부 사진 [18] Heretic12366 22/09/22 12366
463001 [기타] 공원 바위 옮기다 3300년前 매장동굴 발견 [13] 2023 lck 스프링 결승 예측자insane12665 22/09/21 12665
462979 [기타] 전쟁 전 후 관상 비교 [26] 소믈리에10840 22/09/21 10840
462825 [기타] 안면인식 프로그램으로 누명을 벗은 사건 [4] 타카이10491 22/09/19 10491
462774 [기타] 태풍이 올 때마다 주목을 받는 일본의 호텔 [8] Dresden11915 22/09/18 11915
462619 [기타] ZOTAC에 이어 GALAX도 4090 사진 유출 [16] TWICE쯔위6811 22/09/16 6811
462607 [기타] 애플 A16 혁신은 없었다! [16] Lord Be Goja9833 22/09/16 9833
462504 [기타] 버지의 아이폰 14 & 14 프로 리뷰 [45] 비온날흙비린내8637 22/09/15 8637
462469 [기타] 루리웹 유저의 집자랑 [28] 니시무라 호노카13459 22/09/14 13459
462178 [기타] 오늘 뉴욕 날씨는 맑음 [12] 흰긴수염돌고래9965 22/09/11 9965
462070 [기타] 3억 2760만 달러짜리 사진 한 장 [30] BTS13088 22/09/09 13088
461859 [기타] 대왕 오징어의 반전 [18] 퀀텀리프13928 22/09/06 13928
460975 [기타] 노치없어진 아이폰14.. 실제 모습이라 주장하는 사진 [36] Lord Be Goja10857 22/08/26 10857
460805 [기타] 제임스 웹이 각잡고 찍은 목성과 목성 오로라 [52] 츠라빈스카야9334 22/08/23 9334
460655 [기타] 한산 미공개 영상 이순신 장군님 밥상씬 [8] 그10번9210 22/08/21 9210
460471 [기타] 대한민국 퓰리쳐상급 사진들 모음.jpg [50] 물맛이좋아요11277 22/08/18 112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