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8/21 22:10:21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211.8 KB), Download : 28
출처 이종격투기
Subject [유머] 블라인드)20살 9급 공무원 VS 20살 대기업 생산직


블라인드)20살 9급 공무원 VS 20살 대기업 생산직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8/21 22:11
수정 아이콘
진짜 지금 공무원 인식 나락가서 완전 바닥치는데 분명 저는 다시 붐 올거라고 봅니다
사울 굿맨
22/08/21 23:00
수정 아이콘
다시 붐이 온다는 건 경제위기...ㅠ
피식인
22/08/21 23:11
수정 아이콘
공무원 붐이 오려면 대한민국 고용 시장에 위기가 와야..
wersdfhr
22/08/21 22:11
수정 아이콘
20살이면 전자 같다고 썼는데

다시 생각해보니까 그래도 후자인듯
스카야
22/08/21 22:12
수정 아이콘
대기업 생산직이 현차급을 말하는 거면
감히 공무원따위죠.
공무원은 시험잘보면 바늘구멍이라도 있지
생산직은 아예..
일모도원
22/08/21 22:12
수정 아이콘
입사한지 몇년만 지나도 월급 차이가 심하게 많이 날텐데..
스덕선생
22/08/21 22:12
수정 아이콘
대기업 생산직이 생애 수입 등 여러 면에서 훨씬 우위에 있다고 보는데
생산직이라고 하면 아무리 수입이 좋아도 싫어하는 분들이 있긴 하더군요.

실제로는 말이 생산직이지 불라불라 해봐야 뭐 본인이 싫다는데 어쩌겠습니까.
케이아치
22/08/21 22:13
수정 아이콘
20살이면 A가 좋을듯. 대기업 생산직 급여가 최소 2배일텐데 ..
제발존중좀
22/08/21 22:16
수정 아이콘
연봉,복지,워라밸 등등 부분에서 대기업 생산직이 압도적으로 좋다고 생각하는데,
그래도 9급공무원을 택하는건 사회적 지위에서 인식의 차이가 크긴 크죠.

솔직히 부모집안 좀 괜찮으면 저라도 무조건 9급하라고 하겠네요.
수지짜응
22/08/21 22:17
수정 아이콘
근데 이런거 보면 들이는 인풋은

9급 공무원 인서울 중위권 대학 2~3년 공부 vs 고졸 생산직인데
월급차이가 30대 중반 기준 3배정도 나는게 신기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고졸 생산직 테크 크게 선호 안하고 비등비등한것도 신기하고 그렇네요 크크 인식이란게
22/08/21 22:19
수정 아이콘
현차나 기름이나 화학 생산직이면 9급보다 들어가기 배는 빡셀거 같은디...
롤스로이스
22/08/21 22:20
수정 아이콘
인식차이로 보기엔 너무 큰 급여 차이아닐까요..ㅠ
아이군
22/08/21 22:23
수정 아이콘
20살.... 이라고 생각하면 9급도 괜찮을거 같긴하네요. 공무원은 결국 호봉이 깡패라서 버티면 결국 정년때 괜찮을거 같음
22/08/21 22:25
수정 아이콘
둘다 좋은 직업이네요.
딱총새우
22/08/21 23:00
수정 아이콘
박수박수!
22/08/22 01:26
수정 아이콘
저도 이거 쓰러 내려왔어요. 둘 다 좋네요.
22/08/21 22:27
수정 아이콘
지금 현차 생산직도 장담 못하는게 언제 인원감축 들어갈지 모름..
물론 전기차가 언제 대다수를 장악할지 모르기는 한데 인력감축은 예정된 수순이라서...
지금 당장만보면은 현차 생산직이 무조껀 승인데..
Zakk WyldE
22/08/21 22:33
수정 아이콘
후자죠.. 대기업 생산직이면 잘리지도 않을텐데
사람을 안 뽑으면 안 뽑았지
니가커서된게나다
22/08/21 22:36
수정 아이콘
대기업 생산직이 압도적인 우위죠
9급공무원들은 음서 만들라고 하지 않지만 대기업 생산직들은 음서를 단체협약에 넣으려고 하죠
단비아빠
22/08/21 22:37
수정 아이콘
대기업 생산직이라고 해도... 어떤 회사냐에 따라서 많이 틀리겠죠. 롯데같은 회사라면?
22/08/21 23:17
수정 아이콘
롯데라고 딱히 꿀릴건 아니죠 직종에 따라 갈리는거지
22/08/21 22:41
수정 아이콘
지금 생각해보니 7급하고 비벼야되지 않나요? 현기나 기름쪽이면...?
22/08/21 22:42
수정 아이콘
전자요. 20살이면 호봉 깡팹니다. 연봉꺾일일없이 계속 높아지고 암생각없이 퇴근하면 헬스장가서 운동하고 휴일 놀러다니고 은퇴하고 죽을때까지 연금받을래요.
라떼는말아야
22/08/21 22:43
수정 아이콘
그런 9급 공무원들은 많지 않을꺼에요. 당장 다음주 을지훈련만해도...
22/08/21 22:46
수정 아이콘
제 절친이 저렇게 삽니다. 직렬마다 다른건 인정이요.
22/08/22 00:12
수정 아이콘
20살에 현대차 생산직이면… 교대근무에 특근 꽉 채운다는 가정하에 25살 쯤 9급출신 은퇴직전 연봉 나올겁니다
일면식
22/08/22 12:19
수정 아이콘
20살로 은퇴직전까지 풀 호봉 쌓아도
대기업 생산직 30살 수입보다 적습니다.

저는 대기업 생산직으로 45살까지만 일 할수 있다면 후자가 나을것 같네요.
라떼는말아야
22/08/21 22:42
수정 아이콘
공무원이 결혼시장에서도 인기가 많이 없어졌다고 하죠.
결국 돈을 이기는건 아무것도 없다고 봐요.
비온날흙비린내
22/08/21 22:48
수정 아이콘
군대 선임이 마이스터고 나와서 삼성 생산직 취업했었는데 그 나이라고 상상할 수 없을만큼 엄청나게 벌고 또 쓰더군요.

남들 대학 한창 다닐 때 이미 돈을 버니 굉장히 여유롭게 살던데 부럽더라구요
피식인
22/08/21 22:51
수정 아이콘
여자면 공무원(고용안정), 남자면 대기업 생산직(연봉) 고르겠습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대졸자는 대기업 생산직 취직이 안 됩니다. 대기업 생산직 급여나 고용 안정성 측면에서 굉장히 좋다고 생각하는데, 학력 부분에서 본인이 아쉬움이 남을 수 있어요. 하긴 공무원도 20살인 거 보면 둘 다 고졸인 거 같은데, 취업 후에 나중에 졸업장을 따로 따는 방법도 있긴 하겠네요. 그런데 학력에 미련이 없고 돈 많이 벌고 정년까지 걱정 없이 다니고 싶다 그러면 대기업 생산직 굉장히 좋다고 봅니다.
Cazellnu
22/08/21 22:55
수정 아이콘
대기업 생산직이 얼마나버는지 모르고 찍었겠죠 뭐
생애수입따지면 상대도 안될차이가 날텐데
로하스
22/08/21 23:03
수정 아이콘
돈외에 다른건 생각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A일거구요.
사회적 지위 같은것도 고려 대상이 된다면 B도 선택가능합니다.
20살에 9급이면 4급까지는 충분히 목표로 할 수 있고
4급이면 기초지자체에선 국장급인데 청장-부구청장 다음이라
파워가 굉장하죠.
수지짜응
22/08/21 23:06
수정 아이콘
고졸 국장이요? 요즘 시대에는 흠..
로하스
22/08/21 23:13
수정 아이콘
학력이야 들어와서 채울 수 있으니까요.
마이스터고 나와서 20살에 9급 들어온 직원 중대 야간 다니는데
그거 마치면 중대 졸업생되는거죠.
김소현
22/08/21 23:08
수정 아이콘
5급으로만 퇴임해도 줄 잘슨거에요
로하스
22/08/21 23:19
수정 아이콘
본인이 승진 욕심이 없고 노력도 안하면 40년 근무해도 6급 퇴직할 수 있다고 생각하구요.
평균 이상의 욕심이 있고 그정도의 노력도 한다면 5급은 무난히 갈거라고 봐요.
수지짜응
22/08/21 23:23
수정 아이콘
요즘은 현실적으로 5급도 어렵다던데 4급 얘기하셔서

지금 9급 공무원중에 4급은 1% 될까말까지 싶습니다 예전과는 다를거예요
로하스
22/08/21 23:34
수정 아이콘
그건 지자체마다 다를 수는 있는데요, 베이비붐 세대들이 요 몇년간 아주 많이 퇴직했어요.
그래서 신규 공무원도 많이 뽑았고 승진도 많이 수월해서 요 몇년간은 현실적으로 5급이
그렇게 어려운 시기는 아니었어요.. 그리고 4급이 당연히 9급 중에 1%될까말까 맞지요.
제가 위에서도 4급이 기초지자체에서 구청장-부구청장 다음이라고 했잖아요.
근데 아무래도 공무원 승진은 연공서열을 따지는 부분이 있어서 20살에 9급되고 그만큼
5급을 빨리 올라간다면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수지짜응
22/08/21 23:40
수정 아이콘
5급이야 나이 어리니 그래도 바라볼만한데

4급이랑 5급은 천지차이같아서 얘기드린거예요 잘 모르시는분들이 오해할까봐서요
로하스
22/08/21 23:53
수정 아이콘
네 뭐 제 관점에서는 20살 9급은 어느정도 일하고 승진 욕심 내고 하면 5급은 무난하다고 보니까
4급을 목표로 할 수 있다는건데 그걸 천지차이라고 느끼시는 것도 이해합니다. 차이가 크긴 하죠.
지구 최후의 밤
22/08/22 00:22
수정 아이콘
보통 6급에서 퇴직은 맞는데 그렇다고 좀만 더 노력하면 5급 갈 수 있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일단 같이 달리는 사람 대비 TO가 많이 부족해서 경쟁률 박터지는데 재수없는 일에 휘말려 의사와 상관없이 낙마하기 일쑤입니다.
로하스
22/08/22 00:32
수정 아이콘
뭐 그건 지자체 상황마다 다르겠죠. 저같은 경우는 10년전에 같이 근무했던 부서의 6급 팀장님들은
전부 5급 달고 퇴직하셨고(4급 퇴직 1분), 당시의 고참 7급들은 60%정도 5급 승진한거 같네요.
지구 최후의 밤
22/08/22 00:3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대로 상황마다 다르긴 한데 그 정도 진급률이면 아마 핵심부서에 계셨었나 봅니다.
로하스
22/08/22 00:45
수정 아이콘
그런 것도 있고 58~62년생 정도가 굉장히 많아서 몇년간 5급 자리가 쭉쭉 빠졌거든요.
일면식
22/08/22 16:43
수정 아이콘
20살 9급으로 시작해서 4급 따는것과
20살 삼성생산직으로 시작해서 임원진 되는게
난이도나 비중으로 보나 비등하지 않을까요
로하스
22/08/22 17:04
수정 아이콘
제가 생산직을 잘 몰라서요. 생산직도 부장까지는 진급 확률이 꽤 되나요?
그러면 당연히 임원도 목표로 할 수 있으니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을거 같아요.
22/08/22 09:21
수정 아이콘
4급 이상 공무원은 입직한 출신성분이 제일 중요합니다.

행시출신에게 티오가 훨씬 많고 그다음은 7출이죠.

학연도 작용하니,,학벌도 좋으면 좋을수록 이득이지요.

9급출신 4급은 100명에 1명 정도되는 특출난 아웃라이어나 가능합니다.
로하스
22/08/22 09:28
수정 아이콘
기초 지자체는 7급 출신이 거의 없어요
22/08/22 09:32
수정 아이콘
기초 지자체는 4급 자리도 손가락에 꼽죠. 9급이 20살부터 연차만 쌓는다고 가진 못하죠.
로하스
22/08/22 09:34
수정 아이콘
그렇죠. 그래서 목표로 할 수 있다고 했지 4급을 간다고 한 적은 없어요,
22/08/22 09:37
수정 아이콘
목표가 비현실적이란 점을 지적하고싶네요.
22/08/22 13:28
수정 아이콘
고졸로 그렇게 할 노력이면
삼성서도 야간대학 나오고 파트장 달고 50세 넘어서도 일할껄요
김소현
22/08/21 23:11
수정 아이콘
대기업 생산직압승입니다
아웃소싱이 아닌 진짜 공채로 들어갔으면 말이죠
22/08/21 23:11
수정 아이콘
현차나 기름집 생산직이면 대기업 생산직 중에서도 엄~청 잘 풀린 소수인데 9급 상위직렬 가서 승승장구 하는거랑 비슷한 비율 아닐지..
22/08/21 23:12
수정 아이콘
집안 빚없으면 공무원이 나을수도 있죠. 계열마다 다르지만 생산직은 대부분 주야교대에 남들과 다른 휴일이라 돈이라는 장점이 확실한만큼 나머지에서는 단점이 더 많습니다.
생산직이 안잘리긴 하지만 공무원은 40년보장이고 40년이면 아무리 대기업이라도 어찌될지 모르니까요.
고진감래
22/08/21 23:13
수정 아이콘
여유있는 집일수록 닥전이고 반대일수록 취존
22/08/21 23:24
수정 아이콘
댓글들 보니 둘다 정년보장인거 같고 20살부터 돈을 버는거니
자유시간 많은쪽이 나을거 같습니다 크크
이르미르
22/08/21 23:29
수정 아이콘
근데 9급중에 야근없는 직렬이 많나요? 듣기로는 다들 야근에 치어사는것 같던데요...
22/08/21 23:43
수정 아이콘
문구업 자영업자인데(구청 바로앞에 있는..)
일요일(오늘) 21:59에 손님이 한팀(5인팟) 왔죠….
당연히 구청 직원(말단)이고 다들 쩔었습니다ㅠㅠ
저야 자영업이라 일하면(자의적으로)내돈인건데……ㅠㅠ
이르미르
22/08/21 23:44
수정 아이콘
아...
22/08/21 23:47
수정 아이콘
댓글수정(추가) 하기전에 대댓글 다셔서 멘트추가 하자면
저야 자영업이라 남아서 더 팔면(자의적으로) 내돈 인건데
그분들은 표정에 영혼들이 없었어요 ㅠㅠ
산밑의왕
22/08/22 09:25
수정 아이콘
일요일 밤 10시에 일하고 월요일에 쉬기라도 하면 모를까 그럴리가 없으니...슬프네요...
위원장
22/08/21 23:45
수정 아이콘
대기업 생산직을 잘모르시네요
현기차 같은데 안가도 되요
유자농원
22/08/21 23:48
수정 아이콘
20살이고 나발이고 월화수목금 10시까지 야근에 홍수라고 강원도에서 강남까지 파견나오는거보면 이게 맞나 싶습니다.
알라딘
22/08/22 00:05
수정 아이콘
제 주변 9급친구들은 전혀 안편하고 고생많이하더군요
특히 민원지옥.. 후자손들래요.9급 월급상상이상으로 짭니다
22/08/22 00:14
수정 아이콘
대기업 생산직 개꿀인데... 버는 돈도 기타 복지도...
22/08/22 00:21
수정 아이콘
비상 걸리면 잡혀 들어가던데 뭐가 편한건지 모르겠네
22/08/22 00:26
수정 아이콘
이게 왜 공무원이 이겨? 사람상대하는 직업은 진짜 지옥입니다
플리트비체
22/08/22 00:29
수정 아이콘
왜 좋은 직업두고 비교질을...
이런 비교글들이 한국사회를 갉아먹는다고 봅니다
너의 모든 것
22/08/22 01:03
수정 아이콘
9급 월급으론 혼자도 못 살 듯.. 제 기준입니다
소독용 에탄올
22/08/22 01:20
수정 아이콘
기대값으로 보면 공무원 쪽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상당히높아서 비슷하거나 더 나을듯....
iPhoneXX
22/08/22 08:47
수정 아이콘
지금 당장만 보면 비교가 안되긴 하는데, 10~20년 뒤는 또 모르죠. 자율 주행, 자동화가 과연 생산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지금 승승장구 하는 대기업들이 과연 그때도 괜찮을지, 생산공장 지금 다 해외로 돌리고 싶어하는 기업들이 수두룩 한대 과연 그때 한국에 공장이 몇개나 있을지..변수가 어마어마하게 많죠.
22/08/22 08:52
수정 아이콘
대기업생산직도 철밥통아닌가요
위에댓글처럼
음서제넣으라고 압박이 있을만큼 (저도 이건 들어봤고)
본인직에 만족한다는건데
자루스
22/08/22 08:58
수정 아이콘
자영업자입니다. 둘다 재미없어 보입니다.
굳이 선택하라면 대기업 갑니다.
시간이 돈인데요.
트레비
22/08/22 09:12
수정 아이콘
둘중에선 생산직이... 그냥 대기업 생산직 들어가기만해도 5천은 그냥 받는데요... 별다른 기술없이도
Pinocchio
22/08/22 09:21
수정 아이콘
당빠 대기업 생산직이죠. H계열 사무직으로 다니지만
우리화사 생산직 일하는거 보면 캐부럽습니다.
가라고 하면 당장 감.
22/08/22 09:48
수정 아이콘
공무원 물론 좋지만, 대기업 생산직을 잘 몰라서 하는 소리 같네요.
어둠의그림자
22/08/22 09:51
수정 아이콘
9출 30년차가 현차 생산직 초봉은 이기려나 500받는다던데
혼날두
22/08/22 10:08
수정 아이콘
대기업 생산직들이 대부분 지방에있다보니 서울 사람들은 잘 모르죠 생산직이 얼마나 꿀인지 크크
지금만나러갑니다
22/08/22 11:02
수정 아이콘
9급 공무원 호봉 40년동안 쌓아봐야, 대기업 생산직 그 반인 20년만 되어도 공무원 평생 벌 돈 모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2323 [유머] 짚라인은 이렇게 타는겁니다 [14] 비상하는로그9045 22/09/13 9045
461987 [유머] 전세계 페이거래량, 애플페이와 삼페의 차이.jpg [33] 삭제됨9905 22/09/08 9905
461976 [유머] 애플의 타 회사 도발 [46] Leeka12339 22/09/08 12339
461969 [유머] 아이폰 14 프로 신기능 - 다이나믹 아일랜드 UI [70] Leeka10608 22/09/08 10608
461956 [유머] 남녀임금격차를 토로하는 제니퍼로렌스 [65] 이재빠15029 22/09/07 15029
461909 [유머] 미쳐돌아가는 영국 전기요금 [156] 숨고르기14874 22/09/07 14874
461525 [유머] ??? : 솔직히 을질맞지 [18] 일신7531 22/09/02 7531
461493 [유머] 직장인용 진짜 황밸 밸런스 게임 [141] 비온날흙비린내11728 22/09/02 11728
461214 [유머] 이 시각 키움 해외주식 매수 상위 [24] 맥스훼인8165 22/08/29 8165
461158 [유머] 우마무스메 마차시위 ..말 도착 사진 [11] League of Legend7223 22/08/29 7223
461108 [유머] 미국에서 1달러로 의료혜택 받는법 [9] 메롱약오르징까꿍9553 22/08/28 9553
461095 [유머] 인간이 무조건 해야 하는 운동 단 한가지.jpg [30] 삭제됨10637 22/08/28 10637
461080 [유머] 현재 수도권,강원 아침 기온.jpg [22] 핑크솔져11153 22/08/28 11153
461034 [유머] ??? : 누칼협? [68] 소믈리에12497 22/08/27 12497
460977 [유머] 한국에서 정당방위 받는 방법 [79] 소믈리에12884 22/08/26 12884
460835 [유머] 인도가 탄소배출 줄이지 않는 이유 [73] 소믈리에11627 22/08/23 11627
460820 [유머] 로또 1등 실수령 10억으로 평생 놀고 먹을 수 있을까? [115] Pika4814144 22/08/23 14144
460776 [유머] 2030 욜로족 충격... 서장훈의 충고 [48] 아수날10973 22/08/22 10973
460705 [유머] 블라인드)20살 9급 공무원 VS 20살 대기업 생산직 [80] 김치찌개10943 22/08/21 10943
460520 [유머] 아이패드를 사달라는 조카.jpg [88] 삭제됨10484 22/08/19 10484
460399 [유머] 일부 캘리포니아 사람들이 트렁크 열고 주차하는 이유 [28] TWICE쯔위10460 22/08/17 10460
460340 [유머] 젊은 사람들이 제조업에 안 간려는 이유.jpg [76] 김치찌개12185 22/08/16 12185
460295 [유머] 블라인드에서 이슈가 된 '갭투자 파산빌런' [65] EpicSide11148 22/08/16 111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