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7/30 23:31:46
Name Lord Be Goja
File #1 31x.png (312.1 KB), Download : 14
출처 슈카월도
Link #2 https://www.youtube.com/watch?v=dINOdh8os9U
Subject [기타] 한국에 카페가 많은 이유?! 슈카감상 (수정됨)


한식이라는 광범위한 카테고리안의 수많은 요식업  
그리고 주점
그 다음으로 많은 카페!


카페는 왜 이렇게 많은걸까?!

자영업중에 요식업이 유난히 폐업률이 높은건 유명하지만 숫자로 보면 더 살벌합니다


nw31V6E.png


그렇다면 카페는 어떨까?!


HgxF6pn.png

요식업중에서도 가장 버티기 힘이 듭니다!!!

---------------------------------------------------------



cchf59x.png
19년(20년에 발표된)의 카페 폐업율은 코시국인 20년 (21년에 발표된) 피시방폐업률과 맞짱을 뜨는 수준입니다


커피 살아남기 = 무조건 좋은자리라는게 타 요식업보다 유지비에서 압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일까요?!



그런데 자영업을 시작하는분들 대부분은 40대 이상이신데,(한국은 20-30대 창업율이 낮습니다)
5FbaHdZ.png
UQAnOPI.png

재취업시 대접을 받기 힘든상태인데 (자영업을 많이 시작하는 40대이상의 중소-중견기업 재취업시 평균연봉은 3300정도..그나마 얼마 버티지 못합니다..)

xgpXy6o.png
막상,인생은 한참 남았다는 낭떨어지에서

자기자본으로,프차의 가이드없이 자가운영을 하기 때문에..


그렇게 막 정하시지는 않거든요.


엄청 고민하고 시작을 할텐데요??

그렇다면 카페가 살아남기 힘들다는건 다들 아실텐데 대체 왜 많이하는걸까요??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아랫부분을 보고  상상을(분석이 아님!) 해보니!


hHt54kG.png
자본 상황상 1-2명이서 돌릴만한 업종이여야 합니다.사람 많이 쓰는 업종은 부담이 다가올거같아요.
그러면 오래 살아남는 업종중  중식이나 한식중에서도 주 고깃집 같은건 제외가 됩니다.
주점도 차릴수 없겠죠.

WArXmh6.png
IrFzlNh.png

또한 살인적인 영업시간이 있습니다
1-2명이서 한달내내 12시간을 돌리면서 진행해야 하니까..
기존에 요리도 안해봤다+인원을 많이 쓰는것도 부담스럽다+체력적으로 많이 약해진분들이 메달려계실수 있는 업종에 한계가 있죠
그래서 카페를 많이 하시는게 아닐까...


원인은 늙음이다!


4dLKA0z.png

이상 치킨...을 많이 하는 이유.HTML이였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2/07/30 23:49
수정 아이콘
이 또한 치킨의 위엄이겠죠?
Janzisuka
22/07/30 23:59
수정 아이콘
그 카페 5년차 중입니당......으어어
코로나..잃어버린 2년...
22/07/31 00:02
수정 아이콘
햐... 3~4천의 변하지 않는 연봉의 안짤리는 직장에서 은퇴할 것이냐, 생각해둔 사업이니 카페를 할 것이냐의 기로에 서 있는 동료가 있는데.. 남 일 같지 않네요. 10여년 전에 세계대회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는.. 매장 운영하고 있는 바리스타 지인 보니까 하루에 다섯 시간도 안자는 것 같던데..
AaronJudge99
22/07/31 05:50
수정 아이콘
히익 세계대회 우승…..
재가입
22/07/31 08:39
수정 아이콘
그냥 일 하는 쪽에 저는 한표입니다.....크크 제 개인 의견...
Rationale
22/07/31 23:25
수정 아이콘
사이드로 해보시다가 결정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매우 피곤하고 힘드시겠지만, 인생을 거는 일인데 몇 달 고생은 감수하실만 하지 않을까요?
이민들레
22/07/31 00:09
수정 아이콘
인구비례 음식점 숫자가 저렇게 많은 까닭이 무엇일까요..
이재빠
22/07/31 01:15
수정 아이콘
예상하기로는 까페랑 치킨집숫자가
기형적으로 많은거 같습니다.
양현종
22/07/31 01:31
수정 아이콘
자영업자들에게 진입장벽이 가장 낮게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이민들레
22/07/31 06:01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들도 음식점 진입장벽은 마찬가지 아닐까요
22/07/31 07:35
수정 아이콘
따지고 들어가면 복잡한 사회 문제겠지만 단편적으로는 기본금이 낮고 고용이 불안정한 사회라서죠.
저렇게 많이 망하지만 소득 기대치는, 안망한 자영업자>>>회사원이니깐.. 급여 잘 나오고 안정적인 직장있으면 굳이 안 뛰어들겁니다.
이민들레
22/07/31 07:48
수정 아이콘
중국 미국에 비해 한국이 고요이 훨씬 불안정하다는거죠?
22/07/31 08:01
수정 아이콘
중국은 특성상 통계가 무의미하다 생각하고 미국, 일본에 비해서는 그렇다 생각합니다.
일자리 창출, 청년 실업률 등등 매번 상황이 나빠지지만 막상 해결안은 없는 상황이죠.
일자리는 널렸는데 따지는게 많다, 편한 일만 찾고 노력이 부족하다는 말이 심심치 않게 나오는 상황인만큼 아직도 멀었다 봅니다.
도들도들
22/07/31 09:29
수정 아이콘
산업화라는 게 자영업자를 노동자로 흡수하는 과정인데, 한국이 압축적인 산업화를 거치다보니 아직 자영업자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저임금, 산재, 경력단절, 조기퇴직 등 다양한 사유로 고용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고, 고용시장 밖에 있는 사람들이 시도할만 한 게 결국 요식업이라고 봐야죠.
22/07/31 00:10
수정 아이콘
어정쩡한 나이에 퇴직하신분들은 대다수가 자영업 말고는 돈 벌 방법이 없는 걸까요.
라울리스타
22/07/31 00:21
수정 아이콘
웃을 일이 아니네요..

특정 나이가 되면 회사에서 관리직을 못하는 이상 여태까지 해온 기술이 아무짝에 쓸모없이 취급 당하는 문화가 문제죠.

쉽게 이야기해서 60세 반도체 전문가가 40대 임원이랑 같이 일하기 힘든 나이&연공서열 문화...그렇기에 적절한 나이에 진급이 안되면 퇴직을 해야하고, 재취업이 안되니 진입장벽이 낮은 자영업 분야에 무지성으로 뛰어드는게 문제입니다.

이러니 mz세대(요즘 것들)에게 회사에 충성하라고 말하는게 어불 성설입니다...이 나이&기수 문화가 사라지지 않는 이상 대한민국의 고질병이 될 것이라 봐야죠
22/07/31 00:42
수정 아이콘
사업을 너무 얕잡아본다고 해야되나, 이정도만 준비해서 문열어도 되겠지 하고 안일하게 가게 여는 사장님들이 제 생각엔 꽤 많은 것 같아요.

특히 개업이 그리 길지 않고 작게 개업된 카페나 식당에 들어가보면, 기본적인 시스템이나 매뉴얼이 없어 애매한 상황을 그대로 두고 손님이 좀 헤맨다거나 애매한 경험을 하게된 곳은 다음부턴 그렇게 오고싶진 않겠다 싶은 곳들이 꽤 많고, 그런 가게들은 진짜 대부분 오래 못가더라고요.
쿠퍼티노외노자
22/07/31 01:08
수정 아이콘
인구 규모가 너무 작은게 원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대기업에서 수출을 중심으로 하면서, 내수에 발을 뻗는 순간, 작은 기업들이 뭘 할게 없죠.
결국, 대기업에서 정년퇴직이든 은퇴를 하고 나면, 취업 할 곳이 없습니다. 자영업인데 그나마도 대기업과 경쟁이 일어나는 분야를 제외하면 음식점외에 무엇이 있을까요...
아수날
22/07/31 05:48
수정 아이콘
쿠퍼티노에서 일하시나요?
쿠퍼티노외노자
22/07/31 07:25
수정 아이콘
메타몽
22/07/31 15:35
수정 아이콘
인구가 한국보다 많은 나라가 더 드뭅니다

인구보다는 경제, 사회구조가 기형적이라고 봐야죠
Just do it
22/07/31 02:27
수정 아이콘
자원이 없는 나라의 한계죠...
소도시가도 진짜 사람은 없는데 음식점은 종류별로 엄청 많다는...
호러아니
22/07/31 05:10
수정 아이콘
창업대비 폐업비율은 좀 과장된 숫자가 나오지 않으려나요? 시장이 성장하지 않는 이상 당연히 비슷할 것 같은데.
전체 업종대비 폐업률을 보는게 맞을 것 같은데 어떤걸 보고자 하는 숫자인지 궁금하네요.
AaronJudge99
22/07/31 05:51
수정 아이콘
이래서 의치한이 뜨는거군요….정년없다는게 정말 이렇게 보니 장점이네요 ㅠ
22/07/31 07:47
수정 아이콘
인스타 카페 같은 경우에는 성공해도 3~4년만 하고 일부러 접기도 합니다.
이미 수용층을 다 소화하고나면 소비 될 일이 없는 컨셉이라 근처에서 새로운 카페로 환생하죠.
22/07/31 08:24
수정 아이콘
인테리어 감가상각이 끝나기도 전일텐데 경비를 뽑을수 있나요?
22/07/31 08:43
수정 아이콘
정확한 경비는 알 수 없으나 대형 카페가 아니라면 이후로 3년 더 운영해도 오픈 1년보다 못 법니다. 커피가 맛있어서 성공하는 집들이 아니라서요.
모든 경우가 그렇다는 건 아니고 저도 주변에 한해서 말한거라 미비한 수일수도 있을겁니다.

또한 완전 접는 경우보다 다른 주인에게 넘겨서 사장만 바뀌는 경우도 흔한데 이런 경우에도 금방 폐업하더라고요.
받는 쪽에서는 당장의 매출 추이만 보고 넘겨받지만 파는 쪽에서는 변화없이는 내리막인걸 알거든요.
곰남이
22/07/31 08:46
수정 아이콘
매출토대로 권리금받으면 손해없을거에요.
VictoryFood
22/07/31 12:05
수정 아이콘
그런 가게는 권리금 장사하는 거죠.
SG워너비
22/07/31 17:05
수정 아이콘
어차피 권리금먹고 나르면 됩니다
실제로 3년도 안하는 경우도 많고요
22/07/31 09:02
수정 아이콘
훈수는 쉽지만 직접 하라고 하면 어렵죠. 해봐야 느끼는 점도 많고요. 그럼 충분히 시간을 두고 준비를 하면 되지 않냐... 할수도 있지만 당장 돈벌어야 하는... 몇년씩 준비할 상황도 아닌경우가 많죠. 다들 최대한 준비 많이 하고 문여는게 저정도일 겁니다
22/07/31 10:39
수정 아이콘
현재 공무원 -> 사기업 이직하려 하는데
주변의 어른 분들은 사기업 가면 당장 월급은 많을지라도 정년이 보장이 안된다 하여 회의적이고
또래들은 통장에 찍히는 금액이 다르고 인구 감소추세라 정년은 어느정도 보장 될것 같다고 무조건 대기업이라더군요.
여러분들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22/07/31 11:23
수정 아이콘
어디로 가실지는 모르겠지만 어느 회사던 정년 보장은 없거나 점점 줄어듭니다

다만 당장의 페이차이는 있으니 선택은 본인몪이죠
마텐자이트
22/07/31 17:42
수정 아이콘
길게 보세요. 인생에 위기는 한두번씩 옵니다. stay 하시길
일면식
22/07/31 11:20
수정 아이콘
은퇴 후 재취업이 안되서 자영업을 한다는 분들이 많은데,
단순한 아르바이트 조차 재취업이 안될 정도면 자영업을 안하는게 맞습니다.
일단 최저시급이라도 받으면서 직원으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게 우선이죠.

대부분 은퇴하면 할게 없다는 50대들 보면, 20대 사회 초년생에게 할만한 충고를 자신에게는 적용 안하시던데요.
22/07/31 11:31
수정 아이콘
유현준 교수는 수요의 입장에서 봤을때 한국에 까페가 많은 이유가 공짜로 즐길수 있는 공원과 벤치가 부족해서라고 보더군요.
iPhoneXX
22/07/31 12:12
수정 아이콘
대부분이 저렇다고 봐야죠. 50 넘어서 회사 붙어있는게 점점 어려워지는 이 시기에 능력되서 작은 기업에서라도 월급 받는 사람 비중이 생각보다 적습니다. 주식 해봐서 아시겠지만 은퇴자금 마련하는것도 쉽지 않고..다들 고민해 봐야 할 문제죠. 전문직처럼 은퇴시기가 딱히 정해져 있지 않은 직종 제외,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고민해야 될 문제입니다.
SG워너비
22/07/31 17:06
수정 아이콘
제발 카페는 차리지 마세요
낮은 부가가치로 돈 버는거 힘든겁니다
만만해보인다고 들어오지 마세요 제발
돈 썩어나면 그건 들어오셔도 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4333 [유머] 30대 남자 상위 30% 안에 가능 vs 불가능 [62] 김치찌개13142 22/10/10 13142
464217 [유머] 30대 남녀 갤럭시 아이폰 점유율 역전.jpg [51] VictoryFood13179 22/10/08 13179
463715 [텍스트] 20-30대 공부만 했다는 교수님 [54] Rain#115147 22/09/30 15147
462781 [유머] ‘한강 멍때리기’ 대회, 30대 야구팬 우승.jpg [21] 핑크솔져13158 22/09/18 13158
462548 [유머] 요즘 30대에서 논쟁중이라는 주제.jpg [76] 김치찌개12180 22/09/16 12180
462307 [유머] 30대부터 친구들하고 멀어지는 이유 [50] Pika4816008 22/09/12 16008
461879 [유머] 현실적인 대한민국 30대 남성.jpg [49] 아수날15956 22/09/06 15956
461839 [기타] 30대 대시가 고민이라는 53세 여성의 사연 [33] 니시무라 호노카14692 22/09/06 14692
461574 [유머] 한국 30대 초반 남자 평균 맞다 vs 아니다 말나온다는 조건 [54] 김치찌개10730 22/09/03 10730
461423 [유머] 살 안찌는 사람에게 1만 칼로리 먹여보았다.jpg [41] 로즈마리10781 22/09/01 10781
461328 [유머]  남자 20대와 30대의 게임할 때 모습.jpg [63] Aqours11290 22/08/31 11290
461061 [유머] 요즘 젊은 세대 들은 갤럭시를 구시대로 인식하나요? [108] 아수날13423 22/08/27 13423
460871 [유머] 30대가 친구 만드는 법 [30]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906 22/08/24 11906
459588 [유머] 확실히 30대쯤 되면 다들 말이 달라지는게 느낄 때 [24] 퍼블레인10220 22/08/06 10220
459432 [기타] 13살 딸로 위장해서 등교 후 수업 받은 30대 학부모 [8] 한화생명우승하자9708 22/08/04 9708
459149 [기타] 한국에 카페가 많은 이유?! 슈카감상 [38] Lord Be Goja11141 22/07/30 11141
459119 [유머] 20대와 30대의 차이점.jpg [45] 아수날10030 22/07/30 10030
459039 [기타] 만수르 사촌 초대로 사우디에 간 근근웹 유저 [11] 퍼블레인12513 22/07/29 12513
458885 [기타] 의외로 정직한 통계 [43] Lord Be Goja11006 22/07/27 11006
458882 [유머] 30대 이상 남자의 노화과정을 설명 [44] EpicSide10888 22/07/27 10888
458340 [스포츠] 그놈의 주형광 때문에 2점이 날라갔다.JPG [19] 비타에듀8331 22/07/17 8331
457278 [유머] 2020년 대비 2021년 20~30대 스마트폰 점유율 변화 [37] Leeka5939 22/07/01 5939
456519 [LOL] ??? : 30대 중반이 이런 게임에 순식간에 몇백을 쓸리가 없는데? 이건 무조건 도용이다...mp4 [20] insane10959 22/06/20 109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