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7/30 08:57:18
Name 카트만두에서만두
File #1 424a3379440b7ee613dfbd27a6ba2b95.jpg (121.8 KB), Download : 13
File #2 e945f7c917b0bbf609339e0937ca2793.jpg (44.5 KB), Download : 5
출처 https://www.fmkorea.com/best/4869183294
Subject [유머] 알고보니 망사용료를 내고있던 트위치?? (수정됨)




(Kinx와 네이버, 카카오, 삼성 등 유명 기업들이 계약중)

국내에 들어온 디즈니 플러스처럼

Kinx라는 국내기업의 CDN을 통해

최소 2017년도 부터

망 이용비용을 지불하고 있었음


14d5b09565eab673c9049a7a6307f1bc


북미나 유럽대비 유지비가 거의 3배가 드는 돈은 안되는데 (서드 파트 엄청쓰고, 구독도 안함) 돈만 나가는 그런 시장이었네요


이러면 p2p 쓰는거도 이해가 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2/07/30 09:03
수정 아이콘
풍월량의 얘기로는 망사용료를 내고 있었던 것과 더불어 광고 단가도 한국이 매우 낮은 편이더라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2/07/30 09:10
수정 아이콘
게다가 한국은 구독률도 낮고 비트도 거의 안써서 수수료 수익도 적고.. 사실 큰 돈이 안되고 있져
22/07/30 09:36
수정 아이콘
가끔 이쁜 도네티콘 있는곳 채굴 켜두면 외국채널은 구독기프트가 많이 터져서 공짜로 자주 쓰는데
한국쪽은 자기구독은 좀 하는 편이지만 확실히 구독 기프트는 거의 없는 편이긴하더라구요
오히려 외국애들이 와서 쏘는 경우도 있고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2/07/30 09:12
수정 아이콘
지금 트위치 p2p의 가장 큰 문제는 보안도 보안이지만 트위치가 장점으로 내세우는 적은 딜레이(2초 전후)가 안된다는 점입니다. 10초 이상 딜레이의 역체감이 무척 클텐데 말이져
EpicSide
22/07/30 09: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17년부터 내고있었다는 얘기의 근거가 뭔지 잘 모르겠는데 최초로 논란이 제기되었던 19년도 당시(서수길이 발언했던 시기)에는 망사용료를 내지 않고있었던게 맞는걸로 압니다.... 당시 이해진 네이버 대표가 문재인 대통령과 가진 간담회에서 넷플릭스 등이 국내 서비스를 하면서 망사용료는 무임승차 하고있는 상태라 국내기업들과 공정한 경쟁상태가 아니라고 해서 본격적으로 문제제기가 되었고 트위치도 덩달아 입방아에 오르며 망사용료 무임승차한다면서 뭇매를 맞았었는데 트위치가 호구도 아니고 17년부터 망사용료를 내고있었다면 '우리는 망사용료 낸다'라고 즉각 대응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본문의 디즈니플러스 사례처럼....... 여튼 이후로 언제부터인지 확실하지는 않습니다만 망사용료를 내고는 있었는데 서버우회를 통해 줄이고 있었고 그나마도 부당하다며 소송을 제기했는데, 비슷한 시기에 같은 이유로 소송을 제기한 넷플릭스가 얼마 전에 망사용료를 내는게 맞다는 판결이 나와서 트위치도 이제 어쩔 수 없다는 판단으로 p2p를 도입하기로 했다..... 가 지금까지의 상황인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카트만두에서만두
22/07/30 09:35
수정 아이콘
2017년도부터 kinx 파트너였다고 하네요 https://blog.naver.com/kinxtime/220964558438
EpicSide
22/07/30 09:37
수정 아이콘
그렇네요 작성일자가 17년인걸 보면..... 통신3사와 kinx간에 뭔가 망사용료 개념에 차이가 있는걸까요? 그렇다면 19년도에 논란이 되었을 당시에 왜 즉각 대응하지 않은건지가 의문인....
카트만두에서만두
22/07/30 09:40
수정 아이콘
통신 3사에 망사용료를 내지않고 있는게 중요한 문제인가 보네요 찾아보니. 금액 차이가 크긴 한가봅니다.
EpicSide
22/07/30 09:45
수정 아이콘
네.... 저도 방금 찾아보니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도 layer 뭐시기가 다르고 해서 제약도 있고 사용료 차이도 크고 그렇다는듯 한....
카트만두에서만두
22/07/30 09: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금 CDN 요금 지불했으니까 망 사용료를 낸 거다
VS
아니면 이건 편법이다 통신사에 ISP 요금을 내야된다

자체 cdn으로 돈내겠다는 넷플릭스는 패는데 디즈니 쪽은 안건드는거 봐서 크게 문제 없는거 같기도 하고 기다려봐야겠네요
그시기
22/07/30 09:24
수정 아이콘
서수길씨 발언에는 문제 없습니다.
닉넴길이제한8자
22/07/30 09:26
수정 아이콘
상관 없는 이야긴데....

근데 아프리카도 트윕이나 투네이션 같은거 있나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2/07/30 09:32
수정 아이콘
트윕은 안돼고 투네는 됩니다
뤼카디뉴
22/07/30 09:44
수정 아이콘
투네 되기는 하는데 단독송출 조건으로 별풍 수수료 우대받는 파트너되면 서드파티 못씁니다
22/07/30 10:07
수정 아이콘
사실상 없다고 봐야됩니다. 쓰면 베비같은거 날아가고 트위치처럼 바로밑에 노출되는 구조도 아니라서
유성의인연
22/07/30 09:27
수정 아이콘
근데 얘네가 망사용료말고 크게 들어갈 비용이 있나 싶네요.
직원도 10명안돼 이벤트도 1년에 1번 열까말까해. 유지보수나 개발은 본사서 할거고. 망사용료 만큼도 못벌면 그냥 사업철수하지.
이브이
22/07/30 09:28
수정 아이콘
중간광고 없애줘.... 아님 줄이거나
그시기
22/07/30 09:34
수정 아이콘
한국 트위치는 흑자 아닙니까??
인건비로 10명에 그거 도네 수수료나 중간광고 몇십만명 보는데 적자날까요??
본사 관리하는거 한국에서 부담한다고 하더라도요...
아프리카는 직원만 600명에 외부인원들 델고오고 자기들이 스스로 광고따오고 서버 운영하고 다 하다보니
인건비로 빠지는게 어마무시 하던데 말이죠.
스위치 메이커
22/07/30 09:43
수정 아이콘
아프리카는 별풍 수수료가 엄청나서 그걸로 버티는 거고

트위치는 자체 결제수단을 잘 안쓰기 때문에...
Out of office
22/07/30 10:56
수정 아이콘
서버비용이 많이 나가서 적자 크다네요
22/07/30 09:54
수정 아이콘
통신사는 정부 위의 슈퍼갑이라 어느정권이 와도 손을 못대서 답이 안보이네요.

진짜 망사용료부터 조절을 좀 해야 국내 IT업체들이 살텐데...
EpicSide
22/07/30 10:14
수정 아이콘
하지만 미국에서는 이미 이름만 다를 뿐 망사용료를 받고있는 상황이고, 망사용료가 도입되지 않은 유럽에서는 '우리들 통신망 인프라가 구린 이유가 통신사들이 돈을 못 벌어서 그런 것 같다'면서 망사용료 도입을 적극 고려 중인 상황이라....
22/07/30 10:19
수정 아이콘
너무 비싸니까요. 지금 안내고 뻐기는 기업들도 그냥 이유가 하나죠. 너무 비싸서
22/07/30 11:53
수정 아이콘
미국 수준의 망사용료면 이런 논란이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Yi_JiHwan
22/07/30 10:03
수정 아이콘
망사용료 내면서 그리드면 그래 인정해...
22/07/30 10:18
수정 아이콘
투네 트윕 수수료 책정으론 메꿀 수 없는 금액인가보네요?
그리드 논란으로 시청층 감소보다 장기적으로 수수료를 먹는게 나을 것 같은데.
당장은 아쉬운 사람이 감수하겠지만 구독도 하고 도네도 하는데 해킹 경고하고 쓰라면 분명 주춤할 것 같은데 말입니다.
카트만두에서만두
22/07/30 10:21
수정 아이콘
한사람이 하루에 10시간 트위치를 시청하면 6000~6500 내야하는거니 (이것도 프라이빗 피어싱 값은 우회적으로 안내는 상황) 매꿀수가 없는 금액이라고 봐야죠 한 구독자가 하루 6시간 트위치보면 구독료도 안나오는데요
22/07/30 10:25
수정 아이콘
트윕은 과거 마허시절에 계약해서 한 1% 떼줬던거 같은데 지금은 아닐거고 한국과 해외 경계가 없는 플랫폼 특성상 서드파티 오늘부터 돈내 하면 돈 내겠습니까...한국때문에 해외 플랫폼까지 싹 다 막을수도 없는거고

투네이션같이 과거 트코에 당했던 서드파티면 동조할리 만무하고...
소녀전선
22/07/30 12:00
수정 아이콘
본인들이 국내인방 파이 늘릴려고 서드파티를 장려한거라
이제와서 서드파티 쓰지마라고 할 수도 없죠
22/07/30 12:17
수정 아이콘
유튜브도 그렇고 트위치도 직원이 10명도 안되고 그것도 파견직인건 법인세가 싱가폴이 가장 싸서 다 거기다 본사를 두고 다른 나라에 소수의 인원을 파견시키면 그 나라에 세금을 거의 내지 않고 운영이 가능해서 일부러 인원을 안 늘리고 관리를 안 하는거죠. 저는 유튜버 해피아워 행사가 있어서 구글 코리아에 방문했지만 직원이 한 명이 다 총괄하고 맨날 문의글 넣어도 똑같은 직원이 답변해주길레 이름만 구글 코리아지 사실 중소기업도 아닌 소규모 기업 밖에 되질 않는구나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노랑딱지 사태이후 유튜버들 문의가 많아지니 아예 유튜브 문의 게시판 폐쇠와 해피아워 행사자체를 없에버린걸 보고 정말 기가찼지만 이게 해외 기업들 운영 방법이니 어쩔 수 어뵤겠죠
22/07/30 12:49
수정 아이콘
게임사 지원 (ex 블리자드 / 라이엇 같은 일종의 시청자-계정 연동성 및 통계자료등의 보조지원) 이 강력하다? 보니, 이쪽도 무시 할수 없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통상적으로 대회 총시청자수 같은건 나오지만, 실제 유저 (게임계정을 연동한 유저가 시청중인 경우등) 은 개인정보의 영역이 엮이다보니, 외부로 자주 나오지는 않겠으나, 라이엇이나 블리자드 (등의 계정연동이 가능한 게임등) 에 계정연동된 유저들의 시청자수 통계는 받고 있지 않을까 (= 게이머들의 실제 호응도나 실제 활동연관성의 측정?)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당장 저만 하더라도 몇달전 옵치2베타참여권을 트위치에서 얻었던지라. . . 크크

이러한 간접? 적인 효과들로 게임사간의 상호지원 (관련유저통계자료 <=> 운영자금)으로 적자폭을 메꾸는것도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실제로 어느정도 규모의 지원을 받는지는 모름) 손해가 크더라도, 메꿀수 있는 상황에서는 끌고 가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내맘대로만듦
22/07/30 15:44
수정 아이콘
근데 비트는 수수료 많이 나온다고 트윕 투네 다쓰는거보면서 저래도되나?싶긴했는데 역시 안되는걸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4137 [기타] 디즈니 컨텐츠 최적화 페이스라는 모델 [11] 묻고 더블로 가!10671 22/10/06 10671
463557 [서브컬쳐] 디즈니플러스 심슨 다 본 사람을 위한 두번째 엔드컨텐츠 [11] 짱구7227 22/09/29 7227
462404 [유머] 디즈니도 블랙워싱을 포기할 캐릭터 [31] 레드빠돌이9358 22/09/14 9358
462140 [서브컬쳐] 인어공주 실사판 트레일러 [37] 니시무라 호노카9612 22/09/10 9612
462117 [기타] 디즈니 피노키오 근황 [12] 카미트리아8011 22/09/10 8011
462116 [서브컬쳐] 디즈니 인어공주 실사화 티저 [61] 껌정8898 22/09/10 8898
461262 [유머] 쉬헐크 주연 여배우 내한기념 인증샷.jpg [15] Davi4ever9761 22/08/30 9761
460996 [게임] MS: “우리 경쟁자는 소니·닌텐도 아닌 아마존·구글” [12] 인간흑인대머리남캐6575 22/08/26 6575
460980 [기타] 한국 서비스개시하자 기대치대비 시큰둥한 반응을 얻은 앱들 [52] Lord Be Goja13100 22/08/26 13100
460678 [기타] OTT 1강 3중 3약.gisa [20] VictoryFood7892 22/08/21 7892
460360 [유머] [MCU] 쉬헐크 언론시사회 평가들 모음 [12] 카트만두에서만두7417 22/08/17 7417
459969 [기타] 디즈니 플라스,프리미엄 요금제 도입 [46] Lord Be Goja9632 22/08/11 9632
459731 [텍스트] 개인적으로 꼽는 디즈니랜드 직원 올타임 썰 [6] Rain#17345 22/08/08 7345
459725 [기타] 소녀의 청각장애를 알아챈 디즈니 도널드 덕의 반응 [18] TWICE쯔위7516 22/08/08 7516
459091 [유머] 알고보니 망사용료를 내고있던 트위치?? [32] 카트만두에서만두13132 22/07/30 13132
458488 [서브컬쳐] 디즈니 : 야 요즘 니들 우리 작품이 마음에 안드냐? [19] 오곡물티슈7828 22/07/20 7828
458297 [서브컬쳐] 실존하는 디즈니식 탑건 [22] 오곡물티슈8620 22/07/17 8620
458000 [서브컬쳐] 의외로 진상이라는 고객 [13] Lord Be Goja7799 22/07/12 7799
457922 [서브컬쳐] 디즈니 플러스를 살릴 유일한 방법.jpg [20] 오곡물티슈8869 22/07/11 8869
457468 [게임] 2021년 세계 게임 관련회사 매출 [25] Lord Be Goja7130 22/07/04 7130
457186 [서브컬쳐] 최근 디즈니플러스 미즈마블 시청자 반응.jpg [25] 오곡물티슈9137 22/06/29 9137
456404 [기타] 디즈니랜드 스파이더맨 스턴트중 사고 발생 그런데 알고보니? [10] 단비아빠6957 22/06/18 6957
456162 [서브컬쳐] (약스포)디즈니 신작 버즈 라이트이어 충격 근황 [109] 크크루삥뽕10029 22/06/15 1002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