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7/27 09:49:36
Name 맥스훼인
File #1 FYmj1w7UIAEkegB.jpeg (88.4 KB), Download : 16
File #2 FYmd3zYVQAERx3X.jpeg (100.0 KB), Download : 10
출처 구글
Subject [유머] 독일 구글 트렌드 근황 (수정됨)




장작 검색량 폭증.
(밑짤은 유럽 천가가격 추이입니다)

푸틴 마음에 따라
독일국민들의 겨울 찬물 샤워 여부가 결정되는데
어제 가스공급 40%>20%로 줄이겠다고 던져서
꽤 다급해졌습니다.

장작이 더 친환경적인것 맞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식인
22/07/27 09:50
수정 아이콘
장작이 매연이 많이 나올걸요?
벌점받는사람바보
22/07/27 09:50
수정 아이콘
유투브에 로켓스토브 조회수좀 오를지도?
마카롱
22/07/27 09:54
수정 아이콘
친환경은 이미 고려 대상이 아니죠. 선택지가 있을때나 환경 따지죠
22/07/27 09:55
수정 아이콘
메르켈 아주머니가 굴린 스노우볼이 잘 굴러갑...
맥스훼인
22/07/27 09:56
수정 아이콘
사실 메르켈도 하고싶진 않았을텐데
슈뢰더의 큰 그림이 폭발하는거죠 크크
Lord Be Goja
22/07/27 09:57
수정 아이콘
그분 친러전환했다던데 너무 큰그림일듯
Lord Be Goja
22/07/27 09:56
수정 아이콘
벌목도 해야하고 열전환효율이 석탄계보다 나쁘니 불순물도 더나오겠죠..
맥스훼인
22/07/27 09:59
수정 아이콘
지금 난방용 석탄도 조정받다가 다시 떡상중이긴 하더군요..
달달한고양이
22/07/27 10:05
수정 아이콘
진정한 글로벌 시대네요;;
22/07/27 10:21
수정 아이콘
장작은 베어낸만큼 다시 심고 가꾼다는 전제하에 탄소중립에 가깝긴 하죠..... (조림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도..)
葡萄美酒月光杯
22/07/27 10:24
수정 아이콘
삼림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나오는 짜투리들을 태운다면 오히려 플러스가 되는건데...
22/07/27 10:26
수정 아이콘
뭐 사실 이러나 저러나 식물이 자라면서 이미 공기중에서 흡수한 탄소를 다시 공기중으로 돌려보내는 거니 땅 밑에서 몇억년 묵고 있던 탄소를 해방시키는 화석연료랑은 질적으로 다르긴 합니다.
탄소가 전부는 아니지만요..
葡萄美酒月光杯
22/07/27 10:29
수정 아이콘
네 맞는 말씀입니다. 문제 그 정도 가지고는 애초에 얼마 보탬이 되지도 않으니 결국 인간이 편한함을 어느 정도 포기하는거 외에는 답이 없죠. 그 편안함을 순순히 포기할리는 없으니 연료값이 올라서 억지로 포기하도록 할수밖에 없는거구요. 뭐 매일 뜨거운 물 받아서 욕조에 들어가는 1인입니다만, 이게 당연한건가? 하면 그런거 같지는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서오고
22/07/27 10:24
수정 아이콘
대책없이 원전 셧다운한 업보를 다같이 받게 되는거죠 뭐...환경에 대한 우려가 전혀 없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핵심은 선진국들이 먼저 선점하고 후발주자들의 성장을 늦춰서 계속 이 구도를 유지하는거였죠. 당장 친환경 효율이 그만큼 안나오는데 원전은 뺀다 이거 부터가 속이 뻔히 보이는거죠. 애초에 친환경이 지형이나 풍량 일조량에 따라 극단적으로 변하는데 이걸 모든 나라에서 해라? 불합리한거죠.(한국...한국이라던가 한국...) 결국 지들도 반도 충당 못하는걸 뭔...
22/07/27 10:3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혼자 갑자기 원전 이야기 하시는데,
혹시 독일 상황에 대해 남들이 잘 모르는게 있으면
혼자만 알지 마시고 썰좀 풀어주시면 어떨까 싶은데요.
어서오고
22/07/27 10:47
수정 아이콘
제가 특출나게 더 아는게 아니라 뉴스기사 몇개만 보시면 알 수 있는 부분이고 말투가 시비거는거 같아서 말씀드리기 싫어요.
22/07/27 10: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뉴스 몇개만 보면 알수 있는 독일 상황이라지만,
어떤 뉴스를 보고 어떤 판단을 하는지는 사람마다 다 다르니 좀 궁금해서요.

알려주시면 어떨까 싶어서 적어봤습니다.
오곡물티슈
22/07/27 11:01
수정 아이콘
특정 성향의 유저들이 꼽주고 시비거는거에 너무 친절하게 대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전에 자유게시판에 원전 관련해서 일하시는 분이 글 쓴거에 신고 넣어서 정치게시판 보내는거 보고 학을 뗐다니까요
22/07/27 11:13
수정 아이콘
제가 딱히 특정 성향 유저를 신고 한적은 없는데요.

이글을 사람 비꼴려고 쓰신글로 보면, 제가 너무 과민반응 한걸까요.
22/07/27 11: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링크잘 읽었습니다.

솔직히 전 보고도 어째서 독일에너지 유머에 원전 이야기가 나오는지 잘 모르겠 습니다만,
그래도 피드백 감사합니다.
어서오고
22/07/27 11:18
수정 아이콘
보고도 잘 모르실 정도면 굳이 제 댓글에 비꼬시면서 시비거는 것에 의미는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22/07/27 11:28
수정 아이콘
어떤 뉴스를 보게되면, 유머에서 원전 이야기가 나와도 이상하지 않은건지 궁금했거든요.

전 보고도 원전이야기가 나오는 경로가 잘 이해가 안되더라고요.

시비걸려는건 아니었습니다.

기분 푸셨으면 좋겠네요.
어서오고
22/07/27 12:18
수정 아이콘
[혼자 갑자기 원전 이야기 하시는데,
혹시 독일 상황에 대해 남들이 잘 모르는게 있으면
혼자만 알지 마시고 썰좀 풀어주시면 어떨까 싶은데요.]


이게 시비가 아니라면 2045님이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떨어지는게 아닐까요? 앞으로 댓글 드릴 일은 없을거 같습니다.
22/07/27 12:33
수정 아이콘
어서오고 님// 시비로 받아들이셨으면 아쉽지만 어쩔수 없죠.

그렇게 판단하셨다는데, 제가 뭐라고 남한테 제 의도를 알아달라고 강요할까요.
아구스티너헬
22/07/27 11:25
수정 아이콘
대책없이 원전 셧다운했다는 말은 근거가 뭘까요?
당연히 친환경 전기로의 전환에 대한 대책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과도기에 그나마 더 친환경적인 화석연료인 가스 의존도가 올라간 상태였고 그 와중에 우크라이나 사태가 터진거죠
정책 입안자들이 관심법으로 푸틴 마음속이라도 6년전부터 보고있어야 한다는 말인가요?
어서오고
22/07/27 11:28
수정 아이콘
쳐맞기 전에는 다들 계획이 있죠. 정상적인 국가도 아닌 러시아에게 가스 수입을 거의 의존한다는것 자체가 대책이 잘못됐다는거죠. 러시아가 가스관 가지고 장난친게 하루이틀도 아닌데.
아구스티너헬
22/07/27 11: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렇죠 쳐맞기전엔 다 계획이 있죠
독일 및 유럽이 탈원전을 고려하기 시작한 이유는 체르노빌 방사능 낙진을 쳐맞고 나서부터고
25년동안 망설이다가 후쿠시마 원전 터지고 바로 결정했습니다.

탈원전은 쳐맞아서 결정한거에요 그전엔 안전 원전에 대한 그럴듯한 계획이 있었죠

전기요금이 두배가까이 올라가는걸 감수하고도 국민의 전폭적 지지로 탈원전 한건 다 이유가 있는거에요

어디 가져다 붙이시려먼 좀 알고 하시는게 좋을듯요
어서오고
22/07/27 11:37
수정 아이콘
그 계획이 독재자의 의중에 맡기자는거면 굉장히 잘못된 결정이고, 그게 사실로 드러났죠.

수 많은 전문가가 달라붙어서 안정성 올리고 안전장치 발전하고 있는 원전 vs 이미 가스관을 가지고 위협을 한 바가 있는 독재자의 착한 마음 믿기

이 수준이니 뭐...국민이 전폭적 지지를 했다고 해도 이런 배경에 대해 다 알고 동의했을까요? 한국도 불법 성인물 차단에 동의하냐고 하면 과반수 이상 전폭적지지 나오죠. 그 결과가 https 차단이죠.
아구스티너헬
22/07/27 17:19
수정 아이콘
어서오고 님// 메르켈은 푸틴과 협의하여 동유럽 7개국을 나토에 가입시켰어요
그 이후 1년도 지나지 않아 미국이 조지아를 나토에 가입시키려다 사단이 나기 시작했고 러시아의 인내심은 한계에 도달한거죠
우크라이나는 그 연장선이죠

고로 미국이 무리하게 조지아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을 유도한게 문제지 메르켈은 실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습니다.
평형을 깬건 미국이에요

그리고 국민은 그 배경을 매우 잘 알고 동의했습니다. 전술했지만 25년동안이나 사회 전반에서 논의된 일이거든요.

성인물차단은 여기서 왜나옵니까?
에너지 문제는 국민 모두가 영향을 받는 일이니 예가 전혀 맞지 않습니다만.
22/07/27 12:33
수정 아이콘
도박을 걸었는데 실패했으면 평가가 까여야죠. 독재자의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수급이 끊어질수 있는 에너지원의 의존도를 높이는건 도박수 맞죠. 그래서 도박에 실패한 메르켈의 평가는 나락가고 있고.
아구스티너헬
22/07/27 17:26
수정 아이콘
도박이란 말은 매우 낮은 확률에 명운을 걸때 하는 말이고 그 당시 상황으로 돌아가면 전혀 도박이 아닙니다. 합리적 선택이었죠
그리고 평가는 나락으로 가지 않았습니다. 최소한 독일내에서는요

메르켈에게 굳이 책임을 묻자면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이 지연된 부분이지 친러시아 정책이 아닙니다.
그리고 아직도 가장 친러시아적 행보를 보이는 프랑스는 쏙 빼고 왜 독일만 까는지는 의문이네요 크크 듣보잡이라 그런건가요?
록타이트
22/07/27 10:28
수정 아이콘
뗄감 쓰는 나라 가보면 미세먼지는 가소로울 정도로 매연 심하죠.
22/07/27 10:39
수정 아이콘
뗄감이야 불완전 연소니 미세먼지 엄청 날껄요.

물론 진짜 땔감 쓸지 도중에 변할지 모르지만요.
차라리 외국에서 가스를 수입 하는게 더 현실적일지도요.
맥스훼인
22/07/27 10:42
수정 아이콘
지금 가능한 나라 가스는 다 수입하려고 손 벌리는 중이라 아시아쪽 가스가격도 많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Lord Be Goja
22/07/27 11:38
수정 아이콘
공장같은데서 팰렛 난로들 써보면 쌩장작보다 조금 덜할뿐 물건들에 검은재 꽤 쌓이더군요
엘든링
22/07/27 10:43
수정 아이콘
옆에 폴란드는 원유 재고량 98퍼 쟁겨놓았는데..
메가트롤
22/07/27 10:51
수정 아이콘
??? : 신형전차
장인의기술
22/07/27 10:59
수정 아이콘
매연의 대다수를 생체필터가 빨아마시므로 매연량이 저감되는걸로...
겨울삼각형
22/07/27 11:39
수정 아이콘
인니가 매연이 미쳤다고 하는데
그원인이 나무태워서라고..
(물론 거긴 난방이 아닌 화전목적이지만)
Silver Scrapes
22/07/27 12:58
수정 아이콘
이미 전쟁터지고 바로 석탄 생산 늘린 대륙 아니었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4397 [방송] 부가티시론 + 아우토반 > 최고시속 417km [17] Croove13127 22/10/10 13127
463950 [유머] 서울을 독일식 지명으로 바꿔보자~ [24] 포졸작곡가9588 22/10/04 9588
463569 [기타] 여윽시 독일은 선진국 [5] 제3지대8985 22/09/29 8985
463497 [기타] 노르트스트림-1’과 ‘노르트스트림-2' 가스관 큰 손상입어 [24] 카루오스9564 22/09/28 9564
463466 [기타] 올해초 독일이 우크라이나에 준 헬멧 근황.jpg [21] TWICE쯔위12448 22/09/27 12448
463313 [유머] 독일 숄츠 총리 연설 [17] 밀맥사제11279 22/09/25 11279
463303 [유머] 우크라이나 전황을 분석하는 독일 [14] 퍼블레인10617 22/09/25 10617
463214 [유머] 어느 독일 장교의 우크라이나 전쟁 브리핑 [9] 길갈9793 22/09/24 9793
463139 [기타] 이탈리아인들을 흥분시키는 하와이안피자의 기원 [17] Lord Be Goja16204 22/09/23 16204
463079 [기타] 갑자기 일렉 기타 들고 나오는 독일 할아버지 [3] 시나브로8497 22/09/22 8497
462995 [기타] "정신이 드세요? 70년 만에 깨어나셨군요." [30] 물맛이좋아요12550 22/09/21 12550
462979 [기타] 전쟁 전 후 관상 비교 [26] 소믈리에10811 22/09/21 10811
462904 [유머] 빠르게 달려가는 독일 물가지수 근황 [26] 맥스훼인11956 22/09/20 11956
462287 [유머] 한국인들이 가면 실망한다는 독일 관광지.jpg [50] 핑크솔져12467 22/09/12 12467
462098 [기타] 찰스3세 즉위 기념 각 유럽 국가들이 '찰스'를 어떻게 부르는가 [11] 로사10967 22/09/09 10967
462080 [기타] 영국 군주의 사망, 독일의 재무장, 일본 총리의 피살 [20] 아수날11048 22/09/09 11048
462066 [기타] [국뽕주의] 탑기어의 현대자동차 극찬 [28] 숨고르기14018 22/09/09 14018
461958 [유머] 매국노인지 아닌지 애매한경우.. jpg [15] pzfusiler12445 22/09/07 12445
461715 [기타] 역사상 가장 강한 태풍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태풍 "힌남노" [58] 아롱이다롱이22811 22/09/04 22811
461665 [텍스트] 두줄로... [16] 메롱약오르징까꿍10086 22/09/03 10086
460763 [기타] 사전적으로 아무 문제없는 뜻임 [11] Lord Be Goja9420 22/08/22 9420
460760 [유머] 숄츠 총리 앞 탈의 시위와 가스 가격 [18] 맥스훼인8048 22/08/22 8048
460283 [유머] 독일식 왕따 해결법 [25] 인간흑인대머리남캐9170 22/08/16 917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