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7/07 05:23:43
Name 계피말고시나몬
출처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228305
Subject [기타] 과연 온난화로 전 세계적인 식량 위기가 올까? (수정됨)
솔직히 그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봅니다.

20200213-2.jpg

위 사진은 온난화로 인해 새로 생긴 경작 가능지역입니다.(기존 경작지와 겹치는 곳도 있는데, 아마도 재배 가능한 작물의 숫자가 늘어나는 경우도 넣은 것 같네요.)

2020년 기준으로 러시아는 한반도의 21배 면적의 경작지가, 캐나다는 한반도의 19배 면적의 경작지가 새로 생긴 셈이죠.

기존에 사막이었던 지역이 경작 가능 지역으로 변한 것도 눈에 띄는데, 강수대의 변화로 인해 생긴 현상 같습니다.


aad0c380-e9b6-4a6b-bc81-31f7770b453b.jpg

그리고 이건 기존의 경작지. 이 중 일부는 경작이 불가능해지거나 작물을 바꿔야 할 겁니다.

어쩌면 한국에서도 자포니카 대신 인디카를 재배하게 될 지도 모르겠네요.



정리하자면 '기존 경작국은 x 될 수도 있지만 농업이 망할 것 같지는 않다' 랄까요....



참고로, 전 세계 삼림 면적도 여러 매체들이 말하는 것과는 달리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이것도 온난화로 인해 러시아의 삼림이 빠르게 늘면서.......(...)

새로 글을 쓴 김에 이것도 살짝 보충을 하자면

2021년 7월, Scientific Reports에 한 가지 조사 결과가 올라옵니다. 여기엔 러시아 삼림의 면적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었는데, 2014년 기준으로 러시아의 삼림 면적은 약 1,110억 입방미터(㎥)이며, 이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유엔 기후협약이 언급하고 있던 것보다 40%에 가깝게 증가한 수치입니다.

1988년부터 매년 10억 입방미터씩 증가한 결과라고 하는데, 이것도 온난화의 영향이라고 하네요.

다시 말해 열대 삼림이 줄어든 부족분을 러시아가 채우고 있었다는 거.......

캐나다의 결과는 찾지 못했습니다만, 어쩌면 전 세계 삼림 면적은 오히려 늘었을지도 모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우편함안에
22/07/07 05:45
수정 아이콘
꽤 오래전 지구온난화로 인한 농업변화란 주제의 다큐물을 본기억이 있습니다만
내용중 온난화가 현실화 되면 가장 타격을 받는 나라 1위는 미국 2위는 인도라고 하더군요
반대로 온난화로 최고의 수혜를 받을수 있는 나라는 1위 러시아 2위 캐나다 3위는 북위 30도이상 국가(한국포함)라고
했습니다
특히 러시아는 어마어마한 혜택을 누리는데 이유는 온난화가 일어나면 시베리아 기단이 북상하고 북태평양 기단의
확대라는데 반대로 그만큼 미국은 매우 건조한 스텝지구대로 들어가게 된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일부 극단적 학자인 분은 온난화는 오히려 가속화 시켜야 한다
장기적으로 보면 득이 실보다 크다 특히 식량생산은 엄청난 증가가 있을것이다 였는데
모르겟습니다 아전인수식 해석이 과학계도 적지않게 만연한듯 해서
계피말고시나몬
22/07/07 05:48
수정 아이콘
사실 돈으로 경작지를 사면 되는 미국은 몰라도 인도는 타격이 엄청날 것 같습니다. 거긴 인구가 14억이니.....
겨울쵸코
22/07/07 05:58
수정 아이콘
러시아가 온난화로 큰 득을 볼거란 건 딱히 비밀도 아니죠. 지금도 세계 농산물 생산에 러시아의 비중이 적지 않은데, 미래엔 전 세계 모든 국가가 러시아에 의존 할지도요.
계피말고시나몬
22/07/07 05:59
수정 아이콘
캐나다가 있으니 그 정도는 아닐 것 같습니다만, 러시아의 파워가 더 세지는 건 막지 못할 것 같네요.
VictoryFood
22/07/07 06:24
수정 아이콘
빨리 통일하고 간도를 뺐어 옵시다
계피말고시나몬
22/07/07 06:36
수정 아이콘
고종의 재림....
22/07/07 06:30
수정 아이콘
지구 온난화로 알라스카에서 농사가 가능해지면.... 크크;;
계피말고시나몬
22/07/07 06:36
수정 아이콘
사실 이미 하고 있습니다. 2017년 기준으로 2012년 대비 30% 증가라고.......
22/07/07 06:58
수정 아이콘
한반도를 들어서 알래스카 근처에 둡시다. 너무 덥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2/07/07 07:37
수정 아이콘
뭐 문젠 세계화 추세가 깨졌다는거죠...
코로나 이전에 저물가기조를 저금리에도 유지했던게 그건데...
김경호
22/07/07 07:44
수정 아이콘
뭐 저는 탄소배출을 조금이라도 줄이려고 메일 3만개 가까이를 삭제를 하긴 했습니다 얼마나 도움될진 모르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서쪽으로가자
22/07/07 07:46
수정 아이콘
지금도 생산량 자체보다는 분배 문제는 있는데, 저런 상황에서 딱히 개선될지는 모르겠네요.
일단 기존틀에 적응(?)되어 돌아가는 국가/시스템에는 위기인건 맞을테고, 본문, 댓글처럼 러시아에겐 오히려 유리한 지형이긴 하겠네요.
그리고 피해액이나 규모로보면 피해보는 국가나 인구가 더 많을것 같기도하고, 농업생산량만이 문제는 아닐테니…
22/07/07 08:09
수정 아이콘
식량도 식량이지만 멸종으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감소하는 것과 지역별 농,수산업들이 타격받는 것이 걱정됩니다.
22/07/07 08:24
수정 아이콘
생물다양성이 홰손될지 아닐지는 아직 의견이 갈립니다.
대체로 빙하기 보다. 온난기가 생물의 다양성이 증폭되었으니 말이죠.
.
생물 다양성의 홰손은 온난화가 아니라 인류가 지배종이 되면서 멸종시킨 애들이 있지만. 그 역시 전체 생물에 비해서는 일부니까요.

제기되는 문제는 그 속도가 매우 빨라서 적응이 안될수 있다지만. 그건 종 하나 하나 따로 봤을때 이야기고. 생물계 전체로 본다면. 이미 온난화된 지구가 더 생존에 유리한 애들이 존재하고 그런애들이 주류종으로 올라갈 뿐이죠. 더 빠르게.
바이바이배드맨
22/07/07 10:42
수정 아이콘
별로 안 갈립니다 다양성 줄고 있다는게 정설이고 지구 온난화 몇년전만 해도 기업의 지원 받거나 신념에 따라 부정하는 학자들의 의견들도 꽤 있었던 것처럼 거기에 흔들리는 거 같은 거죠
지구 온난화도 생물 다양성도 중론은 안갈립니다
22/07/11 09:17
수정 아이콘
문제는 새로운 종이 분화되어 생태학적 지위를 찾아가는 속도보다 지금 기후변화가 훨씬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죠.
판을흔들어라
22/07/07 08:33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lsXJYMaOnJg 관련(?) 영상일거 같은데 경작지도 경작지지만 현 지구 인류 먹여살리는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게 '비료'라고 합니다. 그 중에 인 쪽은 300년 후면 다 고갈된다고. 그리고 지구온난화가 마냥 러시아에 좋지만은 않다고 들은게 남부 곡창지대의 사막화가 진행되고, 녹아서 그냥 농사 짓기 좋은 땅이 한번에 되는 것도 아니라 늪지대가 되는가 하면 지반이 붕괴(이거 때문에 기존 설치한 가스관 송유관들에 문제)거나 한다고 합니다.
antidote
22/07/07 08:46
수정 아이콘
본문 내용이 별 신뢰가 안가는게 시베리아보다 약간 남쪽에 있는 지방들은 시베리아보다 따뜻하겠지만 딱히 곡창지대가 아니죠.
몽골 카자흐스탄 이런곳들 척박해서 유목민들 유목이나 하던 동네인데 이 기후가 위로 올라간다고 생각하면 그닥...
22/07/07 09:20
수정 아이콘
식량 생산 위기 (X)

식량 가격 위기 (O)
비선광
22/07/07 09:57
수정 아이콘
별개로 SciRep은 저도 쓴적 있지만 허들이 높진 않은 여러분야 논문이 모이는 오픈석세스 잡탕...
하지만 mdpi가 출동한다면?
소독용 에탄올
22/07/07 10:29
수정 아이콘
인도 남미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동남아 중국이 농사가 망하면 러시아 캐나다에서 경작 가는지역이 늘어도 식량위기가 예방되기 어렵습니다.

인구밀집한 개도국하고 저개발국 농사가 망한걸 인구적은 동네 농사가능지역이 늘어서 때울수 있을리가 없죠...
생산량이 늘어도 위기가 올건데 늘어난단 보장이 없습니다.
농사가는지역이 는다고 거기서 바로 농사를 지을수 있는게 이니라서요...
이연진
22/07/07 10:43
수정 아이콘
아닐걸요. 일단 기후가 변하면 어류자원이 타격을 받습니다. 식탁위에 올라오는 물고기가 문제가 생긴다는 거죠. 그리고 지구온난화가 시작되면 바다 수면이 올라오고 그럼 토양염류화가 시작됩니다. 거기에 지금 우리가 기르고 있는 작물들은 현재의 기후에 맞춰진 작물들입니다. 이 작물들이 기후가 변하면 수확량도 줄어들고요. 이걸 기후가 바뀐다고 쉽게 바꿀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러시아나 캐나다의 새로 생기는 땅들에서 농사가 잘 될지도 알수 없거니와 거기가 시베리아처럼 외진 곳이란 것도 문제에요. 우크라이나가 식량 수출국이란 것은 가까이에 바다가 있어서이기도 한데 시베리아처럼 외진 곳이면 철도로 바다로 나르는데 운송비가 엄청나게 추가됩니다. 거기에 사막이 강수지역으로 변해서 작물 재배 가능하다는것도 기대하기어려워요. 지구 온난화때문에 사막이 녹지가 되고 있으면 사막화가 줄어들어야 하는데 오히려 사막화는 더 지속되고 있으니까요
Cookinie
22/07/07 14:05
수정 아이콘
약간 반박을 하자면, 툰드라 지대에 농사를 본격적으로 지을 정도가 되면 북극 얼음이 전부 녹아서 북극 항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Answerer
22/07/07 10:45
수정 아이콘
늘어난 경작지가 바로 경작이 가능하냐 하면 아니라 문제죠.
22/07/07 11: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시베리아는 동토 녹으면 사막이될 가능성이 높죠
공인중개사
22/07/07 11:35
수정 아이콘
저 북쪽의 인구적고 산림으로 뒤덮인 지역을 개간해서 폭증하고 있는 저개발국가의 인구들을 먹여살린다고요? 어림도없죠. 식량값은 폭증할거고, 저위도의 저개발국가들의 농업은 박살날거고, 정치적혼란으로 이어지겠죠. 온난화 계속되면 그냥 답없습니다.
22/07/07 11:36
수정 아이콘
살기위한 먹을거리는 문제 없겠죠
내가 먹고 싶은 걸 먹기가 힘들어질 뿐
Jedi Woon
22/07/07 21:54
수정 아이콘
저도 이 의견에 동의합니다.
전 인류가 매일 깨니마다 고기를 먹으려고 하면 목초지가 필요하고, 사료가 필요하고, 도축해야하고, 운송해야하고.....
근데 또 고기를 끊거나 줄이는건 힘들거...
호머심슨
22/07/07 13:28
수정 아이콘
경작지가 기온만 적당하면 거저 생기는게 아니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58123 [기타] 천하의 머스크도 어쩌지 못하는 이 사나이.. [15] Lord Be Goja9244 22/07/14 9244
458113 [유머] 우크라이나 북한과 단교 [19] 오곡물티슈10195 22/07/14 10195
457987 [유머] 중국이 7조 8천억 잃은 사람들 시위를 막는 방법 [36] TWICE쯔위10489 22/07/12 10489
457768 [기타] 아베 사망 각 국가 정상들 트윗 [19] 오곡물티슈8783 22/07/09 8783
457609 [기타] 과연 온난화로 전 세계적인 식량 위기가 올까? [29] 계피말고시나몬8884 22/07/07 8884
457188 [기타] 러시아 장군들의 신종 사업 [17] 세력9107 22/06/29 9107
457001 [기타] 그렇게 말하면 거긴 쫄리다는 건데.... [75] 판을흔들어라11372 22/06/28 11372
456959 [기타] 러시아가 못 만드는 것 [18] 판을흔들어라8320 22/06/27 8320
456949 [기타] 러시아 디폴트 선언 [49] 달은다시차오른다12633 22/06/27 12633
456891 [기타] 드디어 실제 범죄(?)에 사용된 딥페이크 근황 [4] 숨고르기7638 22/06/26 7638
456818 [유머] 다윈상 후보가 유력한 러시아군 3인조 [18] TWICE쯔위7426 22/06/25 7426
456794 [기타] 노서아 군의 가공할 대공무기 [20] Lord Be Goja6665 22/06/24 6665
456720 [유머] 러시아 노동자 후기.txt [23] Rain#19509 22/06/23 9509
456500 [유머] 우크라이나에서 잡힌 러시아인.jpg [35] TWICE쯔위9951 22/06/20 9951
456295 [유머] 2022년 러시아에서 출시한 자동차 [32] TWICE쯔위8999 22/06/16 8999
456085 [기타] 조금 전 우크라이나 대변인이 공개한 중화기 필요 수량 [54] 아롱이다롱이10493 22/06/13 10493
455943 [유머] 밈으로만 소비하기엔 아까운 노래 [14] roqur7640 22/06/11 7640
455938 [유머] 믿거나말거나.. 러시아 샤먼의식 참가한 썰 [4] League of Legend5805 22/06/11 5805
455810 [기타] ??? : 폴란드는 우크라이나에 구식전차를 지원해줘서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5] 판을흔들어라5302 22/06/09 5302
455691 [기타] 한국 육군 자주포 72문 집결…2022 최대규모 포탄사격 [68] 아롱이다롱이9999 22/06/07 9999
455358 [유머] 스웨덴게이트가 러시아보다 더한 어그로를 끌고 있는 이유 [18] 오곡물티슈7966 22/06/01 7966
455191 [기타] 군갤문학) ???: 우크라이나에서 한국제 포탄이 노획되었습니다 [4] 판을흔들어라9151 22/05/30 9151
455062 [기타] ???:북한도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라 [7] 어서오고4452 22/05/28 44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