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6/29 02:33:45
Name 물맛이좋아요
File #1 Screenshot_20220629_021803_Chrome.jpg (1.31 MB), Download : 15
File #2 Screenshot_20220629_021841_Chrome.jpg (495.4 KB), Download : 5
출처 https://www.goratings.org/en/history/
Subject [기타] 지난 40년간 바둑랭킹 Top3




조 - 이 - 이 - 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음란파괴왕
22/06/29 02:3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바둑 밀린다는 얘기를 들었던거 같은데 그래도 1위는 꾸준히 먹네요.
물맛이좋아요
22/06/29 02:43
수정 아이콘
세계랭킹 30위 안에 중국19 한국8 일본2 대만1 입니다.
문문문무
22/06/29 02:46
수정 아이콘
우와 그래도 8명씩이나 계속 있네요 TOP3도 2명씩 먹어주고있고
이쯤되면 중국이 20명이상먹고 일본1 대만0 한국이 5명정도 먹으면 선방한줄 알았는데
물맛이좋아요
22/06/29 02:47
수정 아이콘
현재 기준으로 신진서 1위 박정환 3위 변상일 8위입니다
문문문무
22/06/29 03:03
수정 아이콘
그것도 TOP10안에서 유사한 비율을 유지하고있네요
55만루홈런
22/06/29 03:33
수정 아이콘
중국이 19명이나 되는데 한국인이 커제 3년연속 빼면 대부분 1등인게 대단하네요 크크
천혜향
22/06/29 03:19
수정 아이콘
커제가 1위겠지 하고 왔는데 지금은 신진서 시대군요.. 오..
55만루홈런
22/06/29 03:32
수정 아이콘
80년대부터 지금까지 거의 다 한국인이 랭킹1위 먹었네요 크크 반대로 커제도 대단하긴 하네요 3년 연속 1등하며 나름 본좌 시대 있긴 하네요
니시노 나나세
22/06/29 03:44
수정 아이콘
이거 볼때마다 이창호 사범의 16년 연속 1위도 물론 경이롭지만

조훈현 사범의 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최상위권을 유지하는 그 꾸준함이 진짜 경이롭네요.

아니 50세에 세계랭킹 2위는 참...
곧미남
22/06/29 04:13
수정 아이콘
와 이걸로보니 올타임 넘버1은 돌부처
공실이
22/06/29 05:55
수정 아이콘
아니 응씨배 결승은 언제하냐... 4년에 한번 하는 대회를 3년째 하고있네... 신진서 유리한 시기니까 일부러 안하는것 같음요 ㅠ
겨울쵸코
22/06/29 07:03
수정 아이콘
이럼에도 조훈현에 의하면 이창호는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나이에 비해 성장이 느린 아이였다는 게...
22/06/29 07:47
수정 아이콘
조훈현이 진정한 천재였죠 조훈현이 ai시대에 태어났다면 어마무시했을겁니다
22/06/29 07: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현재 바둑기사 세계랭킹을 논할수 있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라 그렇지 elo레이팅 특성상 한계는 감안해야합니다 크크

당장 신진서도 랭킹이야 그 이전부터 높았고 리그성적은 압도적이었지만
정말 세계1위라고 모두에게 인정받을만한 시점은 첫 메이저 세계대회 우승인 2020년 LG배 우승 이후였죠.

2008년(+2009년)에는 이세돌의 라이벌로 불렸던 구리가 메이저대회 성적 단기적으로 좀 더 잘나오던 시기였고
2009년-2010년에는 쿵제가 메이저 세계대회 3개 먹으면서 반짝하던 시기였으며
이세돌도 이 시기에 여전히 전성기이기도 했지만(2009년1월에 2008년 삼성화재배 우승) 2009년6월-2010년1월에 프로기사회와 갈등으로 휴직까지 있었는데 (세계대회 불참 손해는 아마 2009년 삼성화재배만)
Gorating 상으로는 이런 히스토리가 크게 드러나지않고 그냥 이세돌이 계속1위죠. 물론 이 시기 세계최강자를 장기적으로 본다면야 대부분 이세돌이라하긴 할테지만요.

지금도 gorating 상위에 한국기사가 인식보다 많다고 해도, 메이저세계대회 우승 가능성 물으면 신진서 1순위, 박정환이 2-3순위에는 들텐데 나머지 한국기사들은 여전히 물음표긴 합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2/06/29 08:16
수정 아이콘
커제가 대단하다 대단하다 해서 정말 대단한 줄 알았는데 박정환 선에서 정리되네요?
Bronx Bombers
22/06/29 08:27
수정 아이콘
커제는 이제 정점 찍고 내려오는 중이라......요즘 바둑 트렌드 상으로 20대 중반이면 꺾일때도 됐구요....오히려 박정환이 이례적으로 커리어 곡선이 우상향 중입니다. (박정환이 커제보다 4살 많습니다) 20대 초반까지는 잘 하긴 했는데 뭔가 한 끗이 부족했다면 보통 기사들 전성기 지나는 나이인 20대 중반부터 월클급으로 포텐이 터진 기사
22/06/29 08:51
수정 아이콘
시기상으로 보면 박정환은 ai 시대에 잘 맞았나 보네요
22/06/29 08: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래도 대충 동년시기 활동한 기사들중 커리어는 커제가 가장 최고이긴 합니다.
특히 2015-2016년 즈음의 커제는 메이저대회우승으로든 실력으로든 goratings상으로든 명실상부한 세계최강이었습니다.
지금도 좀 꺾었어도 여전히 최정상급이고 계속 쌓아가는 커리어도 나쁘지않고요.
그가 최강이던 시기 알파고가 등장(2016년 3월 vs.이세돌 대국)하고 2017년에는 보다 업그레이드 되는 버전으로 붙기도하죠. 만약은 없다지만 알파고 등장이 없었다면 좀더 달랐을지도 모릅니다.

박정환은 따지면 커제보다 조금 윗연배인데, 분명 꾸준히 최정상급이었고, 신진서 대두이전 거의 유일한 우승후보 한국 기사로서 고군분투했고, 그 와중에 메이저 우승 커리어도 커제 다음은 되며, 주로 주장전으로 나왔을 중국갑조리그 성적은 경이로운 수준이지만, 결국 커리어는 커제가 좀더 높고 커제처럼 특정시기를 지배했다는 인상은 옅죠.
응씨배 준우승 2번 중 1번만 우승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습니다.
22/06/29 08:59
수정 아이콘
AI 활성화 이전의 커제는 포석에서 이어지는 초중반이 엄청났던 기사라서... 그걸로 한 시대를 지배했죠.
본인의 가장 큰 장점을 사실상 봉인 당하고도 한동안 최정상급에서 활약했다는 것 자체가 커제가 대단한 기사라는 반증이라고 봅니다.
여러가지 매너 논란이 있는 편인데다, 지금은 기량이 하락세로 접어든 감이 있어서 평판을 깎아먹는 느낌이지만요.
22/06/29 08:25
수정 아이콘
여류는 제 생각에 루이나이웨이 9단의 시대가 쭉 이어지다 위즈윙 7단과 최정 9단이 경쟁 했을 것 같았는데
실제로 루이나이웨이 9단 86년~04년, 조혜연 9단 05년, 루이나이웨이 9단 06년~12년, 위즈윙 7단 13년~16년, 최정 9단 17년~현재네요.
도들도들
22/06/29 09:07
수정 아이콘
루이나이웨이 통치기가 26년이네요. 압도적.
22/06/29 09:13
수정 아이콘
루이나이웨이 9단의 전성기는 여류 최강이 문제가 아니라 일반기전에서 우승을 노리던 기량이라... 실제로 타이틀도 따냈구요.
카페알파
22/06/29 09:34
수정 아이콘
전성기 때 남녀기사 통틀어 이창호 9단과의 상대전적이 이창호 9단보다 우위에 있었던(...) 몇 안 되는 기사 중 하나였을겁니다. (아니, 유일했던가요?) 지금은 상대전적 5:5 라고 하네요.(나무위키 피셜)
22/06/29 09:14
수정 아이콘
알파고 오디감??
카페알파
22/06/29 09:24
수정 아이콘
여기 랭킹에는 없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서봉수 9단도 대단한 기사라고 생각합니다. 보통 남들은 프로기사가 되네마네 하는 중학교 시기에 늦깎이로(중1 도 아니고 중3 때였나 아마 그때부터 배웠을 겁니다.), 그것도 유학이나 특별한 스승 없이 동네바둑으로 배워서 당대 최강의 기사였던 조훈현 9단과 2강을 이뤘으며, 더구나 응씨배 우승까지 했지요. 서봉수 9단이 조훈현 9단처럼 여건이 되어서 바둑을 좀 더 어린 나이에 일찍 배우고, 유학도 갔다 오고 그랬다면...... 역사에 '만약'이란 없다고 하지만, 아마 그랬다면 세계 바둑의 역사는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달라졌을 겁니다.
콩탕망탕
22/06/29 15:22
수정 아이콘
넝마를 뒤집어쓴 천하제일검..
개인적으로 서명인 하면 생각나는 이미지입니다.
뭔가 살짝 "사파"같으면서도 실전적이고, 끈적끈적한 초식을 구사하는 재야의 절대고수
닉언급금지
22/06/29 09:37
수정 아이콘
이-이 세대의 목격자로서
이창호 시대 언제 끝나나, 어떻게 끝나나 아니 이게 끝나기는 하는 건가? 싶다가도
이세돌 나오면서 아니 이게 이렇게 끝난다고? 싶었던 기억이 나는 기록이네요
감사합니다.
소오르트
22/06/29 09:50
수정 아이콘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타이젬에 pgr길드 하나 만들어서 정모도 하고 그러면 재밌을 것 같은데 2000년대 감성으로요.
소오르트
22/06/29 09:54
수정 아이콘
pgr에는 왠지 타이젬 7단 이상이 수십 수백명은 될듯하네요
22/06/29 14:20
수정 아이콘
옛날에 고스트바둑왕 볼 때 일본이 제일 바둑 셌을거라고 착각했던 1인....
대리충 히카루가 잘못했네...
콩탕망탕
22/06/29 15:18
수정 아이콘
역대 응씨배 우승자를 순서대로 보면..
조훈현 서봉수 유창혁 이창호 창하오 최철한 판팅위 탕웨이싱
서봉수, 유창혁이 그들의 전성기에 혼을 모아서 최고의 기량을 발휘해서 우승한것 같고
이세돌, 커제, 박정환 등의 초일류들은 좀 아쉽네요.
그래도 세계 일인자이면 응씨배 타이틀은 있어야 폼이 날텐데요.
앞으로의 한국바둑은 선봉장 신진서에 달려 있겠네요
설사왕
22/06/29 20:50
수정 아이콘
좀 조심스럽지만 80년대 초 조훈현의 실력이 저 정도로 평가받긴 무리같습니다.
조훈현의 실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저 당시 한국 바둑에 대한 평가는 그리 높지 못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0537 [기타] 한국에서 가장 넓은 대학교 [28] 물맛이좋아요9791 22/08/19 9791
460471 [기타] 대한민국 퓰리쳐상급 사진들 모음.jpg [50] 물맛이좋아요11297 22/08/18 11297
459822 [기타] 한동안 중고로 구입할 때 주의해야할 물건 [23] 물맛이좋아요8458 22/08/09 8458
459766 [기타] 비상선언.jpg [4] 물맛이좋아요7667 22/08/08 7667
459275 [기타] 경력 10년 이상의 카본 프로그래머 구합니다. [25] 물맛이좋아요7156 22/08/02 7156
458915 [기타] (당근마켓) 급합니다. 빨리 팔겠습니다. [18] 물맛이좋아요7061 22/07/27 7061
458694 [기타] 카톡 연락처 보다가 깜짝 놀람 [14] 물맛이좋아요10368 22/07/23 10368
458610 [기타] 제가 아버지의 인맥으로 부정취업을 했다구요? [18] 물맛이좋아요10694 22/07/22 10694
458519 [기타] 남편 자전거 몰래 팝니다. [33] 물맛이좋아요11140 22/07/20 11140
458352 [기타] 잼민이 아들놈의 카톡 프사가 뭔가 수상하다. [43] 물맛이좋아요13845 22/07/18 13845
457849 [기타] 뜻밖의 현대미술 [15] 물맛이좋아요6789 22/07/10 6789
457557 [기타] 자식 키우기가 힘든 이유 [38] 물맛이좋아요9281 22/07/06 9281
457320 [기타] 비가 온 후의 안양천과 탄천 자전거 도로 [18] 물맛이좋아요8721 22/07/02 8721
457267 [기타] 위상수학적으로 원과 사각형은 같습니다. [14] 물맛이좋아요6417 22/07/01 6417
457199 [기타] 시마노 R7100 그룹셋 발표했습니다. [9] 물맛이좋아요5027 22/06/30 5027
457053 [기타] 지난 40년간 바둑랭킹 Top3 [32] 물맛이좋아요7372 22/06/29 7372
456974 [기타] 송푸름이 부른 [그런 일은] 2013 vs 2022 [7] 물맛이좋아요3425 22/06/27 3425
456842 [기타] 반드시 정해진 순서대로 읽어야만 하는 간판 [18] 물맛이좋아요6497 22/06/25 6497
456415 [기타] 수업 들어간 교수님 급당황.. [26] 물맛이좋아요12402 22/06/18 12402
456071 [기타] 인간이 AI를 이길 수 없는 이유 [18] 물맛이좋아요6843 22/06/13 6843
456014 [기타] 재미있어 보이는 시뮬레이터 게임 하나 소개합니다. [13] 물맛이좋아요6338 22/06/12 6338
455698 [기타] 쿨타임 다 되어서 올리는 트럼프 카드 확률 문제(정답포함) [46] 물맛이좋아요5885 22/06/07 5885
455465 [기타] 자전거 페달을 돌려 토스트 굽기 [23] 물맛이좋아요5398 22/06/03 53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