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6/25 05:42:00
Name 회사에서
출처 https://twitter.com/e2v_sde_parody/status/1540087877308239874?s=20&t=RmQmormwH6H310IdKhftjw
Subject [유머] 핫한 논문 표절

탑티어 AI 학회인 CPVR에서 복붙논문을 게재하고 구두발표까지 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저는 관련 전공이 아니라 잘 모르지만 다 유명 논문이라고 하네요. 

1저자는 서울대 머신러닝 연구실 박사과정인데, 발표 직후에 공론화 당했다고 합니다.

https://twitter.com/e2v_sde_parody/status/1540087877308239874?s=20&t=RmQmormwH6H310IdKhftjw
폭로자는 트위터로 원저자들 한 명 한 명 태그걸면서 고마워~ 잘배꼈어 하는 중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키작은나무
22/06/25 05:44
수정 아이콘
저걸 안걸릴거라 생각했을까요?...아이고 박사과정이면 들인 시간도 많을텐데 다른 길 찾아봐야겠네요
타츠야
22/06/25 05:47
수정 아이콘
저게 사실이라면 차라리 논문을 안 내고 말지 저게 뭐하는 건지. 그리고 유명 논문이라면 담당 교수도 알았을 것 같은데요?
겨울쵸코
22/06/25 05:56
수정 아이콘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입니다. 개인적으로 AI학회만큼 엉망이 되어버린 CS학회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들을때마다 새롭습니다만 또 새로운 뉴스를 매번 듣고 있습니다. 너무 많은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어서, 그 분야 교수님들도 다 쫓아가지 못하고 있죠. 너무 제출되는 논문이 많아, 프로그램 체어가 무작위 컷을 하기도 하고요. 당연히 그만큼 리뷰할 사람이 없어 학생들이 리뷰하고 있고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누가 리뷰를 하는가에 따라 당락이 크게 결정되기에, 최근 유행하는 전략이 페이퍼 하나 만들면, 그 논문 베이스로 유사버전 몇 개를 더 만들어 다수의 논문을 제출하는 거죠. 어차피 리뷰어는 학생이기에 그 중 한두개 운으로 걸리면 된다는 마인드로 하는데, 워낙 엉망이다보니 이게 잘 통한다죠. 모 대학 랩에서 얼마전 탑 AI학회에 30여개 페이퍼를 제출했다는 소리듣고 놀랐습니다만, 어지간하면 최소 10개 이상은 다들 제출한다고 들었습니다. 보통, 한 학생이 3-4개는 기본으로 제출하고요. 이런 식이다 보니 논문 퀄러티도 심하게 떨어져 박사과정 학생이 빡세게 하면 1달만에 탑에 실릴 페이퍼가 나온다죠. 어차피 당락은 운이고요.
타츠야
22/06/25 05:58
수정 아이콘
헉... 듣고보니 학회가 진짜 망가졌는데요. 피어 리뷰를 학생들이 한다니.
겨울쵸코
22/06/25 06:00
수정 아이콘
어쩔수가 없어요. 작년이었던가요? 모 AI학회에 제출된 논문이 12000개였다고 합니다. 프로그램 체어가 6000개를 무작위 컷하고 나머지 6000개를 리뷰했는데, 당연히 할 사람이 없죠. 결국 학생들 동원해서 리뷰하니 억셉/리젝이 엉망이죠. 이렇게 당락이 누가 리뷰하는 지에 따라 운으로 결정되다 보니, 다들 양으로 승부하는 겁니다. 이러니 상황은 나날이 더 엉망이되죠.
타츠야
22/06/25 06:03
수정 아이콘
연간 제출 횟수나 학회별 제출 횟수를 제한해야 되는거 아닌가요? 양산형 논문 공장 시스템인데요. 컷도 무작위라니.
어떤 분야가 핫하다고 하면 거기에 죄다 몰리는 느낌이네요. 산업계도 죄다 AI 쓴다고 설명하는데 실제로 얼마나 제대로 하는지 모를 정도더군요. 투자 받기 좋은 기술 문구가 되어버린 느낌입니다.
겨울쵸코
22/06/25 06:14
수정 아이콘
그걸 누가 어떻게 제한할수 있을까요? 뭐가 기준이 되어야 할까요? AI 학계 안에서도 2-3년전부터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는 말은 나오고 있다고 들었습니다만, 그게 도통 방법이 없어요.

더 나아가 몇몇 교수들은 일부러 학회를 그런식으로 만들어 이용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원래 논문하나 만들면 그걸 베이스로 버젼A, 버젼B식으로 판박이 논문 만들어 다수의 실적을 올리는 교수들은 어느 분야나 있었습니다만, 최근 AI분야에 그런 교수들이 유난히 많이 몰려간 거 같더군요.
타츠야
22/06/25 17:57
수정 아이콘
저도 그런 기준 세우는게 말이 안 된다고 생각은 합니다. 예를 들어, 정말 연구 열심히 하고 다양한 아이디어로 논문 열심히 쓰는 선의의 피해자도 생길거고 다른 부작용도 있을거고. 그래도 이 정도 되면 방법 강구 안 하면 공멸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드네요. 교수들부터 그런 식이면 대학원생들도 뻔히 보는게 있을 테니 비슷한 방식으로 갈거고 본인들이 저지른 죄(?)가 있으니 교수둘은 방임 내지 묵인할 거고. 참 어렵네요.
AaronJudge99
22/06/25 16:42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아드오드
22/06/25 06:12
수정 아이콘
저는 학생은 아닙니다만, 리뷰어로 오랜만에 참여했다가 모 미국 대학 박사학생이 리뷰를 정말 한줄 남기는거 보고 경악했던 기억이 있네요.

물론 한줄 이상 쓰고 싶지 않은 논문이 너무 많은데, 그걸 논리적으로 잘 설명해주려면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는게 문제이긴 합니다..

최근 몇 년 너무 빠르게 성장해서, 리뷰할 깜냥이 되는 리서처 수는 그대로인데 서브미션이 5-10배 폭발한게 문제이긴 한거 같습니다.
타츠야
22/06/25 17:58
수정 아이콘
그렇죠. 리뷰도 원래 제대로 하려면 시간이 엄청 걸리는데 논문 제출양은 이런 식으로 조금만 변형해서 쏟아지고. 이런 식이면 나중에 논문 몇 편으로는 깜냥이 되지도 않을 텐데.
블리츠크랭크
22/06/25 07:35
수정 아이콘
박사과정한테 간혹 오는 경우는 있더라구여. 해당 논문지에 임팩트 있는 저널을 몇 편 냈던 선배가 있었는데, 교신 저자가 리뷰를 안하니 리뷰할래? 하고 메일이 오던 ...
타츠야
22/06/25 17:59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데로 그 선배분은 임팩트가 있어서 연락이 왔던 것 같은데 요즘은 위 댓글들로 보면 그냥 막 던지는 느낌이네요.
몽키매직
22/06/25 08:41
수정 아이콘
피어 리뷰를 박사과정이 초벌(?)로 하는 것 자체는 교육차원에서 많이 시키는 연구실이 있긴한데,
보통은 교수님이 그 피어 리뷰를 검토하고 자기가 감수하고 뺄거 빼고 넣을거 넣고 합니다. (논문 작성할 때 교신저자 역할과 비슷하죠)
근데 교수가 검토도 없이 학생이 리뷰한 걸 그대로 올리는 건 에바죠.
타츠야
22/06/25 18:00
수정 아이콘
위 댓글들로 미뤄보면 교수가 알고서도 묵인 내지 방임한 것 같기도 합니다. 본인들도 그래서.
22/06/25 08:15
수정 아이콘
AI학회답게 AI로 1차로 표절검사를 해서 거른다면
nm막장
22/06/25 09:07
수정 아이콘
CVPR 진행중일텐데 안타깝네요
저 학생은 쪽팔림을 모르는 걸까요
Dr. ShuRA
22/06/25 09:16
수정 아이콘
여기 논문 하나 내보려고 열심히 하는 친구들 다 빅엿먹은 겁니다.
다음부터 논문 내기가 얼마나 힘들어질지 예상도 안되네요.
신속하고 빡세게 페널티 먹이지 않는 이상 황 전 교수 이후의 전철을 밟게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 사태를 보면서 더 화가 났던건 다른 저자들의 태도였습니다.
1저자가 거의 다 썼고 우리는 문법이나 전체 흐름만 봐줬다라.. 이건 정말 혁명적 개소리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에디티지도 저자에 넣어줘야지요.. 그저 학회 티어만 보고 실적에 눈이 멀었다고 생각합니다.
타츠야
22/06/25 18:00
수정 아이콘
헐... 다른 저자들 웃기네요. 안 걸렸으면 그대로 숟가락 얹어서 갔을 거면서.
22/06/25 09:33
수정 아이콘
내용하고 상관없이 브금이 중간중간 기계 웃음소리 나야할것 같네요. 크크크
비오는풍경
22/06/25 09:40
수정 아이콘
AI 분야가 빠르게 팽창하면서 산업에서도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데 학계도 얄짤없군요
고등어자반
22/06/25 10:44
수정 아이콘
아, IEEE 쪽이기는 하지만 AI 페이퍼 투고 직전인게 하나 있는데... 신경쓰이네요.
타마노코시
22/06/25 10:55
수정 아이콘
여기저기서 무조건 AI를 넣어야 펀드도 따고 실적도 더 좋게 나오기 때문에 모든 분야에서 부작용이 장난 아니게 나오고 있죠.
AI의 본류도 아닌 곳에서는 모든 keyword에 AI 관련 내용만 넣으면 accept 확률도 올라가고 그러다보니 저질 논문도 많아지고 있죠.
부작용 중에 가장큰 것은 AI가 모든 fitting의 만능 tool로 인식되는 것이죠.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결과물에 대해서도 AI로 fitting하니 결과가 나온다 같은..
아기공룡씽씽카
22/06/25 12:24
수정 아이콘
몇년 전에 아는 선배가 저 연구실에 있었는데 서울대 학생들 사이에 인기가 많은 랩이라서 학위 과정생이 30명 정도 있다고 했습니다. 지금은 AI 분야가 더 인기가 많으니 대학원생이 줄지는 않았을 것이고요. 아마 그래서 지도교수가 논문을 하나하나 체크 못해서 이런 일이 발생한 듯 합니다. (변명이 될 순 없지만요)

https://phdkim.net/board/free/31513/

찾아보니 이런 글도 있네요. 사실이라면 상습적으로 다른 논문들의 문장을 복붙하여 논문 작성을 했던것 같네요…
22/06/25 13:10
수정 아이콘
유머게시판이길래 또 어느 누가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이곳 저곳에서 그럴듯하게 짜집기한 논문을 썻다라는 이야기인줄...
협곡떠난아빠
22/06/28 04:30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에 영상 가볍게 보고 넘겼는데 알고보니 덜덜덜
AaronJudge99
22/06/25 16:24
수정 아이콘
허;;;;
SoLovelyHye
22/06/25 17:52
수정 아이콘
한경에 기사도 올라왔네요

[단독] 4차산업혁명위원장 윤성로 교수 표절…"책임지겠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6256149i)

"그러면서 윤 교수는 “1저자의 단독 행동”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논문은 총 5명이 해당 논문 공동 저자로 등록돼 있다. 윤 교수는 지도교수로 해당 논문 작성을 지도했다. 윤 교수는 “여러 공저자가 함께 글을 만들어 1저자에게 보냈는데, 해당 학생이 임의로 보내준 글 대신 다른 논문에 나와있는 표현을 베껴 넣었다”고 해명했다."

"The first author wrote most of the manuscript, and the rest of the authors were mainly responsible for correcting small details such as sentence flows and grammars."

유튜브 댓글에서 공저자는 문법이랑 흐름만 봐줬다고 했는데 기사에선 공저자들이 글 써서 보냈는데 1저자가 마음대로 다른 논문을 배꼈다고 하니 진술이 안맞네요.
타츠야
22/06/25 18:01
수정 아이콘
둘 중에 하나는 일관되게(?) 거짓말 하고 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88412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30951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33346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19165
501206 [음식] 볶음밥 만드는 영상 [1] Croove498 24/06/09 498
501205 [유머] GS25 점보 라면 신제품.jpg [9] VictoryFood1821 24/06/09 1821
501204 [유머] 논란의 커스텀 한복 [12] 길갈3400 24/06/09 3400
501203 [유머] 프랑스에 진출한 PGR인들 [7] 남행자2676 24/06/09 2676
501202 [기타] 지금 농심에서 하고 있는 이벤트... [21] 우주전쟁4226 24/06/09 4226
501201 [기타] 독일 기자가 우려하는 온라인 린치 문화.jpg [56] 北海道7919 24/06/09 7919
501200 [기타] 오늘의 알고리즘 팝송 [2] 문문문무2935 24/06/09 2935
501198 [유머] 중국집 볶음밥 찐 스펙.jpg [56] 김치찌개9655 24/06/09 9655
501197 [유머] 국밥집에서 빡치는 순간 8가지.jpg [29] 김치찌개6317 24/06/09 6317
501196 [유머] 운전자 97%가 틀리는 사거리 우회전 문제.jpg [50] 김치찌개6081 24/06/09 6081
501195 [유머] 아파트 이름 1위 기록 갱신함.jpg [24] 김치찌개6228 24/06/09 6228
501194 [유머] [세대별 반응] 9시 출근이면 몇시까지 출근해야 할까?.jpg [53] 김치찌개4405 24/06/09 4405
501193 [유머] 1950년대 스타크래프트 [11] Mouse_pad5412 24/06/08 5412
501192 [음식] 카이막을 만들어 본 dc인 [10] 크크루삥뽕4921 24/06/08 4921
501191 [기타] (약후?) 이래도 강아지입니까? [12] 묻고 더블로 가!7279 24/06/08 7279
501190 [기타] 존엄사 합법시 벌어지는 일.canada [87] 궤변8221 24/06/08 8221
501189 [유머] 아스크림 생수통 맥주캔 용량이 이상한 이유.jpg [17] 궤변5816 24/06/08 5816
501188 [LOL] 해도해도 너무한 타잔 근황 [20] 묻고 더블로 가!6456 24/06/08 6456
501187 [유머] 2017년에 엔비디아 주식 5억원치 매수한 사람 [17] 무딜링호흡머신6344 24/06/08 63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