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6/24 09:40:28
Name 로켓
출처 https://www.imbc.com/broad/radio/fm/economy/podcast/index.html
Subject [기타] 전기요금 때문에 은행금리가 오른다고? (수정됨)
https://podbbang.page.link/f8Nw27EVTympQyuo6

https://www.imbc.com/broad/radio/fm/economy/podcast/index.html

에너지 가격 상승 > 전기 발전단가 상승하지만 한전 전기요금 못 올림 > 큰 폭의 적자로 대규모 채권 발행 > 한전 채권 때문에 은행 채권이 잘 안팔림 > 은행 회사채 금리 인상 > 은행 대출금리 인상

6.23.자 손에 잡히는 경제 방송 내용 중...
일종의 나비 효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Paranormal
22/06/24 09:43
수정 아이콘
이게 무슨 나비효과도 아니고....
22/06/24 09:45
수정 아이콘
비용은 어디로든 전가되게 마련이니까요.
Lainworks
22/06/24 09:50
수정 아이콘
큰 사건 이유가 단 하나 뿐이라고 하는 사람만큼 멍청한 사람이 없긴 하지만, 영향이 없는건 또 절대 아니겠죠 뭐...
22/06/24 09:58
수정 아이콘
대출금리 인상이 당연히 저 이유만은 아닐 거고, 경제방송 하시는 분들이 그걸 모르진 않겠죠.
엔타이어
22/06/24 09:53
수정 아이콘
자기들이 돈벌때는 자기들끼리 나눠먹고, 자기들이 힘들어지면 전세계로 고통을 분담시키고....
아, 월스트리트 얘기였습니다.
일반상대성이론
22/06/24 10:21
수정 아이콘
남들 빈틈은 뼛속까지 벗겨먹으면서 지네들 빈틈이 생기면 악착같이 쉴드치고… 쟤들보면 자본주의 혐오가 이해가 가죠 크크
갑의횡포
22/06/24 09:55
수정 아이콘
전기 요금 좀 올리자 대신 최하층 서민들에겐 감면 혜택 주던가
요금 올라서 못 살겠다는 서민 코스프레 웃음만 나옵니다.
멸천도
22/06/24 10:05
수정 아이콘
근데 전기요금을 올리려면 공업용전기요금부터 올려야하는거 아닌가요? 지금도 일반 전기요금은 전세계적으로 낮은 편이 아니라고 하던데요.
Rouge Scout
22/06/24 10:18
수정 아이콘
가정용전기가 원가회수율이 더 낮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매우 낮은편이고 당연히 손해보면서 팝니다.
22/06/24 10:23
수정 아이콘
가정용이 원래는 싸지만 누진 끼얹기 시작하면 그렇게 낮은 편이 아니라고 주워 들었는데
혹시 잘못된 정보일까요?
shadowtaki
22/06/24 10:38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350kWh 용량까지만 보면 선진국 평균에서 절반 정도 밖에 안될 겁니다.
Heidsieck
22/06/24 10:32
수정 아이콘
다른 나라의 가정용 전기요금은 우리나라보다 상대적으로 더 비싼 것으로 파악됐다. 2019년 기준 OECD 36개국의 가정용 전기요금 평균은 MWh당 172.8달러인 반면, 한국은 MWh당 102.4달러에 그쳤다. OECD 평균을 100으로 놓고 보면 한국은 59에 불과한 수준이다. 독일이 MWh당 333.9달러로 가장 비쌌고, 덴마크(321.3달러/MWh), 벨기에(316.2달러/MWh), 이탈리아(289.3달러/MWh) 등의 순이었다. 한국보다 싼 국가는 멕시코(62.9달러/MWh)가 유일했다.
우리나라는 IEA 회원국(조사 대상 25개국 기준) 가운데 산업용 전기요금(8펜스/kWh)과 가정용 전기요금(8.01펜스/kWh)이 사실상 같은 터키(100%)에 이어 두 번째(91%)로 가정용 대비 산업용 전기요금 비율이 높았다. 가정용과 산업용 전기요금이 거의 비슷한 셈이다.
우리나라의 가정용과 산업용 전기요금 간 격차는 kWh당 0.75펜스에 불과했다.
저도 궁금해져서 찾아보니 이 기사에 따르면 산업용과 가정용 전기요금 모두 OECD 평균보다 낮다고 나오네요. 링크는 여기 있습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114176800502
멸천도
22/06/24 10:35
수정 아이콘
오호 이게 누진세 포함된 결과인거죠?
Heidsieck
22/06/24 10:40
수정 아이콘
안타깝게도 누진세에 대한 언급이 없어서 포함된 결과인지 아닌지 모르겠네요.
멸천도
22/06/24 10:53
수정 아이콘
계산해보니까 누진세는 뺀거같네요.
펜스로 했길래 계산해보니까
우리나라 누진요금 풀이면 18펜스정도고
누진요금 적용을 안받아야 8펜스정도 되는거같아요.
금주전사
22/06/24 10:35
수정 아이콘
MB 때 산업용 요금은 50퍼 이상 올렸었고,
일반,주택용이 110~120원쯤 될테고, 산업용이 90원대 쯤 될거긴한데,
물류 비교하면 주택은 소매고 산업용은 도매라고 봐야해서 산업용이 더 이득일걸요.
대용량 업체들은 알아서 자기네 변압기 관리하고 근처 변전소까지 케이블 알아서 다 깔아서 설비에 접속까지 하는데, 주택용이나 농사용은 공사비 수백 드는데 실제 전기 요청자들한테 수십만원밖에 못받죠... 인프라 설치, 관리하는데 돈은 더 들고 전기사용 변동도 크죠.
멸천도
22/06/24 10:36
수정 아이콘
MB때 올렸었군요.
shadowtaki
22/06/24 10:42
수정 아이콘
거기에 추가로 큰 전력이 들어가는 공장 같은 곳은 역률관리도 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되는 전력과 공급해야 하는 전력에 큰 차이가 없는 반면 가정은 요금을 매기는 실효전력과 피상전력의 차이도 커서 요금대비 공급해줘야 하는 전력도 크죠.
22/06/24 10:42
수정 아이콘
낮은 편이 아니라구요....? 오반데요
멸천도
22/06/24 10:55
수정 아이콘
제가 정확히 10년전 정보를 가지고있었습니다.
22/06/24 09:57
수정 아이콘
은행도 은행이지만 일반 기업 자금조달은 헬입니다.
AAA인 한전채가 3.8에 발행, AA급인 카드사들이 4프로중반대 발행, 그러면 그밑으로는...
22/06/24 10:00
수정 아이콘
하긴 은행은 신용도가 높아도 저런데 일반 회사는...
22/06/24 10:09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일반회사는 유상증자를 때리면 됩니다!?
산밑의왕
22/06/24 10:38
수정 아이콘
유증이 원하는대로 잘된다면야…크크
22/06/24 10:01
수정 아이콘
원가는 오르는데 공급가가 그대로면 누군가는 돈을 내야죠
22/06/24 10:31
수정 아이콘
이거 전부터 얘기했는데 진짜 아무도 관심 안 가지더라고요
22/06/24 10:41
수정 아이콘
전기요금 너무 싸긴하죠
League of Legend
22/06/24 10:59
수정 아이콘
여름은 지나고 올립시다
Liberalist
22/06/24 11:06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의 전력시장을 보면 실제로는 전기요금 파티이고, 성과급 파티가 아니죠. 그리고 그 파티의 대가는 본문에서도 일부분 나와 있지만 우리나라가 다방면으로 치르고 있고요. 파티를 끝낸다 운운하려면 전기요금 최소 킬로와트시당 30원 이상은 올리고 나서 그런 소리 했으면 합니다.
iPhoneXX
22/06/24 11:40
수정 아이콘
치킨이랑 전기가 제일 불쌍하죠. 다른건 2~3배씩 물가 오른다고 오르는데 눈치보느라 오르지도 못하고..
전기요금은 인간적으로 올릴때 됐습니다. 물가 상승률도 못따라가는게 현실적으로 말이나 되는지..그럼 적자 나도 놔두던지요.
도라지
22/06/24 11:44
수정 아이콘
이건 무슨 글인가요?
금리야 연준이 금리를 올리니까 어쩔수없이 따라 올리는건데… 이게 헛소리라서 유머라는건가요?
22/06/24 12:26
수정 아이콘
당연히 그 이유가 제일 큰데, 저런 것도 일부 작용한다는 얘기로 들으면 될 듯 싶습니다.
1만큼 오를 걸 1.1 만큼 오르게 한다는 정도? 흐흐
22/06/24 15:39
수정 아이콘
RPG게임 같은거 하면 메인퀘가 있고 서브퀘가 있잖습니까.
이게 서브퀘 같은거죠
22/06/24 11:47
수정 아이콘
전기요금을 올리려면 댕같은 누진제부터 어떻게 해야죠. 대놓고 1인 가구 권장 수준의 요금 정책이 말이나 됩니까. 누진을 때리려면 실 거주인원으로 때리든가, 이건 뭐 혼자 살면 개꿀이라고 홍보하는 꼴이니
22/06/24 11:51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이번에 인상할때 말씀하신 부분 신경 좀 써줬으면 좋겠어요
22/06/24 12:30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차라리 기본요금을 올리고 누진율은 줄이는 게 나을 수도 있겠네요
22/06/24 13:00
수정 아이콘
1인 가구 비율이 너무 높아져서 이 부분은 반드시 손 봐야 된다고 봅니다
22/06/24 12:11
수정 아이콘
이게 또 한전 말고 다른 전기회사들만 배가 부른다는 썰이 있던데...
아이군
22/06/24 12:16
수정 아이콘
포스코 에너지는 한전에 전기를 100원에 팔고 포스코는 한전에 전기를 90원에 사는 창조경제가 한 때 유명했죠...

제철소를 돌릴수록 전기료가 생긴다...
22/06/24 12:31
수정 아이콘
무위험 투자군요
22/06/24 13:04
수정 아이콘
요새 한전채권이 금리 엄청 잘 나왔더라구요. 그게 금리인상으로 갈줄이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00261 [기타] bbq황올이 23일부터 23000원으로 오른다네요. [64] 카루오스7913 24/05/21 7913
498874 [기타] 기계가 대체하지 않는 대신 난이도가 오른다는 직종 [29] Lord Be Goja12138 24/04/23 12138
493038 [기타] 가격은 올랐지만 전성비는 엄청 오른 제품 [21] Lord Be Goja12586 24/01/03 12586
492108 [기타] 왼발 수술인데 오른발뼈 절단 [59] 시린비14135 23/12/16 14135
483989 [기타] 싱글 1800->2200으로 오른 갤s24 with 스냅8gen3 [18] Lord Be Goja7062 23/08/01 7062
479171 [기타] 슬슬 본궤도에 오른듯한 쿠팡 [35] 카루오스16457 23/05/10 16457
469937 [기타] 콜라값 다 오른다... 코카콜라 이어 펩시콜라도 편의점가 인상 [36] 치타11571 22/12/22 11571
467372 [기타] (약간후방) 그새 실력이 더 오른듯한 AI 아트 [38] 묻고 더블로 가!12411 22/11/18 12411
466847 [기타] 물가가 너무 오른 [26] 안아주기12875 22/11/11 12875
466172 [기타] 4k 120hz hdr..스펙이 많이 오른 psvr2 [24] Lord Be Goja10009 22/11/03 10009
460637 [기타] 트위터 실트에 오른 심심한 사과 [79] VictoryFood10627 22/08/20 10627
460592 [기타] 슬금슬금 다시 오른 환율 근황 [21] 길갈10356 22/08/20 10356
456762 [기타] 전기요금 때문에 은행금리가 오른다고? [41] 로켓9243 22/06/24 9243
450665 [기타] 요즘 몸 값이 많이 오른 생선 [19] 카루오스10511 22/03/22 10511
444558 [기타] 통계상 오른쪽 이어폰이 더 가치있는걸로 밝혀져 [8] Lord Be Goja7561 22/01/04 7561
439690 [기타] 배달비가 오른 이유 [35] 톰슨가젤연탄구이11963 21/11/13 11963
439236 [기타] ??? ???; 창원 아파트 오른 [20] style10729 21/11/09 10729
435287 [기타] 집갑 5억 오른 부장님이 이러네요 [91] 파랑파랑11987 21/10/03 11987
433921 [기타] 슈퍼맨의 베프 소꿉친구인 내가 현실에선 사이비 교주의 오른팔이 된 건에 대하여 [9] 나주꿀9902 21/09/20 9902
431787 [기타] 배민 블랙리스트에 오른 사람 [133] 톰슨가젤연탄구이18107 21/08/31 18107
429992 [기타] ??? : 재용이형 출소하면 오른다매? [65] 뜨거운눈물9243 21/08/13 9243
410919 [기타] [410917번 글 관련] 해수면이 각각 70m만 오른다면 동아시아는 어떻게 될까? [15] 성아연8155 21/01/20 8155
409752 [기타] 일런 머스크 트윗 하나로 10배 이상 오른 주식 [13] 텅트11743 21/01/09 1174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